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미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도미터는 차량이나 기타 이동 수단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기계식과 전자식(디지털식)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오도미터는 바퀴 회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하며, 타이어의 크기나 공기압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주행 거리 조작은 사기 행위로 간주되어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으며, 차량의 유지 보수 및 중고차 가치 평가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현대 자동차에는 특정 구간의 주행 거리를 측정하는 트립 미터도 장착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것 부품 - 에어백
에어백은 자동차 충돌 시 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질소 가스로 팽창, 탑승자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안전 장치로, 안전벨트와 함께 사용 시 효과가 극대화되지만 특정 충돌 유형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고 작동 후에는 교체가 필요하다. - 탈것 부품 - 안전벨트
안전벨트는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좌석에 부착된 안전 장치로, 사고 시 탑승자가 차량 내부 구조물과 충돌하거나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막아 부상 감소 및 생존율 증가에 기여하며, 1959년 닐스 볼린에 의해 개발된 3점식 안전벨트가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운송수단 기술 - 현가장치
현가장치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며, 판 스프링, 독립 현가장치, 멀티링크 서스펜션 등으로 발전해 왔고, 종속형, 독립형, 준독립형으로 분류된다. - 운송수단 기술 -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는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달을 의미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과학의 합성어로, 차량 텔레매틱스를 중심으로 자동차 자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과 연계되어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며 미래 교통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리스의 발명품 - 민주주의
민주주의는 국민이 주권을 가지고 국민의 의사에 따라 정치 권력이 행사되는 정치 체제이며, 기본권 존중, 권력 분립, 다수결 원칙을 특징으로 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최근 위협받는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 그리스의 발명품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오도미터 | |
---|---|
측정 | |
측정 대상 | 차량 주행 거리 |
단위 | 킬로미터(km), 마일(mi) |
역사 및 어원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호도스'(길) + '메트론'(측정) |
기술 | |
종류 | 기계식 전자식 |
작동 원리 (기계식) | 기어 연결 바퀴 회전수 측정 |
작동 원리 (전자식) | 센서 사용 전자 신호 처리 |
주요 구성 요소 | 바퀴 또는 변속기 연결 부 측정 장치 (기어, 센서 등) 표시 장치 (아날로그, 디지털) |
활용 | |
주요 사용처 | 차량 계기판 주행 거리 기록 차량 유지 보수 내비게이션 시스템 |
관련 장치 | 속도계 (차량 속도 측정) |
추가 정보 | |
참고 | 주행 거리 조작 문제 차량 중고차 거래 시 중요 정보 |
2. 역사
오도미터의 초기 형태는 고대 로마와 고대 중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1600년대에는 마차와 같은 말이 끄는 차량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오도미터가 개발되었다. 1645년, 프랑스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은 파스칼린을 발명했는데, 이는 기어를 사용하여 측정을 계산하는 기계였다. 파스칼린의 각 기어는 10개의 톱니를 가졌고, 첫 번째 기어가 한 바퀴 회전하면 다음 기어를 한 위치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현대식 기계식 오도미터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했다.
1698년, 영국인 토마스 세이버리는 선박용 오도미터를 개발했다. 1775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우편 경로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자신의 마차에 부착할 오도미터 시제품을 제작했다.[3] 1847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개척자들은 ''로드미터''(현대식 오도미터의 한 버전)를 마차에 부착하여 마차 행렬이 매일 이동한 거리를 기록했다.[4] 로드미터는 파스칼린 방식의 기어를 사용한 초기 오도미터 중 하나였다.[5]
1895년, 커티스 허시 베더는 자전거 바퀴의 회전 수를 계산하는 기계 장치인 ''사이클로미터''를 발명했다.[6][7][8] 사이클로미터는 유연한 케이블을 통해 바퀴의 회전 수를 라이더에게 보이는 아날로그 오도미터로 전달했으며, 이 오도미터는 회전 수를 이동 거리로 변환하여 보여주었다.
1903년, 아서 P. 워너와 찰스 H. 워너 형제는 ''오토미터''를 선보였다. 오토미터는 회전 샤프트에 부착된 자석을 사용하여 얇은 금속 디스크에 자기력을 유도하고, 이 자기력을 측정하여 자동차 운전자에게 거리와 속도 정보를 제공했다. 워너 형제는 1912년에 회사를 스튜어트 & 클라크 회사에 매각했고, 회사는 스튜어트-워너 코퍼레이션으로 개명되었다. 1925년까지 스튜어트-워너 오도미터와 트립미터는 미국에서 제조된 대부분의 자동차 및 오토바이의 표준 장비였다.
2000년대 초반, 기계식 오도미터는 주요 제조업체의 자동차에서 점차 사라졌다. 폰티악 그랑프리는 2003년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제공한 마지막 GM 자동차였고,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는 2005년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장착한 마지막 포드 자동차였다.
2. 1. 고대

오도미터 사용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고대 로마의 플리니우스와 고대 그리스의 스트라보의 저작물에서 찾을 수 있다.[1] 두 저자 모두 알렉산드로스 대왕(BC 336-323)의 베마티스트인 디오그네토스와 바톤이 이동한 경로의 거리를 기록했다고 언급한다. 베마티스트의 높은 측정 정확도는 기계 장치의 사용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도시 헤카톰필로스와 알렉산드리아 아레리온 사이의 구간(나중에 실크로드의 일부가 됨)을 알렉산드로스의 베마티스트는 575 로마 마일 (529 영국 마일)로 기록했는데, 이는 실제 거리 (531 영국 마일)와 0.2%의 편차였다.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 남아 있는 9개의 베마티스트 측정 중 8개는 실제 거리와 5% 미만의 편차를 보였고, 그 중 3개는 1% 이내였다. 이러한 오차는 지난 2300년 동안 도로가 약간 변화하면서 생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측정의 전반적인 정확성은 베마티스트가 이미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정교한 장치를 사용했음을 암시한다. 다만, 그러한 장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거리를 측정하는 오도미터는 기원전 27년에서 23년경 비트루비우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는데, 실제 발명가는 시라쿠사의 아르키메데스(BC 287년경 – 212년경)였을 수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서기 10년 – 서기 70년)은 그의 ''디옵트라'' 34장에서 유사한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 기계는 로마 황제 코모두스 (192년경) 시대에도 사용되었지만, 이 시점 이후 로마 시대와 서유럽의 15세기 사이에는 사용의 공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장치가 그리스의 안티키테라 메커니즘과 유사한 기술을 포함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1]
비트루비우스의 오도미터는 지름 4로마 피트(1.18m)의 전차 바퀴가 1로마 마일(약 1480m)에서 400번 회전하는 것을 기반으로 했다. 각 회전마다 차축의 핀이 400개의 톱니가 있는 톱니바퀴에 맞물려 마일당 한 번 완전한 회전을 시켰다. 이것은 원주를 따라 구멍이 있는 또 다른 기어와 맞물리며, 조약돌 (''계산석'')이 그 안에 위치하여 하나씩 상자에 떨어지도록 했다. 따라서 이동한 거리는 조약돌의 수를 세는 것으로 간단하게 알 수 있었다.[1] 이 기기가 당시 실제로 제작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나중에 설명에 따라 직접 제작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1981년 엔지니어 안드레 슬리크는 레오나르도의 사각형 톱니 기어 설계를 안티키테라 메커니즘에서 발견된 삼각형, 뾰족한 톱니로 대체하여 자체 복제품을 만들었다. 이 수정으로 비트루비우스 오도미터는 완벽하게 작동했다.[1]
2. 2. 중국
오도미터는 한나라 시대에 고대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발명되었으며, 장형이 발명했을 가능성이 있다.[1] 3세기 (삼국 시대) 중국 문헌에는 '리를 기록하는 드럼 마차'라는 뜻의 'jì lĭ gŭ chē'(記里鼓車)에 대한 기록이 있다.[1]記里鼓車|리 기록 드럼 마차중국어 이 문헌에는 1리를 가면 기계로 작동하는 나무 인형이 드럼을 치고, 10리를 가면 또 다른 나무 인형이 기계로 작동하는 팔로 징이나 종을 치는 기계 마차의 기능이 설명되어 있다.[1]
장형이나 마준(c. 200–265)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도미터의 발명은 황실의 '북-전차'의 음악 행렬을 따르는 ''황문''(환관, 궁중 관리, 시종 및 친척, 배우, 곡예사 등)을 중심으로 한 한나라 시대의 점진적인 과정이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1] 기원전 1세기경(서한 시대)에 드럼과 징을 치는 것이 도로 바퀴의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계로 구동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 이것은 낙하홍의 설계였을 수 있지만, AD 125년경 중국의 기계식 오도미터 마차는 이미 알려져 있었다(소당산 무덤의 벽화에 묘사됨).[1]
송나라(960–1279) 시대에는 오도미터와 지남차가 결합된 장치가 사용되었다. 원나라 시대의 역사서인 ''송사''(1345년)는 당시 사용된 오도미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전 시대의 기록보다 훨씬 더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오도미터. [마일 측정 마차]는 붉은색으로 칠해졌으며, 네 면에는 꽃과 새 그림이 있고, 조각으로 아름답게 장식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매 리(里)마다 아래층의 나무로 된 인형이 북을 치고, 매 10 리마다 위층의 나무 인형이 종을 친다. 마차 끄는 부분은 봉황 머리 모양이고, 네 마리의 말이 마차를 끌었다.[1]
이어서, 좌승상 루다오룽이 바퀴와 톱니의 측정과 크기에 대해 긴 논문을 작성했으며, 마지막 부분에서는 장치의 최종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 차량은 하나의 멍에와 두 개의 바퀴를 가져야 한다. 차체에는 두 개의 층이 있으며, 각 층에는 북채를 들고 있는 조각된 나무 인형이 있다. 도로 바퀴는 각각 직경 6피트, 둘레 18피트이며, 한 바퀴 회전은 3보를 커버한다. 고대 표준에 따르면 보폭은 6피트와 같고 300보는 1리였지만, 지금은 1리를 각각 5피트인 360보로 계산한다.[1]
[참고: 중국의 거리 단위인 리(里)의 측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송나라 시대의 리는 한나라 시대의 리의 길이와 달랐다.]
> 차량 바퀴(리 룬)는 왼쪽 도로 바퀴에 부착되어 있으며, 직경 1.38피트, 둘레 4.14피트이고, 2.3인치 간격으로 18개의 톱니(치)가 있다. 또한 직경 4.14피트, 둘레 12.42피트인 하부 수평 바퀴(시아 핑 룬)가 있으며, 수직 바퀴의 톱니와 동일한 간격(2.3인치)으로 54개의 톱니가 있다. (이것은 전자의 바퀴와 맞물린다.)[1]
> 이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수직 샤프트에는 (단지) 3개의 톱니가 있고, 이 사이의 거리가 1.2인치인 청동 "바람처럼 회전하는 바퀴"(쉬안 펑 룬)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 것을 회전시킨다.) 중앙에는 직경 4피트, 둘레 12피트이고, 톱니 간의 거리가 "바람처럼 회전하는 바퀴"와 같은 (1.2인치) 100개의 톱니가 있는 수평 바퀴가 있다.[1]
> 다음으로, (동일한 샤프트에) 직경 3.3인치, 둘레 1피트이고 1.5인치 간격으로 10개의 톱니가 있는 작은 수평 바퀴(샤오 핑 룬)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과 맞물리는) 상부 수평 바퀴(상 핑 룬)는 직경 3.3피트, 둘레 10피트이며 작은 수평 바퀴의 톱니와 동일한 간격(1.5인치)으로 100개의 톱니가 있다.[1]
> 중간 수평 바퀴가 1회전하면 마차는 1 리를 갔고 아래층의 나무 인형은 북을 칠 것이다. 상부 수평 바퀴가 1회전하면 마차는 10 리를 갔고 위층의 인형은 종을 칠 것이다. 사용된 바퀴의 수는 크고 작고 모두 8인치이며 총 285개의 톱니가 있다. 따라서 운동은 체인의 링크와 같이 전달되며, "개 이빨"이 서로 맞물려 적절한 회전에 의해 모든 것이 원래 시작점으로 돌아간다.[1]
2. 3. 근대 이후
17세기, 마차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오도미터가 개발되었다. 1645년, 프랑스의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은 파스칼린을 발명했다. 파스칼린은 기어를 사용하여 측정을 계산하는 기계로, 각 기어는 10개의 톱니를 가졌고, 첫 번째 기어가 한 바퀴 회전하면 다음 기어를 한 위치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이는 현대식 기계식 오도미터와 동일한 원리이다.1698년, 영국의 토마스 세이버리는 선박용 오도미터를 개발했다. 1775년, 미국의 정치가이자 초대 미국 우체국장이었던 벤자민 프랭클린은 우편 경로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자신의 마차에 부착할 오도미터 시제품을 제작했다.[3] 1847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개척자였던 윌리엄 클레이턴과 오슨 프랫은 '로드미터'를 개발하여 서부로 향하는 미국 정착민들이 사용한 마차에 부착했다.[4] 이 장치는 마차 행렬이 매일 이동한 거리를 기록했으며, 파스칼린 방식의 기어를 사용한 초기 오도미터 중 하나였다.[5]
1895년, 커티스 허시 베더는 자전거용 기계 장치인 '사이클로미터'를 발명했다.[6][7] 사이클로미터는 자전거 바퀴의 회전 수를 계산하고,[8] 유연한 케이블을 통해 라이더에게 회전 수를 전달하여 아날로그 오도미터로 표시했다. 이 오도미터는 바퀴 회전을 이동 거리로 변환하여 보여주었다.
1903년, 위스콘신주 벨로이트 출신의 아서 P. 워너와 찰스 H. 워너 형제는 '오토미터'를 선보였다. 오토미터는 회전 샤프트에 부착된 자석을 사용하여 얇은 금속 디스크에 자기력을 유도하고, 이 자기력을 측정하여 자동차 운전자에게 거리와 속도 정보를 제공했다. 워너 형제는 1912년에 회사를 스튜어트 & 클라크 회사에 매각했고, 회사는 스튜어트-워너 코퍼레이션으로 개명되었다. 1925년까지 스튜어트-워너 오도미터와 트립미터는 미국에서 제조된 대부분의 자동차 및 오토바이에 표준 장비로 장착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 디지털식 오도미터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기계식 오도미터가 사라졌다. 폰티악 그랑프리는 2003년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제공한 마지막 GM 자동차였고, 캐나다에서 제작된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는 2005년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장착한 마지막 포드 자동차였다.
3. 종류
오도미터는 크게 기계식과 전자식(디지털식) 두 종류로 나뉜다.[13] 기계식은 숫자가 적힌 원통이 회전하며 거리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방식이고, 전자식은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플래시 메모리 등)를 사용하여 주행 거리를 저장한다.
1990년대 전반까지는 기계식이 주류였으나, 중고차의 주행 거리 조작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1990년대 말부터는 변조가 어려운 디지털식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디지털식 오도미터는 조작 시 0km로 표시되거나 전자 회로가 파괴될 위험이 있다.
1980년대에는 미쓰비시 자동차 등 일부 제조사에서 오도미터와 트립 미터를 모두 디지털화한 차종을 선보이기도 했다. 애스턴 마틴 라곤다(시리즈 2 이후)는 오도미터/트립 미터가 디지털식이었지만, 기계적 신뢰성 문제로 엔진룸 내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별도로 설치하기도 했다.
디지털식은 경자동차나 일부 소형차, 상용차에 많았던 99,999km 표시 제한을 넘어 999,999km까지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에는 제조사별로 선호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토요타, 다이하츠, 혼다, 마쓰다, 후지중공업(현 SUBARU)은 아날로그식을, 닛산, 스즈키, 미쓰비시 자동차공업, 이스즈(상용차 제외)는 디지털식을 주로 채용했다.
현재는 상용차나 경자동차까지 디지털식이 채용되고 있으며, 고급차나 상급 승용차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한 오도미터가 채용되기도 한다. 다만, 999,999km를 초과하면 표시가 변하지 않는 차종도 있으므로, 차량 검사를 계속 받으려면 트립 미터 등으로 기록을 남겨야 한다.[13]
신차 구매 시, 공장 내 이동, 주행 시험, 수송 등으로 인해 오도미터에는 이미 약간의 주행 거리가 기록되어 있으며, 일본 내에서는 대략 100km 이내이다.
2010년경부터는 디지털 오도미터의 부정 조작 방지책을 역이용하는 새로운 수법의 주행 거리 조작(특수 기계를 사용한 변조, 차량 검사 통과 후 차량 검사증 반납 및 재등록 등)이 나타나, 경찰 등이 국토교통성에 대책을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14] 국산차 중 마지막으로 아날로그 오도미터를 탑재한 차종은 2010년 3월까지 판매된 초대 스바루 플레오였다.
3. 1. 기계식 오도미터
기계식 오도미터는 주로 기어와 숫자가 적힌 원통의 회전을 통해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1990년대 전반까지 자동차에 널리 사용되었다.[13]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조작이 쉽기 때문에, 중고차 시장에서 주행 거리를 조작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4]1645년, 프랑스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은 파스칼린을 발명했다. 오도미터는 아니었지만, 파스칼린은 기어를 사용하여 측정을 계산했다. 각 기어에는 10개의 톱니가 있었고, 첫 번째 기어가 한 바퀴를 완전히 회전하면 다음 기어를 한 위치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는 현대식 기계식 오도미터의 작동 원리와 같다.
19세기 후반, 커티스 허시 베더는 사이클로미터를 발명했다.[6][7] 사이클로미터는 자전거 바퀴의 회전 수를 계산하는 기계 장치였다.[8] 유연한 케이블을 통해 바퀴의 회전 수를 라이더에게 보이는 아날로그 오도미터로 전달했으며, 오도미터는 미리 정해진 공식에 따라 바퀴 회전을 이동 거리(마일)로 변환했다.
1903년에는 아서 P. 워너와 찰스 H. 워너 형제가 ''오토미터''를 선보였다. 오토미터는 회전 샤프트에 부착된 자석을 사용하여 얇은 금속 디스크에 자기력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동했으며, 이 자기력을 측정하여 자동차 운전자에게 거리와 속도 정보를 모두 정확하게 제공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기계식 오도미터를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폰티악 그랑프리는 2003년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제공한 마지막 GM 자동차였고, 캐나다에서 제작된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는 2005년에 기계식 오도미터를 장착한 마지막 포드 자동차였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동차 검사증에 주행 거리를 기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13] 1990년대 전반까지는 숫자가 적힌 원통이 회전하는 기계식 아날로그 방식이 주류였다. 1990년대 말부터는 조작이 어려운 디지털 방식이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디지털 방식은 조작을 시도하면 0km로 표시되거나 전자 회로가 파괴될 위험이 있어 주행 거리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3. 2. 전자식 오도미터
전자식 오도미터는 디지털 방식으로 주행 거리를 표시하며,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플래시 메모리 등)를 사용하여 주행 거리를 저장한다.[13] 1990년대 후반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조작이 어려워 중고차의 주행 거리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식은 조작을 시도하면 0km로 표시되거나 전자 회로가 파괴될 위험이 있다.디지털 방식은 99,999km까지만 표시되던 기존 방식과 달리 999,999km까지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에는 제조사별로 선호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토요타, 다이하츠, 혼다, 마쓰다, 후지중공업(현 SUBARU)은 아날로그식을 선호했고, 닛산, 스즈키, 미쓰비시 자동차공업, 이스즈(상용차 제외)는 디지털식을 주로 사용했다.
최근에는 상용차나 경자동차까지 전자식 오도미터가 사용되며, 고급차나 상급 승용차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과 결합된 형태의 오도미터도 사용된다. 다만, 999,999km를 초과하면 표시가 변하지 않는 차종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3]
4. 작동 원리
오도미터는 대부분 바퀴의 회전수를 계산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이동 거리는 바퀴 회전수에 타이어 둘레를 곱한 값으로 계산되는데, 이는 표준 타이어 지름에 π(3.141592)를 곱한 값이다.[12] 타이어가 표준 규격이 아니거나 심하게 마모된 경우, 또는 공기압이 부족한 경우에는 오도미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12] 오도미터 오차는 일반적으로 속도계 오차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행 거리에 따라 수치가 증가하며, 이 값은 항상 저장되고 누적된다. 오도미터는 차량 완성 후부터 현재까지 주행한 총 거리를 표시하므로, 수치를 줄이거나 0km로 초기화하는 것은 기능상 불가능하다.
오도미터는 크게 기계식과 전자식(디지털식)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전자식 오도미터는 주행 거리를 저장하고 누적하기 위해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플래시 메모리 등)를 사용한다.
5. 법적 규제 및 윤리적 문제
주행거리 조작은 사기의 한 형태로,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를 속여 구매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이다. 이는 차량의 가치를 부풀리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며, 영국에서는 "시계 조작(clocking)", 미국에서는 "마일 훼손(busting miles)"이라고 불린다.[10]
과거에는 기계식 주행 거리계의 숫자를 직접 돌리거나 주행 케이블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조작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데이터 방식의 주행 거리계가 사용되어 전자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기계를 사용하거나 후진 주행을 통해 주행 거리를 줄이려는 시도가 여전히 존재한다.[14]
이러한 주행 거리계 조작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으로 간주되어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5. 1. 한국
한국에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자동차에 주행 거리계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하며, 자동차 정비 시 자동차 검사증에 주행 거리를 기록해야 한다.[13] 이는 중고차 거래 시 주행 거리 조작을 방지하고, 소비자 보호와 공정한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과거에는 숫자가 적힌 원통이 회전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주행 거리계가 주류였으나, 1990년대 말부터는 조작이 어려운 디지털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조작 시 0km로 표시되거나 전자 회로가 파괴될 위험이 있어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특수한 기계를 사용하여 주행 거리를 조작하고, 차량 검사 통과 후 차량 검사증을 반납하고 재등록하는 등의 새로운 수법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 등은 국토교통성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14]
2010년 3월까지 판매된 초대 스바루 플레오는 국산차 중 마지막으로 아날로그 오도미터를 탑재한 차종이었다.
5. 2. 기타 국가
많은 국가에서 주행 거리 조작은 불법으로 간주되며, 이를 어길 시 벌금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10]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는 차량 정비 시 주행 거리 기록을 보관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10] 카팩스(Carfax)와 같은 회사는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적인 자동차 구매자가 주행 거리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10]아일랜드 공화국의 차량 점검 전문 업체인 카텔의 연구에 따르면, 영국과 북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로 수입된 차량의 20%가 주행 거리를 줄이기 위해 오도미터가 조작되었다고 한다.
6. 활용
오도미터는 차량의 총 주행 거리를 파악하여 차량 유지 보수 및 중고차 가치 평가 등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정기적인 엔진 오일 교환이나 타이어 교체 시기를 결정하는 데 오도미터의 주행 거리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중고차의 경우, 주행 거리가 적을수록 차량의 가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3]
대부분의 현대 자동차에는 트립 미터(트립 주행 거리계)가 포함되어 있다. 트립 미터는 특정 구간의 주행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0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트립 미터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된다.
- 연비 계산: 각 연료 탱크를 소모할 때마다 트립 미터를 재설정하여 주행 거리를 기록하면, 차량의 연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 운전 경로 안내: 운전 경로를 안내받을 때, 각 구간마다 트립 미터를 재설정하면 다음 회전 지점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과거에는 기계식 오도미터와 트립 미터가 주류였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조작이 어려운 디지털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주행 거리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999,999km까지 표시할 수 있어 더 긴 주행 거리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13]
하지만 디지털 오도미터도 특수한 기계를 사용하거나, 차량 검사증을 반납하고 재등록하는 등의 새로운 수법으로 조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14]
7. 철도 차량
참조
[1]
논문
Vitruvius' Odometer
1981-10
[2]
서적
Il prestigiatore di Dio: avventure e miracoli di un alchimista ebreo nelle corti del Rinascimento
https://books.google[...]
Rizzoli
2010
[3]
웹사이트
Benjamin Franklin and His Inventions
https://web.archive.[...]
2019-10-10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Odometer
https://www.thoughtc[...]
2019-10-10
[5]
웹사이트
One Tool That Built the West: Orson Pratt's Odometer
https://history.chur[...]
2021-04-06
[6]
논문
Personal Notes of the Automobile Trade
https://hdl.handle.n[...]
1917-05-17
[7]
웹사이트
Connecticut Inventors
https://web.archive.[...]
Connecticut Humanities Council
2011-03-01
[8]
웹사이트
Company Overview
https://www.veeder.c[...]
2019-10-10
[9]
뉴스
How a Toronto-area Corolla is driven beyond 999,999 kilometres
https://www.theglobe[...]
2019-10-10
[10]
뉴스
Car clocking on the increase
https://www.telegrap[...]
2019-10-10
[11]
웹사이트
Road Traffic Bill 2009: Committee Stage (Resumed)
https://www.oireacht[...]
2019-10-10
[12]
웹사이트
Is Your Odometer Cheating You?
https://www.cbsnews.[...]
2019-01-22
[13]
웹사이트
走行距離100万キロ 走ってみたらどうなった? {{!}} NHK {{!}} ビジネス特集
https://www3.nhk.or.[...]
2023-03-21
[14]
뉴스
不正防止策を逆手 中古車のメーター巻き戻しに新手口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12-09
[15]
문서
근江鉄道LE10形気動車な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