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187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1872년)는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와 영국의 앨리스 공주의 딸로, 1872년에 태어났다. 1894년 러시아 황태자 니콜라이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4명의 딸과 1명의 아들을 낳았다. 아들 알렉세이가 혈우병을 앓자 시베리아의 수도사 라스푸틴에게 의존했고, 이는 러시아 제국 말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라스푸틴이 암살되고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면서 황후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1918년 가족과 함께 볼셰비키에 의해 처형되었다. 1981년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에 의해 순교자로, 2000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는 외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물려받은 혈우병 보인자 유전자를 지니고 있었으며, 신경 쇠약 계통의 정신 질환도 앓고 있었다.[83] 이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아들 알렉세이는 혈우병 환자로 태어났다. 알렉세이는 출생 직후 탯줄 출혈이 멎지 않는 등 심각한 증상을 보였고, 그의 혈액은 잘 응고되지 않아 작은 상처에도 생명을 위협받는 상태였다.[84][85] 알렉산드라는 아들에게 병을 물려주었다는 사실에 큰 죄책감을 느꼈으며,[86] 이는 그녀의 신경 쇠약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황실 가족들은 알렉산드라가 "자신의 혈통의 질병으로 로마노프 왕가를 오염시켰다"고 비난하기도 했다.[88]
알렉산드라는 남편 니콜라이 2세의 러시아 백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매우 없었다. 그녀의 수줍고 내성적인 성격, 그리고 때때로 히스테릭하게 비춰지는 모습은 종종 오만함과 냉담함으로 잘못 해석되었고, 이로 인해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8] 러시아 궁정에서는 그녀를 "매력이 없고, 뻣뻣하며, 차가운 눈을 가졌으며, 마치 자를 삼킨 듯한 태도를 보인다"고 평가하기도 했다.[48] 그녀는 궁정의 공식 언어인 프랑스어 구사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편지나 메모를 보면 읽고 쓰는 데는 유창했으며, 러시아어는 황후가 된 후 꾸준히 배워 상당히 능숙해졌다.[49]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의 삶과 로마노프 왕조의 비극적인 운명은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졌다. 영화, 드라마, 소설, 음악, 만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그녀의 이야기가 재현되거나 모티브로 사용되었다.
2. 생애
1872년 헤센 대공국에서 헤센 대공 루드비히 4세와 앨리스 대공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앨리스는 빅토리아 여왕의 둘째 딸이었다. 어린 시절 어머니를 디프테리아로 잃고 외할머니 빅토리아 여왕 슬하에서 자라 영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884년 언니 엘리자베트의 결혼식에서 러시아 제국의 황태자 니콜라이를 처음 만났고, 이후 열렬한 연애 끝에 1894년 결혼했다. 결혼 직전 알렉산드르 3세가 사망하면서 니콜라이가 황제로 즉위했고, 그녀 역시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후가 되었다.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며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라는 이름을 받았다.
결혼 후 올가, 타티야나, 마리야, 아나스타시야 네 딸을 낳았고, 1904년 고대하던 아들 알렉세이를 낳았다. 그러나 알렉세이는 외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유전된 혈우병을 앓고 있었다. 아들의 병을 고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시베리아의 농민 출신 수도사 그리고리 라스푸틴을 만나게 되었고, 그가 아들의 고통을 덜어준다고 믿으며 광신적으로 의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라스푸틴은 황실 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국정에까지 개입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니콜라이 2세가 전선으로 떠난 후 알렉산드라는 수도에 남아 내정을 맡았으나, 라스푸틴의 영향 아래 국정에 혼란을 야기했다. 독일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국민들의 불신과 비난을 받기도 했다. 1916년 12월 라스푸틴이 황족들에 의해 암살되자 큰 충격을 받았고, 1917년 3월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면서 황후 자리에서 물러났다.
혁명 후 황제 일가는 차르스코예 셀로에 가택 연금되었다가 시베리아의 토볼스크, 1918년에는 우랄의 예카테린부르크로 이송되었다. 1918년 7월 17일 새벽,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하우스 지하실에서 남편 니콜라이 2세, 다섯 자녀, 그리고 네 명의 측근과 함께 볼셰비키 혁명군에 의해 총살당했다.
사후 소련 붕괴 이후인 1991년 유해가 발굴되었고, DNA 검사를 통해 신원이 확인되었다. 1998년 처형 80주년을 맞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트로파블롭스크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2. 1. 어린 시절
1872년 6월 6일 다름슈타트의 노이에 팔레에서 헤센 대공국의 공주 '알릭스 빅토리아 헬레네 루이제 베아트릭스'로 태어났다.[3][4] 아버지는 헤센 대공 루드비히 4세, 어머니는 앨리스 대공비로 빅토리아 여왕의 둘째 딸이었다.[176][177] 알릭스는 일곱 자녀 중 여섯째이자 넷째 딸이었다.[3][4] 이름은 어머니와 네 명의 고모에게서 따왔으며,[177] 어머니 앨리스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알릭스는 여기서 내 이름을 '알리체'라고 발음하기 때문에 '앨리스' 대신 붙인 것"이라고 설명했다.[5][176][177] 영국 친척들은 당시 웨일스 공비 알렉산드라의 애칭도 '알릭스'였기 때문에 그녀를 '알리키'라고 불렀고,[6][177] 밝은 성격 덕분에 '써니(Sunny)'라는 애칭으로도 불렸다.[5][177]
대부모는 외삼촌 부부인 웨일스 공과 웨일스 공비, 미래의 시부모가 될 러시아 황태자와 황태자비 마리아 표도로브나, 외숙모 영국 공주 비아트리스, 고모할머니 케임브리지 공작 부인, 그리고 프로이센의 안나 공주였다.[176]
알릭스가 한 살 무렵인 1873년 5월, 혈우병을 앓던 오빠 프리드리히("프리티")가 낙상 사고로 사망했다.[177] 1878년 11월에는 디프테리아가 헤센 가문을 휩쓸었다. 알릭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가족이 감염되었고, 어머니 앨리스는 아이들을 직접 간호하다 병에 걸려 12월 14일, 3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알릭스는 당시 6세였다.[178] 알릭스와 가장 가까웠던 두 살 아래 여동생 마리("메이") 역시 디프테리아로 사망했다.[177] 알릭스는 훗날 어머니와 여동생이 죽기 전까지의 어린 시절을 "흐린 구석 없는 행복한 어린 시절로, 항상 태양이 빛났다"고 회상했다.[7][177]
어머니를 잃은 알릭스는 6세부터 12세까지 외할머니 빅토리아 여왕 슬하에서 자랐다.[176][179] 이 때문에 정신적으로는 독일인보다 영국인에 더 가까웠다.[176][179] 빅토리아 여왕은 알릭스를 매우 아꼈고 "내가 살아있는 동안, 알리키는 결혼할 때까지 그 어느 때보다 내 자신의 아이가 될 것"[8]이라고 선언하며 사실상 대리모 역할을 했다. 여왕은 알릭스의 가정교사를 직접 선택하고 상세한 보고를 받았으며, 알릭스와 남은 형제자매들을 자주 영국으로 초대하여 영국 사촌들과 가깝게 지내도록 했다. 알릭스는 빅토리아 여왕을 "가장 훌륭하고 사랑스러운 할머니"[9]로 여기며 깊은 애정을 보였고, 편지에는 손녀가 아닌 "사랑하고 감사하는 아이"라고 서명했다. 1901년 빅토리아 여왕이 사망했을 때, 알릭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공개적으로 울어 냉담하다고 여겨졌던 러시아 궁정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다.[11] 어린 시절 숙부인 레오폴드 공과도 친했으며, 그에게 받은 팔찌를 평생 간직했다.[177]
1885년, 13세의 알릭스는 숙모 비아트리스 공주와 바텐베르크의 헨리 공자의 결혼식에서 언니 이레네 공주와 함께 신부 들러리를 섰다.[12][177] 15세 때인 1887년에는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1892년 3월, 알릭스가 19세였을 때 아버지 헤센 대공 루드비히 4세가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3] 알릭스는 아버지의 죽음을 인생에서 가장 큰 슬픔으로 여겼으며, 오랫동안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조차 힘들어했다고 전해진다.[14]
빅토리아 여왕은 알릭스가 영국의 왕비가 되기를 바라며, 1888년경부터 사촌인 앨버트 빅터 공작("에디") 또는 조지 공작과의 결혼을 추진했다.[16] 1889년 에디 공작이 알릭스에게 청혼했지만, 알릭스는 그에게 관심이 없어 거절했다.[15] 빅토리아 여왕은 실망했지만 알릭스의 강한 성격을 인정했다.[15] 1891년에는 바덴의 막시밀리안 공자와의 결혼을 주선하려 했으나, 알릭스는 이 역시 거절했다.[19][177]
1884년, 알릭스는 언니 엘리자베트("엘라")가 러시아의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과 결혼하는 예식에 참석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했다. 이때 12세였던 알릭스는 신랑의 조카이자 16세의 러시아 제국 황태자인 니콜라이를 처음 만났다.[20] 니콜라이는 일기에 알릭스를 "사랑스러운 아가씨 알릭스"라고 칭하며 "우리는 서로 사랑한다"고 적었다. 두 사람은 육촌 관계이기도 했다. (니콜라이의 할머니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황후는 알릭스의 할아버지 카를 대공자의 누이였다.) 1890년 러시아를 다시 방문했을 때 니콜라이와의 감정은 더욱 깊어졌다.[21]
알릭스는 당대에 아름다움으로 유명했다. 키가 크고 날씬했으며, 풍성한 붉은 금발과 크고 깊은 회색-파란 눈을 가졌다.[140][141][142] 그러나 매우 수줍음이 많아 사교 모임에 나서는 것을 어려워했고, 이 때문에 종종 오만하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145][146][147] 진지하고 다소 우울한 면이 있었으며,[151][152] 독실한 신앙심을 지녔다. 친구들에게는 매우 헌신적이었고,[154] 문학과 음악을 즐겼으며 특히 피아노 연주에 재능이 있었다.[177][178] 영국에서 성장한 영향으로 검소한 면모도 지녔다.[180] 또한, 외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혈우병 유전자를 물려받은 보인자였다. 이는 훗날 아들 알렉세이에게 유전되어 러시아 제국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경쇠약 계통의 정신 질환을 앓았다는 기록도 있으며, 이는 연약한 아들에 대한 걱정과 잦은 임신으로 인한 기력 소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83]
2. 2. 러시아 황태자와의 만남과 결혼
188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언니 엘리자베트와 세르게이 대공(알렉산드르 3세의 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했을 때, 당시 러시아 제국의 황태자였던 니콜라이를 처음 만났다. 니콜라이 2세의 할머니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황후는 알렉산드라의 할아버지 카를 대공자의 누이였기에, 두 사람은 육촌 관계였다.[177] 알릭스는 이때 니콜라이로부터 브로치를 선물 받았다. 두 사람은 1890년 1월까지 다시 만나지 못했다.[177]
두 사람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결혼이 논의되었지만, 여러 장애물이 있었다. 알릭스의 외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은 니콜라이 개인은 좋게 평가했지만 러시아와 알렉산드르 3세를 싫어하여 결혼을 반대했다. 마찬가지로 니콜라이의 부모인 알렉산드르 3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 역시 독일 출신인 알릭스를 탐탁지 않아 했고, 알릭스 가문의 혈우병 유전력을 우려했다. 또한, 당시 러시아 황후는 반드시 러시아 정교회 신자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는데, 알릭스는 어머니처럼 루터교 신앙을 독실하게 믿었기에 처음에는 개종을 거부하며 니콜라이의 청혼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77]
고민하는 알릭스에게 언니 엘리자베트(이미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고 세르게이 대공과 결혼함)는 기존 신앙을 완전히 버릴 필요는 없다고 설득했다. 결국 알릭스가 개종에 동의하자, 니콜라이는 1894년 4월 코부르크에서 열린 알릭스의 오빠 에른스트 루트비히와 빅토리아 멜리타의 결혼식에서 알릭스에게 공식적으로 청혼했고, 두 사람은 약혼했다.[177][181]
원래 결혼식은 1895년 봄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알렉산드르 3세의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자 그가 세상을 뜨기 전에 결혼식을 치르기 위해 일정을 앞당겼다. 그러나 알렉산드르 3세는 결혼식이 열리기 전인 1894년 11월 1일에 결국 사망했다.[181] 니콜라이는 니콜라이 2세로 황제에 즉위했다.
알렉산드르 3세가 사망한 다음 날인 11월 2일, 알릭스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고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라는 이름을 받았다. 이때 루터교 신앙을 공식적으로 포기할 필요는 없었다.[41] 알릭스는 '예카테리나'라는 이름을 원했지만, 니콜라이는 증조부 니콜라이 1세와 증조모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처럼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가 되기를 원하여 '알렉산드라'라는 이름을 선택했다.[42][177]
황제의 장례식과 국상 기간 중 결혼식을 치르는 부담을 덜기 위해, 결혼식은 니콜라이 2세의 어머니이자 황태후가 된 마리아 표도로브나의 생일인 1894년11월 26일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 궁전의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43][182] 빅토리아 여왕은 건강상의 이유로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했고, 알릭스는 이를 매우 안타까워했다.[177] 많은 러시아인들은 알렉산드라가 알렉산드르 3세의 죽음 직후 러시아에 도착했기 때문에 그녀를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 "그녀는 관 뒤에서 우리에게 왔습니다. 그녀는 불행을 가져옵니다."[44]라는 말이 돌 정도였다. 알렉산드라 자신도 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 결혼은 죽은 차르를 위한 장례식의 단순한 연장으로 보였습니다. 차이점은 검은 드레스 대신 흰 드레스를 입었다는 것입니다."[45]라고 쓸 정도로 결혼식 분위기는 무거웠다.
2. 3. 황후 시절
1894년 11월 1일, 알렉산드르 3세가 49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니콜라이 2세가 황제로 즉위했다. 다음 날 알릭스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고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라는 이름을 받았다.[40][41] 니콜라이는 증조부모인 니콜라이 1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처럼 자신들도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 이름을 제안했다.[42]
알렉산드르는 웨일스 공 부부, 니콜라이의 그리스 친척들과 함께 알렉산드르 3세의 관을 따라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거쳤다. 알렉산드르 3세의 장례식은 11월 19일에 거행되었다. 1894년 11월 26일, 니콜라이 2세의 어머니이자 태후가 된 마리아 표도로브나의 생일에 맞춰 알렉산드라와 니콜라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 궁전 대성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43] 많은 러시아인들은 알렉산드라가 황제의 장례식 직후 도착했기 때문에 "관 뒤에서 온 황후"라며 그녀를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44] 알렉산드라 자신도 언니에게 "우리 결혼은 죽은 차르를 위한 장례식의 단순한 연장으로 보였습니다."라고 썼다.[45]
1896년 5월 26일, 알렉산드라와 니콜라이는 크렘린의 성모 승천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 대관식 축제 중 호딘카 들판에서 발생한 호딘카 참사로 천 명 이상이 압사하는 비극이 일어났다.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는 참사에 충격을 받았으나, 외교적 이유로 프랑스 대사가 주최한 무도회에 참석했다.[46] 다음 날 부부는 부상자들을 방문하고 장례 비용을 지불했지만, 많은 러시아인들은 이 참사를 니콜라이 통치의 불길한 징조로 여겼고, 황실 부부의 행동을 비판했다.[47]
알렉산드라는 수줍고 내성적인 성격 탓에 오만하다는 오해를 받아 러시아 백성들과 궁정에서 인기가 없었다.[48] 공식 언어인 프랑스어 구사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편지 등을 보면 실제로는 유창했던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어는 황후가 되기 전부터 배워 능숙하게 구사했다.[49] 황후로서 사교계를 이끌어야 했지만, 궁정의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교 활동을 꺼렸다. 이로 인해 상트페테르부르크 사교계로부터 비판을 받았다.[50][51] 시어머니인 태후 마리아 표도로브나와의 관계도 원만하지 않았는데, 러시아 궁정의 의전상 태후가 황후보다 우선 순위를 가졌기 때문이다.[76] 또한 왕권신수설을 강하게 믿어 백성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노력을 불필요하다고 여겼고[53], 황실 가족들과도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손녀에게 백성들의 사랑을 얻으라고 충고했지만, 알렉산드라는 러시아의 특수성을 내세우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56][57]
1895년 11월 15일, 알렉산드라는 첫 아이인 딸 올가를 낳았다. 당시 왕족으로서는 드물게 아이들에게 직접 모유를 먹였다고 한다. 아들이 아니라는 사실에 실망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는 기뻐했다. 몇 달 후 다시 임신했으나 대관식의 스트레스로 유산했다.[58] 1897년 6월 10일 둘째 딸 타티야나, 1899년 6월 26일 셋째 딸 마리야, 1901년 6월 18일 넷째 딸 아나스타시야를 연이어 낳았다. 계속해서 딸만 낳자 황태자를 원했던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알렉산드라의 인기는 더욱 떨어졌고[60], 불운의 징조로 여겨졌다.[63][66]
아들을 간절히 원했던 알렉산드라와 니콜라이는 신비주의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프랑스인 신비주의자 필리페 니지에-바쇼의 예언은 빗나갔고, 알렉산드라는 1902년 포도상기태를 겪었다.[68][69] 이후 필리페의 조언에 따라 1903년 사로프의 세라핌 성인의 시성을 지지하고, 사로프 샘에서 목욕하며 아들을 기원했다.[70]
1904년 8월 12일, 마침내 고대하던 아들 알렉세이가 태어났다.[71] 그러나 알렉세이는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유전된 혈우병을 앓고 있었다.[84][85] 이는 당시 의학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치명적인 병이었다. 알렉산드라는 아들에게 병을 물려주었다는 극심한 죄책감에 시달렸고[86], 황실 가족들은 그녀를 비난했다.[87][88] 황실은 후계자의 병을 국민들에게 비밀로 부쳤다.[89] 잦은 임신과 출산, 아들의 병에 대한 끊임없는 걱정으로 알렉산드라의 건강은 크게 악화되어 신경 쇠약 증세를 보였고, 많은 시간을 병석에서 보냈다.[83]
알렉세이의 병을 고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으나 효과가 없자, 알렉산드라는 시베리아 출신의 농민 수도사 그리고리 라스푸틴에게 의지하게 되었다. 라스푸틴은 기도를 통해 알렉세이의 출혈을 멈추는 것처럼 보였고, 알렉산드라는 점차 그가 아들의 생명을 구할 유일한 희망이라고 광신적으로 믿게 되었다.[90] 첫째 딸 올가는 라스푸틴을 의심하여 어머니에게 간언했지만 소용없었다. 라스푸틴은 알렉산드라의 맹신을 이용하여 황실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그의 방탕한 생활과 정치 개입에 대한 비판과 경고에도 불구하고[91],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을 굳건히 신뢰했다. 1912년 폴란드 스파와에서 알렉세이가 생명이 위독했을 때 라스푸틴의 기도로 회복된 것처럼 보이자[94], 알렉산드라의 의존은 더욱 심화되었다. 일부에서는 황후와 라스푸틴의 부적절한 관계, 심지어 황녀들과의 관계에 대한 소문까지 돌았으나 진상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라스푸틴이 황후를 통해 제정 말기 러시아 황실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사실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니콜라이 2세가 라스푸틴의 예언에 따라 전선으로 떠나자,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의 조언에 따라 내정에 깊이 관여했다. 그녀는 라스푸틴에게 반대하는 각료들을 무분별하게 해임하는 등 국정에 혼란을 가중시켰고, 독일 출신 황후에 대한 백성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결국 라스푸틴은 황족을 포함한 귀족들에 의해 1916년 12월 암살되었다. 라스푸틴의 죽음은 알렉산드라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그녀의 신경쇠약과 우울증은 더욱 심해졌다. 불과 3개월 후인 1917년 3월,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면서 알렉산드라도 황후 자리에서 물러났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라스푸틴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러시아와 알렉산드라에게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전쟁은 로마노프 왕조의 러시아 제국과 호엔촐레른 왕가의 독일 제국을 적으로 만들었다.[95] 알렉산드라는 러시아의 동원령 소식을 듣고 남편 니콜라이 2세의 서재로 달려가 "전쟁이라니! 난 아무것도 몰랐어! 모든 것의 종말이야."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96]
알렉산드라가 독일의 헤센 대공국 출신이라는 점은 러시아 사회 일부에서 그녀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그녀의 오빠 에른스트 루이는 헤센 대공국의 통치자로서 독일군과 함께 싸웠고,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알렉산드라의 사촌이었다.[177] 이로 인해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전쟁 발발 후 페트로그라드로 개칭)에서는 알렉산드라가 오빠를 숨겨주거나[99], 빌헬름 2세에게 군사 정보를 흘리고 있다는 악의적인 소문이 돌았다.[177][98] 심지어 그녀가 라스푸틴과 함께 독일과 비밀리에 평화 협상을 한다는 소문까지 퍼졌다.[100] 그러나 알렉산드라는 실제로는 열렬한 러시아 애국자였으며, 사적으로 빌헬름 2세를 "광대"라고 평가하며 좋지 않게 생각했다.[97]
전쟁이 시작되자 알렉산드라는 장녀 올가와 차녀 타티야나와 함께 간호사 교육을 받고 부상병들을 돌보는 데 헌신했다.[177] 그녀의 이러한 노력은 잠시나마 대중의 호감을 얻기도 했으나,[177] 1914년 12월 익숙하지 않은 자동차 운전 등으로 인해 심장병이 발병했고, 이후 좌골 신경통과 안면 신경통 등으로 건강이 악화되었다.[187] 건강 악화로 1915년부터 1916년 겨울까지는 페트로그라드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차르스코예 셀로의 병원 근무도 중단해야 했다. 두 딸이 가능한 한 어머니를 대신하여 활동했다.[189]
1915년, 라스푸틴의 예언에 따라[186] 니콜라이 2세가 군대를 직접 지휘하기 위해 최전선으로 떠나면서 알렉산드라가 수도에 남아 섭정 역할을 맡게 되었다.[101] 그러나 그녀는 라스푸틴의 조언에 크게 의존하며 국정을 운영했고, 이는 심각한 혼란을 야기했다. 불과 16개월 동안 총리 4명, 내무부 장관 5명, 육군 장관 3명을 교체하는 등[102][186] 잦은 인사 교체는 정부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특히 라스푸틴에게 비판적인 인물들은 요직에서 배제되었다.[103] 알렉산드라는 니콜라이 2세에게 편지를 보내 라스푸틴을 "하나님이 보내신 사람"이라 칭하며 그의 조언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고,[104][105] 전제군주제를 강력히 옹호하며 두마를 비판하고 황제의 절대 권력을 강조했다.[106][107]
알렉산드라의 국정 개입과 라스푸틴의 영향력 증대에 대해 황실 내부에서도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08] 알렉산드라의 언니 엘리자베타 대공비와 사촌 빅토리아 멜리타 대공비 등이 알렉산드라에게 라스푸틴을 멀리할 것을 설득했으나 실패했다.[186] 심지어 마리아 파블로브나 대공비가 쿠데타를 계획하고 있다는 소문이나,[109] 황태후 마리야 표도로브나가 아들을 폐위시키려는 계획에 연루되었다는 주장까지 나올 정도로 황실 내 갈등은 극에 달했다.[108]
1916년 12월 30일(구력 12월 17일), 황족인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과 펠릭스 유수포프 공작 등이 라스푸틴을 암살했다.[190] 라스푸틴의 죽음은 알렉산드라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그녀는 지병이던 신경쇠약이 재발하여 우울증 증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2. 5. 러시아 혁명과 최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은 러시아 제국과 알렉산드라에게 큰 전환점이 되었다. 전쟁은 러시아 제국과 독일 제국을 적으로 만들었고[95], 독일 출신인 알렉산드라는 러시아 내에서 점차 인기를 잃어갔다. 그녀의 오빠 에른스트 루이가 독일군으로 참전했고,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사촌이라는 점 때문에 독일과 내통한다는 혐의로 비난받기도 했다.[98] [99] [100] 알렉산드라는 스스로를 러시아 애국자로 여겼지만[97], 이러한 의심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1915년 니콜라이 2세가 군 최고사령관으로서 전선으로 떠나자, 알렉산드라가 수도 페트로그라드에서 사실상의 섭정 역할을 맡게 되었다.[101] 그러나 그녀는 그리고리 라스푸틴의 조언에 크게 의존하며 국정을 운영했고, 이는 잦은 각료 교체와 정책 혼란으로 이어졌다.[102] [103] [104] [105] 알렉산드라는 전제 군주제를 강력히 신봉하며 니콜라이 2세에게 절대 권력을 포기하지 말 것을 종용했고[106], 두마와 같은 대의 기관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107] 이러한 그녀의 정치적 행보는 황실 내부와 대중 모두에게 큰 우려를 낳았고, 제정 러시아의 몰락을 재촉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108] 1916년 12월, 라스푸틴이 황족과 귀족들에 의해 암살되자 알렉산드라는 큰 충격을 받고 신경쇠약 증세를 보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제정 러시아의 취약한 정부와 경제에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을 안겼다. 식량 부족과 기아, 전쟁에서의 계속된 패배는 민중의 불만을 극으로 치닫게 했다.[110] 1917년 3월 8일(구력 2월 23일), 수도 페트로그라드에서 식량 배급을 요구하는 시위가 2월 혁명으로 번졌다.[192] [193] 시위 진압 명령을 받은 군인들마저 시위대에 합류했고[112], 3월 15일(구력 3월 2일) 니콜라이 2세는 결국 프스코프에서 자신과 아들 알렉세이를 대신해 퇴위 문서에 서명했다.[113] 이로써 알렉산드라는 황후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혁명 후 수립된 러시아 임시 정부는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그리고 자녀들을 차르스코예 셀로의 알렉산드로프 궁전에 가택 연금시켰다.[114] [115] [116] 알렉산드라는 임시 정부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에게 국정 개입과 라스푸틴과의 관계에 대해 심문받기도 했다.[118] 임시 정부는 황제 일가를 국외로 망명시키려 했으나, 영국의 조지 5세는 국내 여론과 정치적 부담을 이유로 망명을 거부했고[119], 프랑스 망명도 사실상 불가능했다.[116] [194]
안전 문제와 정치적 이유로 임시 정부는 1917년 8월, 황제 일가를 시베리아의 토볼스크로 이송했다.[116] [193] 토볼스크의 옛 지사 공관에서 비교적 평온한 생활을 보냈으나, 외부 출입은 엄격히 통제되었다.[196] 알렉산드라는 건강이 좋지 않아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냈으며, 신경통과 치통으로 고통받았다.[193] 그녀는 자녀들의 교육을 계속했고, 종교와 독일어를 가르쳤다.[193]
1917년 11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황제 일가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16] 1918년 4월, 볼셰비키 정부는 일가를 우랄 지역의 예카테린부르크로 이송하여 이파티예프 하우스에 감금했다.[193] [197] 이곳에서의 생활은 이전보다 훨씬 열악하고 불안정했다. 경비는 삼엄했고, 일가는 외부 세계와 거의 단절된 채 지냈다.[121] [122] [123] 알렉산드라는 이곳 창틀에 만자 문양을 새기고 1918년 4월 17/30일이라는 날짜를 기록하기도 했다.[121]
블라디미르 레닌을 비롯한 볼셰비키 지도부는 백군이 황제 일가를 구출하여 반혁명의 구심점으로 삼을 것을 우려했다.[126] 1918년 7월 초, 야코프 유로프스키가 이파티예프 하우스의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처형 준비가 진행되었다.[127]
1918년 7월 17일 새벽, 유로프스키가 이끄는 체카 요원들은 니콜라이, 알렉산드라, 다섯 자녀(올가, 타티야나, 마리야, 아나스타시야, 알렉세이), 그리고 그들을 끝까지 따른 4명의 하인(예브게니 보트킨, 안나 데미도바, 알렉세이 트루프, 이반 하리토노프)을 지하실로 불렀다.[130] 유로프스키는 "당신의 친척들이 당신을 구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이제 당신들을 총살해야 한다"고 선언했다.[131] 니콜라이 2세가 먼저 총에 맞았고, 알렉산드라는 십자 성호를 그으려던 순간 표트르 예르마코프의 총탄에 맞아 즉사했다.[132] 나머지 가족과 하인들도 차례로 살해되었다.
처형 후, 볼셰비키는 시신들의 신원을 숨기기 위해 옷을 벗기고 가니나 야마의 폐광에 유기했다가 다시 꺼내 황산으로 훼손하고 불태운 뒤, 코프탸키 숲의 도로 밑에 매장했다.[133]
소련 붕괴 후인 1991년, 예카테린부르크 근교에서 황제 부부를 포함한 9구의 유해가 발굴되었다. DNA 검사를 통해 이들의 신원이 확인되었는데, 알렉산드라와 자녀들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그녀의 언니 빅토리아의 외손자인 에든버러 공 필립의 DNA와 비교하여 일치함이 증명되었다.[136] [137] [138] [199] 2007년에는 나머지 두 자녀(마리야와 알렉세이로 추정)의 유해도 발견되어[134] [135], 온 가족의 유해가 확인되었다.
1998년 7월 17일, 처형 80주년을 맞아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라, 그리고 세 딸(올가, 타티아나, 아나스타시야)의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트로파블롭스크 대성당 내 성 카타리나 예배당에 안치되었다.
3. 지병
알렉산드라의 건강 상태는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잦은 임신(6년 동안 네 딸, 3년 후 아들 출산)은 그녀의 기력을 크게 소진시켰다.[83] 그녀는 만성적인 피로감, 수면 부족, 발 부종 등을 호소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나 긴 의자에 기대어 보냈다.[83] 이러한 상태는 혈우병을 앓는 아들에 대한 극심한 걱정과 불안감에서 비롯된 신경 쇠약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83] 그녀는 맥박을 조절하기 위해 ''아도니스 베르날리스''라는 약초를 정기적으로 복용하기도 했다.[83]
아들의 병을 고치기 위해 러시아 의사들에게 의존했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자,[89] 알렉산드라는 점차 신앙과 신비주의적인 방법에 기대기 시작했다. 특히 시베리아 출신의 농민 그리고리 라스푸틴이 기도를 통해 알렉세이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처럼 보이자, 그에게 깊이 의존하게 되었다.[90] 1912년 폴란드 스파와에서 알렉세이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출혈을 겪었을 때, 의사들조차 회복을 비관적으로 보았으나 라스푸틴에게 전보를 보낸 후 알렉세이의 상태가 호전되자 알렉산드라의 라스푸틴에 대한 믿음은 더욱 확고해졌다.[94]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이 아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믿었으며,[90] 그의 방탕한 생활이나 제국의 위신을 떨어뜨린다는 주변의 비판과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를 맹신했다.[91] 심지어 경찰 국장이 라스푸틴의 추문에 대해 보고했을 때도 이를 악의적인 소문으로 치부했다.[91] 장녀 올가는 라스푸틴의 위험성을 간파하고 멀리할 것을 조언했지만 알렉산드라는 이를 무시했다. 라스푸틴에 대한 이러한 과도한 의존은 황실의 권위를 실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자녀
사진 이름 생일 사망 기타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895년 11월 15일 1918년 7월 17일 22살의 나이로 총살당함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897년 6월 10일 1918년 7월 17일 21살의 나이로 총살당함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899년 6월 26일 1918년 7월 17일 19살의 나이로 총살당함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901년 6월 18일 1918년 7월 17일 17살의 나이로 총살당함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1904년 8월 12일 1918년 7월 17일 13살의 나이로 총살당함
1895년 11월 15일, 알렉산드라는 알렉산드로프 궁전에서 첫 아이이자 딸인 올가를 낳았다. 많은 러시아인들과 황실 구성원들은 남자 후계자가 아닌 것에 실망했지만,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는 딸의 탄생을 매우 기뻐하며 아꼈다.[58] 올가의 출생으로 니콜라이의 추정 상속자였던 동생 게오르기 대공의 지위는 변하지 않았다. 당시 러시아의 파울 법은 남성 로마노프가 살아있는 한 여성이 왕위를 계승할 수 없도록 규정했기 때문이다. 알렉산드라가 아들을 낳지 못하면 니콜라이의 동생들이 왕위를 계승하게 될 터였으나, 당시 23세였던 알렉산드라가 곧 아들을 낳을 것이라 예상했기에 크게 우려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다.
올가를 낳은 지 몇 달 후 알렉산드라는 다시 임신했으나, 대관식 준비 과정에서의 스트레스로 인해 유산했다.[58] 임신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기에 유산 소식도 알려지지 않았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알렉산드라가 정부와 관계를 맺고 낙태했다는 악의적인 소문이 돌기도 했다.[59]
1897년 6월 10일, 둘째 딸 타티아나가 태어났다. 니콜라이는 기뻐했지만, 황실 가족들은 또다시 딸이 태어난 것에 대해 걱정했다. 마취에서 깨어난 알렉산드라는 주변 사람들의 걱정스러운 표정을 보고 히스테리를 부리며 "맙소사, 또 딸이야. 국민들이 뭐라고 하겠어, 국민들이 뭐라고 하겠어?"[60]라고 울부짖었다고 전해진다. 연이은 딸 출산으로 아들을 원하는 러시아 사회 내에서 알렉산드라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니콜라이의 동생 게오르기 대공 역시 조카의 탄생으로 자신의 상속자 지위가 유지되는 것에 실망감을 표하기도 했다.[61]
1899년 6월 26일, 세 번째 딸 마리아가 태어났다. 알렉산드라의 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은 축하하면서도 "사랑하는 알리키가 이렇게 잘 회복되어서 매우 감사하며, 나라를 위해 세 번째 딸을 낳은 것은 유감입니다."[62]라는 전보를 보냈다.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은 초조해하며 "그래서 상속자는 없다. 러시아 전체가 이 소식에 실망할 것이다."[63]라고 기록했다. 러시아인들은 세 딸의 출산을 알렉산드라가 불운하다는 증거로 여기기 시작했다. 마리아가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니콜라이의 동생 게오르기 대공이 사망하자, 막내 동생 미하일 대공이 새로운 왕위 추정 상속자가 되었다. 궁정 사람들이 미하일에게 몰려드는 모습은 알렉산드라를 괴롭게 했다. 1900년 10월, 니콜라이가 장티푸스로 위독해지자 내각에서는 그의 사후 문제를 논의해야 했다. 당시 넷째를 임신 중이던 알렉산드라는 아들을 낳을 경우 자신이 섭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대신들은 니콜라이 사후에는 미하일이 즉위하고, 알렉산드라가 아들을 낳으면 미하일이 조카에게 왕위를 양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일로 알렉산드라는 대신들이 미래에 태어날 아들의 상속권을 "훔치려" 한다고 불신하게 되었다.
1901년 6월 18일, 네 번째 딸 아나스타시아가 태어났다. 니콜라이의 누이 크세니아 대공녀는 "맙소사! 얼마나 실망스러운가!… 네 번째 딸이라니!"[64]라고 외쳤다. 프랑스 외교관 모리스 팔레올로그는 "독일인[알렉산드라]은 악한 눈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사악한 영향력 때문에 우리 황제는 재앙에 직면할 운명이다."[65]라고 보고했다. 러시아 농민들 사이에서는 "황후는 하늘에서 사랑받지 못했고, 만약 그랬다면 아들을 낳았을 것이다"라는 생각이 퍼졌다.[66]
아들을 간절히 원했던 알렉산드라와 니콜라이는 점차 종교와 신비주의에 의지하게 되었다. 아나스타샤 출생 직후, 밀리차 니콜라예브나 공주는 필리페 니지어-바쇼라는 프랑스인 신비주의자를 소개했다. 그는 자궁 내 아기의 성별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는 면허 없는 돌팔이 의사였다.[67] 니콜라이는 필리페를 위해 러시아 제국 군의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위조해주고 그를 국무원 의원이자 군의관으로 임명했다. 황태후 마리아, 누이 크세니아, 매형 엘라 등 가족들이 경고하며 필리페를 멀리하라고 충고했지만, 황제 부부는 그들의 조언을 따르지 않았다.
1901년 말, 알렉산드라는 다시 임신한 것으로 보였고, 필리페는 그녀가 아들을 임신했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1902년 여름까지 황후가 임신하지 않았음이 분명해졌다. 러시아의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은 "8월 8일부터 우리는 매일 황후의 임신 확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제 그녀가 임신하지 않았다는 것을 갑자기 알게 되었고, 사실 임신한 적도 없었고, 그렇게 생각하게 했던 증상은 사실 빈혈에 불과했다!"[68]라고 썼다. 실제로는 알렉산드라가 포상기태(포도상 임신)를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1902년 8월 19일, 그녀는 "호두 크기의 둥글고 육질의 덩어리"를 배출했는데,[68] 드미트리 오트 박사는 그것이 임신 4주차에 사망한 수정란임을 확인했다. 체면을 살리기 위해 궁정 의사들은 8월 21일 알렉산드라가 "합병증 없이 간단한 유산"을 했다고 발표했다.[69] 굴욕감을 느낀 알렉산드라는 필리페를 프랑스로 돌려보냈다.
1903년, 알렉산드라와 니콜라이는 사로프의 세라핌의 시성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필리페가 러시아를 떠나기 전에 세라핌 성인이 알렉산드라에게 아들을 줄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세라핌은 탐보프 지역의 수도승이었으며, 지역에서 기적을 행했고 70년 전에 사망했다. 모스크바 대주교는 마지못해 성인을 시성하기로 동의했다. 8월 19일, 알렉산드라와 니콜라이는 세라핌이 한때 목욕했던 사로프 샘에서 목욕했고, 성수가 아들을 축복해 주기를 기도했다.[70]
1904년, 알렉산드라는 다시 임신했다. 아들에 대한 기대가 컸다. 출산 예정일이 다가오면서 한 신문은 "며칠 안에 차르 부인이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여성이 될지, 아니면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특별한 신의 분노를 받은 버림받은 사람으로 여겨질지가 결정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71] 마침내 1904년 8월 12일, 알렉산드라는 페테르호프에서 아들 알렉세이를 낳았다. 알렉세이의 출생은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에게 필리페와 세라핌에 대한 믿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니콜라이의 누이 올가는 일기에 "세라핌이 그렇게 한 것이라고 확신한다"라고 썼다. 니콜라이는 밀리차에게 "우리 감사와 기쁨을 필리페에게 전해주세요"라고 썼다.[72]
알렉산드라는 자녀들과 각기 다른 관계를 맺었다. 첫째 딸 올가와는 다소 거리를 두는 편이었으며,[73] 올가에게 동생들을 돌보는 역할을 자주 맡겼다. 편지에는 "무엇보다도 항상 어린 동생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도록 하세요"[74], "타티아나와 마리아에게 그들이 하느님께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하도록 하세요"[75] 등의 당부가 자주 등장한다. 올가는 활달한 동생들을 통솔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어머니가 자신에게 충분한 시간을 내주지 않는다고 불평하며 아버지 니콜라이 2세를 더 따랐다.
알렉산드라는 둘째 딸 타티아나와 가장 가까운 사이였다.[76] 타티아나는 외모와 성격 면에서 알렉산드라를 가장 많이 닮았다. 그녀는 아버지 쪽 고모 크세니아에 의해 "[타티아나]와 그녀의 어머니는 마치 완두콩 두 개와 같아요!.... 정말 예뻐요."[77]라고 묘사되었다. 그녀는 신중하고 내성적이었으며, 알렉산드라에게 무조건적인 헌신을 보였다. 가족의 마지막 몇 달 동안, 그녀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어머니를 집 안에서 밀어주며 도왔다.
셋째 딸 마리아는 가족 내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불안감을 느꼈고, 알렉산드라는 마리아가 동생들만큼 사랑받고 있다고 자주 안심시켰다. "사랑스러운 아이야, 아무도 너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다시는 생각하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해. 어떻게 그런 특별한 생각이 네 작은 머리에 들어왔니? 빨리 잊어버려." 마리아는 알렉산드라가 자신보다 아나스타샤를 더 편애한다고 걱정했고, 알렉산드라는 그녀에게 "나는 아나스타샤와 비밀이 없어."라고 안심시켰다.[78]
넷째 딸 아나스타샤는 외모는 알렉산드라를 닮았지만, 활발하고 장난기 넘치는 성격은 어머니와 매우 달랐다. 그녀는 '슈비브지크', 즉 러시아어로 "개구쟁이" 또는 "작은 악마"라는 별명을 얻었다.[79] 가족의 마지막 몇 달 동안, 아나스타샤는 우울해하는 알렉산드라를 웃게 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다.
알렉산드라는 아들 알렉세이를 끔찍이 아꼈는데, 그는 그녀의 유일한 아들이자 러시아 제국의 상속자였다. 아이들의 가정교사 피에르 질리아르는 "알렉세이는 화목한 가족의 중심이었고, 모든 희망과 애정의 초점이었다. 그의 누이들은 그를 숭배했다. 그는 부모님의 자부심이자 기쁨이었다. 그가 건강했을 때, 궁궐은 변모했다. 그 안의 모든 사람과 모든 것이 햇볕에 젖은 듯했다."[80]라고 썼다. 알렉산드라는 그가 앓고 있는 혈우병으로부터 그를 보호하려는 데 집착했다. 질리아르에 따르면, 그녀는 "아이의 생명을 항상 두려워하는 어머니의 격렬한 움직임으로 작은 소년을 껴안았다."[81] 그녀는 알렉세이가 발작으로 고통받는 동안 며칠 동안 그의 곁에 앉아 있었다. 그녀는 그가 짜증을 내며 스스로를 다칠까 봐 두려워했고, 그래서 그를 응석받이로 키우고 절대 벌하지 않았다.
아들을 낳지 못할까 봐 두려워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라는 딸들을 사랑했고, 그들을 자신의 "네 잎 클로버"라고 불렀다. 그녀는 "우리 딸들은 우리의 기쁨이고 행복이다"라고 썼고, "하느님의 사도들"이라고 불렀다.[82]
5. 라스푸틴과의 관계
알렉산드라는 외조모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물려받은 혈우병 보인자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신경 쇠약 증세도 겪고 있었다.[3][4] 이로 인해 그녀의 유일한 아들이자 황위 계승자인 알렉세이는 태어날 때부터 혈우병을 앓게 되었다. 알렉산드라는 아들에게 병을 유전시켰다는 깊은 죄책감에 시달렸고,[86] 황실 내부에서도 "자신의 혈통의 질병으로 로마노프 왕가를 오염시켰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88] 황실은 후계자의 건강 상태가 외부에 알려질 경우 발생할 정치적 불안정을 우려하여 알렉세이의 병을 비밀에 부쳤다.[89]
당시 혈우병은 치료가 불가능한 병이었고, 러시아 의사들의 노력에도 알렉세이의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다. 아들의 고통과 자신의 극심한 신경 쇠약으로 인해 알렉산드라는 더욱 종교에 의지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시베리아 출신의 농부 그리고리 라스푸틴을 만나게 되었다. 라스푸틴은 기도를 통해 알렉세이의 출혈을 멈추게 하는 등 병세를 완화시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1912년, 황실 가족이 폴란드의 스파와에 머물 당시 알렉세이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출혈을 일으켰을 때 라스푸틴의 영향력은 결정적으로 커졌다. 의사들조차 희망이 없다고 판단한 상황에서, 절망에 빠진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에게 도움을 청하는 전보를 보냈다. 라스푸틴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눈물과 기도를 보셨으니 슬퍼하지 마시오. 작은 아이는 죽지 않을 것이오. 의사들이 그를 너무 괴롭히지 못하게 하시오."라고 답신했고,[94] 놀랍게도 알렉세이는 이후 점차 회복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이 아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라고 굳게 믿게 되었고, 그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기 시작했다.[186]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을 거의 "신격화"할 정도로[186] 맹신했으며, 이는 라스푸틴이 황후를 통해 제정 말기 러시아 정치에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결과를 낳았다. 알렉산드라의 큰딸 올가는 일찍이 라스푸틴의 본색을 간파하고 그를 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지만, 알렉산드라는 이를 무시했다. 그녀는 라스푸틴의 문란한 사생활과 그로 인해 황실의 권위가 실추된다는 주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성인들은 항상 비방을 받는다"며[91] 그를 옹호했다. 일각에서는 알렉산드라가 라스푸틴의 실체를 알면서도 자신의 신경 쇠약을 달래고 심리적 안정을 얻기 위한 도구로써 그에게 의지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니콜라이 2세 역시 라스푸틴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아들의 병세가 라스푸틴의 개입 이후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자 그를 내치지 못했다.[92] 라스푸틴과의 관계는 알렉산드라 개인의 평판을 심각하게 훼손했을 뿐만 아니라, 황실 전체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증폭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결국 라스푸틴은 황족과 귀족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면서 1916년 12월, 펠릭스 유수포프 공작과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등에 의해 암살당했다. 라스푸틴을 둘러싼 논란과 그의 비극적인 최후는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을 재촉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6. 평가
황후로서 궁정 사교계를 이끌어야 하는 전통적인 역할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고, 파티에서 벌어지는 퇴폐와 가십에 충격을 받아 사교 활동을 극도로 꺼렸다.[50] 이 때문에 상트페테르부르크 사교계에서는 그녀를 고상한 척하는 인물로 여기기도 했다.[51] 또한, 왕권신수설을 강하게 믿었으며, 백성의 지지를 얻으려는 노력을 불필요하다고 여겨[53] 대중에게 다가가지 않았다.[56][57] 시어머니인 황태후 마리야 표도로브나와도 어려운 관계를 맺었는데, 러시아 궁정의 의전상 황태후가 황후보다 우선시되는 것에 불만을 품었으며, 왕관 보석 문제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76] 이러한 비사교적인 태도와 황실 내 갈등은 그녀에 대한 부정적인 평판을 더욱 굳혔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녀의 독일 출신 배경은 러시아 내에서 그녀의 인기를 더욱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95] 그녀의 오빠 에른스트 루이가 독일군으로 참전했고,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사촌이라는 점 때문에 그녀는 독일과의 협력 혐의로 비난받았으며, 심지어 반역자라는 소문까지 돌았다.[98][99][100] 알렉산드라는 스스로 열렬한 러시아 애국자였고 빌헬름 2세를 싫어했지만, 이러한 소문은 그녀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강화했다.
황태자 알렉세이의 혈우병은 알렉산드라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그녀는 신비주의자로 알려진 농부 그리고리 라스푸틴에게 깊이 의존하게 되었다. 그녀는 라스푸틴이 아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믿었고,[90] 그의 방탕한 생활이나 제국에 끼치는 해악에 대해서는 눈을 감았다.[91] 라스푸틴은 알렉산드라를 통해 궁정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고, 이는 정치적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니콜라이 2세가 전쟁터로 떠난 후 알렉산드라가 섭정 역할을 할 때, 그녀가 라스푸틴의 조언에 따라 장관들을 임명하고 해임한다는 인식이 퍼지면서[102][103][104][105] 황실에 대한 불신과 비판은 극에 달했고, 이는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을 재촉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108]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라는 자선 활동에 힘썼으며,[52][187] 간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딸 올가, 타티아나와 함께 부상병을 직접 간호하기도 했다.[187] 또한 가정에서는 자녀들을 매우 아끼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였다.[193]
사후 1981년, 알렉산드라와 그녀의 직계 가족은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에 의해 순교자로 인정받았다. 2000년에는 러시아 정교회가 그녀와 남편, 자녀들을 성인이자 수난자로 시성하였다.
7. 대중문화
'''영화'''제목 연도 국가 알렉산드라 역 배우 비고 The Fall of the Romanoffs영어 1917 미국 낸스 오닐 라스푸틴과 황후 1932 미국 에델 배리모어 소송으로 더 유명해진 허구적 영화. 라스푸틴 Raspoutine프랑스어 1954 프랑스, 이탈리아 이자 미란다 라스푸틴: 미친 수도승 Rasputin the Mad Monk영어 1966 영국 르네 애셔슨 매우 허구적인 영화.[46] 니콜라스와 알렉산드라 1971 영국, 미국 자넷 수즈만 로버트 매시의 동명 책을 원작으로 하며, 다소 낭만적으로 묘사됨. 아고니야 Агонияru 1981 (개봉 1985) 소련 베르타 리네 라스푸틴: 운명의 어두운 종복 1996 미국 (HBO) 그레타 스카치 TV 영화. 스카치는 이 역할로 에미상 수상. 아나스타샤 1997 미국 (회상 장면 등장) 20세기 폭스 제작 애니메이션 뮤지컬 판타지 드라마. 로마노프가: 황실 가족 Романовы. Венценосная семьяru 2000 러시아 린다 벨링햄 니콜라이 2세 퇴위 이후 제국 가족의 마지막 해, 가택 연금, 처형을 다룸. 러시아 방주 2002 러시아 안나 알렉사히나 마틸다: 금지된 사랑 2017 러시아 루이제 볼프람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2021 영국, 미국 브란카 카티치 역사적 사실을 창의적으로 각색한 첩보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및 다큐멘터리'''
'''소설'''
'''음악'''
'''연극'''
'''만화'''
참조
[1]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Random House
2011
[2]
웹사이트
The Russian Diary of an Englishman, Petrograd, 1915–1917
https://archive.org/[...]
London : W. Heinemann
2019-05-29
[3]
문서
Born to Rule
[4]
문서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5]
문서
The Last Empress
[6]
서적
Twilight of Splendor: The Court of Queen Victoria in Her Diamond Jubilee Year
John Wiley & Sons
2007
[7]
서적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1928
[8]
문서
Advice to a Granddaughter
[9]
문서
Alix to QV
1889-06-08
[10]
서적
George, Nicholas, and Wilhelm: Three Royal Cousins and the Road to World War I
[11]
서적
George, Nicholas, and Wilhelm: Three Royal Cousins and the Road to World War I
[12]
웹사이트
National Portrait Gallery – Portrait – NPG x33000; Prince and Princess Henry of Battenberg with their bridesmaids and others on their wedding day
https://www.npg.org.[...]
[13]
서적
The Last Empress: The Life & Times of Alexandra Feodorovna, Tsarina of Russia
1994
[14]
문서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15]
서적
Queen Mary
New York
1960
[16]
문서
QV to V of Hesse
1887-03-02
[17]
문서
QV to V of Battenberg
1889-03-31
[18]
서적
An Unbroken Unity: A Memoir of Grand-Duchess Serge of Russia
London, Bodley Head
1964
[19]
서적
Fateful Years
New York
1928
[20]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Last Imperial Family of Tsarist Russia
New York
1998
[21]
문서
Nicholas and Alexandra
[22]
문서
Advice to a Granddaughter
[23]
문서
An Unbroken Unity
[24]
문서
Empress
[25]
문서
The Romanovs
[26]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27]
문서
Nicholas and Alexandra
[28]
문서
Nicholas and Alexandra
[29]
문서
Lifelong Passion
[30]
문서
Lifelong Passion
[31]
서적
The Court of the Last Tsar: Pomp Power and Pageantry in the Reign of Nicholas II
Wiley & Sons
2006
[32]
서적
The Last Tsar
[33]
서적
The Last Empress
Wiley & Sons
1994
[34]
문서
Empress
[35]
서적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Empress of Russia. A Biography
London and Toronto
1928
[36]
문서
Lifelong Passion
[37]
서적
Empress
[38]
서적
Empress
[39]
문서
2019-01
[40]
문서
[41]
서적
Empress
[42]
서적
Court
[43]
서적
Court
[44]
문서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45]
AV media
Last of the Czars: Nicky and Alix
http://www.smavideo.[...]
Films for the Humanities & Sciences
[46]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47]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48]
서적
The Last Tsar: The Life and Death of Nicholas II
[49]
문서
Alexandra Feodorovna Diaries and Correspondence: Volume 2: Engagement and Marriage 1894
[50]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51]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52]
문서
[53]
서적
The Last Empress
[54]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55]
서적
The Last Empress
[56]
서적
The Last Empress
[57]
서적
The Romanovs
[58]
서적
The Last Tsarina
[59]
서적
The Last Tsarina
[60]
서적
The Last Tsarina
[61]
서적
The Romanovs: Love, Power and Tragedy
Leppi Publications
[62]
서적
The Last Tsarina
[63]
서적
The Romanovs: Love, Power and Tragedy
[64]
서적
The Romanovs: Love, Power and Tragedy
[65]
문서
An Ambassador's Memoirs 1914–1917
Hutchinson
[66]
문서
Royal Romances
[67]
문서
Little Mother of Russia
[68]
서적
The Romanov Sisters: The Lost Lives of the Daughters of Nicholas & Alexandra
[69]
간행물
Pravitelstvennyi vestnik
1902-08-21
[70]
서적
Empress
[71]
뉴스
Brisbane Courier
1904-10-01
[72]
서적
Tsarskie dengi
[73]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74]
간행물
LP
[75]
서적
Tsarskie deti
[76]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alexanderpalace.org
[77]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78]
간행물
LP
[79]
서적
The Last Grand Duchess
[80]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81]
서적
Thirteen Years
[82]
편지
Letter to Boyd Carpenter
1902-12-29
[83]
서적
Road to Ekaterinburg: Nicholas and Alexandra's Daughters 1913–1918
SilverWood Books
2012
[84]
서적
The Romanovs
[85]
서적
Absolute Power
[86]
서적
The Romanovs
[87]
서적
The Romanovs
[88]
서적
The Last Tsarina
[89]
서적
Absolute Power
[90]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91]
서적
Absolute Power
[92]
웹사이트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 Chapter Fourteen – Death of Rasputin
http://www.alexander[...]
[93]
서적
Absolute Power
[94]
서적
Absolute Power
[95]
서적
The Last tsar
[96]
서적
The Last Empress
[97]
서적
Lost Splendor
[98]
서적
The Last Empress
[99]
서적
The Last Tsarina
[100]
서적
The Last Tsarina
[101]
서적
The Last Empress
[102]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03]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04]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05]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06]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107]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08]
서적
The Last Empress
Citadel Press Book
1994
[109]
서적
The Last Empress
Citadel Press Book
1994
[110]
서적
Last of the Tsars
[111]
서적
War and Revolution, 1914–1917." In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http://universitypu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3-19
[112]
서적
Last of the tsars
[113]
서적
Last of the tsars
[114]
서적
The Last Empress
Citadel Press Book
1994
[115]
서적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Empress of Russia
Longmans & Co.
1928
[116]
서적
The Last Empress
Citadel Press Book
1994
[117]
웹사이트
The Real Tsarista, Section 2 Chapter 3
https://www.alexande[...]
[118]
서적
The Last Empress
Citadel Press Book
1994
[119]
서적
Last of the tsars
[120]
서적
Once A Grand Duchess: Xenia, Sister of Nicholas II
[121]
서적
The Last Empress
[122]
서적
The Last Empress
[123]
서적
The Last Empress
[124]
서적
Lenin: A New Biography
Free Press
2006
[125]
뉴스
Russia exonerates Tsar Nicholas II
https://www.telegrap[...]
2008-10-01
[126]
서적
The Last Empress
[127]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28]
서적
The Last Empress
[129]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130]
서적
Last of the Tsars
[131]
서적
Absolute Power
[132]
서적
The Last Empress
[133]
뉴스
Remains of Tsar Nicholas II's Son May Have Been Found
https://www.foxnews.[...]
Fox News
2009-11-22
[134]
간행물
YEKATERINBURG, 22 January 2008
RIA Novosti
2008-01-22
[135]
논문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136]
문서
Identification of the remains of the Romanov family by DNA analysis
[137]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remains of the Romanov family by DNA analysis
[138]
서적
Once A Grand Duchess: Xenia, Sister of Nicholas II
[139]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140]
서적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141]
서적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142]
서적
The Sunset of the Romanov Dynasty
[143]
서적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144]
서적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Empress of Russia: A Biography
London and Toronto
1928
[145]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Last Imperial Family
[146]
서적
From Splendor to Revolution
[147]
서적
[148]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149]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The Last Imperial Family
[150]
서적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151]
서적
The Empress Alexandra
London
1961
[152]
서적
The Sunset of the Romanov Dynasty
Moscow
1992
[153]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Alexandra: The Last Tsarina
[157]
서적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Empress of Russia: A Biography
London and Toronto
1928
[158]
서적
Richard Harding Davis and His Day
https://archive.org/[...]
1933
[159]
서적
Ekaterinburg: A Play
Brisbane Dramatic Arts Company
2013-10
[160]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1914
[16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s Hessen
1904
[162]
간행물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1913
[163]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017
[164]
논문
Troca de Decorações entre os Reis de Portugal e os Imperadores da Rússia
https://www.academia[...]
2020-03-19
[165]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1895
[166]
뉴스
Court Circular
1902-07-01
[167]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168]
서적
An Almanack for the Year of Our Lord ...
https://archive.org/[...]
J. Whitaker
1897
[169]
서적
Women with mustaches and men without beards: Gender and sexual anxieties of Iranian modernity
http://6rang.org/wp-[...]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0]
웹사이트
Romanov Collection. General Collection. Beinecke Rare Book and Manuscript Library, Yale University.
https://archives.yal[...]
Archives at Yale.
2022-03-07
[171]
웹사이트
Archiv und Bibliothek des Hauses Hessen.
https://www.schloss-[...]
Museum Schloss Fasanerie.
2023-07-10
[172]
서적
The Descendants of King George I of Great Britain
Clearfield Company
[173]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174]
간행물
Heiligenberg: Our Ardently Loved Hill
Royalty Digest
1995-07
[175]
문서
Elisabeth
[176]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Ⅰ Early Surroundings 1872-1879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77]
웹사이트
The life of Princess Alix of Hesse, Later Alexandra Feodorovna
https://queenvictori[...]
Queen Victoria Rose
2024-05-31
[178]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Ⅱ Childhood, 1879-1888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79]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ⅩⅩⅢ Before the Storm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0]
웹사이트
Nicholas !! - At the Court of the Last Tsar - Chapter 1, Part 2, The Empress Alexandra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1]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Ⅳ Engagement, 1894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2]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Ⅴ Marriage and First Year In Russia, 1894-1895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3]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Ⅱ Childhood, 1879-1888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4]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Ⅶ The Coronation, 1896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6-01
[185]
웹사이트
The Home of the Last Tsar - Romanov and Russian History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6-09
[186]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ⅩⅩⅣ Warning Voices, 1916-1917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7]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ⅩⅩ The Empress's War Work, 1915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8]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I Tsarskoe Selo Without the Emperor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89]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ⅩⅩⅡ Visits to Headquarters and Elsewhere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0]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V Rasputin's Murder - Last Days of Sovereignty, December 1916 to March 1917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1]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VII The Emperor's Abdication, March 15, 1917, Arrest of the Empress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2]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3]
논문
アレクサンドラ・フョードロヴナの日記 1917-1918年
https://ogu.repo.nii[...]
2015-12-30
[194]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VIII Prisoners at Tsarskoe Selo, March-August 1917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5]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IX Five Weary Months, March-August 1917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6]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X Tobolsk, August 1917 to April 1918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7]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XI Ekaterinburg, April to July 1918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98]
웹사이트
ニコライ2世とその一家はいかに殺害されたか:確かな事実のみを10項目に整理
https://jp.rbth.com/[...]
ロシアビヨンド
2024-06-01
[199]
웹사이트
露最後の皇帝、一家全員が処刑と断定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
2024-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