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잎갈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잎갈나무는 높이 30~40m까지 자라는 낙엽성 침엽수로, 일본 특산종이다. 혼슈 중부 지역에 자연 분포하며, 가을에는 노란색 또는 황갈색으로 단풍이 든다. 일본잎갈나무는 방풍림, 방설림, 목재, 분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며, 특히 목재는 건축, 침목, 펄프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1960~70년대 한국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으며, 품종 개량을 통해 병해충에 강하고 생장 속도가 개선된 잡종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고유종 식물 - 삼나무
삼나무는 일본 고유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곧게 자라는 원추형 수관과 적갈색 수피, 바늘 모양 잎을 가지며, 건축재, 가구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 일본의 고유종 식물 - 제비붓꽃
제비붓꽃은 5~6월에 보라색 꽃을 피우는 붓꽃과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 습지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넓은 잎과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 무늬가 있는 바깥쪽 꽃잎이 특징이고,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소나무과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 소나무과 - 미송
미송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원산의 상록침엽수로, *Pseudotsuga menziesii*라는 학명을 가지며, 가짜전나무속에 속하는 대형 수종으로, 건축 및 가구재,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활용되지만 무분별한 벌채로 서식지 감소가 우려되어 IUCN 적색 목록에서 재평가가 필요한 상태이다.
일본잎갈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arix kaempferi (람베르트) 카리에르 |
과 | 마츠과 |
속 | 카라마츠속 |
종 | 카라마츠 |
보전 상태 | 관심 필요 |
일본어 이름 | 카라마츠 라쿠요우쇼 |
영어 이름 | Japanese Larch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겉씨식물문 |
강 | 마츠강 |
목 | 마츠목 |
과 | 마츠과 |
속 | 카라마츠속 |
종 | 카라마츠 |
학명 (명명자) |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1856) |
이명 | Larix leptolepis (Siebold et Zucc.) Gordon (1858) |
일본어 이름 | 카라마츠 (唐松, 落葉松) 후지마츠 라쿠요우쇼 |
영어 이름 | Japanese Larch |
품종 | f. pendula (Sugim.) Yonek. 시다레카라마츠 f. rubescens (Inokuma) T.Shimizu 아카미카라마츠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군 | 구과식물군 |
강 | 구과식물강 |
목 | 구과목 |
과 | 소나무과 |
속 | 잎갈나무속 |
종 | 일본잎갈나무 |
학명 | Larix kaempferi |
학명 (명명자) | (Lamb.) Carr. |
영어 이름 | Japanese larch |
일본어 이름 | からまつ |
2. 특징
높이 30~40m, 지름 2.5m 정도까지 자라는 낙엽침엽수 교목이다.[1] 나무껍질은 암갈색이며 붉은색을 띠기도 하고,[1] 균열이 생기면 긴 바늘조각처럼 얇게 갈라져 벗겨진다.[2]
일본 특산종으로 혼슈 중부의 미야기현 蔵王산(북쪽 한계)에서 이시카와현·기후현의 백산(서쪽 한계), 시즈오카현(남쪽 한계)에 걸쳐 자연 분포한다.[18][19][20][21][22] 일본의 거의 중앙부에 분포 중심을 가지며, 대부분 화산성 토양의 산지에 자란다. 천연림은 나가노현을 중심으로 아사마산, 쿠사츠시라네산, 야가타케, 코부시신가타케 등 각 산 주변, 또 히다산맥, 키소산맥, 아카이시산맥 등 일본 알프스 주변에서 발견된다. 나가노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토치기현의 오쿠니코 주변, 후지산 주변에서도 확인되었다. 또, 멀리 떨어진 미야기현·야마가타현 경계의 자오의 우마노카미다케에서도 소수의 집단이 발견되었다.
일본잎갈나무는 양수(陽樹)로서,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란다. 산불 피해 지역이나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선구 수종(先驅樹種)이다.[24] 다른 소나무과 침엽수와 마찬가지로 균류와 공생하여 균근(菌根)을 형성한다. 균근은 균류가 생성하는 유기산과 항생물질을 통해 영양분 흡수를 촉진하고 병원 미생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균류는 나무의 광합성 산물을 얻는 상리공생 관계를 이룬다.[31][32][33][34][35][36]
일본잎갈나무는 목재, 조림, 조경, 분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2~4cm이고 끝이 뾰족하다. 긴 가지에서는 어긋나고 잔 가지에서는 국화꽃처럼 다발로 나는데, 선녹색을 띠며 가을에는 노란색 또는 황갈색으로 단풍이 든다. 소나무속(''Pinus'') 및 히말라야시다속(''Cedrus'')과 마찬가지로, 장지와 단지의 두 가지 종류를 가진다.[2] 장지는 일반적으로 가지로 인식되는 것이며, 단지는 잎의 밑부분에 있는 수 밀리미터(mm)의 매우 짧은 가지이다.
잎은 바늘 모양이며 길이 20~40mm이고, 장지에서 갈라진 단지 끝에 여러 개(20~40개 정도)가 속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3] 어린 장지에 한하여 직접 잎이 단생한다.[4] 이 점이 어린 가지에서도 단지에만 잎이 달리는 소나무속과 다르다. 잎의 배열은 같은 소나무과의 전나무속이나 측백나무과의 삼나무와 비교하여 조잡한 인상을 주는 개체가 많다. 봄의 새싹과 가을의 단풍이 아름답다고 평가받고 있다.[3] 가을이 깊어짐에 따라 잎은 노란색에서 탁한 황토색으로 짙어지고, 단풍이 든 잎은 떨어지기 쉽다.[5]
암수한그루로 수꽃·암꽃 모두 잔가지 위에 나고 5월에 꽃이 핀다. 수꽃은 노란색이고 타원형이며, 암꽃은 담홍색이고 달걀꼴이다. 새 잎이 펼쳐지면서 암꽃은 연분홍색으로 위쪽을 향해, 수꽃은 노란색으로 아래쪽을 향해 핀다.[2] 풍매화이며, 수꽃의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날아가 암꽃이 수분되면 수개월 후에 익는다.
10월 무렵 황갈색으로 익는 구과는 대체로 넓은 달걀꼴이고 길이 2.0-3.5cm, 너비 1.2-2.5cm이며 위쪽을 향한다. 실편(종자)의 갯수가 30개 이상이다. 실편의 모양은 삼각형이고 긴 날개가 있다. 종자는 날개가 있다. 구과는 종자를 날린 후에도 가지에 남아 있으며, 가지째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2] 낙엽 후에는 나무 아래에 가는 잎이 한 겹으로 쌓인다.[5]
겨울 동안에는 낙엽이 진 모습이 되며, 수꽃과 암꽃의 겨울눈은 모두 단지에 달리고, 반구형으로 얇은 눈비늘에 싸여 있다.[2] 단지에는 많은 잎이 속생하기 때문에, 단지의 겨울눈은 많은 마름모꼴의 잎자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월동에 따른 수의 잎자국이 단으로 겹쳐진다.[2] 겨울 장지의 끝 부분 표면에 있는 세로줄은 엽흔이며, 그 끝에는 엽흔이 있다.[2] 엽흔에는 유관속흔이 1개 있다.[2]
3. 분포
홋카이도에서 볼 수 있는 대규모의 낙엽송 숲은 인공적으로 조림된 것으로, 1960년경에는 매년 30000ha의 조림이 이루어졌다.
4. 생태
일본 고산 지대에서는 소나무과의 눈잣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등이 주로 자라지만, 후지산에서는 특이하게 눈잣나무 대신 일본잎갈나무가 저목(低木) 형태로 수목한계선 근처에 분포한다.[25] 이는 산사태나 낙석으로 인해 나무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고 낮게 자라는 것으로 보인다.[26]
일본잎갈나무 숲은 잎이 성기게 달려 밝은 편이다. 하지만 낙엽이 두껍게 쌓여 토양이 산성화되고, 임상(林床) 식생의 발달을 저해하는 알레로파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38]
5. 인간과의 관계
목재는 질기고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 토목, 펄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측백나무, 소나무와 함께 사면 상부나 능선을 따라 조림할 때 많이 심는 수종 중 하나이다. 춥고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도 잘 자라고, 곧게 자라 목재 수확률이 높으며, 생장 속도도 빠르기 때문이다. 도호쿠 지방, 홋카이도, 나가노현 등에서 활발하게 조림되었다.[42]
빠르게 자라는 속성수(速成樹)이므로, 산불 피해 지역 복구나 산림 복구 사업에도 많이 이용된다. 경관적 가치가 높아 공원이나 정원에 심기도 하며, 분재 소재로도 활용된다.[6] 영국 왕립 원예협회의 정원 공로상을 수상한 '블루 드워프'(Blue Dwarf)[7]와 '나나'(Nana)[8] 같은 품종도 있다.[9]
5. 1. 목재
일본잎갈나무 목재는 질기고 내구성이 뛰어나 일반 건축 자재로 쓰인다.[24] 작은 잎갈나무 말뚝은 울타리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물 속에서도 잘 견디기 때문에 방풍, 방설 용도로도 쓰인다. 침목, 건축, 펄프 등의 원료로도 많이 사용된다.
낙엽송속(*Larix*) 나무는 소나무과 침엽수 중에서 강도가 높은 편이지만, 송진이 많고 줄기가 비틀리면서 자라는 경향이 있어 건조 과정에서 뒤틀림이나 휨이 발생하기 쉽다.[48] 따라서 과거에는 주로 광산 갱도를 지탱하는 갱목이나 전신주 등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건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건조 후 갈라짐이나 뒤틀림 문제가 줄어들어 건축용 구조재로도 활용이 늘고 있다.[43] 특히 구조용 합판이나 단판적층재(LVL)로 가공되어 목조 건축에 널리 사용된다. 그 외에도 전신주, 침목, 교량, 목말뚝 등 토목 자재, 선박재, 밸브 원목 재료로도 사용된다.[24]
2020년 도쿄 올림픽 국립경기장의 대형 지붕에도 일본잎갈나무 목재가 사용되었다.[44]
5. 2. 조림
일본잎갈나무는 매우 빨리 자라는 속성이 있어 산불 피해 지역 복구에 쓰이며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조림되었다. 물 속에서의 내구성이 강하여 방풍, 방설수로 많이 쓰이며 목재는 침목, 건축, 펄프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생장이 빨라 산림 조림에 중요한 수종으로 여겨졌던 시대가 있었고, 기후와 토양이 적합한 각지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다.
홋카이도에서는 1897년부터 본격적인 조림이 시작되었다. 당시 홋카이도에서는 대규모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했는데, 1906년부터 1915년까지 10년 동안 약 48만ha가 소실[45]되었다. 묘목 생산이 간편하고 생장이 빠른 일본잎갈나무의 특징이 인정되어 피해 지역과 무립목지에 집단 조림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23년의 경우, 홋카이도 전체에서 약 1만ha를 조림했는데, 그 대부분이 일본잎갈나무였다. 이러한 조림은 특히 1950년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46]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단을 거쳐 1960년대 전반까지 연간 2~4만ha 규모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 이후에는 에너지 이용의 변화로 땔나무 수요가 감소하자, 잡목 중심의 땔나무 숲 등을 개벌하여 용재용 일본잎갈나무로 수종 전환하는 확대 조림도 이루어졌다.[47]
나가노현에서도 뿌리가 잘 내리고 생장이 빠르다는 이유로 전후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져 조림 면적의 약 50%가 일본잎갈나무 숲이 되었다.[48] 이처럼 각지에서 조림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그 지역 일본잎갈나무가 자생종인지 여부가 불명확한 경우도 있다.[15]
대규모 조림은 목재가 탄광의 지지목, 건축용 비계의 원목으로 대량 소비될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전후 일본잎갈나무 수요는 철파이프의 보급과 탄광의 불황 등으로 인해 그 기대가 어긋났고, 펄프용으로도 단점이 있어 임업 불황도 겹쳐 관리가 부실한 채 방치된 숲도 적지 않다.
5. 3. 식용 및 약용
잎갈나무를 직접 먹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잎갈나무와 균근을 형성하여 영양분을 교환하는 버섯을 먹는 것은 간접적으로 잎갈나무를 먹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잎갈나무 숲은 이러한 균근성 버섯을 재배하는 장소라고도 할 수 있다.
일본잎갈나무 조림 면적이 많은 나가노현과 도호쿠·홋카이도 지방, 그리고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특히 8월부터 11월경에 자라는 갈색의 꾀꼬리버섯(Suillus grevillei영어, 끈적버섯과, 예전에는 그물버섯과)이 유명하다. 이 종은 다른 버섯과 구별하기 쉽고 혼동하기 쉬운 독버섯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상당한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고, 맛이 좋다는 점 등이 사람들에게 평가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지코보우·리코보우·라쿠요우·낙엽버섯 등 다양한 방언으로 친숙하다. 그 외에도 흰끈적버섯(Suillus viscidus영어, 끈적버섯과)도 잎갈나무 숲에 자라는 식용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6. 품종 개량
구주소나무(구이마쓰)를 어미로, 일본잎갈나무를 아비로 한 잡종은 두 종의 장점을 이어받는다는 것이 밝혀져 묘목 특성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본잎갈나무는 성장이 빠르지만 들쥐 피해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구주소나무는 들쥐 피해에 강하지만 성장이 느렸다. 일본잎갈나무와 구주소나무의 1대 잡종은 들쥐 피해에 강하고 성장도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이 잡종은 들쥐 저항성 향상 외에도 과습 저항성,[41] 기상 재해 저항성, 수형 및 나선목리[49] 또한 개선되어 자연 고사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전보다 저밀도 식재가 가능해져 각종 조림 작업의 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컨테이너 묘 생산 등과의 연계도 고려되고 있다.[50]
이 잡종 연구는 일본잎갈나무와 구주소나무 모두 천연 분포하지 않는 홋카이도에서 특히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비슷한 사례로 소나무속의 일종인 몬터레이소나무(''Pinus radiata'')가 있다. 미국 원산인 이 소나무는 원산지에서는 품종 개량도 이루어지지 않고 임업용 수종으로도 여겨지지 않지만, 이주지인 뉴질랜드에서는 철저한 품종 개량을 통해 국가 주력 수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7. 병해충
일본잎갈나무는 여러 병해충에 취약하다. 2009년 말, 영국 데번, 콘월, 서머싯 지역에서 라모룸균(Phytophthora ramorum)에 의한 고사 현상이 처음 보고되었다.[10] 이 병원균은 참나무과 나무에 감염을 일으키며, 미국에서는 1995년 이후 참나무류의 급격한 고사를 일으켜 큰 문제가 되고 있다.[51] 2010년에는 아일랜드 워터퍼드와 티퍼러리 지역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견되었다.[11]
일본 홋카이도에서는 대규모 조림 과정에서 어린 일본잎갈나무에 잎마름병이 만연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잎마름병은 강풍으로 인해 부드러운 새 가지에 상처가 생기고, 그 틈으로 병원균인 곰팡이가 침입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강풍 지역을 피해 심거나 방풍림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심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묘목이나 어린 나무는 동물에 의한 피해를 입기 쉽다. 일본에서는 밭쥐에 의한 피해가 심각했던 시기가 있었으며, 필요에 따라 살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47]
8. 보존 상황
IUCN 적색 목록에서는 1998년과 2013년에 관심대상종(Least Concern)으로 평가되었다.[12]
일본 환경성의 적색 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52] 미야기현에서는 주목종, 니가타현에서는 지역개체군(LP)으로 등재되어 있다.[53]
9. 기타
일본잎갈나무는 겨울에 낙엽이 지는 특징 때문에 "낙엽송"이라고 불린다.[24] 학명 ''kaempferi''는 엥겔베르트 켐퍼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4]
이름에 "송(マツ)"이 들어가 소나무나 잣나무와 같은 소나무속으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소나무속과는 다른 낙엽송속이다. 잎의 배열 방식이 다르고, 소나무속은 상록수이지만 낙엽송속은 겨울에 낙엽이 진다. 구과의 모양은 비슷하지만 소나무속의 구과는 인편에 돌기가 발달한다. 후지산에서는 후지송(フジマツ)이라고도 불린다.
9. 1. 명칭
"낙엽송"이라는 이름은 겨울에 낙엽이 지는 생태적 특징에서 유래했다.[24] 학명의 종소명 ''kaempferi''는 엥겔베르트 켐퍼(Engelbert Kämpfer)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4]일본잎갈나무는 일본어 이름에 "송(マツ)"이 붙어 소나무(''Pinus densiflora'')나 잣나무(''Pinus parviflora'')와 같은 소나무속(학명: ''Pinus'')으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낙엽송속(''Larix'')은 소나무과에 속하지만 소나무속과는 다른 속이다. 잎의 배열 방식이 다르고, 소나무속은 상록수이지만 낙엽송속은 겨울에 낙엽이 진다. 구과의 모양은 비슷하지만 소나무속의 구과는 인편에 돌기가 발달한다.
후지산에서는 후지송(フジマツ)이라고도 불린다.
참조
[1]
IUCN
Larix kaempferi
2021-11-19
[2]
BSBI
2014-10-17
[3]
서적
Pinacea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Genera
1990-00-00
[4]
웹사이트
The Plant List - species in Larix
http://www.theplantl[...]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3-00-00
[5]
웹사이트
Larix kaempferi
http://apps.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3-07-23
[6]
웹사이트
Ma-Ke Bonsai Care Guide for Larix kaempferi
http://makebonsai.co[...]
Ma-Ke Bonsai
2011-04-18
[7]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Larix kaempferi 'Blue Dwarf'
https://www.rhs.org.[...]
2018-03-19
[8]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Larix kaempferi 'Nana' Neumann
https://www.rhs.org.[...]
2018-03-17
[9]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3-19
[10]
웹사이트
Forestry Commission webpage on Phytophthora ramorum
http://www.forestry.[...]
[11]
뉴스
Disease found in Japanese Larch Trees in Ireland
http://www.agricultu[...]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 the Marine
2014-02-17
[12]
논문
Larix kaempferi
2018-10-21
[13]
YList
2022-12-25
[14]
YList
2022-12-25
[15]
서적
フィールド版 日本の野生植物 木本
平凡社
1993-00-00
[16]
YList
2022-02-05
[17]
YList
2022-02-05
[18]
논문
蔵王山系馬ノ神岳に生存するカラマツのDNA分類学的解析
1996-00-00
[19]
논문
カラマツ天然林の遺伝的変異
2015-00-00
[20]
논문
カラマツ産地試験の長野県内試験地における産地の特性評価と地域区分
2011-00-00
[21]
논문
20産地からのニホンカラマツの冬の耐凍性の差
1970-00-00
[22]
논문
カラマツの繊維傾斜度とタネの産地
1974-00-00
[23]
논문
日本列島北限「カラマツ」球果の変異とその古植物学的意味
1994-00-00
[24]
서적
樹木
保育社
[25]
논문
富士山の森林限界付近の植生
1980-00-00
[26]
논문
富士山北西斜面七太郎尾根におけるカラマツ低木林の成立と斜面形成
1992-00-00
[27]
논문
富士山亜高山帯雪崩撹乱跡地におけるイタドリの分布様式とカラマツ実生の定着に対するナースプラントとしての機能
2007-00-00
[28]
논문
富士山亜高山帯林の発達過程
2004-00-00
[29]
논문
浅間山のカラマツ天然林の植生と遷移
1978-00-00
[30]
논문
奥日光戦場ヶ原の扇状地扇端付近における湿原の縮小と地表面プロセス
2003-00-00
[31]
논문
菌根菌との相互作用が作り出す森林の種多様性
2011-00-00
[32]
논문
境界の地下はどうなっているのか : 菌根菌群集と実生更新との関係
2013-00-00
[33]
논문
外生菌根菌の生活様式
1994-00-00
[34]
논문
森林生態系における外生菌根の生態と応用
1999-00-00
[35]
논문
外生菌根菌ネットワークの構造と機能
2010-00-00
[36]
논문
土壌真菌群集と植物のネットワーク解析 : 土壌管理への展望
2015
[37]
논문
カラマツ人工林化にともなう土壌化学性の変化 : 隣接する広葉樹林土壌との比較
2005
[38]
논문
森林におけるアレロパシー(I) : 林業ならびに生態系におけるアレロパシーの役割(会員研究発表論文)
1995
[39]
논문
降雨によるカラマツからのフェノール物質の溶出量とその季節変化
2004
[40]
논문
ヤクーツク地方のダフリアカラマツ
1974
[41]
논문
カラマツ類の過湿土壌に対する耐性(会員研究発表論文)
1993
[42]
웹사이트
Ma-Ke Bonsai Care Guide for Larix kaempferi
http://makebonsai.co[...]
Ma-Ke Bonsai
2011-04-18
[43]
간행물
月刊メディアあさひかわ
2017-05
[44]
웹사이트
カラマツ 建材需要急増 加工技術で欠点克服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11-14
[45]
서적
北海道山林史
北海道山林史編集者会議
[46]
서적
北海道山林史戦後編-カラマツ問題
北海道山林史編集者会議
[47]
서적
戦中戦後20年 北海道木材・林業の変遷
北海道林材新聞
[48]
웹사이트
カラマツ
http://www.shinrin-r[...]
森林林業学習館
2011-09-08
[49]
논문
カラマツ類の繊維傾斜度の種間変異について(会員研究発表講演)
1986
[50]
논문
カラマツ林業と今後の育種の展望
2015
[51]
논문
Raffaelea quercivoraを接種したブナ科樹木4種の菌糸分布と防御反応の比較
2011
[52]
웹사이트
哺乳類、汽水・淡水魚類、昆虫類、貝類、植物I及び植物IIのレッドリストの見直し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07-08-03
[53]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カラマツ)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1-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