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 (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이(Wai)는 태국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인사법으로, 손바닥을 모아 가볍게 숙이는 제스처이다. 불교와 힌두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상대방을 동등하게 대우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와이는 인사나 작별 인사에 사용되는 "사와디"와 함께 사용되며, 사회적 지위에 따라 와이의 높이가 달라진다. 외국인의 경우,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와이를 먼저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와이와 유사한 제스처는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여러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문화 - 태국 태양력
태국 태양력은 시암에서 사용되었던 역법을 포괄하며, 불멸기원을 비롯한 다양한 기원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서력 기원을 주로 사용한다. - 태국의 문화 - 노래방
노래방은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시설로, 대한민국에서는 노래연습장으로 불리며 일본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법적 규제, 소음 문제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인사 - 악수
악수는 만남, 인사, 작별, 축하, 감사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사 방식이며, 고대 아시리아 시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먹 부딪치기나 손 감싸기 같은 대체 인사 방식이 등장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접촉 인사가 강조되고 있다. - 인사 - 주먹 인사
주먹 인사는 두 사람이 주먹을 맞부딪히는 제스처로, 인사, 축하, 친분, 존중의 의미를 가지며, 권투 선수들의 글러브 접촉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1970년대 농구 선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는 설이 있고, 위생적인 측면에서 악수를 대체하기도 한다.
와이 (태국) | |
---|---|
일반 정보 | |
명칭 | 와이 |
태국어 | ไหว้ |
로마자 표기 | wai |
설명 | 태국에서 사용되는 인사, 존경, 감사, 사과의 제스처 |
사용 국가 | 태국 |
동작 | |
기본 동작 | 두 손을 모아 가슴 앞으로 가져옴 고개를 약간 숙임 |
변형 | 손의 위치, 고개의 숙임 정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는 손을 높이 들고, 고개를 깊이 숙임 |
의미 | |
인사 | 만남과 헤어짐 시 사용 |
존경 | 나이가 많은 사람,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존경을 표함 |
감사 | 도움을 받았을 때 감사의 마음을 전함 |
사과 | 잘못을 저질렀을 때 사과의 뜻을 표함 |
문화적 중요성 | |
불교 | 불교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존경과 겸손을 나타냄 |
사회 | 태국 사회에서 중요한 예절 중 하나 |
교육 | 태국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기본적인 예절 |
2. 기원
와이(wai) 제스처는 불교에서 유래했으며, 힌두교의 나마스테(namaste)와 유사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손바닥을 모으는 요가 자세로, 두 손바닥의 동등한 만남을 의미한다. 이는 상대방을 동등한 인간으로 대우한다는 의미이다.[2][3]
와이는 오늘날 태국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적 행동으로 여겨지며, 상대방의 사회적 지위를 고려하여 사용된다.[5] 단순한 인사를 넘어 사과의 표현으로도 쓰이는 등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된다.
와이와 함께 인사 또는 작별 인사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는 "사와디"(RTGS 표기로 สวัสดี|사와디th, 때로는 "사왓디"(sawasdee)로 표기됨)이다. 이 구두 인사는 일반적으로 여성은 "카"(kha)를, 남성은 "크랍"(khrap)을 덧붙여 사용한다(태국어 공손 입자 참조). "사와디"라는 단어는 1930년대 중반 쭐라롱꼰 대학교의 프라야 우파킷 실라파산(Phraya Upakit Silapasan)에 의해 만들어졌다.[4] 산스크리트어 "스와스티"(svasti, स्वस्ति, '복지'를 의미)에서 파생된 이 단어는 이전에는 태국에서 비문 시작 부분의 정형화된 문구로만 사용되었다. 1940년대 초 쁠랙 피분송크람의 강력한 민족주의 정부는 태국을 현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문화적 칙령의 일환으로 정부 관료 사회뿐만 아니라 더 넓은 대중에게 이 단어의 사용을 장려했다.
3. 사용
3. 1. 인사말
와이(wai) 제스처는 불교에서 유래했으며, 힌두교의 나마스테(namaste)와 유사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손바닥을 모으는 요가 자세로, 두 손바닥의 동등한 만남을 의미한다. 이는 상대방을 동등한 인간으로 대우한다는 의미이다.[2][3]
와이와 함께 인사 또는 작별 인사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는 "사와디"(RTGS 표기로 สวัสดี|사와디th, 때로는 "사왓디"(sawasdee)로 표기됨)이다. 이 구두 인사는 일반적으로 여성은 "카"(kha)를, 남성은 "크랍"(khrap)을 덧붙여 사용한다(태국어 공손 입자 참조). "사와디"라는 단어는 1930년대 중반 쭐라롱꼰 대학교의 프라야 우파킷 실라파산(Phraya Upakit Silapasan)에 의해 만들어졌다.[4] 산스크리트어 "스와스티"(स्वस्ति|스와스티sa, '복지'를 의미)에서 파생된 이 단어는 이전에는 태국에서 비문 시작 부분의 정형화된 문구로만 사용되었다. 1940년대 초 쁠랙 피분송크람의 강력한 민족주의 정부는 태국을 현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문화적 칙령의 일환으로 정부 관료 사회뿐만 아니라 더 넓은 대중에게 이 단어의 사용을 장려했다.
3. 2. 사회적 의미
와이는 오늘날까지 태국인들의 사회적 행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태국인들은 사회에서 스스로 인식하는 지위에 매우 민감하다. 또한 사과의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며, 때로는 "면책 카드" 역할을 하기도 한다.[5]
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방문객은 와이를 돌려받는 경우가 아니라면 자신보다 어린 사람에게 먼저 와이를 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존경의 표시로 와이를 받으면 항상 와이로 답하는 것이 예의이다. 편의점 계산원 등이 하는 기업적인 와이는 일반적으로 미소나 가벼운 끄덕임으로 답할 수 있다. 물건을 들고 있거나 다른 이유로 와이를 제대로 돌려주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체적으로 답례하려는 노력을 보여 존경을 표해야 한다.
와이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한다.
와이는 기본적으로 나이가 어리거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이 연장자나 윗사람에게 하는 인사법이다. 따라서 상대방이 명백하게 어리거나 서비스업 종사자일 경우에는 먼저 와이를 할 필요는 없다. 상대방이 먼저 와이를 하면 미소를 짓거나, 가벼운 와이와 목례로 답하면 된다. 사업상의 만남처럼 서로 처음 보거나 동등한 관계일 때는 서로 와이를 하기도 한다.
상대에 따라 와이를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하는지는 계급이 세분화된 태국 사회에서 예의상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태국의 계급 참조). 계급뿐만 아니라 상대방과의 관계(나이, 수입, 학력 등)에 따라서도 와이의 예법이 달라진다. 태국 아이들은 유치원 때부터 와이 하는 법을 체계적으로 배운다. 일본의 합장과는 달리, 와이에는 감사나 부탁, 사죄의 의미는 포함되지 않는다.
3. 3. 주의 사항
와이는 오늘날까지 태국인들의 사회적 행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태국인들은 사회에서 스스로 인식하는 지위에 매우 민감하다. 또한 사과의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며, 때로는 "면책 카드" 역할을 하기도 한다.[5]
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관광객이나 방문객은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자신보다 나이가 어리거나 사회적 지위가 낮아 보이는 사람에게 먼저 와이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존경의 표시로 와이를 받으면 항상 와이로 답례해야 한다. 편의점 계산원 등이 하는 형식적인 와이에는 미소나 가볍게 고개를 끄덕이는 것으로 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물건을 들고 있거나 다른 이유로 와이로 답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답례하려는 신체적 노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존경을 표하는 것이 좋다.
와이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와이는 기본적으로 나이가 어리거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이 연장자나 윗사람에게 하는 인사법이다. 따라서 상대방이 명백하게 어리거나 서비스업 종사자일 경우에는 먼저 와이를 할 필요는 없다. 상대방이 먼저 와이를 하면 미소로 답하거나, 가벼운 와이나 목례로 답하면 된다. 사업상의 만남 등 서로 처음 보거나 동등한 관계일 때는 서로 와이를 하기도 한다.
상대에 따라 와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계급이 세분화된 태국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예절로 간주된다 (태국의 계급 참조). 계급뿐만 아니라 상대방과의 관계(나이, 수입, 학력 등)에 따라서도 와이의 방식이 달라진다. 태국 아이들은 유치원 때부터 와이 예절을 배우게 된다.
일본의 합장과는 달리 감사, 부탁, 사죄의 의미는 담고 있지 않다.
4. 다른 나라의 유사한 제스처
프라나마( प्रणाम|프라나마sa ) 또는 나마스테( नमस्ते|나마스테sa )는 고대 인도 문화의 일부로 여겨지는 합장 인사법으로, 태국의 와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인사법은 힌두교와 불교가 인도 대륙의 문화적 영향을 받은 동남아시아로 전파되면서 함께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태국의 와이를 포함하여 동남아시아 및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유사한 합장 인사법을 찾아볼 수 있다.
4. 1. 동남아시아
와이(wai) 제스처는 불교에서 유래했으며, 힌두교의 나마스테(namaste)와 유사한 기원을 가진다. 기본적으로 손바닥을 모으는 요가 자세로, 두 손바닥의 동등한 만남을 의미하며 상대방을 동등한 인간으로 대우한다는 뜻을 내포한다.[2][3] 이러한 합장 인사는 고대 인도 문화의 일부로, 인도 대륙의 문화적 영향을 받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힌두교와 불교가 확산되면서 함께 전파되었다.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는 와이와 유사한 형태의 인사법을 사용한다.
- 캄보디아에서는 សំពះ|삼페아km(sampeah)라고 부른다.
- 라오스에서는 ສະບາຍດີ|사바이디lo('사바이디')라는 인사말과 함께 비슷한 제스처를 사용한다.
- 미얀마에서는 မင်္ဂလာပါ|밍갈라바my(mingalaba) 또는 샨족의 경우 မႂ်ႇသုင်ၶႃႈ|마우 숭 카shn('마우 숭 카')라는 인사와 함께 유사한 제스처를 한다.
- 인도네시아에서는 국가의 다양한 지역에서 와이와 유사한 제스처가 사용된다. 자바의 왕궁에서는 이를 ꦱꦼꦩ꧀ꦧꦃ|셈바jv(sembah, ᮞᮨᮙᮘᮃᮠ|셈바su, ᬲᭂᬫ᭄ᬩᬄ|셈바ban)라고 부르며, 과거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이 강했거나 현재도 남아있는 롬복과 발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발리에서는 셈바와 함께 ᬑᬁ ᬲ᭄ᬯᬲ᭄ᬢ᭄ᬬᬲ᭄ᬢᬸ|옴 스와스티아스투ban("옴 스와스티아스투", Om Swastyastu)[6]라는 인사말을 사용하는데, 이는 태국의 사왓디(สวัสดี|사와디th)와 마찬가지로 산스크리트어 स्वस्ति|스와스티sa("스와스티", svasti, '복지'를 의미)에서 유래했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스바스티''는 "안전하고, 행복하고, 번영하는"을 의미하고, ''아스투''(astu)는 "그렇게 되기를"을 의미한다. 따라서 ''옴 스와스티아스투''는 "오 신이시여, 모든 방향으로부터 모든 선함(안전, 행복, 번영)이 오기를 바랍니다."[7]라는 뜻이다.
-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에서는 역사적으로 후원자나 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거나 인사를 전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주로 왕족 앞에서 사용된다.
- 필리핀에서는 일상적인 인사 제스처는 아니지만, 도움을 준 사람, 특히 사회적 지위가 높은 은인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표할 때 와이와 유사한 제스처(두 손을 배꼽, 가슴, 또는 턱 높이에서 모음)를 사용한다. 이는 스페인 통치 이전 및 이슬람 이전의 힌두교-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술루 군도의 타우수그족과 바자우족의 팡갈라이 춤 전후에도 인사로 사용된다.
- 중국의 소수민족 중 시솽반나의 타이 루족은 이를 ''숙 사바디''라고 부르며, 더훙의 타이 누아족은 ᥛᥬᥰ ᥕᥧᥱ ᥘᥤ ᥕᥧᥱ ᥔᥣ? 라는 유사한 인사말을 사용한다.
남아시아에서도 유사한 제스처를 볼 수 있다. 남인도와 스리랑카에서는 비슷한 제스처로 인사를 나눈다. 예를 들어, 타밀어의 인사말인 வணக்கம்|바나캄ta(vanakkam)은 "인사"를 의미하며, "절하다" 또는 "인사하다"를 뜻하는 어근 வணங்கு|바낭구ta(vanangu)에서 파생되었다. 또한 "당신에게 경의를 표합니다"라는 의미도 내포한다. 싱할라어에서는 "당신이 더 오래 살기를 바랍니다"라는 의미의 "아유보완"(Ayubowan)이라는 인사말과 함께 사용된다. 이 제스처는 인도 전역에서 사람들에게 인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2. 동아시아
중국에서도 와이와 유사한 인사법을 사용하는 소수 민족이 있다. 윈난성 시솽반나에 거주하는 타이 루족은 '숙 사바디'라는 인사말과 함께 비슷한 동작을 한다. 같은 윈난성의 더훙 다이족 및 징포족 자치주에 사는 타이 누아족 역시 ᥛᥬᥰ ᥕᥧᥱ ᥘᥤ ᥕᥧᥱ ᥔᥣ?라는 인사와 함께 유사한 제스처를 사용한다.참조
[1]
서적
Thai Traditional Salutation
http://www.finearts.[...]
Fine Arts Department, Ministry of Culture
2018-05-04
[2]
웹사이트
Traditional Thai Greeting
http://thailanct.hcm[...]
[3]
웹사이트
The Wai in Thai Culture: Greeting, Status-Marking and National Identity Functions
https://www.immi.se/[...]
[4]
서적
Luang Wichit Wathakan and the creation of a Thai identity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3
[5]
뉴스
Simply saying 'sorry' for crimes is not enough
https://www.bangkokp[...]
2019-06-07
[6]
웹사이트
How should I greet a Balinese?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Om Swastyastu
https://baliround.wo[...]
2012-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