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에우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찌에우 왕조는 진나라 멸망 후 기원전 204년 조타에 의해 건국된 국가로, 현재의 광둥성을 중심으로 령남 지역을 통치했다. 한나라와 대립하며 황제를 칭하기도 했으나, 이후 화해를 통해 한나라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찌에우 왕조는 한족 문화와 월족 문화의 융합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을 남겼으며, 5명의 군주가 통치하다가 기원전 112년 한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중국과 베트남에서는 찌에우 왕조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며, 베트남에서는 찌에우 왕조의 영토를 옛 강역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월 - 한나라의 남월 정복
한나라의 남월 정복은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남월을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9개의 군으로 나누어 통치한 사건으로, 남월 내부 분열과 쿠데타를 계기로 발생했으며, 한나라의 남방 확대와 경제적 영향력 강화에 기여했지만 토착 문화 억압 등 논란도 있다. - 베트남의 옛 나라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베트남의 옛 나라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찌에우 왕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원어 이름 | |
![]() | |
| 수도 | 번우 |
| 종교 | 베트남 민간 신앙 중국 민간 신앙 지역 샤머니즘 |
| 정부 형태 | 군주제 |
| 인구 추정치 (기원전 111년) | 1,302,805명 |
| 사용 언어 | 고대 월어 |
| 통치자 정보 | |
| 군주 칭호 | 황제 (Hoàng đế) |
| 초대 황제 | 조타 (찌에우 부데) (기원전 204–137년) |
| 마지막 황제 | 조건덕 (찌에우 즈엉 브엉) (기원전 112–111년) |
| 실질적인 군사 독재자 | 군사 독재자 (데 팍토) |
| 군사 독재자 (130/124-111 BC) | 여가 |
| 역사 | |
| 이전 사건 | 진-백월 전쟁 (기원전 221년) |
| 한나라에 첫 조공 | 기원전 196년 |
| 조타 즉위 | 기원전 183년 |
| 오락 정복 | 기원전 179년 |
| 한나라에 두 번째 조공 | 기원전 179년 |
| 한나라의 남월 정복 | 기원전 111년 |
| 국가 정보 | |
| 현재 국가 | 베트남 중국 |
| 이전 국가 | 툭 왕조 진나라 |
| 이후 국가 | 한나라 제1차 북속 시대 |
| 찌에우 왕조 | |
| 성씨 | 찌에우 |
| 거점 | 번우 (Phiên Ngung) |
| 국가 | 남월 |
| 칭호 | 남월 황제/남월 왕 |
| 설립자 | 찌에우다 |
| 마지막 통치자 | 찌에우끼엔득 |
| 건립 시기 | 기원전 3세기 |
| 멸망 시기 | 기원전 111년 |
2. 역사
쩐 왕조 시기에 완성된 《대월사기》와 동시대의 《월사략》은 찌에우 왕조를 베트남의 왕조로 분류하고 찌에우 왕조의 흥망이 베트남의 국통(國統)과 관련이 있다는 레반흐우의 의견을 담고 있다.[31] 《안남지략》 또한 찌에우 왕조를 베트남 역대 왕조로 분류하였다. 후 레 왕조의 응오시리엔은 《대월사기전서》에서 찌에우 왕조를 「조씨기(趙氏紀)」로 분류하며 레반흐우와 같은 관점을 보였다.[32]
베트남인들은 찌에우 왕조의 영토를 상실한 옛 강역으로 간주했다. 1646년 광서(廣西) 지역 토사(土司)들이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보호를 요청하자, 찐 주의 찐짱은 북벌하여 토사를 사로잡았다가 돌려보냈다. 같은 해 남명의 융무제가 청나라에 사로잡히고 영력제가 즉위하자, 찐짱은 광동(廣東) 병탄을 계획했으나 철군하였다.[33]
떠이선 왕조의 응우옌후에는 청나라에 보복하기 위해 화남해적을 끌어들이고 광서(廣西)의 천지회(天地會) 봉기를 지원했다.[34][37] 미국 학자 다이앤 H. 머레이는 응우옌후에가 화남(華南) 지역을 정복하여 백월왕국(百越王國)을 회복하려 했다고 보았다.[35] 1792년 응우옌후에는 청나라에 양광(兩廣) 할양을 요구하며 전쟁을 일으키려 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실행하지 못했다.[36][37]
응우옌 왕조 시기에도 베트남인들은 찌에우 왕조가 통치했던 양광 지역을 상실한 옛 강역으로 여겼다. 민망 5년(1824년) 응우옌쑤언쩐(阮春振)이 양광(兩廣) 정벌을 요청했으나, 민망 황제는 이를 거부하고 처벌했다.[38]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에는 뜨득 황제가 옛 강역 회복의 어려움을 한탄하는 내용이 있다.[39] 쩐쫑낌은 《월남사략(越南史略)》에서 남월국을 찌에우 왕조로 칭하고, 멸망 후 중국의 지배를 받았다고 하였다.[40]
2. 1. 건국

조타(Triệu Đà)는 남월의 건국자로, 현재 허베이성 지역인 조(趙)나라 출신의 한족이었다. 기원전 208년 진나라가 멸망할 무렵, 광둥성의 남해군(Nanhai) 태수 런샤오(Ren Xiao)가 사망하자, 조타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군사 총독이 되었다. 광저우의 진나라 태수는 광저우 지역이 외진 곳에 위치하고 중국인 정착민들이 많았기 때문에 조타에게 독립 왕국을 세울 것을 권고했다.[13] 기원전 204년, 조타는 남해군의 독립을 선포하고 스스로 남월의 왕이라 칭했다. 그의 왕국은 링난(Lingnan) 지역, 즉 현재의 광둥성, 광시성, 후난성 남부, 장시성 남부 및 인근 지역을 포함했다.[14] 조타는 남월을 통치하면서 한 고조에게 반항적인 태도를 보였고, 한나라와의 모든 관계를 단절했으며, 중앙 정부가 임명한 많은 한나라 관리들을 처형하고, 월족의 지역 관습을 선호했다.[14]
2. 2. 발전
조조(Triệu Đà)는 남월 왕조의 창시자로, 기원전 204년 남하이의 독립을 선포하고 남월의 왕을 자처하였다. 그는 한 고조에 반항하는 행위를 저질렀고, 한나라와의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중앙 정부가 임명한 많은 한나라 관리들을 죽였으며, 월족의 지역 관습을 선호했다.[14] 재능 있는 장군이자 교활한 외교관이었던 그는 진나라와 그 뒤를 이은 한나라와 모두 평화적인 관계를 추구했다.기원전 196년, 한 고조는 학자 여가(Lu Jia)를 조조의 궁정으로 보내 조조를 "월왕(King of Yue)"으로 인정했다.[17] 한나라와 남월 사이에는 합법적인 무역을 허용하는 협정이 체결되었다.[18] 그러나 기원전 185년, 한나라의 섭정인 여후는 남월과의 무역을 금지했고,[18] 조조는 황제를 자칭하고 일부 국경 도시를 공격하여 응수했다.[18] 그의 황제 지위는 민월, 서오(Âu Việt), 그리고 뤄러우(Luolou)에 의해 인정받았다.[19] 기원전 180년 조조가 한나라와 화해했을 때, 그는 한 무제에게 "늙은 신하 조(Tuo), 오랑캐 우두머리"라고 자칭하는 메시지를 보냈다.[19] 조조는 한나라 황제를 유일한 황제로 인정하는 데 동의했다.[19]
평화는 남월이 다른 월(Yue) 국가들에 대한 황제 권위를 상실하게 했다. 조조가 한나라에 대항하여 창설한 군대는 현재 베트남 북부에 있는 오락 왕국에 대한 공격에 사용될 수 있었다.[15] 이 왕국은 기원전 179년~180년에 정복되었다.[15] 조조는 자신의 왕국을 구천과 교지 두 지역으로 나누었다. 교지는 현재 베트남 대부분을 포함한다. 그는 각 지역이 중앙 정부에 대표를 파견하도록 허용하여 그의 행정은 매우 느슨하고 분권화된 느낌이었다.
조타는 기원전 136년에 사망했고, 그의 손자인 조모(趙眜; Triệu Mạtvi)가 계승했다. 기원전 135년, 민월이 공격해 왔고, 조모는 한나라의 지원을 요청했다.[22] 조영기 태자는 한나라 궁정에서 생활하고 공부하기 위해 파견되었다.[22] 조모는 이를 한 무제의 호의적인 제스처로 받아들여 한나라와 남월의 관계를 강화하려 했다. 조모는 기원전 124년에 사망했다.
조영기(趙嬰齊, Triệu Anh Tềvi, 재위 기원전 124년–기원전 112년)는 아버지 조무가 죽었을 때 왕세자였다. 조영기의 왕위 계승은 장안의 한(漢) 황제에게 존경의 표시로 화해의 조치였다. 조영기는 대부분의 생애를 한나라에서 보냈으며, 거기서 구씨 성을 가진 한족 여성과 아들을 낳았고, 아들의 이름을 조흥(趙興)이라고 지었다. 아버지 조무가 죽었을 때에야 비로소 조영기는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갈 허락을 받았다. 그 후 조영기는 남월의 왕위에 올랐다.
조흥(趙興, Triệu Hưngvi, 재위 기원전 113년 ~ 기원전 112년)은 즉위 당시 6세에 불과했다. 곧이어 한 무제가 그의 어머니인 구씨(九氏, Lady Jiu)와 함께 조정에 참석하여 조공하도록 소환했다. 한나라는 어린 왕을 보호해야 한다는 구실로 구씨와 조흥을 붙잡았다.
2. 3. 멸망
한무제는 기원전 112년에 남월을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23] 남월은 왕이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훈련받지 않은 군대를 이끌었으나, 한동안 저항했다. 한나라는 여가와 조견덕 왕을 포함한 남월군을 격파했으며, 이들은 끝까지 저항했다.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에 흩어져 있는 여가와 그의 아내들, 병사들의 사당을 통해 볼 때, 전쟁은 기원전 98년까지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4][25]판유 함락 후, 서우왕(고뢰 중심의 서우 지역 지휘관)은 서한의 중국의 최초 지배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으나,[26] 그의 조수 황동(黄同)에게 살해되었다.[27][28]
이후 남월 영토는 9개의 군으로 나뉘어 교지(Giao Chỉ) 현으로 한나라에 편입되었다. 한나라는 기원 40년 정자매의 반란 전까지 교지를 지배했다.[29]
3. 역대 군주
| 시호(諡號) | 이름 | 재위 기간 | ||||
|---|---|---|---|---|---|---|
| 한자 | 병음 | 베트남어 | 한자 | 병음 | 베트남어 | |
| 무제 | Wǔ Dì | Vũ Đế | 조타 | Zhào Tuó | Triệu Đà | 기원전 203년–기원전 137년 |
| 문제 | Wén Dì | Văn Đế | 조말 | Zhào Mò | Triệu Mạt | 기원전 137년–기원전 122년 |
| 명왕 | Míng Wáng | Minh Vương | 조영제 | Zhào Yīngqí | Triệu Anh Tề | 기원전 122년–기원전 115년 |
| 애왕 | Āi Wáng | Ai Vương | 조흥 | Zhào Xīng | Triệu Hưng | 기원전 115년–기원전 112년 |
| 술양왕 | Shù Yáng Wáng | Thuật Dương Vương | 조건덕 | Zhào Jiàndé | Triệu Kiến Đức | 기원전 112년–기원전 111년 |
4. 문화
남월은 한족 문화와 토착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은 광저우 남월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1. 문화적 융합
광저우 남월왕릉에서 발굴된 유물에서 볼 수 있듯이, 한족과 월족의 문화는 상당히 융합되었다. 광저우 남월왕릉에는 매우 풍부한 유물이 있으며, 한, 초, 월, 오르도스 지역의 문화적 영향을 보여주는 많은 청동기가 있다.[30]4. 2. 주요 유물
광저우 남월왕릉에서 발굴된 유물은 한족 문화와 월족 문화가 융합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무덤에서는 한나라, 초나라, 월나라, 오르도스 지역의 문화적 영향을 보여주는 많은 청동기 등 풍부한 유물이 출토되었다.[30]5. 남월에 대한 역사적 평가
남월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중국에서는 남월을 한나라에서 분리 독립한 세력으로 보면서도 문명화에 기여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반면 베트남에서는 찌에우 왕조를 자국의 역사로 보기도 하고, 외세 침략자로 규정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5. 1. 중국 역사에서의 평가
중국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남월을 한나라(기원전 206년 – 기원후 220년)로부터 분리 독립한 분리주의 세력으로 규정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남월을 문명화 세력으로 칭찬하기도 한다.[7] 1696년 시인 곡대준(屈大均)은 진시황을 중국 문화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모범으로 칭찬하고, 조타(趙佗)를 황제와 비교하며 불리하게 평가하였다.[7] 남월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견해는 1833년 량팅난(梁廷楠)이 저술한 「남월오주전(南越五主傳; "남월의 다섯 주(主)의 전기")」에서 제시되었다.[6]5. 2. 베트남 역사에서의 평가
쩐 왕조 시기에 완성된 《대월사기(大越史記)》는 찌에우 왕조를 베트남의 왕조로 분류한 현존하는 가장 이른 베트남의 관찬 사서이다. 레반흐우는 찌에우 왕조의 흥망이 베트남의 국통(國統)과 관련이 있다고 평가했다.[31] 동시대의 《월사략》에도 찌에우 왕조가 베트남 역대 왕조로 분류되어 있다.[31] 후 레 왕조의 응오시리엔은 《대월사기전서》에서 레반흐우와 같은 관점을 보였다.[32]찌에우 왕조의 영토는 베트남인들에게 상실된 옛 강역으로 간주되었다. 청나라가 입관한 뒤, 후 레 왕조와 막 왕조는 광서(廣西) 지역 토사(土司)들의 보호 요청을 받았다. 찐 주의 찐짱은 북벌하여 이들을 도왔다.[33] 떠이선 왕조의 응우옌후에는 청나라에 보복하고 백월왕국(百越王國)을 회복하려 했다.[34][37][35] 응우옌 왕조 시기에도 양광 지역은 찌에우 왕조의 옛 강역으로 여겨졌다. 민망 황제는 양광을 수복하자는 상소를 불태웠지만,[38] 뜨득 황제는 촌토 회복의 어려움을 한탄했다.[39] 20세기 초 쩐쫑낌은 《월남사략(越南史略)》에서 남월국을 찌에우 왕조로 칭하고, 멸망 후 중국 지배 시기가 시작되었다고 했다.[40]
베트남 역사가들은 찌에우 왕조를 건국 영웅으로 볼 것인지, 외세 침략자로 볼 것인지에 대해 논쟁했다. 수 세기 동안 찌에우 다는 민중 영웅으로 여겨졌고,[10] 이비(李 Bí)는 544년에 "남월제(南越帝)"를 선포하며 자신의 국가를 남월의 부흥으로 규정하였다.[11] 레반휴(Lê Văn Hưu)는 찌에우 다를 베트남의 초대 황제로 칭찬했다.[6] 18세기, 응오티시(Ngô Thì Sĩ)는 찌에우 다를 외세 침략자로 재평가했다.[6] 응우옌 왕조 시대에 찌에우 다는 높이 평가받았지만, 남월이 베트남 국가는 아니었다고 인정했다.[6] 현재 베트남 정부는 찌에우 다를 외세 침략자로 부정적으로 묘사하지만, 중국과의 긴장 고조로 찌에우 다의 역할을 재고하려는 움직임이 있다.[6]
5. 3. 베트남 역사 속 남월 영토 주장
쩐 왕조 시기에 완성된 《대월사기》는 찌에우 왕조를 베트남의 왕조로 분류한 가장 오래된 베트남의 공식 역사서이다. 이 책에서는 남월국의 여러 왕의 본기(本紀)를 '조기(趙紀)'라고 칭하고 있다. 레반흐우는 찌에우 무제가 베트남을 개척하고 황제가 되어 베트남 제왕의 기업을 창시했다고 평가하여, 찌에우 왕조의 흥망이 베트남의 국통(國統)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같은 시기의 《월사략》에도 '조기(趙紀)'가 있다.[31] 《안남지략》은 찌에우 왕조의 역사를 '조씨세가(趙氏世家)'로 분류하여 딘 왕조,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와 함께 베트남 역대 왕조로 분류하였다.후 레 왕조의 응오시리엔은 《대월사기전서》를 편찬할 때 찌에우 왕조를 '조씨기(趙氏紀)'로 분류하고, 찌에우 왕조가 멸망하면서 국통이 끊어졌다고 평가하여 레반흐우와 같은 관점을 보였다.[32]
베트남인들은 찌에우 왕조의 영토를 장기간 상실한 옛 강역으로 여겨왔다. 청나라가 입관한 뒤, 1646년 광서(廣西) 지역 토사(土司)들이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보호를 요청했다. 용주(龍州) 토사 조유경(趙有涇)이 살해되자, 그의 아들 조유계(趙有啓)는 후 레 왕조에 도움을 청했다. 찐 주의 찐짱은 군사를 보내 북벌하여 조유도를 사로잡고 '화목(和睦)으로써 깨우치고, 본주(本州)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같은 해 남명의 융무제가 청나라에 사로잡히자 영력제가 광동(廣東) 조경(肇慶)에서 즉위하였고, 찐짱은 광동을 병탄할 계획을 세웠다. 1647년 찐짱은 전선 3백 척을 염주부(廉州府)로 파견했으나, 청나라의 방비를 보고 철군하였다.[33]
떠이선 왕조 시기 응우옌후에는 청나라의 침공을 격퇴한 뒤 청나라에 화평을 구하고 번속(藩屬)이 되겠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청나라에 보복할 것을 계획했다. 응우옌후에는 징병, 군사 훈련, 화남해적 지원, 천지회(天地會) 봉기 지원 등을 통해 백월왕국(百越王國)의 회복을 희망했다.[34][37] 미국 학자 다이앤 H. 머레이(Dian H. Murray)는 응우옌후에가 화남 지역 정복을 통해 백월왕국 회복을 희망했다고 보았다.[35]
응우옌후에는 큰 코끼리를 광주(廣州)로 운반하기 위해 거대한 전선을 건조했다.[35] 1792년 응우옌후에는 응우옌찌에우비엔(阮招遠)을 청나라에 파견해 화친을 요청하고 양광(兩廣) 땅을 할양받아 전쟁의 실마리를 잡으려 했으나,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하여 뜻을 이루지 못했다.[36][37]
응우옌 왕조 시기에도 베트남인들은 찌에우 왕조가 통치했던 양광 지역을 상실한 옛 강역으로 여겼다. 《대남실록》에 따르면 민망 5년(1824년) 응우옌쑤언쩐(阮春振)이 민망 황제에게 양광을 공격할 것을 요청했으나, 민망 황제는 이를 거부하고 처벌했다.[38]
그러나 조정에서는 여전히 찌에우 왕조를 베트남 역사의 일부분으로 간주했다. 《흠정월사통감강목》에서 뜨득 황제는 베트남 땅이 중국에 떨어진 것을 한탄하며 촌토 회복의 어려움을 슬퍼했다.[39] 이는 응우옌 왕조 시기 조정이 양광 땅을 찌에우 왕조의 옛 강역으로 보고 있음을 보여준다. 20세기 초 쩐쫑낌은 《월남사략》에서 남월국을 찌에우 왕조로 칭하고, 찌에우 왕조 멸망 후 중국의 지배 시기가 시작되었다고 썼다.[40]
6. 갤러리
참조
[1]
서적
Money, Markets, and Trade in Early Southeast Asia: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Monetary Systems to AD 140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3]
서적
Postcolonial Vietnam: New Histories of the National Past
[4]
서적
[5]
서적
Cantonese as written language: the growth of a written Chinese vernacular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6]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ABC-CLIO
[7]
서적
Public spheres and collective identitie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8]
서적
English-Cantonese Dictionary: Cantonese in Yale Romanization
https://books.google[...]
New Asia – Yale-in-China Chinese Language Center
[9]
서적
Yue Studies in Yue Dialects 1: Phonology of Cantonese
https://books.google[...]
[10]
서적
Vietnam: a global studies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11]
서적
The rebel den of Nùng Trí Cao: loyalty and identity along the Sino-Vietnamese frontier
https://books.google[...]
NUS Press
[12]
학술지
Indo-Pacific prehistory: the Chiang Mai papers. Volume 2
Indo-Pacific Prehistory Association of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3]
서적
https://books.google[...]
[14]
서적
A history of Vietnam: from Hong Bang to Tu Duc
https://books.google[...]
[15]
서적
The Birth of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an Dynasty I
[17]
서적
[18]
서적
Money, markets, and trade in early Southeast Asia: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monetary systems to AD 1400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19]
서적
[20]
서적
The Open Empire: A History of China to 1600
W.W. Norton & Company
[21]
서적
Two cakes fit for a king: folktales from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2]
서적
[23]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I: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24]
웹사이트
Lễ hội chọi trâu xã Hải Lựu (16–17 tháng Giêng hằng năm) Phần I (tiep theo)
http://violet.vn/phu[...]
2010-02-03
[25]
웹사이트
List of temples related to Triệu dynasty and Nam Việt kingdom in modern Vietnam and China
http://lichsuvn.net/[...]
2014-01-28
[26]
서적
Từ điển bách khoa quân sự Việt Nam
[27]
학술지
Viet Nam Social Sciences
[28]
웹사이트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29]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Guangzhou Xi Han Nanyue wang mu bo wu guan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rt Gallery
[31]
서적
《越史略·卷上》
[32]
서적
《大越史記全書·外紀·卷之二》
[33]
서적
[34]
서적
《越南史略》
[35]
서적
《華南海盜 一七九〇—一八一〇》
[36]
서적
皇黎一統志·第十六回
[37]
서적
大南正編列傳初集·卷三十·僞西列傳
[38]
서적
大南實錄正編第二紀·卷三十
[39]
웹사이트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tiền biên (q.02-05) Quốc sử quán triều Nguyễn R.592 • NLVNPF-0174-02
http://lib.nomfounda[...]
[40]
서적
越南史略,第一卷第三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