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마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즈마일은 도나우 삼각주 킬리아 지류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의 도시이다. 12세기에 제노바 상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왈라키아, 몰다비아,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루마니아, 소련 등의 지배를 받았다. 1790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오스만 제국 요새를 공격하여 점령하는 등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주요 무대였다.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도시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의 공격을 받았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여름철 고온 다습 기후 또는 습윤 아열대 기후에 속하며, 다양한 민족 구성과 저명한 출신 인물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데사주의 도시 - 포딜스크
포딜스크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도시로, 비르줄라에서 코토프스크를 거쳐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오데사주의 도시 - 초르노모르스크
초르노모르스크는 우크라이나 흑해 연안의 도시로, 항만 건설과 함께 발전했으며 탈공산화 정책에 따라 개명되었고, 초르노모르스크 항은 유라시아 랜드 브릿지의 중요한 화물 노선이다. - 오데사주 - 리포반인
리포반인은 18세기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몰도바의 강 삼각주에 정착한 고의식파 신자들로, 니콘 총대주교의 종교 개혁 이전 전통을 고수하며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박해를 피해 이주했고, 우크라이나 빌코베 마을을 주요 거점으로 독특한 건축 양식을 유지하며 살아가며, 그 이름의 기원은 피나무, 필리프라는 인물, 또는 성 필립 축일 등 다양한 설이 있다. - 오데사주 - 포딜스크
포딜스크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도시로, 비르줄라에서 코토프스크를 거쳐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우크라이나의 항구 도시 - 오데사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오데사 주의 행정 중심지로, 1794년 건설되어 자유항으로 발전하며 러시아 제국 내 무역 중심지로 성장, 지중해풍 건축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격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우크라이나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즈마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우크라이나어) | Ізмаїл |
로마자 표기 | Izmayil (이즈마이일) |
러시아어 명칭 | Измаил (이즈마일) |
루마니아어 명칭 | Ismail (이스마일), Smil (스밀), Smeilu (스메일루) |
불가리아어 명칭 | Исмаил (이스마일) |
모토 | 신앙, 자유, 승리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위치 |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
라욘 | 이즈마일 라욘 |
흐로마다 | 이즈마일 도시 흐로마다 |
설립 | 1589년 |
도시 지위 획득 | 1830년 |
면적 | 54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28 미터 |
시간대 | EET (UTC+2) |
하계 시간대 | EEST (UTC+3) |
우편 번호 | 68600-68633 |
지역 번호 | +380 4841 |
기후 | Cfa |
웹사이트 | 이즈마일 시의회 공식 웹사이트 |
인구 | |
2021년 | 69,932명 |
2. 역사
이즈마일의 역사는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12세기 제노바 공화국 상인들이 건설한 요새에서 시작하여, 14세기에는 잠시 왈라키아에 속하기도 했으며, 이후 몰다비아의 지배를 받았다. 1484년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고, 16세기에는 중요한 군사 요새로 기능하며 노가이인들이 정착하기도 했다.
1787년-1792년의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 1790년 러시아 제국의 장군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끄는 군대가 오스만 제국이 난공불락이라 여겼던 이즈마일 요새를 함락시켰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군은 최후 통첩을 거부한 오스만군과 도시의 무슬림 주민들에 대한 대규모 학살을 자행하여 약 4만 명이 희생되었다고 보고되었다.[20] 이 사건은 러시아 제국의 팽창을 상징하는 동시에 전쟁의 참혹함을 보여준다.
1812년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이즈마일은 베사라비아와 함께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이후 도시 재건이 이루어졌다. 크림 전쟁 패배 후 잠시 몰다비아 공국(이후 루마니아 공국)에 속했으나, 1877년-1878년 전쟁 결과 다시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러시아 제국 붕괴 후 1918년부터 1940년까지는 루마니아 왕국의 영토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비에트 연방에 점령되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며, 전쟁 중 잠시 루마니아군이 점령하기도 했으나 1944년 소련이 다시 통제권을 확보했다. 소련 시기에는 많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이 이주하여 민족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21]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이즈마일은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그러나 2022년 시작된 러시아의 전면적인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2023년 8월 1일 항만 시설이 러시아군의 공격을 받는 등[22], 전략적 요충지로서 다시금 분쟁의 영향을 받고 있다.
2. 1. 초기 역사와 중세 시대
이즈마일 요새는 12세기에 제노바 상인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당시에는 Licovrissi|리코브리시it로 알려졌다.[3] 14세기에는 짧은 기간 동안 왈라키아에 속하기도 했다. 도나우강 북쪽 지역은 바사라브 가문의 소유였는데, 이 가문의 이름에서 '베사라비아'라는 지명이 유래했다.14세기 말부터 이즈마일은 몰다비아의 지배를 받았다. 1484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538년부터는 직접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이었던 아야슐르 이스마일 파샤의 이름을 따 '이스마일리예'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기도 했다. 또한 무라드 3세 술탄의 칙령으로 도시가 설립되었는데, 당시 하렘의 수장이었던 하베시 메흐메드 아가에게 교차점 주변 토지를 하사했다.[3] 메흐메드 아가가 세운 도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메흐메다바드'라고 불렸으며, 그 중요성이 바그다드와 비교되기도 했다.[3]
16세기 초부터 이즈마일은 부자크 지역의 주요 오스만 요새로 기능했다. 1569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2세는 원래 북캅카스 출신인 노가이 신민들을 이곳에 정착시켰다.
2. 2. 러시아-튀르크 전쟁과 이즈마일 공방전
러시아 제국의 장군 니콜라스 레프닌은 1770년 이즈마일 요새를 점령했다.[3] 이 사건 이후, 오스만 제국은 다시는 요새를 빼앗기지 않기 위해 대대적으로 요새를 개축하고 강화했다. 당시 오스만 술탄은 이 요새가 절대 함락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3]
하지만 러시아-투르크 전쟁 (1787-1792)이 벌어지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1790년 12월 22일, 러시아 제국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이즈마일 요새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함락시켰다.[3] 요새를 지키던 오스만군은 끝까지 항전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러시아 측의 항복 요구(최후통첩)를 거부했다.[3] 이 패배는 오스만 제국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으며, 러시아에서는 이 승리를 기념하여 러시아 최초의 국가인 ''승리의 천둥이 울려 퍼지리라!''라는 노래로 찬양했다.[3]
수보로프는 이후 예카테리나 2세 황제에게 이즈마일 함락을 보고하면서, "집집마다, 방마다 공격이 이어졌고, 도시의 거의 모든 무슬림 남성, 여성, 어린이가 3일간의 무자비한 학살로 목숨을 잃었다. 약 4만 명의 튀르크인이 살해당하고 수백 명이 포로로 잡혔다"고 밝혔다.[4][20] 수보로프는 나중에 한 영국인 여행객에게 당시 학살이 끝난 후 자신의 막사로 돌아가 울었다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20]
전쟁이 끝난 후인 1791년, 이즈마일은 다시 오스만 제국으로 반환되었다.[3]
2. 3. 러시아 제국, 루마니아, 소련, 우크라이나 통치 시기
러시아 제국군은 1809년 9월 14일 이즈마일을 다시 점령했다. 이후 1812년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베사라비아 지역 전체와 함께 이즈마일은 러시아 제국에 공식적으로 양도되었다. 러시아 통치 하에서 도시는 재건되었고, 여러 종교 건축물이 세워졌다. 대표적으로 중보 성당(1822–1836), 탄생 교회(1823), 성 니콜라스 교회(1833) 등이 있다. 이즈마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알려진 작은 터키식 모스크(15세기 또는 16세기 건축 추정)는 1810년에 교회로 개조되었으며[5], 현재는 1790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의 이즈마일 공격을 기념하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크림 전쟁(1853-1856)에서 러시아가 패배하면서, 이즈마일은 몰다비아 공국으로 넘어갔고, 몰다비아 공국은 곧 왈라키아 공국과 합병하여 루마니아 공국을 형성했다. 그러나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러시아는 다시 이즈마일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했다.
1917년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혼란 속에서, 이즈마일은 1918년 1월 22일 다뉴브 함대와의 교전 끝에 루마니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같은 해, 키시나우의 스파툴 차리(Sfatul Țării, 국가 평의회)는 베사라비아 전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하며 루마니아와의 통합을 결의했다. 이 통합은 1920년 파리 조약에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에 의해 인정받았으나, 베사라비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던 소련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즈마일은 1918년부터 1940년까지 루마니아 왕국의 일부로 남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의 결과로 소련 붉은 군대가 이즈마일을 점령했으며, 도시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41년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후, 추축국의 일원으로 참전한 루마니아군이 다시 이즈마일을 점령했다. 그러나 1944년 소련군이 이즈마일을 탈환했다.



소련 시대 동안 많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이 이주하면서 도시의 민족 구성은 점차 변화했다. 1940년 이즈마일주(Oblast)가 신설되어 이즈마일이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나, 1954년 이즈마일주는 오데사주에 병합되었다.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가 독립을 선언하면서 이즈마일은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2020년 7월 18일까지 이즈마일은 지방 중요 도시로서 이즈마일 구(Raion)에 속하지 않으면서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2020년 7월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이즈마일시는 이즈마일 구에 통합되었다.[6][7]
러시아의 전면적인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2022년 11월 12일 이즈마일 시내 중심에 있던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기념비는 시 의회의 결정에 따라 영구 보존 장소가 결정될 때까지 임시 보관소로 옮겨졌다.[8] 2023년 8월 1일과 2024년 9월 27일 등, 이즈마일의 항만 시설을 포함한 지역이 러시아의 미사일 및 드론 공격을 받았다.[22][9]
2. 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이 시작된 후, 이즈마일 시내 중심에 있던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기념비는 2022년 11월 12일 임시 보관소로 옮겨졌다. 이는 시의원들이 기념비의 영구 보관 장소를 결정할 때까지의 조치였다.[8] 2023년 8월 1일, 침공 과정에서 항만 시설이 러시아의 무인기 공격을 받았다.[22] 이후 2024년 9월 27일에도 이즈마일은 러시아의 미사일 및 드론 공격을 받았다.[9]3. 지리
(내용 없음)
3. 1. 위치

이 도시는 도나우 삼각주의 오른쪽 강둑, 킬리아 지류에 위치해 있다. 강 건너편은 루마니아 영토이다. 이 도시는 여러 호수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표적으로 얄푸흐 호, 쿠후를루이 호, 코트라부흐 호 등이 있다.
이즈마일은 부자크 스텝으로 알려진 지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곳은 베사라비아의 남부 지역에 해당한다. 도나우강 맞은편 둑에는 툴체아 언덕이 솟아 있다.
3. 2.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이즈마일은 0°C 등온선을 사용하면 여름철 고온 다습 기후(''Dfa''), -3°C 등온선을 사용하면 습윤 아열대 기후(''Cfa'')에 속한다. 이즈마일은 뚜렷한 사계절을 경험하며, 내륙 우크라이나 남부 지역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연중 비교적 고른 강수량을 보인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겨울은 춥지만 변동이 심하다. 연평균 약 48일 동안 영하의 기온을 기록한다.
4. 인구 통계
1920년 이전 이즈마일의 인구는 약 37,000명으로 추산되었다. 당시 주민 중 약 11,000명은 유대인, 8,000명은 루마니아인, 6,000명은 독일인이었으며, 나머지는 러시아인, 불가리아인, 터키인, 코사크 등으로 구성되었다.[12]
우크라이나 남부 베사라비아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인 이즈마일 시는 행정적으로 이즈마일 도시 그로마다와 동일하다. 200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이즈마일 시의 인구는 85,098명이었다. 주요 민족 구성과 사용 언어는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 비율 (%) |
---|---|---|
러시아인 | 37,166 | 43.67 |
우크라이나인 | 32,500 | 38.2 |
불가리아인 | 8,609 | 10.1 |
몰도바인 | 3,670 | 4.31 |
가가우즈인 | 788 | 2.42 |
루마니아인 | 31 | 0.04 |
언어 | 사용자 수 | 비율 (%) |
---|---|---|
러시아어 | 63,180 | 74.24 |
우크라이나어 | 15,353 | 18.04 |
불가리아어 | 3,898 | 4.58 |
루마니아어 | 1,538 | 1.81 |
가가우즈어 | 327 | 0.38 |
한편, 2001년 당시 이즈마일 시를 제외한 이즈마일 라이온의 인구는 54,692명이었다. 이 지역의 민족 구성과 언어 사용 비율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 비율 (%) |
---|---|---|
우크라이나인 | 15,798 | 28.89 |
몰도바인 | 15,083 | 27.58 |
불가리아인 | 14,072 | 25.73 |
러시아인 | 8,870 | 16.22 |
가가우즈인 | 230 | 0.42 |
루마니아인 | 34 | 0.06 |
이즈마일의 인구는 그리스인,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등 다양한 민족을 포함하여 총 75개 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인구 변화 추이는 다음과 같다.
5. 저명한 출신 인물
- 이온 키릴라, 루마니아의 작가이자 스포츠 저널리스트
-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소련, 러시아, 슬로바키아의 육상 선수. 1988년 하계 올림픽 멀리뛰기 동메달리스트이다.
- 레오니트 디모프 (1926–1987), 루마니아의 시인
- 올레나 호보로바, 우크라이나의 육상 선수. 2000년 하계 올림픽 세단뛰기 동메달리스트이다.
- 빅토르 케물라, 폴란드의 화학자이자 전기화학자. 폴라로그래피 연구자이며 현수 수은 방울 전극(HMDE)을 개발했다.
- 루슬란 마이노프, 불가리아의 배우이자 음악가
- 가브릴 무시체스쿠, 루마니아의 작곡가
- 세르게이 니콜라우 (1905–1999), 러시아-루마니아 공산주의 스파이 책임자이자 세쿠리타테 장군
- 세르지우 사르키조프, 루마니아의 작곡가이자 지휘자
- 숄롬 슈바르츠바르트, 유대인 아나키스트. 시몬 펫류라를 암살했다.
- 이반 시쉬만, 불가리아의 예술가
- 바딤 유리에비치 차레프 Царёв, Вадим Юрьевичru – 러시아의 철학자, 저술가, TV 영화 작가. 러시아 작가 연맹 회원이다.
- 아르투르 바이터이아누, 루마니아의 장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육군 사령관이었으며, 총리를 역임했다.
- 비탈리 콘스탄티노프 - 일러스트레이터
참조
[1]
웹사이트
Українські та нідерландські вчені вивчатимуть ранню історію Ізмаїла на півдні Одещини
http://trassae95.com[...]
[2]
웹사이트
Измаиль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3]
간행물
NEW BOOK ANNOUNCEMENT: OTTOMAN CITY OF IZMAIL (Ismail) ON THE DANUBE
https://networks.h-n[...]
networks.h-net.org
2020-01-16
[4]
서적
Lords of the Horizons
Henry Holt and Company
[5]
웹사이트
"Измаил для нас всегда был и будет священным местом": Генконсул Греции в Одессе посетила столицу Придунавья
https://bessarabiain[...]
2023-12-07
[6]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Голос України
2020-07-18
[7]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8]
웹사이트
The monument to Suvorov from the center of Ishmael will be removed
https://www.pravda.c[...]
2022-11-12
[9]
웹사이트
MSN
https://www.msn.com/[...]
2024-09-27
[10]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Izmail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0-29
[11]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7-17
[12]
서적
Politico-economic Review of Basarabia
http://www.wdl.org/e[...]
American Relief Administration
[13]
웹사이트
О городе. История Измаила. Краткая информация о Измаиле. - Интернет Портал города Измаил
http://izmail-city.o[...]
2017-11-07
[14]
간행물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ины. Сборник: Численность наличного населения Украины на 1 января 2011. Киев 2011. Ответственная за выпуск Тимошенко Г. В. (doc)
http://stat6.stat.lv[...]
2012-10-10
[15]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16]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17]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18]
웹사이트
Мовний склад районів
https://datatowel.in[...]
[19]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20]
서적
Lords of the Horizons
Henry Holt and Company
[21]
웹사이트
20%がモルダヴィア人、59.3%がロシア人、6%がウクライナ人、また14.5%の少数民族がいた
http://www.moldovano[...]
[22]
웹사이트
ロシア軍、ドナウ河川港を「意図的」な標的に
https://www.cnn.co.j[...]
CNN
2023-08-05
[23]
웹인용
Izmail, Ukraine Climate data (Period supervision: 1887–2005)
http://climatebase.r[...]
Climatebase
2015-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