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행발진티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행발진티푸스는 리케차 프로와제키(Rickettsia prowazekii)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역사적으로 전쟁, 기근, 자연재해 등 사회적 혼란기에 대규모 유행을 일으켰다. 이(lice)에 물려 감염되며, 고열, 두통,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인다. 항생제 치료가 효과적이며, 예방을 위해 이의 제거가 중요하다. 현재는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고지대 등 위생 상태가 열악한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과거 세계 대전 및 강제 수용소에서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 무기 - 천연두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열과 발진 증상을 보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
  • 생물 무기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곤충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곤충 매개 질병 -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속 기생충에 감염되어 암컷 이집트모기속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오한, 발열, 발한 등의 주기적인 발작을 일으키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다.
유행발진티푸스
질병 개요
유행성 발진티푸스에 의한 반점 발진
유행성 발진티푸스에 의한 반점 발진
다른 이름camp fever (야영 열병)
jail fever (감옥 열병)
hospital fever (병원 열병)
ship fever (선박 열병)
famine fever (기근 열병)
putrid fever (부패열)
petechial fever (점상 출혈열)
epidemic louse-borne typhus (유행성 이 매개 티푸스)
louse-borne typhus (이 매개 티푸스)
일반적인 정보
원인
병원체리케차
추가 정보
외부 링크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 유행성 티푸스
세계 보건 기구 (WHO) - 티푸스열 (유행성 이 매개 티푸스)
Healthing.ca - 티푸스

2. 역사

발진티푸스는 역사적으로 전쟁, 기근, 자연재해 등 사회적 혼란기에 대규모로 유행하여 "전쟁열", "기근열" 등으로 불렸다.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0년) 당시 아테네 역병의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며, 1083년 이탈리아 살레르노 인근의 라 카바 수도원에서 처음으로 해당 질병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6][17][18][19] 1546년에는 지롤라모 프라카스토로가 자신의 저서에서 발진티푸스를 설명했다.[20]

1489년 그라나다 전쟁에서 이 질병에 대한 최초의 신뢰할 수 있는 설명이 나타났으며, 당시 가톨릭 군대에서 17,000명이 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 발진티푸스는 1577년 옥스퍼드 흑색 재판 등 감옥에서 흔하게 발생하여 '감옥 열' 또는 '감옥 열병'으로 알려졌다.[21]

잉글랜드 내전, 30년 전쟁, 나폴레옹 전쟁 등 유럽 전역에서 유행성 발진티푸스가 발생했으며, 1812년 러시아 원정에서 나폴레옹 군대의 발진티푸스 발병은 그가 러시아로의 군사 작전을 중단한 진짜 이유라고 많은 역사가들은 믿는다.[24] 아일랜드에서는 1816년에서 1819년 사이, 그리고 아일랜드 대기근 기간인 1846년에서 1849년 사이에 대규모 유행이 발생하여 "아일랜드 열병"이라고 불리며 많은 사망자를 냈다. 1847년 북미 발진티푸스 유행으로 2만 명 이상, 1866년 핀란드 발진티푸스 유행으로 27만 명이 사망했다.[25][26]

제1차 세계 대전 중과 직후, 러시아 제국에서 최대 3백만 명, 세르비아에서 최소 15만 명이 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33][29][30][31][32] 러시아 내전 동안에는 1918년에서 1922년 사이에 2백만에서 3백만 명이 사망했다.[33]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도 수십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으며,[34] 특히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안네 프랑크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에서 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감염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일본군의 대륙 침공과 함께 1955년까지 유행했지만, 이후 보고되지 않고 있다.

2. 1. 백신 개발

1930년대에 루돌프 바이글은 이를 이용한 백신 생산 방법을 개발했지만, 이 방법은 위험성이 높았다.[37] 1938년 헤럴드 R. 콕스는 닭 배아의 난황낭을 이용해 ''리케차 프로와제키''를 배양하여 보다 안전한 백신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37] 이 백신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3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에서 배양된 사백신과 프랑스에서 개발된 생백신 두 가지가 이용 가능했지만, 대량 생산의 어려움과 안전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다.[37] 전쟁 후에는 DDT 등 살충제 사용과 백신 접종으로 유행발진티푸스 발생이 크게 감소했다.

3. 원인 및 감염 경로

발진티푸스 리케차(''Rickettsia prowazekii'') 감염이 원인이다. 주로 감염된 이(''Pediculus humanus'') 또는 머릿니에 물리거나, 이의 분변이 피부 상처, 눈 결막, 피부 점막에 접촉하여 감염된다.[67] 이의 배설물 에어로졸을 통한 호흡기 감염도 가능하다.[70] 잠복기는 1~2주이다.[11] ''R. prowazekii''는 건조된 이의 대변에서 여러 날 동안 생존하며 독성을 유지할 수 있다.[11]

1916년, 엔히케 다 로샤 리마는 발진티푸스의 원인균이 ''Rickettsia prowazekii''임을 밝혀냈다. 그는 발병 조사를 하다가 감염되어 사망한 동료 스타니스라우스 폰 프로바제크와, 이를 조사하다가 발진티푸스로 사망한 또 다른 동물학자 H. T. 리케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드물게, 자연 감염된 하늘다람쥐인수공통감염병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4. 증상

1~2주 잠복기 후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난다.[63] 전신 권태감과 함께 식욕이 떨어진다.[67] 발진은 열이 나타난 지 약 5일 후에 가슴에서 시작하여 몸통과 사지로 퍼지는데, 손바닥과 발바닥에는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6][63] 모든 형태의 티푸스에 공통적인 증상은 39 °C에 이르는 고열이다.

일반적으로 원인균과 접촉 후 2주 이내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6]


  • 오한
  • 두통
  • 혼란
  • 기침
  • 빠른 호흡
  • 몸/근육 통증
  • 발진
  • 메스꺼움
  • 구토


중증 사례에서는 점상 출혈, 두통, 정신 착란 등의 뇌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63] 치료받지 않은 경우 치사율은 연령에 따라 다르며, 20세까지는 5% 이하인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100%에 가까워진다.[63]

회복 후에도 재발성 리케차증(브릴-친저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63] 브릴-친저 질환은 면역 억제 시기에 발생하며, 영양실조나 기타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5. 진단

형광 항체법(IFA), ELISA 등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하며, 표준적인 방법이다.[1] 10일 이후 양성 반응을 보인다.[1]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검사는 민감도, 특이도, 진단 속도 면에서 가장 뛰어나지만, 오염에 주의해야 한다.[1] 배양 세포를 이용한 리케차 증식 및 배양은 설비가 갖춰진 경우 가능하다.[1]

6. 치료

독시사이클린, 아지스로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하며 최소 7일, 열이 떨어진 후에도 2~3일간 항생제 치료를 계속한다. 감염원인 를 제거하기 위해 환자나 접촉자의 침구, 의복 등에 적절한 살충제로 구충을 시행한다.[67] 환자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정맥 주사액과 산소가 필요할 수 있다. 8일 이내 항생제 치료를 시도한 사람의 사망률(0%)과 치료를 시도하지 않은 사람의 사망률(10-60%)의 차이는 상당하다.[71]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독시사이클린[14]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7. 예방

예방 접종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예방 방법은 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다. 감염이 우려되면, 옷을 완전히 갈아입고, 뜨거운 물에 씻으며, 최근에 사용한 침구를 스팀살균하면 좋다. 7일간 옷을 격리 장소에 방치하면 이가 사멸되어 티푸스를 예방할 수 있다.[72]

다른 예방 조치로는 원인균이 사람 간에 전염될 수 있는 비위생적이고 붐비는 지역을 피하는 것이다. 또한 이, 다람쥐, 주머니쥐와 같이 이를 옮기는 설치류와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14]

의복이나 침구 등을 청결하게 하고, 를 줄이는 것도 효과적이다. 2차 세계대전 직후 일본에서는 연합군이 들여온 DDT가 이 구제에 사용되었지만, 1981년 이후 DDT의 수입, 제조, 이용은 금지되었다.

8. 주 발생 현황

현대에는 주로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고지대 등 위생 상태가 열악한 지역에서 유행성발진티푸스가 발생한다. 특히 노숙인, 난민과 같이 위생에 취약한 계층에서 발생 위험이 높다.[36] 기근,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워져 위생 상태가 나빠지면 대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에서 수백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전쟁 직후 일본에서도 3만여 명의 환자와 3,3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아프리카(에티오피아, 르완다, 부룬디)에서 대유행이 발생하기도 했다. 멕시코 산악지대, 중남미, 중앙아프리카,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풍토병으로 존재한다.[70]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때와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에서 3천만 명이 감염되어 그중 10%가 사망했다. 나치 독일유대인 강제 수용소에서도 발생하여 큰 피해를 보았는데, 안네 프랑크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에서 유행성발진티푸스로 사망했다.[62]

미국 CDC는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지역과 아프리카 일부 지역을 유행성발진티푸스 활성 발병 지역으로 꼽고 있다.

한국에서는 1960년 이후 발생 보고가 없다.[70] 일본에서는 1955년 이후 보고되지 않고 있다.

참조

[1]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2] 웹사이트 Diseases P-T at sedgleymanor.com http://www.sedgleyma[...] 2007-07-17
[3] 서적 Lehrbuch der Infektionskrankheiten fur Arzte und studierende https://archive.org/[...] Berlin : J. Springer 2017-12-26
[4] 웹사이트 Epidemic typhus https://www.cdc.gov/[...] 2021-02-27
[5] 서적 Radiology of Infectious Diseases: Volume 2 Springer, Dordrecht 2015
[6] 웹사이트 Epidemic Typhus {{!}} Typhus Fevers {{!}} CDC https://www.cdc.gov/[...] 2020-12-10
[7] 웹사이트 WHO {{!}} Typhus fever (Epidemic louse-borne typhus) https://www.who.int/[...] 2020-11-06
[8] 논문 Rickettsia, typhus and the mitochondrial connection 1998-11
[9] 논문 A century of typhus, lice and Rickettsia 2000-03
[10] 웹사이트 Typhus {{!}} Typhus Fevers {{!}} CDC https://www.healthin[...] 2019-10-08
[11] 웹사이트 Internal Medicine in World War II, Volume II, Chapter 7 http://history.amedd[...] 2018-07-07
[12] 웹사이트 Weigl's method of intrarectal inoculation of lice in production of typhus vaccine and experimental works with ''Rickettsia Prowazeki'' http://www.lwow.home[...]
[13] 서적 Nuremberg Military Tribunal http://www.mazal.org[...]
[14] 논문 Arthropod-Borne Diseases Associated with Political and Social Disorder 2011-01-01
[15] 논문 The Body Louse as a Vector of Reemerging Human Diseases 1999-08-15
[16] 문서
[17] 서적 An Historical Commentary on Thucydides Oxford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Maintenance of human-fed live lice in the laboratory and production of Weigl's exanthematous typhus vaccine http://www.lwow.home[...]
[19] 서적 Breve Storia della Medicina, della Diagnostica, delle Arti Sanitarie http://www.qualitolo[...] 2013-10-02
[20] 서적 De Contagione et Contagiosis Morbis https://archive.org/[...] apud heredes Lucantonii Iuntae
[21]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yphus And Typhoid? https://www.forbes.c[...] 2024-02-24
[22] 논문 Historical Account of Gaol Fever 1857-10
[23] 문서
[24] 웹사이트 Typhus- Biological Weapons https://www.globalse[...] 2020-10-09
[25] 웹사이트 The government inspector's office http://www.mccord-mu[...] 2012-01-22
[26] 문서
[27] 웹사이트 Health, Disease, Mortality; Demographic Effects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2021-02-26
[28] 논문 Typhus Fever in Poland, 1916 to 1919. 1920-04-23
[29] 웹사이트 Typhus, War, and Vaccines https://www.historyo[...] 2021-02-26
[30] 논문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 in war time: a look back at WW1 2019-01-10
[31] 웹사이트 Typhus in World War I https://microbiology[...] 2021-02-26
[32] 논문 A Pandemic of Typhus in Serbia in 1914 and 1915 1917-11-30
[33] 논문 Typhus and its control in Russia, 1870–1940
[34] 서적 Rats, Lice and History: A Chronicle of Pestilence and Plagues https://archive.org/[...] Black Dog & Leventhal
[35] 논문 Outbreak of epidemic typhus associated with trench fever in Burundi http://www.thelancet[...] 1998-08-01
[36] 논문 Ectoparasitism and Vector-Borne Diseases in 930 Homeless People From Marseilles
[37] 논문 Typhus Vaccine Developments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World War (On Paul Weindling's 'Between Bacteriology and Virology...') Stazione Zoologica Anton Dohrn - Napoli 2002
[38] 웹사이트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ossession and Programs Past and Present http://cns.miis.edu/[...]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008-11-14
[39] 서적 Eugenic Nation: Faults and Frontier of Better Breeding in Modern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논문 Was It Really Typhus? 2002
[41] 뉴스 The Fever Room: Epidemics and Social Distancing in 'Bleak House' and 'Jane Eyre' https://www.newyorke[...] 2020
[42] 논문 Typhus and its control in Russia, 1870–1940 1993
[43] 서적 Chekhov's Doctors: A Collection of Chekhov's Medical Tales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3
[44] 서적 Quarantine!: East European Jewish Immigrants and the New York City Epidemics of 1892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
[45] 서적 In Time of Plague: The History and Social Consequences of Lethal Epidemic Diseas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1
[46] 뉴스 Russian epic https://nla.gov.au/n[...] 1941-01-01
[47] 서적 The Don Flows Home to the Sea Putnam & Co.
[48] 논문 Redeeming the Unredeemable: Auschwitz and ''Man's Search for Meaning'' 2003
[49] 논문 Discursive Killings: Intertextuality, Aestheticization, and Death in Nabokov's "Lolita" 1999
[50] 서적 Boris Pasternak and His Times: Selected Papers from the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Pasternak Berkeley Slavic Specialties 1989
[51] 논문 Memories of the Holocaust Edgar Hilsenrath and the Fiction of Genocide 1982
[52] 서적 Patrick O'Brian: Critical Essays and a Bibliography W.W. Norton 1994
[53] 서적 Reading Art Spiegelman Routledge 2016
[54] 논문 No Time like the Present: Narrative and Time in Art Spiegelman's ''Maus'' https://www.jstor.or[...] 2003
[55] 논문 A Psychological Portrait of Three Female Characters in ''La casa de los espíritus'' 1994
[56] 논문 Those Filthy Irish: Dis-ease in Andrea Barrett's Short Story "Ship Fever" https://journals.ope[...] 2000
[57] 논문 Also Noteworthy: ''Ship Fever and Other Stories'' 1996
[58] 웹사이트 Epidemic Typhus Associated with Flying Squirrels -- United States https://www.cdc.gov/[...] 2022-02-07
[59]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60] 웹사이트 Diseases P-T at sedgleymanor.com http://www.sedgleyma[...] 2007-07-17
[61] 웹사이트 発しんチフスとは https://www.niid.go.[...] 2023-10-17
[62] 논문 ネオリベラリズムとアウシュヴィッツ化する日本 https://doi.org/10.1[...] 横浜市立大学学術研究会 2009-03
[63] 문서 発疹チフス - 13. 感染性疾患 https://www.msdmanua[...]
[64]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65] 웹인용 Diseases P-T at sedgleymanor.com http://www.sedgleyma[...] 2007-07-17
[66] 서적 Lehrbuch der Infektionskrankheiten fur Arzte und studierende https://archive.org/[...] Berlin : J. Springer 2017-12-26
[67] 웹인용 발진티푸스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 2020-04-20
[68] 저널 Rickettsia, typhus and the mitochondrial connection 1998-11
[69] 저널 A century of typhus, lice and Rickettsia 2000-03
[70] 웹인용 발진티푸스 - 부산 CDC https://www.busancid[...]
[71] 논문 Arthropod-borne diseases associated with political and social disorder https://www.ncbi.nlm[...] 2011
[72] 논문 The body louse as a vector of reemerging human diseases https://www.ncbi.nlm[...] 199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