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쓰카이치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쓰카이치선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운영하는 11.1km의 노선으로, 하이지마역을 제외한 6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 전 구간 단선,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었으며, 도쿄 근교 구역 및 Suica 수도권 에리어에 포함된다. 각역 정차 열차는 하이지마역과 무사시이쓰카이치역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하며, 오메선을 경유하는 직통 운행도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중앙선 신주쿠역, 도쿄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도 운행했으나, 2023년 3월 18일 폐지되었다. 현재는 E233계 전동차가 사용되며, 과거에는 다양한 기동차와 전동차가 운행되었다. 이쓰카이치선은 아사노 재벌 계열의 이쓰카이치 철도가 건설했으며,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과 폐지를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쓰카이치선 - 히가시아키루역
히가시아키루역은 도쿄도 아키루노시에 있는 JR 동일본 이쓰카이치선의 역으로, 1925년 개업하여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하루 평균 약 4,593명이 이용한다. - 이쓰카이치선 - 무사시히키다역
무사시히키다역은 도쿄도 아키루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쓰카이치 선의 철도역으로, 1930년 뵤인마에 정류장으로 개업하여 1944년 국유화와 함께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주변에는 후지쯔 아키루노 테크놀로지 센터, 공립 아키루 의료센터, 이온몰 히노데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고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3,971명이 승차한다. - 192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후나토선
오후나토선은 이와테현의 이치노세키시와 오후나토시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동일본 대지진 피해와 이용객 감소로 일부 구간이 폐선 및 BRT로 대체되어 현재는 이치노세키역에서 모리역 구간만 운행 중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이쓰카이치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파일:JR logo (east).svg|35px|link=동일본 여객철도]] 이쓰카이치 선 |
노선 색상 | #f15a22 |
노선 기호 | JC |
종류 | 보통 철도 (재래선・간선) |
지역 | 도쿄도 |
기점 | 하이지마역 (아키시마시) |
종점 | 무사시이쓰카이치역 (아키루노시) |
역 수 | 7역 |
노선 거리 | 11.1 km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보안 장치 | ATS-P |
최고 속도 | 85 km/h |
노선도 | [[파일:JR Itsukaichi Line linemap.svg|250px]]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
차량 기지 | 도요다 차량 센터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참조 |
역사 | |
개업 | 1925년 4월 21일 |
기술 정보 | |
전보 약호 | 이치세 |
폐색 방식 | 단선 자동 폐색식 |
2. 노선 정보
도쿄 지역의 전차 특정구간 (E전) 노선 중 하나로, 오메선과 하치코선이 만나는 하이시마역에서 서쪽으로 뻗어 도쿄도 서부의 아키시마, 후사, 아키루노를 잇는다. 일부 열차는 오메선으로 직통하여 다치카와역까지 운행한다. 노선 색상은 주오선 및 오메선과 동일한 '''오렌지 버밀리언'''이다.
- '''영업 거리''': 11.1km[8]
- '''관할 (사업 종류)''':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 사업자)
- '''궤간''': 1067mm
- '''역 수''': 7개 (기점 및 종점역 포함)[8]
- 이쓰카이치선 소속 역만 계산할 경우, 오메선 소속인 하이시마역[9]을 제외하면 6개 역이다. 이쓰카이치선 소속 역은 모두 하이지마역의 관리를 받는다.
- '''복선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 V · 가공 전차선 방식)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ATS-P
- '''최고 속도''': 85 km/h
- '''열차 운행 관리소''': 도쿄 종합 사령실
- 준 운전 취급역 (입환 시 역에서 신호 제어): 하이시마역
-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ATOS)
- '''대도시 근교 구역''': 전 노선 (도쿄 근교 구역)
- '''전철 특정 구역''': 전 노선
- '''IC 카드 승차 카드 대응 구간''': 전 노선 (Suica 수도권 에리어)
전 노선이 하치오지 지사의 관할이다.
과거에는 무사시이쓰카이치역에서 하이지마역 방면의 산나이 신호취급소까지 되돌아가 스위치백 방식으로 무사시이와이역으로 향하는 이와이 지선(정식 명칭은 본선의 말단 구간)이 있었으나 폐선되었다. 현재 이 구간은 니시도쿄 버스의 무사시이쓰카이치역 - 마쓰오·쓰루쓰루 온천 간 노선 버스가 대체 운행하고 있다. 무사시이쓰카이치역은 폐선 부지를 활용하여 고가화 및 개축되었으며, 역 앞에 일부 남아 있는 폐선 부지는 보선 작업용 기계 유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3. 운행 형태
모든 열차는 무사시이쓰카이치역과 하이시마역 사이의 각 역에 정차한다.
낮 시간대에는 주로 하이시마역과 무사시이쓰카이치역 사이의 구간만을 운행한다. 통근 시간대에는 일부 열차가 오메선과 직통 운행하여 다치카와역까지 운행하며, 이 경우에도 이쓰카이치선 내 모든 역에는 정차한다. 야간 시간대에는 하이시마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열차가 운행된다.
운행 간격은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는 약 10분에서 20분 간격이며, 낮 시간대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낮 시간대의 운행 간격은 2015년 3월 시간표 개정을 통해 기존 20분 간격에서 30분 간격으로 조정되었다.[21]
과거에는 주오 본선 도쿄 방면으로 직통 운행하는 열차나 주말에 운행하는 '홀리데이 쾌속 아키가와'도 있었으나,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을 마지막으로 모두 폐지되어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1][22]
3. 1. 과거 운행 형태
이쓰카이치선은 때때로 오메선을 경유하는 직통 운행을 실시했다. 이쓰카이치선으로 운행하는 모든 직통 열차는 이 노선의 모든 역에 정차했다.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직통 운행이 이루어졌다.
- '''오메선 직통 운행''': 일부 이쓰카이치선 열차는 하이시마를 경유하여 오메선까지 직통 운행했으며, 무사시이쓰카이치역과 다치카와역 사이를 운행했다.
- '''주오 본선 직통 운행''':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주오 본선 열차가 하이시마역을 경유하여 도쿄와 이쓰카이치선 간을 직통 운행했다. 이 열차들은 주로 하이시마역에서 오메선의 오메역 방면 또는 하치코선의 하코네가사키역 / 고마가와역 방면에서 오는 다른 열차와 연결(병결) 또는 분리 운행을 했다. 예를 들어, 아침에는 각 방면에서 출발한 열차가 하이시마역에서 합쳐져 도쿄로 향했고, 저녁에는 도쿄에서 온 열차가 하이시마역에서 각 방면으로 나뉘어 운행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주오 본선 직통 운행(평일, 토요일, 공휴일 포함)은 2022년 3월 11일까지 이루어졌다.[1] 당시 도쿄역/신주쿠역 - 하이시마역 구간은 10량 편성으로 운행했다.
2022년 3월 12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의 주오 본선 직통 운행이 폐지되었고, 토요일과 공휴일에만 운행하던 "홀리데이 쾌속 아키가와" 열차만 남게 되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면서, 주오 본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완전히 사라졌다.[22]
한편, 운행 간격은 과거 낮 시간대에 20분 간격이었으나, 2015년 3월 시간표 개정으로 30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21]
4. 차량
도요타 차량 센터 소속의 E233계 6량 편성(토요일·공휴일에는 일부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중앙 본선과 동일하게 오렌지 버밀리언 색 띠가 둘러진 전동차가 사용된다.
E233계는 2007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부터 주오선 직통 열차에서 운용을 시작했으며, 2008년 3월까지 오메선·이쓰카이치선 내 열차를 포함하여 모든 열차가 E233계로 통일되었다. E233계 도입 초기에는 평일 아침 무사시이쓰카이치 발 주오선 직통 도쿄행 열차의 선두 차량에 여성 전용칸이 운영되었으나, 2022년 3월 12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주오선 직통 열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여성 전용칸 운영도 전날인 11일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2008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부터는 연중 반자동 취급을 시행하고 있다.[23]
4. 1. 과거 차량
비전철화 시대에는 증기 기관차, 객차, 기동차가 사용되었다. 다음은 주요 입선 실적이 있는 차량이다.'''기동차 (1961년 전철화까지)'''
- 키하10계
- 키하20계
'''전동차 (1961년 전철화 이후)'''
5. 역사
이쓰카이치선은 1925년 이쓰카이치 철도에 의해 처음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다치카와역에서 하이시마역을 거쳐 무사시이쓰카이치역, 무사시이와이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이었으며, 특히 다치카와역과 하이시마역 사이 구간은 현재의 오메선(당시 오메 전기 철도)과 경쟁하는 별도의 경로로 운행되었다[10].
1940년, 이쓰카이치 철도는 난부 철도에 인수합병되었고, 4년 뒤인 1944년에는 전시 매수 정책에 따라 국철 소속의 이쓰카이치선이 되었다[10][11]. 국유화 과정에서 오메선과 중복되던 다치카와 - 하이시마 구간은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후 다시 운행되지 않았다[10][12]. 다만, 해당 구간의 일부 선로는 현재도 난부선 및 주오 본선과의 연결선으로 사용되고 있다[10].
이후 노선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61년에는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고[10], 1971년에는 무사시이쓰카이치역 너머의 무사시이와이역 방면 구간(이와이 지선)의 여객 영업이 중단되었으며, 해당 구간은 1982년 최종 폐지되었다[10][14][17].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노선을 승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0].
5. 1. 주요 연혁
이쓰카이치선은 아사노 재벌의 사철 '''이쓰카이치 철도'''가 건설한 노선이다[10]. 1930년 다치카와역 - 하이시마역 - 무사시이쓰카이치역 - 무사시이와이역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당시 다치카와역 - 하이시마역 구간은 오메 전기 철도(현재의 오메선)와는 다른 경로(남쪽 우회)로 병행했다[10]. 1940년, 같은 아사노 재벌 계열의 난부 철도에 합병되어 이쓰카이치선이 되었고, 1944년에는 전시 매수 정책에 따라 국유화되어 철도성 소속의 이쓰카이치선이 되었다[10]. 국유화 과정에서 오메선과 병행하던 다치카와역 - 하이시마역 구간은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후 부활하지 못했다[10].다만, 다치카와역 - 무사시카미노하라역 구간과 구 난부 철도의 무사시카미노하라역 - 니시타치카와역 구간 선로는 현재도 난부선 및 주오 본선 하행선(다치카와역 남쪽)과의 연락선(오메 단락선)으로 이용되고 있다[10]. 그 외 폐선 부지는 일부 택지화되었으나, 아키시마시 내의 "고테쓰 거리"나 신오쿠타마 가도의 일부처럼 도로로 전용된 구간도 있다.

6. 역 목록
영업 킬로
영업 킬로
세이부 철도: SS 세이부 하이지마 선 (SS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