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치인은 동북아시아 해안 지역의 토착 구석기 시대 인구의 후손으로,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며 아무르강 하류 일대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울치인은 2~5채의 작은 마을에서 정착 생활을 했으며, 어업을 중심으로 사냥, 모피 거래 등을 통해 경제 활동을 했다. 전통 종교는 애니미즘과 샤머니즘이며, 가족 및 조상 숭배 체계를 가지고 있다. 울치어는 퉁구스어족의 남부 분파에 속하며, 1989년 조사에서 약 3200명이 러시아에 거주하지만, 울치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30% 정도이다. 유전적으로는 하플로그룹 Y1a가 가장 흔하며, 동아시아인과 유전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치인 - 울치어
    울치어는 러시아 극동 지방의 울치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 언어로, 고유한 문자 체계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다양한 모음 및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 울치인 - 울치스키군
    울치스키군은 하바롭스크 지방의 아무르강 하류에 위치하며 긴 면적을 가지고 있고, 20개 이상의 민족이 거주하며 보고로츠코예가 행정 중심지이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우데게족
    우데게족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퉁구스어족 소수 민족으로, 전통적으로 수렵과 어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20세기 후반부터 언어 사용 인구 감소와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오로치인
    오로치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으로 생활하고 샤머니즘 신앙을 가진 소수 민족으로, 러시아화를 겪으며 인구 감소와 문화 쇠퇴의 어려움 속에서 문화와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울치인
기본 정보
민족울치족
다른 이름울치, 울치, 울치
인구2,913명 (2002년 추정)
거주지러시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내 인구2,472명
우크라이나 내 인구76명
언어울치어, 러시아어
종교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관련 민족오로크, 에벤크, 네기달, 나나이, 우데게
역사 및 문화
1920년대의 울치족 남녀
1920년대의 울치족 남녀

2. 역사

울치족은 동북아시아 해안 지역의 토착 구석기 시대 인구의 후손으로, 약 8,000년 전 이 지역에서 발견된 고대 표본과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다.[3] 고(古)시베리아 민족 중 하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퉁구스 민족 중 하나로 분류되기도 한다.

울치인 남성과 여성


1989년 인구 조사에서 약 3,200명이 러시아 국내에 거주했지만, 그 중 30% 정도만이 울치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울치어는 남부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특히 나나이어 하류 방언 및 윌타어와 공통성이 높다. 이들은 아무르강 최하류에 거주하는 니브흐, 상류의 우수리강 합류 지점 등에 사는 나나이족 사이에 끼어 아무르강 하류 유역에 거주하며, 북쪽으로는 네기달인, 남쪽으로는 오로치족과 접하고 있다.

주요 생업은 어업으로, 철갑상어잉어를 낚시, 그물 등을 사용하여 채집한다. 수렵은 부차적인 생업으로, 겨울철 식용으로 을, 모피용으로 담비나 청설모를 수렵한다. 러시아인의 진출로 인해 현대에는 감자를 중심으로 한 농업, 소·돼지 사육도 이루어지고 있어 생활 양식이 러시아화되고 있다.

2. 1. 산단 거래

간문 린조가 기록한 산단인의 자칭 "망고"와 울치의 호칭 중 하나인 "망군"(정확한 형태는 "망구니(Manguni, 아무르강의 사람들이라는 뜻)"로 추정됨)이 일치하는 점, 산단인의 거주지가 대략 현대 울치의 거주 지역과 일치하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울치는 일본어 사료에 등장하는 산단인으로 추정된다.[11]

한편, 청나라 사료에서는 아무르강 최하류 집단을 피야카(니브흐족으로 비정), 그 상류 집단을 헤제(나나이족으로 비정)라고 칭하고 있어 울치족(산단인)에 해당하는 집단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청나라의 "헤제피야카"(ᡥᡝᠵᡝ
ᡶ᠋ᡳ᠍ᠶᠠᡴᠠ|heje fiyakamnc)는 아무르강 하류 일대 주민을 통칭하는 의미가 강하므로, 울치족(산단인)은 헤제와 피야카 양쪽에 걸쳐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청나라의 변민 제도에 들어간 아무르강 하류의 씨족 중 키진 성, 할군 성, 우디르 성, 론키르 성 등은 현대 울치족에 해당하는 씨족으로 추정된다.[12] 또한, 투메릴 성, 가키라 성, 차이세라 성, 불가르 성 등은 나나이족과 울치족의 경계 지대에 거주하고 있어, 한마디로 귀속을 결정하기 어려운 양자 사이의 중간 씨족으로 여겨진다.

3. 문화

울치족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어업과 수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어업은 그들의 주요 생업이었고, 철갑상어잉어를 낚시, 그물 등을 사용하여 채집했다. 수렵은 부차적인 생업으로, 겨울철 식용으로 을, 모피용으로 담비나 청설모를 수렵했다.

198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3200명의 울치인이 러시아 국내에 거주하지만, 그 중 30% 정도만이 울치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울치어는 남부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특히 나나이어 하류 방언 및 윌타어와 공통성이 높다. 현대에는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감자를 중심으로 한 농업과 소·돼지 사육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활 양식이 변화하고 있다.[2] 울치인들은 나나이족을 "머리를 깎은 사람들"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4]

3. 1. 생활 양식

울치인은 2~5채의 작은 마을에서 정착 생활을 했다. 마을에는 겨울용 주거지와 여름용 주거지가 있었다.[1] 겨울용 주거지인 "하그두"는 기둥과 통나무로 만들어졌고, 천장이 없는 박공 지붕과 흙이나 점토 바닥으로 이루어졌다. 난방은 두 개의 카노비 난로를 이용했고, 혹독한 추위에는 석탄을 담은 금속 화로를 사용하기도 했다. 여름용 주거지는 껍질로 덮은 사각형 주거지와 말뚝 위에 지어진 주거지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1] 낚시를 하는 동안에는 작은 원통형 오두막을 지었다.[1]

어업은 울치족의 전통적인 경제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1] 회귀성 연어는 가장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으며,[1] 어획량에 따라 울치인의 정착 패턴이 결정되었다.[1] 전통적인 어업 장비로는 그물, 승차, 갈고리 도구 등이 있었다.[1] 물고기는 일상적인 소비와 저장을 위해 잡았고, 유콜라를 만들어 보존했다.[1]

사냥은 부차적인 중요성을 가졌으며, 주로 모피 동물을 사냥했다.[1] 시베리아토끼, 다람쥐, 수달, 여우, 족제비 등을 사냥했고,[1] 사할린, 암군강 등지로 장기간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1] 엘크, 사슴과 같은 발굽 동물은 석궁을 사용하여 사냥했고, 물개바다사자를 잡는 해양 동물 사냥도 중요했다.[1]

현대에는 러시아의 영향으로 감자를 중심으로 한 농업, 소와 돼지 사육도 이루어지고 있어 생활 양식이 러시아화되고 있다.[2]

3. 2. 의복

울치인 남녀 모두 여름에는 왼쪽 옷자락을 오른쪽에서 여미는 기모노식 천 의상인 캅춤(capchum) 로브를 입었다. 남성 의류에는 장식이 거의 없었다. 겨울에는 단열 처리된(솜으로 솜누비) 의류를 착용했으며, 로브처럼 재단하고 면이나 실크 천으로 덮은 모피 코트도 입었다. 겨울 모자는 흰색 개 가죽(kamuses)으로 만들었고, 꼭대기와 얼굴 주변은 여우 털로 장식된 두건 모양이었다. 심한 추위에는 그러한 모자 아래에 악마의 털 귀마개를 착용했다. 여름에는 자작나무 껍질 모자를 사용했다. 신발은 물고기, 사슴, 엘크 가죽(rovduga), 물개 및 바다사자 가죽으로 만들었다.[4]

3. 3. 신화

울치족은 울치인 신화를 가지고 있다.

3. 4. 종교

울치족의 전통 종교는 아무르 지역의 다른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애니미즘샤머니즘으로 표현된다. 울치족의 사회생활에서 큰 역할을 하는 것은 가족 및 조상 숭배 체계이다. 그들의 종교는 니브흐족과 아이누족의 종교와 유사점을 보인다.[1]

리하르트 마크의 그림, ''망군 가옥 내부''(약 1854-1860년)

4. 언어

퉁구스어족의 남부(아무르) 분파에 속한다. 나나이족과 오로크족의 언어들과 함께 고대 퉁구스어 이전의 "아무르어" 어휘의 흔적을 포함하고 있어 울치족의 조상을 아무르 지역의 가장 오래된 거주민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게 해준다.

1989년 인구 조사에서 약 3200명이 러시아 국내에 거주하지만, 그 중 30% 정도만이 울치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울치어는 남부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특히 나나이어 하류 방언 및 윌타어와 공통성이 높다.

5. 유전적 특징

울치인은 다른 퉁구스계 민족과 마찬가지로 Y염색체 하플로그룹 C2의 빈도가 높으며 69%로 나타난다.[13] 울치인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주로 하플로그룹 Y1a에 속하며(43.1%), 이는 니브흐족, 코랴크족, 에벤족, 몽골인과 공유된다.[5]

Balanovska 외(2018)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울치 남성의 Y-DN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6]

하플로그룹비율
C-M217(xM48, M407)34.6%
C-M4834.6%
O-M17515.4%
Q-M242(xM120)5.8%
N-M2315.8%
I-P371.9%
J–M267(xP58)1.9%



울치인의 집단 유전학은 체르토비 보로타 동굴(Chertovy Vorota Cave)에서 나온 7,700년 된 유물과 관련이 있으며, 동아시아인의 유전적 구성 요소와도 유전적으로 유사하다. 울치인은 원래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낮은 빈도로 발견되는 "고대 북유라시아인"(ANE) 유전적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7][8] 그러나 지난 1,000~3,000년 동안 중앙 아시아와 극동 인구로부터의 유전자 흐름에 대한 증거가 있다.[9] 현대 울치인의 6.0%는 2,500년 된 조몬인 개인에게 고유한 조상 구성 요소를 공유한다.[10]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2] 웹사이트 http://www.ukrcensus[...]
[3] 웹사이트 Ульчи оказались коренным народом со стажем 8000 лет https://nplus1.ru/ne[...] 2020-12-05
[4] 서적 Materials for the Study of Tungusic Languages and Folklo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
[5] 논문 Mitochondrial Genome Diversity in the Tubalar, Even, and Ulchi: Contribution to Prehistory of Native Siberians and Their Affinities to Native Americans
[6] 간행물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
[7] 논문 Genome-wide data from two early Neolithic East Asian individuals dating to 7700 years ago
[8] 논문 Genome-wide data from two early Neolithic East Asian individuals dating to 7700 years ago
[9] 논문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https://www.research[...] 2018
[10] 논문 Ancient Jomon genome sequence analysis sheds light on migration patterns of early East Asian populations 2020-08-25
[11] 서적 北方から来た交易民−絹と毛皮とサンタン人 日本放送出版協会 1996
[12] 서적 清朝のアムール政策と少数民族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06
[13] 간행물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