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남사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남사략은 1942년 쩐쫑낌이 베트남어로 저술한 베트남 역사서이다. 프랑스 식민 지배 하에서 베트남 국민의 애국심을 고취하고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쓰여졌다. 홍방 왕조부터 프랑스 식민지 시대까지를 다루며, 베트남 역사를 상고 시대, 북속기, 자주 시대, 남북 분쟁기, 근현대 등 5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서술한다. 이 책은 베트남 근대 역사학의 시작을 알렸으며, 베트남 민족주의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역사책 -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로, 응오시리엔이 이전의 역사서를 바탕으로 1479년에 15권으로 완성했으며, 이후 수정 및 증보를 거쳐 1697년 레히가 간행한 25권의 정화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 베트남의 역사책 - 대월사기
    대월사기는 레반휴가 쩐 태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베트남의 공식 역사서로, 남월 건국부터 리찌우황 통치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소실 후 재구성되어 《대월사기전서》 편찬의 토대가 되었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월남사략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이름베트남사략
원제Việt Nam sử lược (越南史略)
프랑스어 제목Précis d'Histoire du Việt-Nam (프레시 디스투아르 뒤 비엣남)
베트남사략 초판본 (1920년 발행) 제1권 표지
초판본 (1920년 발행) 제1권 표지
저자쩐쫑낌
언어꾸옥응으 (베트남어)
주제베트남의 역사
장르역사학
출판일1920년
출판사쭝박떤반
웹사이트국립정보학연구소
NCIDBA55463260

2. 배경

1883년, 베트남은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고, 베트남 황제는 프랑스의 허수아비 통치자에 불과하여 권력이 거의 없었다. 나라는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했다.[1] 쩐쫑낌은 베트남 국민들이 자국의 역사를 알면 애국심을 갖게 되고 국가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었다.[1]

그러나 모든 역사서는 고전 중국어로 작성되었다. 고전 중국어 사용은 20세기 초 베트남에서 사라졌다. 쩐쫑낌은 베트남 국민이 더 이상 고전 중국어를 읽을 수 없게 됨에 따라 베트남의 역사가 사라질 것을 우려했다. 그는 베트남어로 베트남 역사를 기록하고 베트남 문자로 역사를 저술하여 베트남 역사를 보존하기로 결정했다.[1]

3. 구성

월남사략》은 베트남의 역사를 크게 다섯 시대로 구분하여 서술하고 있다.

3. 1. 상고 시대

''월남사략''은 베트남의 역사를 5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중 상고 시대는 홍방 왕조부터 찌에우 왕조까지를 다룬다. 이 시기에는 문랑국, 안즈엉브엉어우락국, 찌에우다의 남월 건국 등 고대 베트남 국가들의 형성과 발전 과정이 나타난다. 홍방 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국가로 여겨지며, 안즈엉브엉어우락국을 세워 꼬로아성을 쌓고 나라를 다스렸다. 이후 찌에우다가 남월을 건국하면서 베트남은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며 발전했으나, 동시에 중국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3. 2. 북속기 (중국의 지배 시기)

남월이 멸망하고 응오 왕조가 건국되기 전까지, 약 1천 년 동안 베트남은 중국 왕조들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를 북속기(北屬期)라고 부른다.

제1차 중국 지배 시기, 한나라는 베트남을 교지군(交趾郡)으로 편입하여 지배했다. 한나라의 지배에 맞서 40년 쯩 자매가 봉기하여 한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였다. 쯩 자매의 봉기는 베트남 역사에서 최초의 대규모 민족 봉기로 기록되며, 이후 베트남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43년 한나라의 마원이 쯩 자매의 난을 진압하면서 베트남은 다시 제2차 중국 지배를 받게 되었다. 2세기 말, 후한이 혼란에 빠지자 교지군사섭은 사실상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이후 222년 오나라사섭이 죽자, 베트남은 다시 중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544년 전 리 왕조가 건국되기 전까지 제2차 중국 지배가 지속되었다.

544년 리 왕조리비가 반란을 일으켜 전 리 왕조를 건국하고 황제를 칭하며 잠시 독립을 이루었으나, 602년 수나라가 다시 베트남을 침공하여 제3차 중국 지배가 시작되었다.

938년 응오 왕조응오꾸옌이 백등강 전투에서 승리하며 중국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베트남의 독립을 쟁취할 때까지 제3차 중국 지배는 지속되었다.

이처럼 베트남은 북속기 동안 중국의 문화와 제도를 수용하면서도 끊임없이 독립을 추구하며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3. 3. 자주 시대 (통일 시대)

응오 왕조부터 후 레 왕조까지의 시기로, 응오 왕조, 딘 왕조,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등 베트남 왕조들의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이 시기 베트남은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고, 중앙 집권 국가를 수립하며 발전했다. 특히 몽골의 침입을 격퇴한 쩐 왕조의 항쟁은 주목할 만하다. 리 왕조쩐 왕조 시기에는 불교가 융성하고, 유교가 국가 통치 이념으로 자리 잡는 등 문화적으로도 큰 발전을 이루었다.

3. 4. 남북 분쟁기

후 레 왕조가 쇠퇴하면서 막 왕조가 등장했다. 이후 베트남은 남북으로 분열되어 남조와 북조로 나뉘어 대립했다. 찐 씨와 응우옌 씨의 대립은 이러한 혼란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 시기 베트남은 떠이선 왕조가 흥망성쇠를 겪는 등 극심한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이러한 내용은 ''월남사략''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5. 근현대

응우옌 왕조1802년 자롱 황제가 베트남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었다. 민망 황제는 중앙 집권화와 유교적 통치 체제를 강화하는 개혁 정치를 펼쳤다.

그러나 19세기 중반부터 서구 열강의 침략이 시작되었다. 1858년부터 시작된 프랑스의 코친차 원정으로 베트남은 식민 지배를 받기 시작했다. 이후 통킹 원정(1882년)과 청불 전쟁(1884년-1885년)을 거치면서 베트남은 1885년에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이 시기 베트남은 서구 열강의 침략에 직면하여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결국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다.

4. 평가 및 영향

《월남사략》은 베트남 근대 역사학의 출발점이자, 베트남 민족주의 역사학의 대표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베트남인들에게 자국의 역사를 알리고, 민족적 자긍심과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4] 또한, 베트남 역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후대 역사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쩐쫑낌은 이 책의 속편을 만들 예정이었으나, 1946년 하노이 전투로 인해 자료가 소실되어 안타깝게도 실현되지 못했다.[4]

5. 참고 서적

응오 시 리엔의 '''대월사기전서''', '''흠정월사통감강목''', '''쩐 왕조 세보 행장''', '''빈 응우옌 공신 실록''', '''황레일통지''', 판 휘 추의 '''역조헌장''', '''대남실록 전편''', '''대남실록 정편''', '''대남통지''', '''대남정편 열전''', 도 반 땀의 '''대남전례 괄요''', '''민망정요''', 까오 쑤언 졷의 '''국조사괄요''', '''청조사기''', '''중국역사''', 응우옌 냑 티의 '''한툭가'''[3] 등이 있다.

쯔엉 빈 끼의 ''안남 역사 강좌''(Cours d' Histoire Annamite), 샤를르 메이봉(Charles Maybon)과 앙리 뤼시에(Henri Russier)의 ''안남 역사 개론''(Notion d' Histoire d'Annam), E. 뤼로(E. Luro)의 ''안남의 나라''(Pays d' Annam), 샤를르 고슬랭(Charles Gosselin)의 ''안남 제국''(L'Empire d' Annam), 알프레드 슈라이너(Alfred Schreiner)의 ''안남 역사 요약''(Abrégé de l'Histoire d'Annam), P. 퀼트루(P. Cultru)의 ''코친차이나의 역사''(Histoire de la Cochinchine) 등이 있다.[3] 장 뒤피(Jean Dupuis)는 1896년에 ''통킹 문제의 기원''을, 그리고 ''1872년부터 1866년까지의 통킹''(Le Tonkin de 1872 à 1866)을 저술했다.[3] 루이-외젠 루베(Louis-Eugène Louvet)는 ''몽시뇰 푸지니에의 생애''(La Vie de Monseigneur Puginier)를, 장 실베스트르(Jean Silvestre)는 ''자딘 반란''(L'insurrection de Gia Định)을 저술했다.[3]

5. 1. 베트남어 및 한문 서적

응오 시 리엔의 '''대월사기전서''', '''흠정월사통감강목''', '''쩐 왕조 세보 행장''', '''빈 응우옌 공신 실록''', '''황레일통지''', 판 휘 추의 '''역조헌장''', '''대남실록 전편''', '''대남실록 정편''', '''대남통지''', '''대남정편 열전''', 도 반 땀의 '''대남전례 괄요''', '''민망정요''', 까오 쑤언 졷의 '''국조사괄요''', '''청조사기''', '''중국역사''', 응우옌 냑 티의 '''한툭가'''[3] 등이 있다.

5. 2. 프랑스어 서적

쯔엉 빈 끼의 ''안남 역사 강좌''(Cours d' Histoire Annamite), 샤를르 메이봉(Charles Maybon)과 앙리 뤼시에(Henri Russier)의 ''안남 역사 개론''(Notion d' Histoire d'Annam), E. 뤼로(E. Luro)의 ''안남의 나라''(Pays d' Annam), 샤를르 고슬랭(Charles Gosselin)의 ''안남 제국''(L'Empire d' Annam), 알프레드 슈라이너(Alfred Schreiner)의 ''안남 역사 요약''(Abrégé de l'Histoire d'Annam), P. 퀼트루(P. Cultru)의 ''코친차이나의 역사''(Histoire de la Cochinchine) 등이 있다.[3] 장 뒤피(Jean Dupuis)는 1896년에 ''통킹 문제의 기원''을, 그리고 ''1872년부터 1866년까지의 통킹''(Le Tonkin de 1872 à 1866)을 저술했다.[3] 루이-외젠 루베(Louis-Eugène Louvet)는 ''몽시뇰 푸지니에의 생애''(La Vie de Monseigneur Puginier)를, 장 실베스트르(Jean Silvestre)는 ''자딘 반란''(L'insurrection de Gia Định)을 저술했다.[3]

참조

[1] 서적 Pelly
[2] 서적 Pelly
[3]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quyển I Trung tâm Học liệu 1971
[4] 웹사이트 Việt Nam sử lược http://viethoc.org/e[...]
[5] 문서 표지는 한자와 베트남어 두가지로 표기되었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