맨위로가기

아핀 기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핀 기하학은 1748년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로, 유클리드 기하학의 일반화로 인식된다. 아핀 기하학은 평행선과 관련된 공리 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유클리드 기하학, 민코프스키 공간 기하학 등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괄한다. 아핀 변환은 공선성을 보존하며, 아핀 기하학에서 불변인 기하학적 결과를 다루는 '아핀 정리'를 정의한다. 아핀 공간은 체 위에서 좌표화된 기하학으로, 사영 기하학에서 무한대 초평면의 여집합으로 볼 수 있다. 아핀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과 사영 기하학 사이의 연구로 간주되며, 아핀 변환의 군 작용을 통해 기하학적 속성을 연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핀기하학 - 아핀 변환
    아핀 변환은 아핀 공간에서 직선의 형태와 평행성을 유지하는 변환으로, 선형 변환과 평행 이동의 결합으로 표현되며, 컴퓨터 그래픽스와 이미지 처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확대 행렬을 이용해 행렬 곱셈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아핀기하학 - 아핀 공간
    아핀 공간은 벡터 공간에서 원점 개념을 제외한 기하학적 구조로, 벡터 공간이 정추이적으로 작용하는 집합이며, 유클리드 공간의 일반화된 형태이고 사영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아핀 기하학
개요
정의유클리드 기하학에서 거리와 각도의 개념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기하학
특징점, 직선, 평면과 같은 기본적인 기하학적 대상과 그들 간의 관계 (예: 평행, 교차)를 연구
측정 가능한 양 (거리, 각도, 넓이, 부피) 대신, 점, 선, 평면 간의 **incidence** 관계와 **parallelism** 관계에 초점을 맞춤
어원'affine'은 라틴어 'affinis'에서 유래, "관련된" 또는 "연결된"을 의미
역사
발전 배경유클리드 기하학의 공리 체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등장
사영 기하학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
주요 공헌자아르투어 케일리, 펠릭스 클라인
공리
기본 공리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유일하게 존재
한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 그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유일하게 존재 (플레이페어의 공리)
주의사항거리나 각도에 대한 공리는 포함하지 않음
변환
아핀 변환직선을 직선으로, 평행한 직선을 평행한 직선으로 유지하는 변환
예: 평행 이동, 스케일링, 기울이기, 회전 (특수한 경우)
특징도형의 비율은 보존하지만, 길이와 각도는 일반적으로 보존하지 않음
응용
컴퓨터 그래픽스2차원 및 3차원 객체의 변환, 모델링
지도 제작지도 투영법
물리학상대성 이론의 시공간 모델링
암호학아핀 암호
관련 개념
사영 기하학아핀 기하학을 확장, 무한원점을 추가하여 평행선도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함
유클리드 기하학거리와 각도의 개념을 포함하는 기하학
선형대수학아핀 공간을 벡터 공간으로 표현하고 연구하는 데 사용
미분기하학아핀 접속을 이용하여 곡면의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

2. 역사

1748년,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그의 저서 무한소 해석 입문/무한대 분석 입문la(제2권, 제XVIII장)에서 "아핀(affin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4][5] 1827년, 아우구스트 뫼비우스는 Der barycentrische Calcul/Der barycentrische Calculde(제3장)에서 아핀 기하학에 관해 저술했다.

펠릭스 클라인에를랑겐 프로그램 이후, 아핀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일반화로 인식되었다.[6]

1918년, 헤르만 바일은 그의 저서 ''공간, 시간, 물질''에서 아핀 기하학을 언급했다. 그는 수학 물리학을 처음 개발하는 단계에서 벡터의 덧셈과 뺄셈을 도입하기 위해 아핀 기하학을 사용했다.[7] 이후, E. T. 화이트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8]

: 바일의 기하학은 역사적으로 상세히 연구된 최초의 아핀 기하학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것은 4차원 시공간에서 평행 이동의 특수한 유형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 세계선의 광선 신호. 이 세계선의 짧은 요소를 ''영 벡터''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면 이 평행 이동은 한 점에서 다른 인접한 점의 영 벡터 위치로 임의의 영 벡터를 전달하는 것과 같다.

2. 1. 초기 역사

1748년,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그의 저서 무한소 해석 입문/무한대 분석 입문la(제2권, 제XVIII장)에서 "아핀(affin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4][5] 1827년, 아우구스트 뫼비우스는 Der barycentrische Calcul/Der barycentrische Calculde(제3장)에서 아핀 기하학에 관해 저술했다.

펠릭스 클라인에를랑겐 프로그램 이후, 아핀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일반화로 인식되었다.[6]

1918년, 헤르만 바일은 그의 저서 ''공간, 시간, 물질''에서 수학 물리학을 처음 개발하는 단계에서 벡터의 덧셈과 뺄셈을 도입하기 위해 아핀 기하학을 사용했다.[7]

2. 2. 현대

운동학에서는 고전적 운동학과 현대적 운동학 두 가지 유형의 아핀 변환이 사용된다.[15] 속도는 길이와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길이는 무제한으로 가정된다. 갈릴레이 또는 뉴턴식으로 표현되는 이러한 종류의 운동학은 절대 공간과 시간의 좌표를 사용한다. 각 축에 대한 평면의 전단 매핑은 정지 기준틀에서 속도 ''v''로 움직이는 관찰자에 대한 좌표 변경을 나타낸다.[15]

유한한 광속목성의 위성의 출현 지연으로 처음 관찰되었으며, 현대적인 운동학을 필요로 한다. 이 방법은 속도 대신 속도], 및 이전의 전단 매핑 대신

3. 공리 체계

파푸스의 정리: 빨간색 선이 평행하고 파란색 선이 평행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검은색 선도 평행해야 한다.


아핀 기하학은 평행선과 관련이 있으므로,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가 언급한 평행선의 성질 중 하나를 전제로 삼았다.[9][10]

  • A, B, C가 한 선 위에 있고 A', B', C'가 다른 선 위에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선 AB'와 선 A'B가 평행하고, 선 BC'와 선 B'C가 평행하다면, 선 CA'와 선 C'A도 평행하다. (이것은 파푸스 육각형 정리의 아핀 버전이다).


제안된 전체 공리계는 '점', '선', '점이 포함된 선'을 원시적 개념으로 한다.

  • 두 점은 정확히 하나의 선에 포함된다.
  • 임의의 선 L과 L 위에 있지 않은 임의의 점 P에 대해, P를 포함하고 L의 어떤 점도 포함하지 않는 선이 정확히 하나 존재한다. 이 선을 L에 '평행'하다고 한다.
  • 모든 선은 적어도 두 점을 포함한다.
  • 한 선에 속하지 않는 점이 적어도 세 개 있다.


H. S. M. 콕세터에 따르면:

> 이 다섯 개의 공리들의 흥미로운 점은 유클리드 기하학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민코프스키 공간 기하학 (특수 상대성 이론이 1+3차원을 필요로 하는 반면, 1+1차원의 단순한 경우)에서도 적용되는 방대한 명제들을 전개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강화된다.[11] 유클리드 기하학이나 민코프스키 기하학으로의 확장은 직교성 등의 다양한 추가 공리를 추가하여 이루어진다.

다양한 유형의 아핀 기하학은 '회전'에 대해 어떤 해석을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회전의 일반적인 개념에 해당하고, 민코프스키 기하학은 쌍곡선 회전에 해당한다. 수직선과 관련하여, 평면이 일반적인 회전을 겪을 때 수직성을 유지한다. 민코프스키 기하학에서는 쌍곡선-직교인 선이 평면이 쌍곡선 회전을 겪을 때 해당 관계를 유지한다.

평면 아핀 기하학은 순서 기하학의 공리에 다음 두 공리를 추가하여 공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12]

  • (아핀 평행 공리) 점 ''A''와 ''A''를 지나지 않는 직선 ''r''이 주어졌을 때, ''A''를 지나고 ''r''과 만나지 않는 직선은 최대 하나 존재한다.
  • (데자르그) 일곱 개의 서로 다른 점 ''A, A', B, B', C, C', O''가 주어져서 ''AA', BB', CC'가 ''O''를 지나는 서로 다른 직선이고, ''AB''가 ''A'B'''에 평행하며, ''BC''가 ''B'C'''에 평행하면, ''AC''는 ''A'C'''에 평행하다.


아핀 평행 개념은 직선에 대한 동치 관계를 형성한다. 여기에 제시된 순서 기하학의 공리는 실수 구조를 암시하는 속성을 포함하므로, 이것은 실수체에 대한 아핀 기하학의 공리화가 된다.

최초의 비데자르그 평면은 다비트 힐베르트에 의해 그의 저서 ''기하학 기초''에서 언급되었다.[13] 몰턴 평면은 전형적인 예시이다. 데자르그 정리가 유효한 기하학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하학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삼항환의 개념은 마셜 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접근법에서 아핀 평면은 삼항환에서 가져온 순서쌍으로 구성된다. 평면은 두 변이 평행인 평행 투영 관계에 있는 두 삼각형이 세 번째 변도 평행해야 할 때 "소 아핀 데자르그 성질"을 갖는다고 말한다. 이 성질이 삼항환에 의해 정의된 아핀 평면에서 성립한다면, 평면의 점 쌍에 의해 정의된 "벡터" 간의 동치 관계가 존재한다.[14] 또한, 벡터는 덧셈 하에서 아벨 군을 형성하며, 삼항환은 선형이고 우분배법칙을 만족한다.

3. 1. 파푸스의 정리



아핀 기하학은 평행선과 관련이 있으므로,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가 언급한 평행선의 성질 중 하나를 전제로 삼았다:[9][10]

  • 가 한 선 위에 있고 가 다른 선 위에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선 와 선 가 평행하고, 선 와 선 가 평행하다면, 선 와 선 도 평행하다. (이것은 파푸스 육각형 정리의 아핀 버전이다).


제안된 전체 공리계는 '점', '선', '점이 포함된 선'을 원시적 개념으로 한다.

  • 두 점은 정확히 하나의 선에 포함된다.
  • 임의의 선 과 위에 있지 않은 임의의 점 에 대해, 를 포함하고 의 어떤 점도 포함하지 않는 선이 정확히 하나 존재한다. 이 선을 에 '평행'하다고 한다.
  • 모든 선은 적어도 두 점을 포함한다.
  • 한 선에 속하지 않는 점이 적어도 세 개 있다.


H. S. M. 콕세터에 따르면:

> 이 다섯 개의 공리들의 흥미로운 점은 유클리드 기하학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민코프스키 공간 기하학 (특수 상대성 이론이 1+3차원을 필요로 하는 반면, 1+1차원의 단순한 경우)에서도 적용되는 방대한 명제들을 전개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강화된다. 유클리드 기하학이나 민코프스키 기하학으로의 확장은 직교성 등의 다양한 추가 공리를 추가하여 이루어진다.[11]

다양한 유형의 아핀 기하학은 '회전'에 대해 어떤 해석을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유클리드 기하학은 회전의 일반적인 개념에 해당하고, 민코프스키 기하학은 쌍곡선 회전에 해당한다. 수직선과 관련하여, 평면이 일반적인 회전을 겪을 때 수직성을 유지한다. 민코프스키 기하학에서는 쌍곡선-직교인 선이 평면이 쌍곡선 회전을 겪을 때 해당 관계를 유지한다.

3. 2. 순서 구조

평면 아핀 기하학은 순서 기하학의 공리에 다음 두 공리를 추가하여 공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12]

  • (아핀 평행 공리) 점 ''A''와 ''A''를 지나지 않는 직선 ''r''이 주어졌을 때, ''A''를 지나고 ''r''과 만나지 않는 직선은 최대 하나 존재한다.
  • (데자르그) 일곱 개의 서로 다른 점 ''A, A', B, B', C, C', O''가 주어져서 ''AA', BB', CC'가 ''O''를 지나는 서로 다른 직선이고, ''AB''가 ''A'B'''에 평행하며, ''BC''가 ''B'C'''에 평행하면, ''AC''는 ''A'C'''에 평행하다.


아핀 평행 개념은 직선에 대한 동치 관계를 형성한다. 여기에 제시된 순서 기하학의 공리는 실수 구조를 암시하는 속성을 포함하므로, 이것은 실수체에 대한 아핀 기하학의 공리화가 된다.

3. 3. 삼항환

최초의 비데자르그 평면은 다비트 힐베르트에 의해 그의 저서 ''기하학 기초''에서 언급되었다.[13] 몰턴 평면은 전형적인 예시이다. 데자르그 정리가 유효한 기하학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하학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삼항환의 개념은 마셜 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접근법에서 아핀 평면은 삼항환에서 가져온 순서쌍으로 구성된다. 평면은 두 변이 평행인 평행 투영 관계에 있는 두 삼각형이 세 번째 변도 평행해야 할 때 "소 아핀 데자르그 성질"을 갖는다고 말한다. 이 성질이 삼항환에 의해 정의된 아핀 평면에서 성립한다면, 평면의 점 쌍에 의해 정의된 "벡터" 간의 동치 관계가 존재한다.[14] 또한, 벡터는 덧셈 하에서 아벨 군을 형성하며, 삼항환은 선형이고 우분배법칙을 만족한다.

:(a+b)c = ac+bc.

4. 아핀 변환

아핀 변환

기하학적으로 아핀 변환은 공선성을 보존한다. 따라서 평행선을 평행선으로 변환하고 평행선상 거리의 비율을 보존한다.

아핀 기하학에서 아핀 군 하에서 불변인 기하학적 결과를 '아핀 정리'라고 한다. (펠릭스 클라인에를랑겐 프로그램에서 이것은 아핀 기하학의 기초가 되는 대칭 변환이다). 벡터 공간 ''V''를 고려하면, 일반 선형군 GL(''V'')가 있다. 이것은 전체 "아핀 군"이 아닌데, 벡터 ''v''에 의한 평행이동도 허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평행이동은 ''V''의 모든 ''w''를 ''w'' + ''v''로 맵핑한다.) 아핀 군은 일반 선형군과 평행이동에 의해 생성되며 실제로 그들의 반직접곱 V \rtimes \mathrm{GL}(V)이다. (여기서 우리는 ''V''를 덧셈 연산 하의 군으로 생각하고, GL(''V'')의 ''V''에 대한 정의 표현을 사용하여 반직접곱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각 꼭짓점을 반대쪽 변의 중점에 연결하는 선의 공점 (''무게 중심'' 또는 ''바리 중심'')에 대한 평면 기하학 정리의 경우, ''중점''과 ''무게 중심''의 개념이 아핀 불변량으로 작용한다. 다른 예로는 체바 정리와 메넬라우스 정리가 있다.

아핀 불변량은 계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의 면적을 두 개의 동일한 절반으로 나누는 선은 삼각형 내부의 포락선을 형성한다. 포락선의 면적과 삼각형의 면적의 비율은 아핀 불변량이므로, 모든 삼각형에 대해 단위 이등변 직각 삼각형과 같은 간단한 경우에서 \tfrac{3}{4} \log_e(2) - \tfrac{1}{2}, 즉 0.019860... 또는 2% 미만으로 계산하면 된다.

삼각형의 면적에 대한 밑변 곱하기 높이의 절반, 또는 피라미드의 부피에 대한 밑변 곱하기 높이의 3분의 1과 같은 친숙한 공식도 마찬가지로 아핀 불변량이다. 후자는 일반적인 경우에 전자보다 덜 명백하지만, 정육면체의 한 (면적 1)과 정육면체의 중점 (높이 1/2)에 의해 형성된 6분의 1에 대해서는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꼭짓점이 밑변의 중심 바로 위에 있지 않은 기울어진 피라미드와 사각형 대신 평행 사변형을 밑변으로 갖는 피라미드에도 적용된다. 이 공식은 무한히 많은 평행 사변형을 허용하여 (수렴에 주의하면서) 원뿔을 포함하여 밑변을 평행 사변형으로 해부할 수 있는 피라미드로 더 일반화된다. 동일한 접근 방식은 4차원 피라미드의 4차원 초부피가 3차원 부피 평행육면체 밑변 곱하기 높이의 1/4이고, 고차원에서도 마찬가지임을 보여준다.

5. 아핀 공간

아핀 기하학은 주어진 차원 ''n''의 아핀 공간 ''K'' 위에서 좌표화한 기하학으로 볼 수 있다. 또한 (2차원에서) 좌표화된 아핀 공간의 조합적 일반화가 합성 기하학의 유한 기하학에서 개발되었다. 사영 기하학에서, ''아핀 공간''은 무한대 초평면의 사영 공간에서의 여집합을 의미한다. ''아핀 공간''은 또한 계수가 1이 되도록 합해지는 선형 결합으로 제한된 연산을 갖는 벡터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2''x'' − ''y'', ''x'' − ''y'' + ''z'', (''x'' + ''y'' + ''z'')/3, '''i'''''x'' + (1 − '''i''')''y'' 등과 같다.

합성적으로, 아핀 평면은 점과 선(또는 때로는 더 높은 차원에서 초평면) 사이의 관계를 기준으로 정의된 2차원 아핀 기하학이다. 좌표를 사용하는 대신 점과 선(또는 초평면)의 배열로 아핀(및 사영) 기하학을 정의하면 좌표 체가 없는 예시를 얻을 수 있다. 주요 속성은 이러한 모든 예가 차원 2를 갖는다는 것이다. 차원 2의 유한 예시(유한 아핀 평면)는 무한 아핀 공간, 군론, 조합론에서 배열 연구에 귀중하게 사용되었다.

배열 접근 방식보다 덜 일반적임에도 불구하고 논의된 다른 접근 방식은 대칭과 관련된 기하학 부분을 밝히는 데 매우 성공적이었다.

6. 사영적 관점

전통적인 기하학에서 아핀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과 사영 기하학 사이의 연구로 간주된다. 한편, 아핀 기하학은 합동을 제외한 유클리드 기하학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아핀 기하학은 특정 선 또는 평면을 무한대 점을 나타내도록 지정하여 사영 기하학에서 얻을 수 있다.[19] 아핀 기하학에는 거리 구조가 없지만, 평행선 공준은 유지된다. 아핀 기하학은 수직선을 정의할 때 유클리드 구조의 기초를 제공하거나, 쌍곡 직교의 개념을 통해 민코프스키 기하학의 기초를 제공한다.[20] 이러한 관점에서, 아핀 변환은 무한대 점과 유한 점을 치환하지 않는 사영 변환이며, 아핀 변환 기하학은 아핀 변환의 작용 을 통해 기하학적 속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참조

[1] 서적 Geometry I Springer
[2] 문서 forgetful functor
[3] 서적 Geometric Algebra John Wiley & Sons Inc.
[4] 웹사이트 Earliest Known Uses of Some of the Words of Mathematics (A) http://jeff560.tripo[...]
[5] 서적 Analytische Geometrie Birkhauser
[6] 서적 Introduction to Geomet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7] 간행물 Raum, Zeit, Materie Methuen
[8] 간행물 From Euclid to Eddington: a study of conceptions of the external world Dover Publications
[9] 문서
[10] 문서 The Affine Plane
[11] 문서 Affine plane
[12] 문서 Introduction to Geometry
[13] 간행물 The Foundations of Geometry http://www.gutenberg[...] Open Court
[14] 간행물 Linear Geometry Addison-Wesley
[15] 문서 Abstract Algebra/Shear and Slope
[16] 간행물 "The Space-time Manifold of Relativity. The Non-Euclidean Geometry of Mechanics and Electromagnetics"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7] 웹사이트 Synthetic Spacetime https://web.archive.[...]
[18] 간행물 "Trigonometry in Lorentzian geometry"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9] 간행물 Non-Euclidean Geomet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