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吳)는 중국과 한국에 분포하는 성씨이다. 중국에서는 약 2,460만 명이 오씨 성을 사용하며 인구 순위 10위로, 강성(姜姓)과 희성(姬姓)을 기원으로 한다. 한국의 오씨는 20여 본이 존재하며,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763,281명으로 12위를 차지한다. 주요 본관으로는 해주 오씨, 동복 오씨, 보성 오씨 등이 있다. 북한에서는 오씨 가문이 김씨 왕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영향력 있는 가문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씨 - 오기
오기는 중국 전국 시대의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로, 여러 나라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초나라 재상으로 법가 개혁을 추진하여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며, 《오자병법》을 저술했다. - 오씨 - 오유진 (바둑 기사)
오유진은 2012년 프로에 입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궁륭산 병성배, 여류 국수전,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즈, 오청원배 등에서 우승했으며, 2021년 여류 기성전 우승으로 9단에 올랐다.
오 (성씨) | |
---|---|
성씨 정보 | |
한글 | 오 |
한자 | 吳 五 伍 吾 晤 |
로마자 표기 | 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O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조사 | 82,095명 |
2. 중국의 오씨
오씨의 유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염제의 후손 강씨(姜氏)/강성(姜姓)계 오씨이고, 다른 하나는 희성(姬姓) 오태백계 오씨이다.
강성(姜姓) 오씨는 오씨 기원 중 가장 오래된 5,000여 년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강성(姜姓) 염제신농씨의 염제부락 후손 중에 '오씨족'이 있었다. 이들은 대대로 오산(吳山)에 살았으며, 강성 오씨족의 수령인 오권(吳權)이 득성시조가 되었다. 강성계 오씨족의 후예이자 황제 헌원의 모친이 바로 강성 오씨 혈족인 오추(吳樞)이다.
희성(姬姓)은 강성 오씨(姜姓吳氏)의 기원보다 더 후에 나타났다. 춘추전국시대 중국 장강(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제후국이었던 오(吳) 나라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 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일족으로 주나라의 고공단보(古公亶父), 주 태왕(周太王)의 장남인 오태백(吳太伯)을 시조로 하여 희성(姬姓)에서 나왔다. 제후국 오(吳)나라는 태백을 초기 군주로 시작하여 하대 자손인 부차왕의 손자인 루양부터 주나라 천자로부터 오(吳)씨 성을 하사받아 오씨가 되었으며, 비로소 오(吳) 나라의 왕으로 되었다.
1990년대 경까지 중국인들은 황제헌원만을 중국인의 시조로 생각하여 중국 성씨 대다수를 황제헌원(희성)에서 나온 유래로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후 염제신농씨까지 중국인의 시조로 추가하게 되었다. (염황자손이라고 함.) 이러한 연유로 훨씬 더 오래된 기원이 있는 강성계 성씨 기원들은 뒤로 밀려나게 되었다. 오씨의 경우에도 염제신농의 강성 오씨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으나 염제의 존재는 무시한 체 희성 위주로 성씨 기원을 쓰다 보니 강성계 오씨의 기원이 많이 알려지지 않게 된 것이다.
오(吳, Wú/吳중국어) 성은 중국 국가 통계국의 2010년 제6차 전국인구조사(第六次全國人口普查)에서 약 2,460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성씨 인구 순위 10위이며, 중국 인구의 2.05%를 차지한다. 오국왕실적지계(吳國王室的支系)로서 중국 강남(江南)의 대성이다.
2. 1. 강성(姜姓) 오씨
강성(姜姓) 오씨는 오씨 기원 중 가장 오래된 5,000여년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염제의 후손 강씨(姜氏)계 오씨이다. 염제신농씨의 염제부락 후손중에 '오씨족'이 있었는데, 대대로 오산(吳山)에 살았으며, 강성 오씨족의 수령인 오권(吳權)이 득성시조가 되었다. 강성계 오씨족의 후예이자 황제 헌원의 모친이 바로 강성 오씨혈족인 오추(吳樞)이다.1990년대 경까지 중국인들은 황제헌원만을 중국인의 시조로 생각하여 중국성씨 대다수를 황제헌원(희성)에서 나온 유래로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후 염제신농씨까지 중국인의 시조로 추가하게 되었다.
2. 2. 희성(姬姓) 오씨
염제의 후손 강씨(姜氏)/강성(姜姓)계 오씨와 희성(姬姓) 오태백계 오씨로 나누어진다.강성(姜姓)오씨(吳氏)는 오씨 기원중 가장 오래된 5,000여년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강성(姜姓) 염제신농씨의 염제부락 후손중에 '오씨족'이 있었는데, 대대로 오산(吳山)에 살았으며, 강성 오씨족의 수령인 오권(吳權)이 득성시조가 되었다. 강성계 오씨족의 후예이자 황제헌원의 모친이 바로 강성 오씨혈족인 오추(吳樞)이다.
희성(姬姓)은 춘추전국시대 중국 장강(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제후국이었던 오(吳) 나라에서 시작되었다. 주나라의 고공단보(古公亶父), 주 태왕(周太王)의 장남인 오태백(吳太伯)을 시조로 하여 희성(姬姓)에서 나왔다. 제후국 오(吳)나라는 태백을 초기 군주로 시작하여 하대 자손인 부차왕의 손자인 루양부터 주나라 천자로부터 오(吳)씨 성을 하사받아 오씨가 되었으며, 비로소 오(吳) 나라의 왕으로 되었다.
1990년대 경까지 중국인들은 황제헌원만을 중국인의 시조로 생각하여 중국성씨 대다수를 황제헌원(희성)에서 나온 유래로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후, 염제신농씨까지 중국인의 시조로 추가하게 되었다. 훨씬 더 오래된 기원이 있는 강성계 성씨기원들은 뒤로 밀려나게 되었고, 오씨의 경우에도 염제신농의 강성 오씨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으나 염제의 존재는 무시한체 희성 위주로 성씨 기원을 쓰다보니 강성계 오씨의 기원이 많이 알려지지 않게 된 것이다.
오(吳, Wú) 성은 중국 국가 통계국의 2010년 제6차 전국인구조사(第六次全國人口普查)에서 약 2,460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성씨 인구 순위 10위이며, 중국 인구의 2.05%를 차지한다. 오국왕실적지계(吳國王室的支系)로서 중국 강남(江南)의 대성이다.
2. 3. 기타
오씨의 유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염제의 후손 강씨(姜氏)/강성(姜姓)계 오씨이고, 다른 하나는 희성(姬姓) 오태백계 오씨이다.강성(姜姓) 오씨는 오씨 기원 중 가장 오래된 5,000여 년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강성(姜姓) 염제신농씨의 염제부락 후손 중에 '오씨족'이 있었다. 이들은 대대로 오산(吳山)에 살았으며, 강성 오씨족의 수령인 오권(吳權)이 득성시조가 되었다. 강성계 오씨족의 후예이자 황제헌원의 모친이 바로 강성 오씨 혈족인 오추(吳樞)이다.
희성(姬姓)은 강성 오씨(姜姓吳氏)의 기원보다 더 후에 나타났다. 춘추전국시대 중국 장강(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제후국이었던 오(吳) 나라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 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일족으로 주나라의 고공단보(古公亶父), 주 태왕(周太王)의 장남인 오태백(吳太伯)을 시조로 하여 희성(姬姓)에서 나왔다. 제후국 오(吳)나라는 태백을 초기 군주로 시작하여 하대 자손인 부차왕의 손자인 루양부터 주나라 천자로부터 오(吳)씨 성을 하사받아 오씨가 되었으며, 비로소 오(吳) 나라의 왕으로 되었다.
1990년대 경까지 중국인들은 황제헌원만을 중국인의 시조로 생각하여 중국 성씨 대다수를 황제헌원(희성)에서 나온 유래로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후 염제신농씨까지 중국인의 시조로 추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훨씬 더 오래된 기원이 있는 강성계 성씨 기원들은 뒤로 밀려나게 되었다. 오씨의 경우에도 염제신농의 강성 오씨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으나 염제의 존재는 무시한 체 희성 위주로 성씨 기원을 쓰다 보니 강성계 오씨의 기원이 많이 알려지지 않게 된 것이다.
오(吳, Wú) 성은 중국 국가 통계국의 2010년 제6차 전국인구조사(第六次全國人口普查)에서 약 2,460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성씨 인구 순위 10위이며, 중국 인구의 2.05%를 차지한다. 오국왕실적지계(吳國王室的支系)로서 중국 강남(江南)의 대성이다.
3. 한국의 오씨
오씨는 동국만성보에 의하면 20여 본이 있다고 한다. 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19명, 상신 4명, 대제학 3명, 개국공신 2명, 공신 8명, 청백리 3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763,28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순위 12위이다.
유래가 밝혀진 가문들은 다음과 같다.
본관 | 인구 |
---|---|
해주 오씨(海州 吳氏) | 462,704명 |
동복 오씨(同福 吳氏) | 72,394명 |
보성 오씨(寶城 吳氏) | 71,162명 |
함양 오씨(咸陽 吳氏) | 35,846명 |
군위 오씨(軍威 吳氏) | 26,949명 |
고창 오씨(高敞 吳氏) | 18,856명 |
나주 오씨(羅州 吳氏) | 18,152명 |
낙안 오씨(樂安 吳氏) | 11,562명 |
장흥 오씨(長興 吳氏) | 4,132명 |
화순 오씨(和順 吳氏) | 3,952명 |
함평 오씨(咸平 吳氏) | 3,164명 |
울산 오씨(蔚山 吳氏) | 3,015명 |
흥양 오씨(興陽 吳氏) | 2,805명 |
평해 오씨(平海 吳氏) | 1,816명 |
연일 오씨(延日 吳氏) | 352명 |
영원 오씨(寧遠 吳氏) | 80명 |
오(성씨)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신라의 오응(吳應)으로 여겨지며, 그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여 신라의 김종지의 딸과 결혼한 중국 황실의 후손으로 알려진 오첨의 아들이다.[2]
역사적으로 16개의 본관이 오씨 성을 사용해왔다. 가장 큰 다섯 개의 본관은 순서대로 해주 오씨, 동복 오씨, 보성 오씨, 함양 오씨, 군위 오씨이다. 이 중 3개의 가장 큰 본관은 고려를 거란족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한 공로로 각각 해주, 동복, 보성 군수로 임명된 오현보, 오현좌, 오현필 삼형제에 의해 창시되었다.[3]
다섯 개의 가장 큰 본관은 각기 다음과 같은 시조를 둔다.
- 해주 오씨: 고려 시대의 해주 군수 오현보[4]
- 동복 오씨: 고려 시대의 동복 군수 오현좌[5]
- 보성 오씨: 고려 시대의 보성 군수 오현필[6]
- 함양 오씨: 고려 시대의 관리 오광휘[7]
- 군위 오씨: 오현좌의 차남으로, 후에 고려 시대의 군위 군수가 된 오숙귀[8]
현대에 들어와서는, '''북한'''의 '''오''' (또는 '''Oh''') '''씨''' '''가문'''은 김일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혁명 투사 오중흡 때문에 여러 세대에 걸쳐 집권 김씨 왕조와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가문이다. 그들은 북한 정권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가문으로 간주되며 김씨 가문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가문으로 여겨진다.[9]
3. 1. 본관
오씨는 동국만성보에 의하면 20여 본이 있다고 한다. 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19명, 상신 4명, 대제학 3명, 개국공신 2명, 공신 8명, 청백리 3명을 배출하였다.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763,28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순위 12위이다.
유래가 밝혀진 가문들은 다음과 같다.
본관 | 인구 |
---|---|
해주 오씨 | 462,704명 |
동복 오씨 | 72,394명 |
보성 오씨 | 71,162명 |
함양 오씨 | 35,846명 |
군위 오씨 | 26,949명 |
고창 오씨 | 18,856명 |
나주 오씨 | 18,152명 |
낙안 오씨 | 11,562명 |
장흥 오씨 | 4,132명 |
화순 오씨 | 3,952명 |
함평 오씨 | 3,164명 |
울산 오씨 | 3,015명 |
흥양 오씨 | 2,805명 |
평해 오씨 | 1,816명 |
연일 오씨 | 352명 |
영원 오씨 | 80명 |
오(성씨)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신라의 오응(吳應)으로 여겨지며, 그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여 신라의 김종지의 딸과 결혼한 중국 황실의 후손으로 알려진 오첨의 아들이다.[2]
역사적으로 16개의 본관이 오씨 성을 사용해왔다. 가장 큰 다섯 개의 본관은 순서대로 해주 오씨, 동복 오씨, 보성 오씨, 함양 오씨, 군위 오씨이다. 이 중 3개의 가장 큰 본관은 고려를 거란족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한 공로로 각각 해주, 동복, 보성 군수로 임명된 오현보, 오현좌, 오현필 삼형제에 의해 창시되었다.[3]
다섯 개의 가장 큰 본관은 각기 다음과 같은 시조를 둔다.
- 해주 오씨: 고려 시대의 해주 군수 오현보[4]
- 동복 오씨: 고려 시대의 동복 군수 오현좌[5]
- 보성 오씨: 고려 시대의 보성 군수 오현필[6]
- 함양 오씨: 고려 시대의 관리 오광휘[7]
- 군위 오씨: 오현좌의 차남으로, 후에 고려 시대의 군위 군수가 된 오숙귀[8]
현대에 들어와서는, '''북한'''의 '''오''' (또는 '''Oh''') '''씨''' '''가문'''은 김일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혁명 투사 오중흡 때문에 여러 세대에 걸쳐 집권 김씨 왕조와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가문이다. 그들은 북한 정권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가문으로 간주되며 김씨 가문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가문으로 여겨진다.[9]
3. 2. 해주 오씨
해주 오씨(海州 吳氏) 시조 오인유(吳仁裕)는 중국 송(宋)나라의 대학사(大學士)로 984년(성종 3년) 고려에 귀화하여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내고 해주(海州)에 정착하였다. 오인유의 14세손 오윤겸(吳允謙)이 조선 인조조에 영의정에 올랐고, 오윤겸의 현손 오명항(吳命恒)은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으로 우의정에 이르렀다.역사적으로 16개의 본관이 오씨 성을 사용해왔다.[2] 가장 큰 본관은 해주 오씨이다.[3] 해주 오씨는 고려 시대의 해주 군수 오현보를 시조로 한다.[4]
3. 3. 함양 오씨 (향파)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인 오첨(吳瞻)이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갔다. 오첨(吳瞻)은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3. 4. 그 외 본관
오씨는 동국만성보에 의하면 20여 본이 있다고 한다. 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19명, 상신 4명, 대제학 3명, 개국공신 2명, 공신 8명, 청백리 3명을 배출하였다.오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763,28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순위 12위이다.
유래가 밝혀진 가문들은 다음과 같다.
본관 | 인구 |
---|---|
해주 오씨(海州 吳氏) | 462,704명 |
동복 오씨(同福 吳氏) | 72,394명 |
보성 오씨(寶城 吳氏) | 71,162명 |
함양 오씨(咸陽 吳氏) | 35,846명 |
군위 오씨(軍威 吳氏) | 26,949명 |
고창 오씨(高敞 吳氏) | 18,856명 |
나주 오씨(羅州 吳氏) | 18,152명 |
낙안 오씨(樂安 吳氏) | 11,562명 |
장흥 오씨(長興 吳氏) | 4,132명 |
화순 오씨(和順 吳氏) | 3,952명 |
함평 오씨(咸平 吳氏) | 3,164명 |
울산 오씨(蔚山 吳氏) | 3,015명 |
흥양 오씨(興陽 吳氏) | 2,805명 |
평해 오씨(平海 吳氏) | 1,816명 |
연일 오씨(延日 吳氏) | 352명 |
영원 오씨(寧遠 吳氏) | 80명 |
역사적으로 16개의 본관이 오씨 성을 사용해왔다.[3] 가장 큰 다섯 개의 본관은 해주 오씨, 동복 오씨, 보성 오씨, 함양 오씨, 군위 오씨이다.[3] 이 중 해주 오씨, 동복 오씨, 보성 오씨는 고려를 거란족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한 공로로 각각 해주, 동복, 보성 군수로 임명된 오현보, 오현좌, 오현필 삼형제에 의해 창시되었다.[3]
함양 오씨는 고려 시대의 관리 오광휘[7], 군위 오씨는 오현좌의 차남으로, 후에 고려 시대의 군위 군수가 된 오숙귀[8]가 시조이다.
'''북한'''의 '''오''' (또는 '''Oh''') '''씨''' '''가문'''은 김일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혁명 투사 오중흡 때문에 여러 세대에 걸쳐 집권 김씨 왕조와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가문이다.[9] 그들은 북한 정권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가문으로 간주되며 김씨 가문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가문으로 여겨진다.[9]
4. 북한의 오씨
5. 기타
5. 1. 해외 분포
미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성씨를 한 글자인 "O"보다는 "오(吳)"를 선호하는데, 한 글자 성씨는 종종 약어나 오기로 오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10]5. 2. 오씨 성을 가진 인물
세드릭 오(Cédric O)는 프랑스 정치인으로, 디지털 담당 국무장관을 역임했다.데이비드 오(David Oh)는 한국계 미국 정치인이다.
델핀 오(Delphine O)는 프랑스 정치인으로, 파리 제16구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펠리시아 오(Felicia Oh)는 미국 브라질 유술의 검은 띠이자 서브미션 그래플링 선수이다.
산드라 오(Sandra Oh)는 캐나다계 미국 배우이다.
오대규, 오대환, 오달수, 오은영, 오하영, 오희준, 오재무, 오지은, 오지호, 오지민, 오정세, 오만석, 오민석, 오승아, 오승훈, 오승윤, 오연아, 오연서, 오영수, 오윤아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오은선은 대한민국의 산악인이다.
오혁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인디 록 밴드 혁오의 멤버이다.
오혜린(예명 레이나)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애프터스쿨의 멤버이다.
오민택(예명 엘로)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오세훈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엑소의 멤버이다.
오종혁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오대근은 대한민국의 필드하키 선수이다.
오은석, 오상욱은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이다.
오현규, 오인균, 오재석, 오장", 오주호, 오주현, 오승범, 오승훈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오재일, 오재원, 오지환, 오주원, 오승환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오재성, 오지영은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오진혁은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이다.
오지영은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다.
오주연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오준은 대한민국의 유엔 대사이다.
오정근은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오성대는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이다.
오상원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오세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오승신, 오승순은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이다.
오성옥, 오용란, 오영기, 오윤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이다.
오태석은 대한민국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오탁번은 대한민국의 시인, 작가, 평론가이다.
오우택은 대한민국의 생리학자이다.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기자이다.
오영수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오윤은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오윤형은 대한민국의 럭비 유니언 선수이다.
오희는 대한민국의 수학자이다.
오민근은 대한민국의 전 복싱 선수이다.
오승립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오진우는 북한 원수이자 정치국 위원이다.
오정흡은 북한 군인이다.
오윤경은 북한 전 축구 수비수이다.
오연경은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이다.
오윤교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www.kostat.go[...]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05-28
[2]
웹사이트
해주 오씨
https://terms.naver.[...]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오씨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4]
웹사이트
해주 오씨
https://terms.naver.[...]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5]
웹사이트
동북 오씨
https://terms.naver.[...]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6]
웹사이트
보성 오씨
https://terms.naver.[...]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7]
웹사이트
함양 오씨
https://terms.naver.[...]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8]
웹사이트
군위 오씨
https://terms.naver.[...]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9]
웹사이트
Thae Yong Ho's defection in the context of the O family legacy
http://www.dailynk.c[...]
2016-08-21
[10]
뉴스
Why, O Why, Doesn't That Name Compute?
https://www.nytimes.[...]
1991-08-28
[11]
웹인용
중국 10대 성씨 어디서 왔을까
http://www.wikitree.[...]
위키트리
2014-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