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집트로의 피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로의 피신"은 마태복음에 기록된 예수의 어린 시절 이야기로, 동방 박사들이 "유대인의 왕"을 찾기 위해 예루살렘을 방문하자, 헤롯 대왕이 아기 예수를 죽이려 하여, 천사의 지시를 받은 성 요셉이 예수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이집트로 피신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집트는 헤롯의 영토 밖이었고, 이후 헤롯이 죽자 요셉 가족은 다시 유다로 돌아와, 아켈라오스의 폭정을 피해 나사렛에 정착한다. 이 사건은 호세아의 예언을 성취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신약성경 외경과 이슬람 전승에서도 유사한 이야기가 나타난다. 이집트로의 피신은 기독교 미술에서 중요한 주제였으며, 한국 기독교에서는 민족의 수난과 희망을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자렛의 요셉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나자렛의 요셉 - 성 요셉 대축일
    성 요셉 대축일은 예수의 양아버지인 성 요셉을 기리는 날로, 가톨릭교회에서는 대축일로 지켜지며 이탈리아의 아버지의 날, 스페인의 팔레스 축제 등 다양한 국가에서 기념하고 이탈리아계 공동체에서는 음식을 제공하는 전통이 있다.
  • 콥트 정교회 - 바빌론 요새
    바빌론 요새는 이집트 카이로 인근 나일 강 동쪽에 위치한 고대 요새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명명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 군단의 주둔지이자 기독교 주교구의 중심지였고, 640년 아랍의 침공으로 함락되었다.
  • 콥트 정교회 - 미국 콥트 정교회
    미국 콥트 정교회는 20세기 초 이집트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콥트교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관할 아래 여러 교구와 수도원을 통해 신앙을 전파한다.
  • 기독교 도상학 - 수난
    기독교에서 수난은 예수가 겪은 고통과 죽음을 의미하며, 특히 예루살렘 입성부터 부활까지의 사건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희생으로 여겨진다.
  • 기독교 도상학 -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은 예수 그리스도가 사형 선고를 받은 후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 언덕에 이르러 죽기까지의 고난을 묵상하는 기독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심 행위로, 예루살렘 순례와 비아 돌로로사 재현 열망에서 시작되어 프란치스코회를 통해 널리 보급되었으며, 14개의 '처'로 구성되어 성주간에 특별히 묵상되고 예술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집트로의 피신
개요
조토 디 본도네의 이집트 피신
조토 디 본도네의 이집트 피신 (1303-1305년). 스크로베니 예배당, 파도바.
주제성 요셉, 성모 마리아, 아기 예수의 이집트로의 피신
연대기원후 1세기
성경 구절마태오 복음서 2:13-18
축일날짜는 다양함; 동방 정교회: 12월 26일
성경적 이야기
배경헤로데 대왕은 자신이 동방 박사들에게 속았다는 것을 알고 크게 분노하여 베들레헴과 그 주변 지역에 있는 두 살 이하의 모든 남자아이들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피신요셉은 꿈에서 주의 천사의 경고를 받고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데리고 이집트로 피신하여 헤로데가 죽을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귀환헤로데가 죽은 후, 주의 천사가 이집트에서 요셉의 꿈에 나타나 이스라엘 땅으로 돌아가라고 말했다. 요셉은 가족을 데리고 돌아갔지만, 아켈라오가 아버지 헤로데를 이어 유대를 다스린다는 소식을 듣고 갈릴래아 지방으로 가서 나사렛에 정착했다.
해석 및 중요성
중요성이집트로의 피신은 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중요한 사건이며, 예술과 문학에서 자주 묘사된다. 이 이야기는 박해로부터의 보호, 믿음의 힘, 하나님의 인도하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추가 정보일부 외경적 이야기에서는 피신 동안 일어난 기적과 예수의 존재로 인해 이집트 우상들이 무너지는 것에 대해 묘사한다.

2. 마태복음의 기록

동방박사들이 예수를 찾아 예루살렘으로 가서 새로 태어난 "유대인의 왕"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헤롯 대왕에게 묻자, 헤롯은 그 아이가 자신의 왕위를 위협할 것이라고 의심하여 그를 죽이려 했다. 헤롯은 아기를 죽이기 위해 어린이 학살을 시작했다. 그러나 한 천사가 꿈속의 요셉에게 나타나 예수와 그의 어머니를 이집트로 데려가라고 경고했다.

이집트는 헤롯 왕의 영토 밖이었으므로 피난처를 찾기에 논리적인 장소였지만, 이집트와 유대 모두 "바닷길"이라고 알려진 해안 도로로 연결된 로마 제국의 일부였으며,[2] 그 사이의 여행은 쉽고 비교적 안전했다.

2. 1. 헤롯으로부터의 도주

동방박사들이 예수를 찾아 예루살렘으로 가서 새로 태어난 "유대인의 왕"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헤롯 대왕에게 물었다. 헤롯은 그 아이가 자신의 왕위를 위협할 것이라고 의심하여 그를 죽이려 했다.[1] 헤롯은 아기를 죽이려는 의도로 어린이 학살을 자행했다.[1] 그러나 한 천사가 꿈속의 요셉에게 나타나 예수와 그의 어머니를 이집트로 데려가라고 경고했다.[1]

이집트로의 피신 판화. 요하네스 비에릭스 제작.


이집트는 헤롯 왕의 통치권 밖에 있었기 때문에 피난처를 찾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이집트와 유대는 모두 "바닷길"이라고 알려진 해안 도로로 연결된 로마 제국의 일부였으며,[2] 그 사이를 오가는 것은 쉽고 비교적 안전했다.[2]

2. 2. 이집트에서 귀환

얼마 후, 거룩한 가족은 이집트에서 돌아왔다. 본문에 따르면 헤롯이 죽었다고 말한다. 헤롯은 기원전 4년에 사망한 것으로 여겨지며, 마태는 어떻게 되었는지 언급하지 않지만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유혈 죽음에 대해 생생하게 이야기한다.

거룩한 가족이 돌아가는 땅은 유다로 확인되는데, 유다는 종교적 집단을 언급하기보다는 유다와 갈릴리 전체를 지리적으로 묘사하는 역할을 하는 신약 전체에서 유일한 장소이다(마 2:20). 사람들 또는 일반적으로 유대인. 그러나 그들이 처음에 유다로 돌아온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아켈라오스가 새 왕이 된 것을 알고 대신 갈릴리로 갔다. 역사적으로 아켈라오스는 서기 6년에 주민들의 불만에 대한 응답으로 로마인들에 의해 폐위될 정도로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왕이었다.

야코프 요르다ens의 ''이집트에서 돌아오는 성가족''(1616년경)

2. 3. 호세아의 예언

마태복음 2장 15절은 호세아 11장 1절("...내가 내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렀노라")을 인용하여, 요셉과 마리아, 그리고 예수가 이집트에서 돌아온 사건이 구약성경 예언의 성취라고 설명한다.[1]

마태가 호세아 11장 1절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센서스 플레니어(sensus plenior)' 접근법은 호세아의 본문이 하나님께서 의도하시고 마태가 인지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호세아 자신은 알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유형론적 해석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서 발견되는 성취와 예수의 개인사에서 발견되는 실체적 성취를 연결한다. ''이냐시오 가톨릭 연구 성경''에 따르면, "호세아 11장 1절은 출애굽 사건, 즉 하나님의 '맏아들'(출 4:22)인 이스라엘이 파라오의 압제에서 벗어난 것을 가리킨다. 마태는 이 본문이 또한 영원한 맏아들 예수(롬 8:29)가 폭군 헤롯에게서 구출되어 나중에 이집트에서 나왔을 때(2:21)를 가리킨다"고 설명한다.[3] N. T. 라이트는 예수의 유년 시절 이야기가 '새로운 출애굽'과 '유배의 끝'을 되풀이하면서 출애굽과 유배 전통과 여러 접점을 보여주며, 그를 이스라엘의 참된 대표로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고 지적했다.[5]

정교회 연구 성경은 호세아 11장 1절의 인용이 먼저 이스라엘 백성이 포로 생활에서 벗어나는 것을 가리키며, 구약에서 '아들'은 이스라엘 민족 전체를 가리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호세아의 예언은 출애굽기에서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을 이집트에서 불러낸 사건, 즉 모세가 파라오에게 "이스라엘은 내 맏아들이다. 내 아들을 보내어 나를 섬기게 하라"(출 4:22-23)라고 선언한 것을 언급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4]

마소라 본문은 '내 아들'이라고 읽는 반면, 70인역은 '그의 아들들' 또는 '그의 자녀들'이라고 읽는다.[6] 마소라 본문이 선호되는데, 이는 호세아 11장 1절의 다른 단어들과 출애굽기 4장 22-23절의 언급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70인역의 해석은 호세아 11장 2절의 복수형인 '그들'과 '그들에게' 맞추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설명할 수 있다.

3. 역사성



동방 박사들이 예수를 찾아 헤롯 대왕에게 "유대인의 왕"으로 태어난 아기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묻자, 헤롯은 그 아이가 자신의 왕위를 위협할 것이라고 의심하여 그를 죽이려 했다.[8][9] 헤롯은 어린이 학살을 통해 아기를 죽이려 했지만, 천사가 꿈속의 요셉에게 나타나 예수와 그의 어머니를 이집트로 데려가라고 경고했다.[10]

이집트는 헤롯 왕의 영토 밖이었으므로 피난처를 찾기에 논리적인 장소였지만, 이집트와 유대 모두 "바닷길"이라고 알려진 해안 도로로 연결된 로마 제국의 일부였으며,[2] 그 사이의 여행은 쉽고 비교적 안전했다.

누가복음은 이 이야기를 전하지 않고, 대신 성가족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서 나사렛으로 돌아갔다고 전한다.[7] 따라서 예수 세미나의 추종자들은 누가복음과 마태오 복음서의 탄생 및 유아기에 대한 이야기가 모두 날조된 것이라고 결론짓는다.[8][9]

반면, 20세기 영국의 학자 윌리엄 닐(William Neil)은 성가족이 헤롯의 죽음 이후까지 근처 이집트로 피신한 것과, 그들이 돌아와 갈릴리에 정착한 이유는 나사렛이 그들의 고향이라는 누가의 정보와는 별개로 정황상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11]

앵커 바이블 시리즈(Anchor Bible Series)의 마태오 복음서 주석에서 W. F. 올브라이트(W. F. Albright)와 C. S. 만(C. S. Mann)은 "가족의 이집트 피신 이야기가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고 의심할 이유가 없다"고 언급하며,[12] 구약성경에는 박해나 복수를 피해, 또는 경제적 압박에 직면하여 이집트로 피신한 개인과 가족에 대한 언급이 풍부하다고 덧붙였다.

영국의 학자 R. T. 프랑스(R. T. France) 또한 이 이야기의 역사적 사실성을 옹호하며, 요셉이 망명지로 이집트를 선택한 것은 정부의 보복을 두려워한 다른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관행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이웃 국가로서 상당한 유대인 인구를 가지고 있는 이집트는 분명한 피난처였으며, 아르켈라오스 치하의 유대를 피하고 갈릴리에서 안전을 기대한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도 일치한다.[13]

4. 성경 외 기록

신약성경 외경의 유아 복음서에는 아기 예수가 야자수를 굽히고, 용을 길들이고, 사막의 짐승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등의 다양한 기적 이야기가 더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14][15] 훗날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히는 두 강도와의 만남도 언급된다. 이 이야기에서 살로메는 예수의 간호사로 가족과 동행했다. 이러한 내용은 콥트 정교회에서 중요하게 여기며, 이집트 전역에는 성가족이 머물렀던 장소를 기념하는 많은 교회와 성소가 있다.

꾸란에는 이집트로의 피신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알무미눈 50절("우리는 마리암의 아들과 그의 어머니를 징표로 삼았고, 그들을 평온함으로 가득하고 샘으로 물이 대어진 높은 곳에 머물게 하였노라")은 이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수 탄생에 대한 묘사는 ''가짜 마태오 복음서''의 피신 묘사와 매우 유사한데, 마리아가 대추야자 나무 기둥에 기대어 아기를 낳고, 기적적으로 나무가 대추와 샘물을 제공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두 전통 사이에 영향 관계가 있었음을 시사한다.[17][18]

후대 이슬람 작가들도 이집트 피신 이야기를 전했는데, 아부 이스학 알사알라비는 ''ʿArāʾis al-madjālis fī ḳiṣaṣ al-anbiyāʾ''에서 이집트 피신과 12년간의 체류를 보고했고, 알타바리의 ''예언자와 왕들의 역사''에도 관련 내용이 있다.[19]

4. 1. 기독교

신약성경 외경의 유아 복음서에는 아기 예수가 야자수를 굽히고, 용을 길들이고, 사막의 짐승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등 다양한 기적 이야기가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14][15] 이 이야기에서 살로메는 예수의 간호사로 가족과 동행했다. 콥트 정교회는 이집트를 성가족이 머물렀던 성지로 여기며, 이집트 전역에는 가족이 머물렀던 장소를 기념하는 많은 교회와 성소가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곳은 성 세르기우스와 바쿠스 교회로, 가족이 집을 지었던 곳에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조반니 바티스타 루치니의 ''그리스도께서 용들을 잠재우시다''(1680–81)


7세기의 가짜 마태복음에는 마리아가 더위에 지쳐 야자수 아래에서 쉴 때, 아기 예수가 기적적으로 야자나무를 굽혀 열매를 제공하고, 뿌리에서 샘이 솟아 물을 제공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16]

4. 2. 이슬람

꾸란에는 이집트로의 피신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일부 구절(알무미눈 50절)이 이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후대 이슬람 문헌에는 이집트 피신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1]

5. 전례 및 기념

콥트 정교회는 매년 6월 1일에 "주님의 이집트 입성"을 기념한다.[20] 동방 정교회와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12월 26일에 이집트로의 피신을 기념한다.[20] 1962년 이전의 로마 미사 경본을 따르는 가톨릭 교회에서는 2월 17일에 이 사건을 기념하는 미사를 드렸다.[21] 마론파 가톨릭 교회는 12월 29일에 이집트 피신을, 12월 30일에 "이집트에서 나사렛으로의 귀환"을 기념한다.

6. 예술 작품 속 이집트 피신

이집트로의 피신은 중세부터 현대까지 서양 미술에서 인기 있는 주제였다. 프라 바르톨로메오, 요하네스 비에릭스, 조반니 바티스타 루치니 등 수많은 화가들이 이집트 피신을 소재로 한 작품을 남겼다.[1]

15세기 이후에는 성가족이 여행 중 휴식을 취하는 장면을 그린 "이집트로의 피신 중 휴식"이 인기를 끌었다. 15세기 초기 네덜란드 회화부터 이 주제가 인기를 얻었고, 16세기 후반에는 원래의 여행 가족보다 더 흔하게 되었다.[23]

16세기 동안 풍경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 주제는 그림의 개별 주제로 인기를 얻었으며, 종종 큰 풍경 속에서 인물이 작게 묘사되었다. 이 주제는 특히 독일 낭만주의 화가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19세기에는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으로 이집트의 풍경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이집트로의 피신'', 헨리 오사와 타너 작, 1923년


thumb, 1875–1879]]

7. 나사렛, 나사렛 사람, 나실인

마태오 복음은 요셉 가족이 헤로데 아르켈라오스를 피해 나사렛으로 이주한 이유를 "나사렛 사람이라 칭하리라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함"이라고 설명한다.[32] '나사렛 사람'이라는 칭호는 구약성경에 명확하게 등장하지 않아, 그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나사렛 사람'을 나실인(Nazarite)과 연결시키지만, R. T. 프랑스 등은 예수가 나실인이 아니었다는 점을 들어 이 해석을 반박한다. 다른 학자들은 이사야 11장 1절의 '가지'(히브리어로 '네체르')라는 단어에서 '나사렛 사람'이라는 칭호가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바길 픽스너는[34] 예수가 나사렛 사람으로 불린 것은 그의 출신지보다는 왕족 혈통을 암시한다고 말한다.

8. 한국 기독교와의 연관성

한국 기독교, 특히 개신교는 이집트 피신 이야기를 통해 민족의 수난과 희망을 투영해 왔다. 일제강점기, 6.25 전쟁 등 민족적 고난 속에서 이집트 피신은 억압받는 현실에서 벗어나 구원을 얻고자 하는 열망을 상징했다. 한국 교회는 이집트 피신을 주제로 한 설교, 찬송, 성극 등을 통해 성도들에게 위로와 소망을 제공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집트 피신을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을 위한 연대와 투쟁의 상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 vlucht naar Egypte https://lib.ugent.be[...] 2020-10-02
[2] 서적 The Roads that Led to Rome published by Weidenfeld & Nicolson 1967
[3] 서적 Ignatius Catholic Study Bible, New Testament Ignatius Press 2010
[4] 서적 The Orthodox Study Bible Thomas Nelson 2008
[5] 서적 The New Testament in its World SPCK; Grand Rapids: Zondervan Academic 2019
[6] 웹사이트 Brenton's Septuagint Translation of Hosea 11 http://biblehub.com/[...] 2016-12-04
[7] 문서 Luke 2, v 22–40
[8]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 1998
[9]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 1998
[10]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11] 서적 Harper's Bible Commentary Harper & Row 1962
[12] 서적 Matthew
[13] 간행물 Scripture, Tradition and History in the Infancy Narratives of Matthew JSOT Press
[14] 웹사이트 First Infancy Gospel of Jesus. chapter VIII http://www.interfait[...]
[15] 웹사이트 The Gospel of Pseudo-Matthew http://www.gnosis.or[...]
[16] 서적 The Islamic Jesus: How the King of the Jews Became a Prophet of the Muslim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17
[17] 간행물 Maryam 2018-09-30
[18] 서적 The Islamic Jesus: How the King of the Jews Became a Prophet of the Muslim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17
[19] 서적 Images of Jesus Christ in Islam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10
[20] 웹사이트 СВЯТОЕ СЕМЕЙСТВО – Древо http://drevo-info.ru[...] 2023-10-02
[21] 웹사이트 The Mass of the Flight into Egypt https://fssp.com/the[...] Priestly Fraternity of Saint Peter 2023-10-16
[22] 간행물 Joseph christophore dans la Fuite en Egypte 2016
[23] 서적 Iconography of Christian Art, Vol. I Lund Humphries 1971
[24] 문서 Schiller:117–123. The date palm incident is also in the [[Quran]]. There are two different falling statue legends, one related to the arrival of the family at the Egyptian city of Sotina, and the other usually shown in open country. Sometimes both are shown.
[25] 문서 Catalogued as Baudi di Vesme nos 1–27 (with three plates of frontispiece etc.)
[26] 웹사이트 Flight into Egypt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7] 웹사이트 Max Bruch http://www.myorchest[...] MyOrchestra 2022-12-06
[28] 웹사이트 Flight of the Holy Family Op. 20 for choir and orchestra/ Flight into Egypt Op. 31, 1 for soprano, choir and orchestra https://repertoire-e[...] Musikproduktion Hoeflich 2022-12-08
[29] 웹사이트 CrossOpera: otherness, fear and discovery https://www.crossope[...] 2022-01-21
[30] 웹사이트 Landestheater Linz detail https://www.landesth[...] 2022-01-21
[31] 웹사이트 CrossOpera: Otherness, fear and discovery, Cinque {{!}} Landestheater Linz https://www.operabas[...] 2022-01-21
[32] 서적 Nazareth HarperCollins 1996
[33] 웹사이트 Galilee http://www.columbia.[...]
[34] 문서 Bargil Pixner
[35] 웹사이트 St. Aphrodisius – Catholic Online http://www.catholic.[...]
[36] 간행물 Ziyāra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2018-09-30
[37] 웹사이트 Egypt voyager http://www.egyptvoya[...]
[38] 웹사이트 Dayr Al-Jarnus https://ccdl.claremo[...] 1991
[39] 웹사이트 St Mary Mons https://web.archive.[...]
[40] 웹사이트 Coptic Cairo http://www.egyptolog[...] 2007-12-14
[41] 웹사이트 Commons category https://commons.wiki[...]
[42] 서적 The great commentary of Cornelius à Lapide http://www.catholica[...]
[43] 서적 A Practical Commentary on Holy Scripture B. Herder
[44] 서적 Meditations For Every Day In The Year Benziger Brot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