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테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테니스는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1896년 시작되어 1924년까지 진행되었으나, 1928년 종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다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현재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5개 종목이 진행된다. 올림픽 테니스는 국가별 출전 선수 수 제한, 3위 결정전, 복식 경기 시 동일 국가 선수끼리만 팀을 구성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며, 단식 총 64명, 복식은 한 국가당 최대 2팀까지 출전할 수 있다. 2021년부터는 결정 세트에서 6-6 동점 시 7점 매치 타이브레이크 게임으로 승부를 결정한다.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세레나 윌리엄스와 비너스 윌리엄스는 복식에서 3번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그랜드 슬램 대회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을 모두 획득하는 '골든 슬램'은 테니스 선수에게 최고의 영예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니스 대회 - 그랜드 슬램 (테니스)
    그랜드 슬램은 테니스 4대 메이저 대회인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 US 오픈을 모두 우승하는 것을 의미하며, 연간, 논-캘린더 이어, 커리어, 골든 슬램 등 다양한 형태로 달성될 수 있다.
  • 테니스 대회 - ATP 챌린저 투어
    ATP 챌린저 투어는 프로 테니스 2부 투어로, ATP 투어 바로 아래 단계이며 랭킹 50위에서 400위 사이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2023년 토너먼트 시스템 개편으로 챌린저 175를 포함한 여러 등급으로 나뉜다.
  • 올림픽 테니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파리에서 개최된 제2회 하계 올림픽의 테니스 경기로, 여자 선수 참가가 처음 허용되어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 경기가 추가되었고 총 4개국 26명의 선수가 4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는 혼합팀이 출전하기도 했다.
  • 올림픽 테니스 - 189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테니스는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볼랜드가 단식 금메달, 프리드리히 트라운과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합팀도 복식에서 메달을 얻었다.
  • 올림픽 테니스에 관한 -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파리에서 개최된 제2회 하계 올림픽의 테니스 경기로, 여자 선수 참가가 처음 허용되어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 경기가 추가되었고 총 4개국 26명의 선수가 4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는 혼합팀이 출전하기도 했다.
  • 올림픽 테니스에 관한 - 189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테니스는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볼랜드가 단식 금메달, 프리드리히 트라운과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합팀도 복식에서 메달을 얻었다.
올림픽 테니스
올림픽 테니스
종목 코드TEN
스포츠테니스
남자 종목 수2
여자 종목 수2
혼합 종목 수1
테니스 토너먼트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Grand Slam tournaments
ATP 투어ATP Tour
ATP 파이널스ATP Finals
ATP 마스터스 1000ATP Masters 1000
ATP 500 시리즈ATP 500 series
ATP 250 시리즈ATP 250 series
ATP 챌린저 투어ATP Challenger
ATP 랭킹ATP rankings
WTA 투어WTA Tour
WTA 파이널스WTA Finals
WTA 1000 토너먼트WTA 1000
WTA 500 토너먼트WTA 500
WTA 250 토너먼트WTA 250
WTA 125 토너먼트WTA 125
WTA 랭킹WTA rankings
데이비스 컵Davis Cup
레이버 컵Laver Cup
빌리 진 킹 컵Billie Jean King Cup
호프만 컵Hopman Cup
유나이티드 컵United Cup
ITF 남자 월드 테니스 투어ITF Men's Circuit
ITF 여자 월드 테니스 투어ITF Women's Circuit
ITF 휠체어 테니스 투어ITF Wheelchair's Circuit
휠체어 테니스 마스터스Wheelchair Tennis Masters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
하계 패럴림픽 휠체어 테니스Summer Paralympics

2. 역사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테니스는 근대 올림픽의 9개 종목 중 하나였으며, 유일한 구기 종목이었다. 1920년대 후반, 테니스계는 “아마추어”와 “프로페셔널”로 양분되기 시작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이를 이유로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 이후 테니스를 올림픽에서 제외했다.

이후 1960년대 말까지 아마추어 선수들이 프로테니스 선수로 전향하여 프로테니스 투어에 참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때문에 아마추어 선수만 참가할 수 있는 그랜드슬램(4대 메이저 대회)의 권위가 저하되는 등 테니스계는 어려움을 겪었다. 1968년부터 4대 메이저 대회의 “오픈화 조치”가 실시되어 프로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었고, 같은 해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 테니스가 실시되었지만, IOC는 아마추어 헌장을 포기하지 않았다.

1980년 IOC 위원장에 취임한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는 올림픽 개혁으로 “아마추어 헌장의 포기”와 “프로페셔널의 해금”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1980년대부터 여러 종목에서 프로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기 시작했다. 테니스도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톱 플레이어가 참가할 수 있는 토너먼트로서 부활했다.[4]

2. 1. 초기 올림픽 (1896년~1924년)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테니스는 근대 올림픽의 9개 종목 중 하나로 시작되었으며, 유일한 구기 종목이었다. 초기에는 남자 단식과 남자 복식 두 종목만 있었다. 1896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존 피우스 보랜드 (아일랜드)가 남자 단식 금메달을, 보랜드와 프리드리히 트라운 (독일) 조가 남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다. 초기 올림픽은 국가 단위가 아닌 개인 단위로 참가했기 때문에, 복식에서는 다른 국가 선수들이 짝을 이룬 "혼성팀"(Mixed Team, 올림픽 약어 '''ZZX''')도 있었다.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이 추가되었다. 샬럿 쿠퍼 (잉글랜드)가 여자 단식 첫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합 복식에서도 금메달을 따내며 여자 테니스 첫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 대회에서도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 "혼성팀"이 있었다.

초기 올림픽 테니스는 대회마다 실시 종목이 달랐다. 1908년 런던 올림픽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는 야외 경기 외에 "실내 경기"(Indoor Courts)가 별도로 실시되어 메달이 수여되었다.

대회개최지코트 표면남자 단식여자 단식남자 복식여자 복식혼합 복식
1896
아테네
아테네 로앤 테니스 클럽클레이 존 볼랜드미개최 존 볼랜드
프리드리히 트라운
미개최미개최
1900
파리
세르클 데 스포르, 뒬 드 퓔토클레이 로런스 도허티 샬럿 쿠퍼 로런스 도허티
레지널드 도허티
샬럿 쿠퍼
레지널드 도허티
1904
세인트루이스
프랜시스 필드클레이 빌스 라이트미개최 빌스 라이트
에드가 레오나드
미개최
1908
런던
퀸스 클럽 (실내)우드 아서 고어 구웬돌린 이스트레이크-스미스 허버트 로퍼 배럿
아서 고어
올잉글랜드 클럽그래스 메이저 리치 도로시아 램버트 체임버스 레지널드 도허티
조지 힐리어드
1912
스톡홀름
외스테르말름 테니스 파빌리온 (실내)우드 앙드레 고베르 에디스 해넘 모리스 제르모
앙드레 고베르
에디스 해넘
찰스 딕슨
외스테르말름 테니스 파빌리온클레이 찰스 윈슬로 마르게리트 브로케디 해롤드 키츠온
찰스 윈슬로
도로테아 쾨링
하인리히 쇼움부르크
1920
앤트워프
베어르쇼트 테니스 클럽그래스 루이 레이몬드 수잔느 랭글랭 노엘 턴불
맥스 우즈넘
캐슬린 맥케인
위니프레드 맥네어
수잔느 랭글랭
맥스 데쿠지
1924
파리
스타드 올랭피크 이브 뒤 마누아르클레이 빈센트 리차즈 헬렌 윌스 프랜시스 헌터
빈센트 리차즈
헤이즐 와이트먼
헬렌 윌스
헤이즐 와이트먼
R. 노리스 윌리엄스


2. 2. 올림픽 복귀 (1988년~현재)

세리나 윌리엄스비너스 윌리엄스는 각각 금메달 4개를 획득하여 올림픽 테니스 최다 금메달 기록을 세웠는데, 이 중 3개는 복식 조로 함께 획득한 것이다. 이들은 같은 올림픽 종목에서 세 번이나 우승한 유일한 선수들이다.[1] 비너스 윌리엄스(금메달 4개, 은메달 1개)와 캐슬린 맥케인 고드프리(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는 올림픽 테니스 최다 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 5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1] 앤디 머레이는 단식에서 금메달을 두 번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며, 올림픽 타이틀을 방어한 유일한 단식 선수이다.[1] 니콜라스 마수, 비너스 윌리엄스, 세리나 윌리엄스는 오픈 시대(1968년 이후)에 단식과 동성 복식 토너먼트를 모두 한 번의 올림픽에서 우승한 유일한 선수들인데, 각각 2004년, 2000년, 2012년에 이를 달성했다.[1]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프로 테니스 선수의 출전을 허용하는 형태로, 19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64년 만에 테니스 경기가 부활했다.[4] 이 결정은 "올림픽은 아마추어 선수들의 축제"라는 기본 이념을 뒤엎는 것이었기에 당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남자 프로 테니스 협회(ATP) 투어 대회나 여자 테니스 협회(WTA) 투어 대회와 달리 상금이 없기 때문에, 선수들마다 올림픽 출전에 대한 태도가 크게 다르다. 64년 만에 부활한 서울 올림픽에서는 남녀 단식, 남녀 복식 4개 부문이 진행되었고, 혼합 복식은 부활하지 않았다. 서울 올림픽에서 "부활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는 남자 단식은 미로슬라프 메치르주(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여자 단식은 슈테피 그라프(당시 서독)였다.[4]

1991년 여자 테니스 국가대항전인 페더레이션컵에서 일부 여자 정상급 선수들이 페더레이션컵 출전을 포기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올림픽 대표 선수에 "데이비스컵(남자 단체전)/페더레이션컵(여자 단체전) 대표 선수"가 필수 조건으로 정해졌다.[5]

3. 경기 종목

올림픽 테니스는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1924년 파리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제외되었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다시 정식 종목으로 복귀하였다.

올림픽 테니스 종목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종목18961900190419081912192019241968[1]1984[1]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
남자 단식15
남자 복식15
여자 단식13
여자 복식8
혼합 복식6
남자 인도어 단식2
남자 인도어 복식2
여자 인도어 단식2
혼합 복식 인도어1
합계242685544444455


  •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과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테니스가 시범 종목으로 운영되었다.


초창기 올림픽에서는 남자 단식과 남자 복식만 진행되었으나, 1900년 파리 올림픽부터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이 추가되었다. 1908년 런던 올림픽과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는 실내 경기가 추가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테니스가 정식 종목으로 복귀하면서 여자 복식이 추가되었고, 2012년 런던 올림픽부터 혼합 복식이 다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현재 5개 종목이 운영되고 있다.

1900년 대회에서는 샬럿 쿠퍼가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에서 우승하여, 여자 선수 최초로 올림픽 2관왕을 차지했다.

다음은 같은 올림픽에서 두 종목을 우승한 선수 목록이다.

년도남자 단식 & 남자 복식년도여자 단식 & 여자 복식년도남자 복식 & 혼합 복식년도여자 단식 & 혼합 복식
1896 존 볼랜드1924 헬렌 윌스1900 레지널드 도허티1900 샬럿 쿠퍼
1900 로렌스 도허티2000 비너스 윌리엄스1912 에디스 해넘
1904 빌스 라이트2012 세레나 윌리엄스1920 수잔 랭글랭
1908 아서 고어
1912 찰스 윈슬로
2004 니콜라스 마수


3. 1. 현행 종목 (5개)

종목18961900190419081912192019241928–196419681972–19801984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20202024합계
남자 단식rowspan=5 bgcolor="efefef"|(공개, 시범)rowspan=5 bgcolor="efefef"|(공개)17
남자 복식(공개, 시범) 17
여자 단식  (공개, 시범)(공개)15
여자 복식      (공개, 시범) 13
혼합 복식   (공개, 시범)       8


  • 주1: 위 표의 종목 목록은 공식 기록에서 삭제된 1906년 중간 올림픽과 1968년, 1984년 비공식 경기를 포함한다.
  • 주2: 합계에는 중간 올림픽과 비공식 경기의 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 주3: 표에서 “공개”는 공개 경기, “시범”은 시범 경기를 의미한다. 1968년 멕시코시티 대회의 비공식 경기에서는 “공개 경기”와 “시범 경기”가 별도로 실시되었다.

3. 2. 과거 종목

종목9600040812202428–646872–808488929600040812162024개최 횟수
남자 단식 (실내)XX이후 개최되지 않음2
남자 복식 (실내)XX이후 개최되지 않음2
여자 단식 (실내)XX이후 개최되지 않음2
혼합 복식 (실내)X이후 개최되지 않음1


4. 경기 방식

2021년부터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서는 결정 세트(3세트)에서 6-6 동점이 되면 7점 매치 타이브레이크 게임으로 승부를 결정한다. 타이브레이크 게임에서 6-6 동점이 될 경우, 연속으로 2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승리한다.[10][11]

1926년 세계 최초로 프로 테니스 선수가 등장하면서, 수잔느 랭글랭이나 빈센트 리처즈와 같은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프로로 전향하였다. 이 때문에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테니스는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64년 만에 다시 정식 종목으로 부활했다. 이는 "올림픽은 아마추어 선수들의 축제"라는 기본 이념을 뒤엎는 것이었기에 당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남자 프로 테니스 협회(ATP) 투어나 여자 테니스 협회(WTA) 투어와는 달리 상금이 없기 때문에, 선수들마다 올림픽 출전에 대한 태도가 크게 다르다.

2004년부터 2012년 하계 올림픽까지 ATP와 WTA 투어는 단식 선수들에게 올림픽 참가에 대한 랭킹 포인트를 부여했으나, 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중단되었다.[10][11]

1991년 여자 테니스 국가대항전인 페더레이션 컵에서 일부 정상급 선수들이 출전을 포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올림픽 대표 선수 자격에 데이비스 컵(남자 단체전)이나 페더레이션 컵(여자 단체전) 대표 선수 경력이 필수 조건으로 정해졌다.

종목경기장코트 표면남자 단식여자 단식남자 복식여자 복식혼합 복식
1988
서울
서울올림픽공원 테니스경기장하드코트 밀로슬라프 메치르 슈테피 그라프 켄 플래치
로버트 세구소
팸 슈라이버
지나 개리슨
미개최
1992
바르셀로나
발데브론 테니스장(Tennis de la Vall d'Hebron)클레이코트 마르크 로세 제니퍼 캐프리아티 보리스 베커
마이클 슈티히
지지 페르난데스
메리 조 페르난데스
1996
애틀랜타
스톤 마운틴 테니스 센터(Stone Mountain Tennis Center)하드코트 안드레 애거시 린제이 데이븐포트 토드 우드브리지
마크 우드포드
지지 페르난데스
메리 조 페르난데스
2000
시드니
시드니 올림픽 공원 테니스 센터(Sydney Olympic Park Tennis Centre)하드코트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비너스 윌리엄스 세바스티앙 라로
다니엘 네스토르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2004
아테네
아테네 올림픽 테니스 센터(Athens Olympic Tennis Centre)하드코트 니콜라스 마수 쥐스틴 에냉 페르난도 곤잘레스
니콜라스 마수
리팅
쑨톈톈
2008
베이징
국가 테니스 센터(National Tennis Center)하드코트 라파엘 나달 엘레나 데멘티에바 로저 페더러
스태니슬라스 바브링카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2012
런던
올잉글랜드 클럽(All England Club)잔디코트 앤디 머레이 세레나 윌리엄스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빅토리아 아자렌카
막스 미르니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테니스 센터(Olympic Tennis Centre)하드코트 앤디 머레이 모니카 푸이그 마르크 로페즈
라파엘 나달
예카테리나 마카로바
엘레나 베스니나
베타니 마텍샌즈
잭 삭
2020
도쿄
아리아케 테니스 파크(Ariake Tennis Park)하드코트 알렉산더 즈베레프 벨린다 벤치치 니콜라 메크티치
마테 파비치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
카테리나 시니아코바
아나스타샤 파블류첸코바
안드레이 루블레프
2024
파리
롤랑가로스 스타드(Stade Roland Garros)클레이코트 노바크 조코비치 정친원 매슈 에브던
존 피어스
사라 에라니
자스민 파올리니
카테리나 시니아코바
토마시 마하치
2028
로스앤젤레스
디그니티 헬스 스포츠 파크(Dignity Health Sports Park)하드코트
2032
브리즈번
퀸즐랜드 테니스 센터(Queensland Tennis Centre)하드코트


4. 1. 출전 자격

올림픽 테니스의 출전 자격은 국가 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의 규정에 따라 결정된다.

  • 단식의 총 출전 선수는 남녀 각각 64명이며, 한 국가당 최대 4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복식은 한 국가당 최대 2팀까지 출전 가능하며, 단식과 복식을 합쳐 한 국가당 최대 출전 선수는 6명이다.
  • 단식 출전 선수 56명은 올림픽 개최 연도에 열리는 프랑스 오픈 결과를 반영한 ATP·WTA 랭킹 상위 선수들 중에서 선발한다. 단, 같은 국가에서 5위 이하의 선수는 출전 자격이 없으며, 그 자리는 57위 이하의 다른 국가 선수들에게 배정된다. 나머지 8명은 각 국가의 상한선 범위 내에서 국제 테니스 연맹(ITF)이 추천한다.


과거에는 데이비스 컵(남자 단체전)과 페더레이션 컵(여자 단체전) 대표 선수 자격이 필수 조건이었다. 이는 1991년 페더레이션컵에서 일부 여자 정상급 선수들이 출전을 포기한 사건을 계기로 정해졌다.

4. 2. 경기 규칙

2021년부터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서는 결정 세트(3세트)에서 6-6 동점이 되면 7점 매치 타이브레이크 게임으로 승부를 결정한다. 타이브레이크 게임에서 6-6 동점이 될 경우, 연속으로 2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승리한다.[10][11]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19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64년 만에 테니스 경기가 부활했다. 이는 "올림픽은 아마추어 선수들의 축제"라는 기본 이념을 뒤엎는 것이었기에 당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남자 프로 테니스 협회(ATP) 투어나 여자 테니스 협회(WTA) 투어와는 달리 상금이 없기 때문에, 선수들마다 올림픽 출전에 대한 태도가 크게 다르다.

1991년 여자 테니스 국가대항전인 페더레이션 컵에서 일부 여자 정상급 선수들이 페더레이션 컵 출전을 포기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올림픽 대표 선수 자격에 데이비스 컵(남자 단체전)이나 페더레이션 컵(여자 단체전) 대표 선수 경력이 필수 조건으로 정해졌다.

5. 메달 집계

1896년, 1900년, 1904년, 1988년, 1992년에는 준결승에서 패한 선수들이 동메달을 공유했다.[5][6] 다른 모든 해에는 동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올림픽 테니스 토너먼트는 재도입 이후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일부 선수, 비평가, 스포츠 전문가들은 올림픽 금메달 획득을 메이저 타이틀 우승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명예로운 것으로 여기고 있다.


5. 1. 역대 메달 집계 (1896년~2020년)



1896년, 1900년, 1904년, 1988년, 1992년에는 준결승에서 패한 선수들이 동메달을 공유했다.[5][6] 다른 모든 해에는 동메달 결정전이 열렸다.

5. 2. 주요 메달 획득 선수 (1896년~2020년)

순위이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레지널드 도허티3014
2비너스 윌리엄스4105
3빈센트 리처즈2103
4로렌스 도허티2013
5메리 페르난데스2013
6수잔느 레글린2013
7찰스 윈슬로2013
8존 볼랜드2002
9차로트 쿠퍼2002
10지지 페르난데스2002
11앙드레 고베르2002
12아서 고레2002
13에디스 해넘2002
14니콜라스 마수2002
15헤이즐 휘트맨2002
16세레나 윌리엄스4004
17헬렌 무디2002
18빌스 라이트2002
19카틀린 가드프리1225
20찰슨 딕슨1124
21막스 데퀴지1113
22페르난도 곤살레스1113
23슈테피 그라프1113
24조시아 리치1113
25헤르버트 바레트1102
26엘레나 데멘티에바1102
27해럴드 키트슨1102
28도로테아 쾨링1102
29토드 우드브리지1102
30마크 우드포드1102
31맥스 우스넘1102
32마르그리트 브로크디스1012
33지나 개리슨1012
34에드거 레오너드1012
35밀로슬라프 메치르1012
36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0224
37군나르 세테르발0224
38해럴드 마호니0213
39콘치타 마르티네스0213
40야나 노보트나0213
41조지 카리디아0202
42앙리 코셰0202
43도로시 홀먼0202
44디오니시오스 카스다글리스0202
45쿠마가에 이치야0202
46로버트 르로이0202
47헬렌 프레보스트0202
48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0202
49헬레나 수코바0202
50알폰조 벨0112
51시그리드 픽0112
52알베르 카네0022
53스테판 에드베리0022
54고란 이바니셰비치0022
55매리언 존스0022
56아서 노리스0022
57헤드비가 로젠바우모바0022



1896년, 1900년, 1904년, 1988년, 1992년에는 준결승에서 패한 선수들이 동메달을 공유했다.[5][6] 다른 모든 해에는 동메달을 위한 플레이오프 경기가 열렸다. 올림픽 테니스 토너먼트는 재도입 이후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일부 선수, 비평가, 스포츠 전문가들은 올림픽 금메달 획득을 메이저 타이틀 우승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명예로운 것으로 여기고 있다.

6. 골든 슬램

올림픽 또는 패럴림픽 금메달과 4개의 메이저 대회 우승을 같은 해에 달성한 선수는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고 한다. 한편, 경력 동안 4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과 올림픽 금메달을 모두 획득한 선수는 '경력 골든 슬램'을 달성한 것이다. 4년에 한 번 열리는 올림픽에서 우승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4개의 메이저 대회(그랜드슬램)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을 모두 획득하는 것을 "'''골든슬램'''"(Golden Slam)이라고 부른다.[7]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슈테피 그라프가 여자 테니스 역사상 세 번째 "연간 그랜드슬램"을 달성함과 동시에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이 용어가 만들어졌다. 2021년 기준으로, 슈테피 그라프(1988년)와 딜런 올콧(2021년)만이 1년 안에 골든 슬램을 달성한 선수들이다. 지지 페르난데스, 세리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는 복식에서 두 번의 경력 골든 슬램을 완성한 유일한 선수들이다. 남자 테니스에서는 안드레 애거시, 라파엘 나달, 노박 조코비치가 각각 경력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여러 복식 선수들이 이 업적을 달성했으며, 세리나 윌리엄스는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경력 골든 슬램을 완성한 유일한 선수이다.[7] 2021년에는 휠체어 테니스 선수 디에데 드 그로트와 딜런 올콧이 패럴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며 휠체어 테니스에서 이에 상응하는 업적을 달성했다.[8]

; 남자 단식 달성자

달성자커리어 골든슬램 달성 기간올림픽 첫 금메달비고
안드레 아가시1992년 윔블던→1999년 프랑스 오픈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라파엘 나달2005년 프랑스 오픈→2010년 US 오픈2008년 베이징 올림픽
노박 조코비치2008년 호주 오픈→2024년 파리 올림픽2024년 파리 올림픽



; 여자 단식 달성자

달성자커리어 골든슬램 달성 기간올림픽 첫 금메달비고
슈테피 그라프1988년 프랑스 오픈→1988년 US 오픈1988년 서울 올림픽남녀 유일의 연간 골든슬램 달성자
세리나 윌리엄스1999년 US 오픈→2003년 호주 오픈2012년 런던 올림픽남녀 유일의 단식·복식 모두 달성자



; 남자 복식 달성자

달성자커리어 골든슬램 달성 기간올림픽 첫 금메달비고
토드 우드브리지
마크 우드포드
1992년 호주 오픈 → 2000년 프랑스 오픈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다니엘 네스터2002년 호주 오픈 → 2008년 윔블던2000년 시드니 올림픽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2003년 프랑스 오픈 → 2006년 윔블던2012년 런던 올림픽



; 여자 복식 달성자

달성자커리어 골든슬램 달성 기간올림픽 첫 금메달비고
팸 슈라이버1981년 윔블던 → 1984년 호주 오픈1988년 서울 올림픽
지지 페르난데스1988년 US 오픈 → 1993년 호주 오픈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4대 메이저 대회에서는 나타샤 즈베레바와, 올림픽에서는 동일 국가 선수와 짝을 이뤄야 하는 제약으로 메리 조 페르난데스와 짝을 이뤄 달성
비너스 윌리엄스
세리나 윌리엄스
1999년 프랑스 오픈 → 2001년 호주 오픈2000년 시드니 올림픽세리나는 남녀 유일의 단식·복식 모두 달성자



; 혼합 복식 달성자

혼합 복식에서 달성한 선수는 없다.

7. 참가국

국가1896190019041908191219201924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2020회수
알제리2
아르헨티나6
아르메니아3
오스트레일리아111
오스트레일리아117
오스트리아336
바하마4
벨라루스3
벨기에164
베냉1
버뮤다1
보헤미아1483
볼리비아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
브라질7
불가리아4
캐나다37
칠레3
중화인민공화국6
중화 타이베이4
콜롬비아2
코스타리카1
코트디부아르1
크로아티아4
키프로스1
체코3
체코슬로바키아73
덴마크1036
도미니카 공화국1
에콰도르2
에스토니아1
핀란드2
프랑스114161013
독일11578
영국262211812
그리스717
아이티4
홍콩1
헝가리1367
인도6
인도네시아6
아일랜드2
이스라엘4
이탈리아48
일본27
라트비아1
룩셈부르크3
마다가스카르3
멕시코6
모로코5
네덜란드218
뉴질랜드2
나이지리아3
노르웨이733
파라과이2
페루3
필리핀1
폴란드4
포르투갈3
푸에르토리코3
루마니아4
러시아24
세르비아 몬테네그로1
슬로바키아3
슬로베니아2
남아프리카 공화국3356
소련2
스페인47
대한민국6
스웨덴41688
스위스36
태국2
튀니지1
우크라이나1
독립국가연합1
미국535111
우루과이1
우즈베키스탄2
베네수엘라3
서독3
유고슬라비아4
짐바브웨5


8. 더블 크라운

올림픽 테니스에서 같은 해에 두 종목에서 우승한 선수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년도남자 단식 &
남자 복식
1896John Boland|존 볼랜드영어
1900Laurence Doherty|로렌스 도허티영어
1904Beals Wright|빌스 라이트영어
1908Arthur Gore|아서 고어영어
1912Charles Winslow|찰스 윈슬로영어
2004Nicolás Massú|니콜라스 마수es



년도여자 단식 &
여자 복식
1924Helen Wills|헬렌 윌스영어
2000Venus Williams|비너스 윌리엄스영어
2012Serena Williams|세레나 윌리엄스영어



년도남자 복식 &
혼합 복식
1900Reginald Doherty|레지널드 도허티영어



년도여자 단식 &
혼합 복식
1900Charlotte Cooper|샬럿 쿠퍼영어
1912Edith Hannam|에디스 해넘영어
1920Suzanne Lenglen|수잔 랭글랭프랑스어


참조

[1] 웹사이트 Olympic Events Through History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2-07-27
[2] 뉴스 SOCCER AND TENNIS BARRED IN OLYMPICS https://www.nytimes.[...] 1928-07-27
[3] 웹사이트 Olympic Tennis Event – History: Overview http://www.itftennis[...]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4] 뉴스 2 More Olympic Games https://www.nytimes.[...] 1981-10-02
[5] 뉴스 Olympics or Slams – What's More Important For Tennis Players? http://www.letsecond[...] Let, Second Serve 2012-07-12
[6] 뉴스 How Important Is an Olympic Gold Medal in Tennis? http://www.worldtenn[...] World Tennis Magazine 2012-09-20
[7] 뉴스 1988: Steffi Graf wins the Golden Slam http://www.tennis.co[...] Tennis.com 2015-07-30
[8] 뉴스 Dylan Alcott achieves history-making 'golden slam' with US Open final victory https://www.theguard[...] 2021-09-13
[9]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10] 웹사이트 ITF and ATP announce Olympic agreement http://www.itftennis[...] itftennis.com
[11] 웹사이트 Ranking Points http://nanjing.itfte[...] itftennis.com
[12] 문서 1896년과 1900년의 테니스 더블스 경기
[13] 문서 1988년 서울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서의 체코슬로바키아 메달
[14] 문서 1988년과 1992년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서의 서독 메달
[15] 웹인용 테니스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16] 뉴스인용 런던올림픽에 여자사이클, 테니스혼복 추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