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로치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다. 전통적으로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에서 사냥과 어업을 주 생업으로 삼았으며, 샤머니즘을 믿고 곰 축제와 같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19세기 이후 러시아와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으며, 20세기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으로 생활 방식에 큰 변화를 겪었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686명의 오로치인이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로치인 - 오로치어
오로치어는 러시아 극동 지역의 오로치족이 사용하던 언어로 코피, 오로치 하디, 툼닌 등의 방언으로 나뉘며 소멸 위기에 처해 현재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고,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진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우데게족
우데게족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퉁구스어족 소수 민족으로, 전통적으로 수렵과 어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20세기 후반부터 언어 사용 인구 감소와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네기달인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에 거주하며 퉁구스어족의 네기달어를 사용하고 어업과 수렵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네기달인은 에벤키족의 후손으로 동방 정교회와 정령 숭배 신앙을 유지하는 소수 민족이다.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오로치인 | |
|---|---|
| 일반 정보 | |
![]() | |
| 다른 이름 | 나니 |
| 인구 | 약 3308명 (추정) |
| 거주 지역 |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376명 마가단 주: 94명 사할린 주: 17명 프리모르스키 지방: 16명 우크라이나: 288명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 |
| 언어 | 오로치어, 러시아어 |
| 종교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
| 관련 민족 | 에벤족, 에벤키족, 울치족, 나나이족, 오로크족, 우데게족 |
| 러시아 인구 통계 (2021년) | |
| 하바롭스크 지방 | 376명 |
| 마가단 주 | 94명 |
| 사할린 주 | 17명 |
| 프리모르스키 지방 | 16명 |
2. 역사
1963년부터 1993년까지 오로치 가족에게 주요 변화가 발생했다.[2] 1951-1955년에는 오로치 결혼의 73%가 단일 민족 간의 결혼이었지만, 1991-1995년에는 9%에 불과했다.[2] 오로치-러시아인 결혼의 비율은 1951-1955년 9%에서 1991-1995년 82%로 급증했다.[2] 오로치 가족의 최대 규모는 1963년 10명에서 1993년 7명으로 감소했고,[2] 1993년 오로치 가족의 평균 규모는 2.9명으로, 1963년의 4.8명에 비해 감소했다.[2]
2. 1. 명칭의 기원과 변천
2. 2. 전통 사회와 생활 방식
오로치족은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를 중심으로 사냥(사향노루, 말코손바닥사슴, 여우, 족제비, 곰)과 연안 어업을 하며 살아왔다.[4] 활, 창, 덫, 올가미, 자동 활을 사냥 도구로 사용했으며, 화기와 덫은 19세기에 도입되었다.[3] 해상 수렵과 어로 활동은 일 년 내내 이루어졌는데, 통나무배나 큰 판자 배를 타고 강으로 나가 물개나 바다사자를 찾아 타타르 해협과 그 만으로 나섰다. 해수는 작살, 총, 유빙 조각, 해안에서는 망치로 잡았다.[3] 어로는 주로 연어와 연어를 대상으로 했으며, 아무르연어와 같은 물고기를 어망, 정치망, 작살로 잡았다. 원예 작업도 보조적으로 이루어졌다.[3]
식량은 유콜라라고 불리는 연어와 고기 말린 것과 사냥으로 얻은 수확물에 의존했다.[3] 여우와 족제비는 주로 모피용이었다.
강을 따라 높은 곳에 거주지를 정하고 정주 생활을 하며 부계 씨족 조직을 중심으로 마을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4] 가족 형태는 부계 확대 가족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4] 샤머니즘이 신앙의 중심이 되었으며[4], 곰 축제 의례도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3] 오로치족의 샤먼은 숲 속에 제단을 설치하고 수호령에게 돼지나 수탉, 개 등을 제물로 바쳤다.[7] 제단에는 높은 기둥이 여러 개 세워져 있고, 꼭대기에는 조수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7] 또한 갈까마귀가 독수리와 함께 씨족의 시조가 되는 전승을 가지고 있으며, 영웅 메르겐, 여걸 푸디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웅 서사시를 가지고 있다.[8] 하다우라고 불리는 창조신이 태양을 정복함으로써 원초적 혼돈 세계에 질서를 가져오고, 인류와 생류 일반을 창조한다는 해를 쏘는 신화도 있다.[8]
이러한 문화는 남쪽에 인접한 우데게족과 유사하다.[3]
2. 3. 근대 이후의 변화
19세기 말부터 러시아와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2] 20세기 초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연방 수립 이후,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크게 변화하였다. 1963년부터 1993년까지 오로치족 가족 구성에 변화가 있었는데,[2] 거의 모든 오로치 결혼이 이민족 간의 결혼으로 변화하였으며, 특히 오로치-러시아인 간의 결혼 비율이 급증하였다. 가족 규모 또한 감소하였다.[2] 만주국 시대(1932년~1945년)에는 중화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3. 문화
3. 1. 언어
3. 2. 생업
오로치족의 주요 전통 산업은 사향노루, 말코손바닥사슴, 여우, 족제비, 곰 등을 대상으로 한 사냥과 연안 어업이었다.[4] 사냥 도구로는 활, 창, 덫, 올가미, 자동 활 등이 사용되었으며, 19세기 이후 화기와 덫이 도입되었다. 해상 수렵과 어로 활동은 일 년 내내 이루어졌는데, 통나무배나 큰 판자 배를 타고 타타르 해협과 그 만으로 나가 물개나 바다사자를 사냥했다. 해수는 작살, 총, 유빙 조각, 해안에서는 망치로 잡았다.[3] 어로 활동은 주로 연어와 아무르연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망, 정치망, 작살을 이용하였다. 원예 작업도 보조적으로 이루어졌다.[3] 식량은 유콜라(연어와 고기 말린 것)와 사냥으로 얻은 수확물에 의존했다.[3] 여우와 족제비는 주로 모피용으로 사냥되었다.3. 3. 신앙
샤머니즘이 신앙의 중심이며[4], 곰 축제 의례도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3]。오로치족의 샤먼은 숲 속에 제단을 설치하고 수호령에게 돼지나 수탉, 개 등을 제물로 바쳤다[7]。제단에는 높은 기둥이 여러 개 세워져 있고, 꼭대기에는 조수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7]。갈까마귀가 독수리와 함께 씨족의 시조가 되는 전승을 가지고 있으며, 영웅 메르겐, 여걸 푸디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웅 서사시를 가지고 있다[8]。하다우라고 불리는 창조신이 태양을 정복함으로써 원초적 혼돈 세계에 질서를 가져오고, 인류와 생류 일반을 창조한다는 해를 쏘는 신화도 있다[8]。3. 4. 신화
오로치족에게는 창조신 '하다우'가 태양을 정복하고 인류와 생물을 창조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또한 갈까마귀와 독수리가 씨족의 시조라는 전승이 있다. 영웅 메르겐과 여걸 푸디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웅 서사시도 존재한다.4. 현대 사회
4. 1. 인구
2002년 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에 거주하는 오로치족의 인구는 686명이며, 일부에서 러시아인과의 혼혈이 진행되고 있으며, 생활 양식이 러시아화되고 있다. 1897년의 인구 조사에서 확인된 오로치인은 약 2,407명이었다.[5] 1926년의 통계에서 오로치인과 우데게인을 합쳐 약 2,000명이었다.[6]4. 2. 당면 과제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21: Population by ethnicity
https://rosstat.gov.[...]
[2]
학술지
Историческая Демография
http://illhkomisc.ru[...]
2010
[3]
문서
荻原(1988)p.428
[4]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小項目事典1』「オロチ族」(1972)p.716
[5]
문서
シテルンベルグ『インペラートルスカヤ湾のオロチ人について』(1897)
[6]
문서
松浦(2006)
[7]
문서
荻原(1989)pp.120-124
[8]
문서
荻原(1989)pp.57-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