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프레드 대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프레드 대왕은 9세기 웨식스 왕국의 국왕으로, 데인족의 침략으로부터 잉글랜드를 지켜낸 인물이다. 그는 849년 버크셔에서 태어나 871년 왕위에 올라 데인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웨식스와 종전 조약을 체결했다. 앨프레드는 군사적으로 33개의 부르흐(방어 거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방어 체계를 강화했고, 법률 및 행정 개혁을 통해 왕국을 정비했다. 또한, 학문과 문화를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하여 잉글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앨프레드는 잉글랜드 왕국 건설의 기틀을 다진 업적을 인정받아 '대왕' 칭호를 받았으며, 현재도 기독교 영웅으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앨프레드 대왕 - 에딩턴 전투
878년 알프레드 대왕이 이끄는 웨스트 색슨 군대와 구스룸이 이끄는 데인족 간에 벌어진 에딩턴 전투는 웨식스를 지켜내고 잉글랜드 통일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구스룸의 개종과 웨드모어 조약 체결, 앨프레드의 군사 개혁으로 이어졌다. - 899년 사망 -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는 887년 동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선출되었고, 896년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으며, 뚱보 카를을 폐위시키고 슬라브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뇌졸중과 건강 악화로 어려움을 겪다 899년 사망했다.
앨프레드 대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영어 | Alfred the Great |
고대 영어 | Ælfrǣd |
고대 영어 발음 | /ˈæɫvˌræːd/ |
통치 | |
웨식스 왕 | 871년 4월 23일 – 886년 경 |
선임 왕 | 에설레드 1세 |
앵글로색슨인의 왕 | 886년 경 – 899년 10월 26일 |
후임 왕 | 에드워드 장남왕 |
가문 | |
왕가 | 웨식스 가문 |
출생과 사망 | |
출생 | 847년–849년 |
출생지 | 원티지, 버크셔, 웨식스 |
사망 | 899년 10월 26일 (약 50세) |
매장 | 1100년 경 |
매장지 | 하이드 수도원 (현재 소실), 윈체스터, 햄프셔, 잉글랜드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알흐스위스 (868년 결혼) |
부친 | 에델울프 |
모친 | 오스부르흐 |
자녀 | 애설플래드, 머시아의 여인 에드워드 장남왕 애델기푸, 샤프츠베리 수도원장 알프스리스, 플랑드르 백작 부인 애델웨어드 |
종교 | |
종교 | 기독교 |
2. 생애
앨프레드는 웨식스 국왕 에그버트의 손자이자 애설울프 왕의 막내 아들로, 849년 버크셔의 왕실 영지 원티지에서 태어났다. 853년 어린 나이에 로마로 보내져 레오 4세를 알현했고, 855년에는 아버지와 함께 로마를 다시 방문했다.
9세기 초 웨식스 왕국은 앵글로색슨 7왕국 중 하나였으나, 에그버트 왕의 통치 아래 통일 국가를 이루었다. 그러나 9세기 중반, 데인족 바이킹의 침략으로 런던, 캔터베리, 요크 등이 함락되며 잉글랜드 전역이 황폐해졌다.
865년 애설버트 왕이 사망하고 애설레드 왕이 즉위하면서 앨프레드는 부장이 되어 공무를 수행했다. 868년, 앨프레드는 머시아 귀족의 딸 에알스위스와 결혼했다.
871년, 애슈다운 전투에서 애설레드 왕과 함께 싸워 승리했으나, 애설레드 왕이 전투에서 입은 상처로 사망하면서 앨프레드가 왕위를 계승했다. 앨프레드는 데인족에게 은화를 지불하여 일시적으로 평화를 유지했다.[33][34] 그러나 데인족은 머시아를 정복하고 노섬브리아에 정착한 후, 876년 다시 웨식스를 공격했다. 앨프레드는 철저한 방어 준비를 통해 1년여간 저항했고, 877년 휴전 협정을 맺었다.
878년, 데인족은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앨프레드는 수도 윈체스터를 버리고 서머싯 레벨즈로 피신했다. 그러나 몇 달 후, 군사를 모아 에딩턴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며 데인족을 이스트앵글리아로 몰아내고 웨식스와 최종적인 종전 조약을 체결했다.[35]
879년, 바이킹의 재침략 위협 속에서 앨프레드는 통치를 강화하고, 웨식스 방어를 위해 전함을 건조했다. 그는 지방 행정 조직을 '부르흐(burgh)'라는 방어 거점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윈체스터를 비롯한 주요 도시의 성벽을 보강했다.[37]
앨프레드는 행정적으로 왕국을 주, 군, 10인조로 나누고, 재판 조직을 정비하며, 관습법을 집대성하여 단일 법전을 편찬하는 등 법제 개혁을 단행했다. 또한, 잉글랜드 전역과 유럽에서 학자들을 초빙하여 라틴어 문헌을 고대 영어로 번역하게 하고, 《앵글로색슨 연대기》를 편찬하는 등 고대 영어 기록 문화를 발전시켰다.
앨프레드는 데인족의 영향력 아래 있던 머시아를 되찾기 위해 딸 애설플레드를 머시아의 애설레드와 결혼시켜 혼인 동맹을 맺었다. 890년대 이후에도 데인족의 침략이 계속되었지만, 웨식스는 효과적으로 방어하며 점차 힘의 균형을 웨식스 쪽으로 기울게 했다.
앨프레드는 899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계승자들은 데인로 전역을 복종시키는 데 성공했다.
날짜 | 사건 |
---|---|
849년경 | 앨프레드가 버크셔 주 원티지에서 태어남. |
853년경 | 앨프레드의 누이 애설스위스가 머시아의 왕 버그레드와 결혼. |
854년경 | 앨프레드의 아버지 애설울프가 앨프레드와 그의 막내 형 애설레드를 로마 순례 여행에 보냄. |
855년경 | 애설울프가 아들 애설발드와 애설버트에게 왕국을 분할한 후 앨프레드와 함께 순례 여행을 떠남. |
856년경 | 플랑드르의 주디스가 애설울프와 결혼하여 앨프레드의 새어머니가 됨. |
865년경 | 대 이교도 군대가 동앵글리아에 상륙. |
868년경 | 앨프레드가 링컨셔 주 게인즈버러에서 엘스위스와 결혼. |
871년경 | 애설레드 사망, 앨프레드가 뒤를 이음. |
874년경 | 덴마크인들이 스태퍼드셔 주 탐워스를 약탈하고 버그레드를 추방. |
876년경 | 구스룸이 앨프레드의 왕국을 침략. |
878년경 | 앨프레드는 서머싯 레벨스로 도망쳐 게릴라전을 시작해야 했음. |
886년경 | 앨프레드가 런던을 정복하고 앵글로색슨인의 왕을 자처함. |
899년 | 앨프레드 사망. |
앨프레드는 웨섹스의 왕 애설울프와 그의 아내 오스부르 사이에서 태어났다.[30] 868년, 앨프레드는 머시아 귀족 애설레드 무첼의 딸 에알스위스와 결혼했다.[31]
앨프레드는 웨식스 국왕 에그버트의 손자로, 9세기 초 앵글로색슨 7왕국을 통일한 웨식스 왕국은 9세기 중반 데인족 바이킹의 침략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다.[33][34]
3. 가족
앨프레드와 에알스위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자녀들이 있었다.이름 출생 사망 비고 애설플레드 918년 6월 12일 머시아 영주 애설레드와 결혼, 911년 사망, 자녀를 둠 에드워드 924년 7월 17일 앨프레드의 왕위 계승자. (1) 에그윈과 결혼, (2) 에플플레드와 결혼, (3) 919년 에드기푸와 결혼 애설기푸 샤프츠베리의 수녀원장 애설웨어드 922년 10월 16일(?) 결혼하여 자녀를 둠 알프스리드 929년 플랑드르 백작 발두인 2세와 결혼, 918년 사망, 자녀를 둠
앨프레드의 혈통은 알프스리드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와 결혼)의 자손 마틸다가 윌리엄 1세의 부인이 되었고, 에드워드 장로에서 에드먼드 2세까지 잉글랜드 국왕을 거쳐, 그 자손 마가렛이 스코틀랜드 왕 맬컴 3세의 부인이 되었으며, 그 딸 마틸다가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부인이 되어, 모계를 통해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양 왕가를 거쳐 현재 영국 왕실로 이어진다.
4. 군사적 업적
871년 왕위에 오른 앨프레드는 은화를 지불하여 바이킹을 일시적으로 물러나게 했으나, 876년 데인족이 다시 침공해왔다. 앨프레드는 1년여에 걸쳐 방어전을 펼쳤고, 877년 휴전했다. 그러나 878년 데인족의 기습으로 수도 윈체스터를 버리고 서머싯 레벨즈로 피신해야 했다. 몇 달 후 군사를 모은 앨프레드는 에딩턴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어 데인족을 이스트앵글리아로 몰아내고 종전 조약을 맺었다.[35]
879년 바이킹의 재침공에 대비하여 앨프레드는 통치를 강화하고 웨식스를 방어하는 한편 전함을 건조했다. 그는 지방 행정 조직을 "부르흐"를 중심으로 재편하고, 10세기 문헌 《부르갈 히다게》에 기록된 33개의 부르흐를 요새화했다.[37]
앨프레드는 왕국을 주, 군, 10인조로 분할하고, 재판 조직을 정비하고 관습법을 집대성하여 단일 법전을 편찬하는 등 법제를 개혁했다.
890년대 이후에도 데인로에 정착한 데인족과 해상 침략이 계속되었으나, 웨식스는 대부분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했고, 힘의 균형은 점차 웨식스 쪽으로 기울었다. 앨프레드는 데인족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머시아를 되찾고자 머시아의 애설레드와 딸 애설플레드를 결혼시켜 혼인 동맹을 맺고 머시아를 웨식스의 영향력 아래에 두고자 했다.
5세기와 6세기에 영국을 침략한 게르만 부족들은 징병 또는 피르드에서 공급받은 비무장 보병에 의존했으며, 초기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여러 왕국의 군사력은 이 시스템에 달려 있었다.[4] 피르드는 모든 자유민이 복무해야 하는 앵글로색슨 샤이어의 지방 민병대였다.[4] 군 복무를 거부하는 자는 벌금이나 토지 몰수를 당했다.[4]
878년 앨프레드가 성공하기 전 웨섹스의 실패는 그가 물려받은 전통적인 전투 시스템이 데인족에게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강조했다. 앵글로색슨족은 전통적으로 방패 벽을 형성하여 정면 공격을 선호했으며, 목표를 향해 진격하여 방어하는 데 맞서 싸웠다.[4] 반면 데인족은 쉬운 목표를 선택하고 신중한 급습을 계획하여, 강한 저항에 부딪히면 후퇴했다.[4]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앨프레드는 에딩턴 전투 승리 이후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를 이용하여 색슨족의 방어를 재구조화했다. 그는 상비군, 이동 야전군, 수비대 네트워크, 강과 하구를 항해하는 소규모 함대로 바이킹에 대항했다.[4]
앨프레드는 해군 설계에도 참여하여, 896년에는 60개의 노를 가진, 바이킹 군함의 두 배 크기인 12척 정도의 롱쉽으로 구성된 소규모 함대를 건조하도록 명령했다.[4] 웨섹스는 이보다 먼저 왕실 함대를 소유하고 있었다.[4] 897년은 웨섹스의 해군력에 중요한 발전의 해로 기록되었다.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앨프레드의 배가 덴마크나 프리지아 배보다 더 크고, 빠르며, 안정적이고, 물 위에 더 높이 떠 있다고 기록했다.[4]
896년에 기록된 한 번의 해상 교전에서 알프레드의 새로운 9척의 함대는 잉글랜드 남부의 정체불명의 강 어귀에서 6척의 바이킹 배를 요격했다. 덴마크인들은 배의 절반을 해변에 대고 내륙으로 들어갔다.[4] 알프레드의 배들은 즉시 그들의 탈출을 막기 위해 움직였다. 떠 있던 세 척의 바이킹 배는 영국 해군을 돌파하려 했으나 한 척만 성공했고, 알프레드의 배들은 다른 두 척을 요격했다.[4]
4. 1. 부르흐(Burghal) 시스템
앨프레드 대왕은 왕국 방어를 위해 전술적 요충지에 부르흐(burgh) 네트워크를 구축했다.[3] 약 30km 간격으로 33개의 부르흐가 설치되어 있어, 군대가 하루 안에 왕국 어디에서든 공격에 대응할 수 있었다.[2]
앨프레드의 부르흐는 돌담을 수리하고 도랑을 추가한 이전 로마 도시(예: 윈체스터)부터, 나무 옹벽과 말뚝으로 보강된 거대한 흙벽(예: 서식스의 Burpham)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2] 부르흐의 크기는 작은 전초 기지(예: 데번의 파일턴)에서부터 기존 도시의 대형 요새(예: 윈체스터)까지 다양했다.
《부르갈 히다게(Burghal Hidage)》라는 문서에는 각 요새 도시의 히데이지(hidage)가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월링포드는 2,400 히데이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2,400명의 병력을 공급하고 약 3017.52m의 벽을 유지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 웨섹스 전체에는 총 27,071명의 병사가 필요했는데, 이는 자유민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많은 부르흐는 강을 가로지르는 쌍둥이 도시였으며, 요새화된 다리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중 부르흐는 강을 막아 바이킹 배들이 돌, 창, 화살로 무장한 병사들이 있는 다리 아래를 지나가도록 했다. 다른 부르흐는 요새화된 왕실 별장 근처에 위치하여 왕이 요새를 더 잘 통제할 수 있도록 했다.
부르흐는 군사용으로 유지된 도로 시스템(herepaths)으로 연결되었다. 이 도로는 바이킹 침략자에 맞서기 위해 여러 부르흐에서 빠르게 군대를 소집할 수 있게 했다. 이 시스템은 바이킹의 경로와 통신을 위협하여 바이킹에게 더 위험하게 만들었다. 바이킹은 공성전에 대한 교리가 부족하여 신속한 공격과 잘 방어된 요새로의 후퇴에 맞춰 전투 방식을 조정했다. 그들에게 남은 유일한 방법은 부르흐를 굶겨 항복시키는 것이었지만, 이는 왕에게 시간을 주어 야전군이나 인접 부르흐의 주둔군을 군용 도로를 따라 보낼 수 있게 했다. 이러한 경우, 바이킹은 왕의 합동 군사력에 의한 추격에 매우 취약했다.
앨프레드의 부르흐 시스템은 바이킹 공격에 매우 강력했기 때문에, 892년 바이킹이 켄트의 림프네 강어귀에 있는 반쯤 지어진 요새를 습격했을 때, 앵글로색슨족은 그들의 침투를 웨섹스와 머시아의 외곽 국경으로 제한할 수 있었다.[3]
5. 법률 및 행정 개혁
앨프레드는 880년대 후반 또는 890년대 초에 ''둠 북''(Doomboc) 또는 법전을 발표하여 법제를 정비했다. 그는 서문에서 "우리 조상들이 지켰던 것들 중 나를 기쁘게 하는 것들을 많이 기록하도록 했고, 나를 기쁘게 하지 않는 것들은 조언자들과 함께 거부하고 다른 방식으로 지키도록 명령했다"고 설명한다.[5] 이 법전은 웨섹스의 이네 왕의 법전을 비롯한 이전의 법률들과 십계명, 출애굽기 등 성경의 내용을 참고하여 편찬되었다.[6]
앨프레드는 왕국을 주, 군, 10인조로 나누어 지방 행정 조직을 개편하고, 재판 조직을 정비하여 사법 제도를 개선했다.[9] 그는 조세 제도를 정비하여 토지 소유자의 생산성에 기반한 세금 및 징집 제도를 확대했는데, 이는 '히드'라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였다. 히드는 한 가족을 부양하는 데 필요한 토지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크기는 토지의 가치와 자원에 따라 달랐다.[8]
패트릭 워몰드는 알프레드의 법전이 법적 매뉴얼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시보다는 상징적인 영향을 위해 고안된" 군주의 이념적 선언문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6. 문화 및 교육 진흥
앨프레드는 데인족의 침략으로 황폐해진 잉글랜드의 학문과 문화를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웨일스의 학승 아서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을 초빙하여 궁정 학교를 설립하고, 귀족 자녀와 평민 자제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했다.[31] 앨프레드는 라틴어 고전을 고대 영어로 번역하는 사업을 추진하여 성 그레고리우스의 《사목 지침》,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독백》 등을 번역하게 했다.[13] 그는 《앵글로색슨 연대기》 편찬을 지시하여 잉글랜드의 역사를 기록하고, 고대 영어 산문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880년대, 앨프레드는 귀족들을 "회유하고 위협"하여 부르를 건설하고 인력을 투입하게 하는 동시에, 거의 한 세기 전에 샤를마뉴의 예를 보고 영감을 받아 학습을 부흥시키기 위한 야심 찬 노력을 기울였다.[36] 이 기간 동안 바이킹의 습격은 종종 신의 징벌로 여겨졌고, 앨프레드는 신의 분노를 달래기 위해 종교적 경외심을 되살리기를 원했을 수 있다.[37]
이 부흥은 머시아, 웨일스, 해외에서 성직 학자들을 초빙하여 궁정과 주교의 품격을 높이는 것을 포함했다. 자신의 자녀, 귀족의 아들들, 그리고 덜 귀족 출신이지만 지적으로 유망한 소년들을 교육하기 위한 궁정 학교를 설립했다. 권위를 가진 사람들이 문맹을 면하도록 하는 시도를 했다. 왕이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할 가장 필요한" 라틴어 작품들을 자국어로 번역했다. 앨프레드 왕국의 부흥과 가문을 상세히 기록하고 아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족보를 담아 웨섹스 왕들에게 성경적 조상을 부여하는 연대기를 편찬했다.
앨프레드 시대의 교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덴마크의 공격은 수도원에 특히 피해를 많이 입혔다. 앨프레드는 애설니와 샤프츠베리에 수도원을 세웠지만, 이것은 8세기 초 이후 웨섹스에서 세워진 최초의 새로운 수도원 건물이었다. 아서에 따르면, 앨프레드는 현지인들이 수도 생활을 시작하는 데 관심이 적었기 때문에 애설니에 있는 자신의 수도원을 위해 외국 승려들을 잉글랜드로 유인했다.
앨프레드는 웨섹스에서 교회 제도나 종교 관습을 체계적으로 개혁하지 않았다. 그에게 왕국의 영적 부흥의 열쇠는 경건하고, 배우고, 신뢰할 수 있는 주교와 수도원장을 임명하는 것이었다. 왕으로서 그는 자신의 백성들의 현세적, 영적 복지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앨프레드에게 세속적 권위와 영적 권위는 별개의 범주가 아니었다.
그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저서인 ''목회지침''을 자신의 주교들에게 배포하여 그들이 사제를 더 잘 훈련하고 감독하도록 하는 것과, 그 동일한 주교들을 왕실 관리와 재판관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 똑같이 편안함을 느꼈다. 그의 경건함은 또한 그가 전략적으로 위치한 교회 토지, 특히 데인로와의 경계선을 따라 위치한 토지를 수용하여 바이킹의 공격으로부터 더 잘 방어할 수 있는 왕실 테인과 관리들에게 이전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덴마크의 습격은 잉글랜드의 학문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다. 앨프레드는 그레고리우스의 《목회 지침》 번역 서문에서 "잉글랜드의 학문이 너무나 쇠퇴하여 험버강 이쪽에는 영어로 신성한 예배를 이해하거나 라틴어를 영어로 한 글자라도 번역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험버강 너머에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한탄했다. 앨프레드는 자신의 유년 시절 잉글랜드 학문의 비참한 상태를 극적인 효과를 위해 과장한 것이 분명하다. 라틴어 학문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은 그의 궁정에 플레그문드, 웨퍼스, 울프시게와 같은 학식이 풍부한 머시아와 웨스트 색슨 성직자들이 있었다는 것으로 증명된다.
잉글랜드의 필사본 제작은 바이킹 침략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860년대 무렵에 급격히 감소하여 세기 말까지 부활하지 못했다. 수많은 앵글로색슨 필사본들이 이를 소장한 교회들과 함께 불탔다. 873년 날짜가 적힌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의 엄숙한 문서가 매우 형편없이 작성되어 역사학자 니컬러스 브룩스는 필사자가 자신이 무엇을 쓰고 있는지 읽을 수 없을 정도로 눈이 멀었거나 라틴어를 거의 또는 전혀 모르는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브룩스는 "캔터베리 대성당은 성경이나 기독교 예배에 대한 효과적인 훈련을 전혀 제공할 수 없었음이 분명하다"고 결론지었다.
앨프레드는 자신의 자녀들과 귀족 자녀들, 그리고 "그 외 많은 낮은 신분"의 자녀들을 교육하기 위해 궁정 학교를 설립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영어와 라틴어로 된 책을 공부했으며 "글쓰기에 헌신하여... 자유 교양 과목에 헌신적이고 지적인 학생으로 여겨졌다." 그는 웨섹스에서 기독교 학문의 부흥을 돕고 국왕에게 개인 교습을 제공하기 위해 유럽 대륙과 영국에서 학자들을 초빙했다. 그림발드와 존 더 색슨(John the Saxon)은 프랑크 왕국에서 왔고, 플레그문드(Plegmund, 앨프레드는 890년에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 워체스터의 주교 웨르페르트(Wærferth), 엣텔스탄(Æthelstan), 머시아 출신의 왕실 사제 베르울프(Werwulf), 그리고 웨일스 남서부에 있는 성 다비드에서 온 아서가 초빙되었다.
앨프레드의 교육적 야망은 궁정 학교 설립 이상으로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앨프레드는 기독교적 지혜 없이는 번영도 전쟁에서의 성공도 있을 수 없다고 믿고 "다른 직업에 쓸모가 없는 한, 잉글랜드에 있는 자유 출신의 젊은이로서 스스로 공부할 여유가 있는 모든 사람"에게 학습을 시키려고 했다.[12] 자신의 왕국에서 라틴어 해독 능력이 쇠퇴하고 있음을 인식한 앨프레드는 초등 교육을 영어로 가르치고, 성직에 진출하려는 사람들은 라틴어로 계속 공부하도록 제안했다.
영어 "지혜의 책"은 거의 없었다. 앨프레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할 가장 필요한" 책들을 영어로 번역하는 야심 찬 궁정 중심의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앨프레드가 이 프로그램을 언제 시작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웨섹스가 바이킹의 공격으로부터 잠시 휴식을 취하던 880년대에 시작했을 수도 있다. 앨프레드는 최근까지 많은 번역의 저자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거의 모든 경우에 의심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학자들은 번역을 "앨프레디언"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더 많으며, 이는 번역이 그의 후원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의 저작일 가능성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왕이 보관했던 공통 노트로 보이는 손실된 ''Handboc'' 또는 ''Encheiridio'' 외에도 번역된 가장 초기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매우 인기가 많았던 책인 그레고리 1세의 ''대화''였다. 이 번역은 앨프레드의 명령에 따라 우스터 주교 워퍼스가 수행했으며, 왕은 단지 서문을 제공했다. 놀랍게도 앨프레드는 의심할 여지 없이 그의 궁정 학자들의 조언과 도움을 받아 그레고리 1세의 ''목회 지도'',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독백'' 그리고 시편의 처음 50개의 시편을 직접 번역했다.[13] 앨프레드의 시편은 파리 시편에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믿을 만하게 증명되었다.[14]
이 목록에 앨프레드의 법전에서 발췌한 불가타 탈출기의 번역을 추가할 수 있다. 오로시우스의 ''이교도에 대한 역사''와 베다의 ''영국 민족 교회사''의 고대 영어 버전은 어휘 및 문체적 차이로 인해 학자들은 더 이상 앨프레드 자신의 번역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의는 여전히 그것들이 앨프레디안 번역 프로그램의 일부였다는 것이다. 사이먼 케인스와 마이클 라피지는 이것이 볼드의 ''Leechbook''와 익명의 ''고대 영어 순교록''에도 해당한다고 제안한다.
앨프레드가 번역한 교황 그레고리 1세의 ''목회 지도''의 서문[12]은 그가 왜 이와 같은 작품을 라틴어에서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는지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방식을 "때로는 단어 대 단어로, 때로는 의미 대 의미로" 번역한다고 묘사했지만, 그 번역은 원래 텍스트에 매우 충실하며, 언어 선택을 통해 그는 정신적 권위와 세속적 권위 사이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앨프레드는 이 번역본이 사용되기를 바랐고, 모든 주교에게 배포했다. 앨프레드의 ''목회 지도'' 번역에 대한 관심은 11세기에 이르러서도 사본이 만들어질 정도로 오래 지속되었다.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은 중세 시대 가장 인기 있는 철학적 핸드북이었다. 목회 지도 번역과 달리 앨프레디안 텍스트는 원본을 매우 자유롭게 다루며, G. 솁스 박사가 텍스트에 추가된 많은 내용이 번역가 자신이 아닌 그가 사용한 주석에서 비롯된 것임을 보여주었지만, 여전히 그 작품에는 번역 고유의 특징이 많이 있으며 앨프레드의 환경에서 왕권 철학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자주 인용되는 문구인 "간단히 말해서, 나는 사는 동안 가치 있게 살고, 삶이 끝난 후에는 좋은 업적으로 나를 기억하도록 남겨두고 싶었다."는 보에티우스에 등장한다. 이 책은 단 두 개의 필사본으로 전해진다. 이 중 하나는 산문으로 쓰여졌고, 다른 하나는 산문과 운율이 있는 시의 조합으로 쓰여졌다. 후자의 필사본은 18세기와 19세기에 심하게 훼손되었다.
앨프레디안 작품의 마지막은 ''블로스트만''("꽃") 또는 ''선집''이라는 이름을 가진 작품이다. 전반부는 주로 성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독백''을 기반으로 하며, 나머지는 다양한 출처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 자료는 전통적으로 앨프레드 자신의 특징이 많이 담겨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책의 마지막 구절을 인용할 수 있다. 그것은 가장 고귀한 잉글랜드 왕에게 어울리는 묘비명이다. "그러므로, 그는 내가 보기에 매우 어리석고, 세상에 있는 동안 지식을 늘리지 않고, 모든 것이 명확해질 영원한 삶에 도달하기를 항상 원하고 갈망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비참하다." 앨프레드는 12세기 또는 13세기 시 ''올빼미와 나이팅게일''에 등장하여 그의 지혜와 격언 실력을 칭찬받는다. 13세기 작품인 ''알프레드의 격언''에는 앨프레드에서 유래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 말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의 사후 중세 시대의 지혜로운 명성을 증명한다.
1693년 서머싯에서 발견된 앨프레드 보석은 고대 영어 비문 AELFRED MEC HEHT GEWYRCAN ("앨프레드가 나를 만들라고 명령했다") 때문에 오랫동안 앨프레드 왕과 관련되어 왔다. 이 보석은 약 6.4cm 길이이며, 세공된 금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아래에는 섬세한 에나멜로 된 이미지와 꽃이 달린 홀을 들고 있는 남자가 새겨진 클로이존 에나멜 플레이트가 있다. 이 남자는 아마도 시력이나 하나님의 지혜를 의인화한 것일 것이다.
한때는 밑면에 있는 속이 빈 소켓을 기반으로 한 얇은 막대나 지팡이에 부착되었다. 이 보석은 확실히 앨프레드 치세에 제작되었다. 그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앨프레드가 그의 ''목회 지도'' 번역본과 함께 모든 주교구에 보내도록 명령한 ''æstels'' - 읽기용 포인터 -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자주 제안되었다. 각 ''æstel''은 50 만쿠스라는 고귀한 가치가 있었으며, 이는 앨프레드 보석의 품질 좋은 솜씨와 값비싼 재료와 잘 어울린다.
역사가 리처드 아벨스는 앨프레드의 교육 및 군사 개혁을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본다. 아벨스는 웨섹스에서 종교와 학습을 회복하는 것이 앨프레드에게는 요새 건설만큼이나 왕국의 방어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앨프레드가 그레고리 1세의 ''목회 지도''를 영어로 번역한 서문에서 언급했듯이, 학습을 장려하는 신성한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왕들은 자신의 백성에게 지상에서의 처벌이 내려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는 보에티우스의 독자들에게 지혜를 추구하는 것이 권력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길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니 지혜를 연구하고, 그것을 배우면 정죄하지 말라. 나는 그것을 통해 원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권력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7. 외교 관계
앨프레드는 예루살렘의 엘리아스 3세 총대주교와 서신을 주고받았으며,[33] 교황에게 구호금을 전달하는 사절단을 자주 로마에 보냈다.[34] 890년경 헤데뷔의 울프스탄은 유틀란트의 헤데뷔에서 발트해를 따라 프로이센의 무역 도시 트루소까지 여행했는데, 앨프레드는 이 여행에 대한 세부 사항을 직접 수집하기도 했다.[35]
앨프레드는 오로시우스 번역본에 여러 내용을 추가하여 외국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36] 사우스웨일스의 군주들은 노스웨일스와 머시아의 압력으로 인해 앨프레드에게 의탁했다. 이후, 그의 통치 후반에는 노스웨일스도 잉글랜드와 협력했다.[37] 앨프레드가 아일랜드와 대륙의 수도원에 구호금을 보냈다는 기록도 있다. 891년 세 명의 아일랜드인 순례자가 앨프레드를 방문한 것은 그가 아일랜드에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8. 유산
앨프레드는 앵글로색슨족의 웨식스 왕국을 데인족의 침략으로부터 지켜내고, 문화와 교육을 부흥시킨 업적으로 '대왕' 칭호를 받은 유일한 잉글랜드 군주이다.[33][34] 그는 군사, 법률, 행정, 문화, 교육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겨 앵글로색슨족의 통합과 잉글랜드 왕국의 기틀을 다졌다.
성공회 달력은 그를 기독교 영웅으로 존경하며, 10월 26일에 소축일로 기념한다.[18] 그는 종종 잉글랜드 교회 교구 교회에서 스테인드글라스로 묘사되기도 한다. 2007년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앨프레드 대왕을 포함한 "영국 제도 모든 성인"을 성인으로 추대했다.[19] 그는 오순절 후 셋째 주 일요일에 열리는 영국 제도 모든 성인 축일과 10월 26일 축일에 존경받는다. 플로리다주 미들버그에는 성 알프레드의 이름을 딴 정교회 선교회가 있다.[20]
앨프레드의 별칭인 "대왕"은 13세기부터 정기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이를 대중화한 것은 16세기 작가들이었다. 앨프레드의 동시대인들이 이 별칭을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다. 이 별칭은 알프레드의 애국심, 야만과의 싸움에서의 성공, 교육 장려, 법치 확립을 존경하는 후대들에게 유지되었다.
영국 해군은 한 척의 배와 두 개의 육상 시설을 HMS ''킹 알프레드''로 명명했으며, 미국 해군의 초기 함선 중 하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USS ''알프레드''로 명명되었다. 2002년, 알프레드는 영국 전역의 투표를 거쳐 BBC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인 목록에서 14위에 올랐다.
앨프레드 대왕의 눈에 띄는 동상이 피우지 한가운데에 서 있는데, 그가 이곳의 토지 소유주였다. 이 동상은 조지 5세 국왕의 대관식을 기념하기 위해 1913년 6월에 공개되었다.[21] 트리니티 교회 광장에 위치한 사우스워크의 앨프레드 대왕 조각상은 런던에서 가장 오래된 야외 조각상으로 여겨지며, 일부는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조각상은 2021년 보존 작업 전까지는 중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하단부는 배스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여신 미네르바에게 헌정된 거대한 고대 조각상의 일부임이 밝혀졌다. 이는 2세기, 즉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전형적인 작품이다. 하단의 오래된 부분은 영국 석재로 작업하는 데 익숙한 대륙 출신의 장인이 조각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단 부분은 18세기 말 또는 19세기 초에 인공 코에이드 스톤으로 주조되어 하단 부분에 맞춰졌다.[22] 원테이지 시장에 위치한 알프레드 대왕 동상은 빅토리아 여왕의 친척인 글라이헨 백작이 조각했으며, 1877년 7월 14일 웨일스 공과 웨일스 공녀에 의해 공개되었다. 윈체스터 중세 이스트 게이트 부근, 더 브로드웨이 동쪽 끝에 있는 앨프레드 대왕의 청동상은 하모 손니크로프트가 디자인했으며, 싱어 & 손스 오브 프롬이 청동으로 주조했고, 앨프레드의 서거 1천 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899년에 세워졌다.[23] 이 동상은 두 개의 거대한 회색 콘월 화강암 덩어리로 구성된 받침대 위에 놓여 있다.[24]
참조
[1]
웹사이트
Wantage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0-06-23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Translation of Alfred's Prose
http://www.departmen[...]
2017-05-14
[13]
문서
[14]
간행물
The scribe of the Paris Psalter
https://www.cambridg[...]
1999-12
[15]
Citation
MS Bodley 180
Oxford Bodleian Library
[16]
Citation
Cotton MS Otho A.
British Library
[17]
웹사이트
The Search for Alfred the Great
https://www.youtube.[...]
BBC Documentary
2019-02-17
[1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9
[19]
웹사이트
British and Western European Diocese (ROCOR)
https://orthodox-eur[...]
[20]
웹사이트
Eastern American Dioces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Russia
https://eadiocese.or[...]
[21]
웹사이트
Pewsey.uk website: Village History
http://www.pewsey-uk[...]
2016-10-06
[22]
뉴스
Alfred the Great's Southwark statue is partly Roman goddess
https://www.bbc.com/[...]
2021-11-11
[23]
웹사이트
Visit Winchester: King Alfred the Great
http://www.visitwinc[...]
2016-10-06
[24]
웹사이트
Victorian Web: Alfred the Great – Sculpture by Sir W. Hamo Thornycroft
http://www.victorian[...]
2016-10-06
[25]
웹사이트
About the Statue of King Alfred
https://www.alfred.e[...]
[26]
Webarchive
"Alfred the Great", Isidore Konti, 1910
http://oosi.sculptur[...]
2017-10-03
[27]
웹사이트
Wantage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0-06-23
[28]
서적
『イギリス文学入門』p20
https://books.google[...]
三修社
2014
[29]
서적
帆船:6000年の歩み
成山堂書店
1999
[30]
간행물
Alfred the Great: a diagnosis
http://www.ncbi.nlm.[...]
[31]
서적
This Day In Religion
Neal-Schuman Publishers, Inc.
1990
[32]
문서
アルフレッドが実際に発明したのは蝋燭が一定の時間で燃えることを応用し、風の影響を受けぬようまわりを囲った道具であるとされる。
[33]
웹인용
Alfred the Great (849 AD – 899 AD)
http://www.bbc.co.uk[...]
[34]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문서
Albert S. Cook, Asser's life of King Alfred, 1906
[36]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https://archive.org/[...]
OUP
[37]
웹사이트
The Burghal Hidage: Alfred's Towns
http://www.ogdoad.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