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잔더 (어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더(Zander, Sander lucioperca)는 농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유럽에서 가장 가치 있는 식용 어종 중 하나이다. 최대 100cm까지 성장하며, 유라시아 전역의 담수 및 기수 환경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육식성이며, 다른 물고기를 먹고 산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간주되어 관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흑해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흑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 발트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 발트해의 물고기 -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는 대구속 어종으로 무리 생활을 하며 먹이 섭취와 수온 변화에 따라 행동 양상을 보이나, 과도한 어획으로 개체수 감소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기생충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 러시아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러시아의 물고기 - 가물치
    가물치는 농어목 가물치과의 민물고기로, 어두운 갈색 반점이 있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공기 호흡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양식 및 낚시 대상 어종이지만, 최근에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잔더 (어류)
일반 정보
파이크퍼치 Sander lucioperca
파이크퍼치 Sander lucioperca
학명Sander lucioperca
명명자린네, 1758년
이전 학명Perca lucioperca (린네, 1758년)
Lucioperca lucioperca (린네, 1758년)
Stizostedion lucioperca (린네, 1758년)
Centropomus sandat (라세페드, 1802년)
Lucioperca sandra (퀴비에, 1828년)
Lucioperca linnei (말름, 1877년)
한국어 이름파이크퍼치
영어 이름Zander
Pike perch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농어목
농어과
잔더속 (Sander)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관심 필요 (LC)
참고Freyhof, J. & Kottelat, M. 2008. Sander lucioperc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8: Accessed on 23 December 2022.
특징
최대 무게20 kg
생태
서식지유럽과 중앙아시아의 담수
식습관육식
기타
외래종 지정환경부 지정 특정 외래 생물
CoF 기록http://www.fishbase.org/ComNames/CommonNameSearchList.php?Language=English&Genus=Perca&Species=lucioperca

2. 분류

칼 폰 린네는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 1권에서 잔더를 ''Perca lucioperca''로 명명하며 처음 기술했으며, 기준 산지는 "유럽 호수"로 지정하였다.[3] 로렌츠 오켄은 ''Sander'' 속을 만들면서 ''Perca lucioperca''를 기준종으로 지정했다.[4] 잔더는 약 2080만 년 전에 북미 계통과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리된 ''Sander'' 속 내 유럽 클레이드의 일부이다. 북미 계통에는 월아이 (''S. vitreus'')와 소거 (''S. canadensis'')가 속한다. 유럽 클레이드 내에서 볼가 파이크퍼치 (''S. volgaensis'')는 가장 기저 분류군이며, 잔더와 기수 농어 (''S. marinus'') 수컷은 둥지를 짓고 암컷은 이 둥지에 알을 낳으며 수컷은 알과 치어를 보호한다. 잔더 계통은 약 1380만 년 전에 볼가 파이크퍼치와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되었고, 기수 농어와의 분기는 약 910만 년 전에 일어났다.[5]

3. 형태

잔더는 농어과 어류 중 가장 크며, 길고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어 영어에서는 파이크퍼치(pikeperch)라고도 불린다.[6] 몸 윗부분은 녹갈색이며, 옆면에는 짙은 수직 줄무늬가 있어 유럽 농어와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몸 아랫부분은 크림색을 띤 흰색이다. 꼬리 지느러미는 어두운 색이며, 가슴 지느러미, 배 지느러미, 뒷지느러미는 연한 흰색이다.[2] 등 지느러미와 꼬리 지느러미는 가시와 지느러미 줄기 사이의 막에 검은 점들이 줄지어 있으며, 이 점들은 첫 번째 등 지느러미에서 가장 크고 뚜렷하다.[7]

어린 개체는 은색을 띠며, 나이가 들면서 더 어두워진다. 잔더는 강력한 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턱 앞부분에 두 개의 긴 송곳니를 포함하여 많은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8] 큰 둥근 눈을 가지고 있는데[9], 특히 탁한 환경에서는 불투명해지는데, 이는 약한 빛에 대한 적응이다. 아가미 덮개에는 납작한 가시가 하나 있다.[2] 다른 농어과 어류와 마찬가지로 잔더는 분리된 등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첫 번째 등 지느러미에는 13~20개의 가시와 18~24개의 연조가 있고, 뒷지느러미에는 2~3개의 가시와 10~14개의 연조가 있다.[2] 꼬리 지느러미는 길고 갈라져 있다.[10]

잔더는 최대 표준 길이가 100cm에 달하지만, 일반적으로 약 50cm 정도에서 발견된다.[2] 이 종은 무게가 20kg까지 나갈 수 있지만, 일반적인 어획량은 상당히 적다. IGFA 올-태클 세계 기록 잔더는 2016년 6월 스위스 마조레 호수에서 잡혔으며, 무게는 11.48kg이었다.[12] 잔더는 평균 40–80cm의 길이에 달하며, 최대 길이는 120cm이다. 성어의 몸길이는 보통 30~70cm이고 최대 130cm에 달한다[26]。체형은 농어와 비슷하며 약간 길쭉하지만[26], 성장한 개체는 머리 윗부분이 튀어나오고 머리 뒤쪽에서 제1 등지느러미 부근까지의 체고가 발달한다. 등지느러미는 농어목의 전형적인 형태로, 제1, 제2 등지느러미가 이어져 형성된다. 입 안에는 날카로운 송곳니 모양의 이빨이 늘어서 있다. 체색은 은색~회갈색이며, 몸 측면에 불규칙한 반점을 보인다.

어린 잔더는 줄무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4. 분포

잔더는 유라시아 전역에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카스피해, 발트해, 흑해, 아랄해, 북해에게해 분지에서 발견된다.[13] 분포의 북쪽 경계는 핀란드에 있다. 잔더는 영국, 남부 유럽, 엘베강, 에브로강, 타구스강, 후카르강 서쪽의 유럽 대륙뿐만 아니라 아나톨리아, 북아프리카, 시베리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도 도입되었다.[1]

영국에서는 잔더가 1878년 프랜시스 러셀, 9대 베드퍼드 공작에 의해 처음 도입되어 그의 워번 수도원 영지의 호수로 옮겨졌으며, 그 직후 더 펜스의 그레이트 우즈 릴리프 채널로 옮겨졌다.[2] 영국 수로청은 잔더를 영국 강가의 토착 야생 동물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더티 더즌" 외래종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14] 잔더가 정착에 성공한 것은 여러 요인 덕분이었는데, 그중 하나는 잔더가 영국 저지대 강을 구성하는 느리게 흐르고, 초목이 드물고, 다소 흐린 물에서 생활하는 데 특히 잘 적응했기 때문이다.[15] 잔더는 맑은 물에서 포식 어류의 틈새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은 농어와 달리 시야가 다소 낮은 물에서 번성한다. 그러나 잔더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며 부영양화된 지역에서는 곧 사라진다.[2]

잔더는 1989년 노스다코타주 스피릿우드 호수에 물고기 방류되었으며, 그 이후로 계속 서식하고 있다.[16] 생태학자들은 잔더가 오대호에 정착하면, 게임피쉬인 월아이 또는 노란 농어와 포식서식지를 놓고 경쟁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16] 따라서 온타리오주 정부는 잔더를 미래의 침입종으로 예방적으로 취급하고 있다.[16]

네덜란드에서는 잔더가 발 강, 홀란스 딥, 라인강의 다른 분류 하천 또는 강어귀를 포함한 많은 주요 수로에서 (원래) 발견될 수 있으며, 특히 암스테르담 운하에서 흔하다.[17]

4. 1. 도입 및 외래종 문제

잔더는 유라시아 전역에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카스피해, 발트해, 흑해, 아랄해, 북해에게해 분지에서 발견된다.[13] 분포의 북쪽 경계는 핀란드에 있다. 잔더는 영국, 남부 유럽, 엘베강, 에브로강, 타구스강, 후카르강 서쪽의 유럽 대륙뿐만 아니라 아나톨리아, 북아프리카, 시베리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도 도입되었다.[1]

영국에서는 잔더가 1878년 프랜시스 러셀, 9대 베드퍼드 공작에 의해 처음 도입되어 그의 워번 수도원 영지의 호수로 옮겨졌으며, 그 직후 더 펜스의 그레이트 우즈 릴리프 채널로 옮겨졌다.[2] 영국 수로청은 잔더를 영국 강가의 토착 야생 동물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더티 더즌" 외래종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14] 잔더는 맑은 물에서 포식 어류의 틈새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은 농어와 달리 시야가 다소 낮은 물에서 번성한다. 그러나 잔더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며 부영양화된 지역에서는 곧 사라진다.[2]

잔더는 1989년 노스다코타주 스피릿우드 호수에 물고기 방류되었으며, 그 이후로 계속 서식하고 있다.[16] 생태학자들은 잔더가 오대호에 정착하면, 게임피쉬인 월아이 또는 노란 농어와 포식서식지를 놓고 경쟁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16]

네덜란드에서는 잔더가 발 강, 홀란스 딥, 라인강의 다른 분류 하천 또는 강어귀를 포함한 많은 주요 수로에서 (원래) 발견될 수 있으며, 특히 암스테르담 운하에서 흔하다.[17] 식용 어류 및 낚시 어종으로 이용된다. 특히 독일에서는 식용 어획 대상어로 인식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외래종이다. 일본에서는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환경대신의 허가 없이 이동, 양도, 사육, 방류가 금지되어 있다.

5. 생태

잔더는 담수역, 특히 큰 강과 부영양호에 서식한다. 기수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해안 호수와 하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기수 환경에 서식하는 개체는 산란을 위해 250km까지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1]

잔더는 육식성이며, 성어는 더 작은 떼를 지어 다니는 물고기를 먹고 산다.[2] 발트해 주변 연구에 따르면, 잔더는 유럽 멸치 (''Osmerus eperlanus''), 풀해치 (''Gymnocephalus cernua''), 유럽 농어, 뱅어 (''Coregonus albula'') 및 잉어 (''Rutilus rutilus'')를 먹이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더 작은 잔더를 잡아먹는 식성도 보였다. 어린 연어의 바다 송어 (''Salmo trutta'' 변종. ''trutta'') 및 대서양 연어 (''Salmo salar'')도 먹는 것으로 기록되었다.[2] 영국에서는 보트 통행으로 물이 탁한 운하에서 잔더가 잘 번성하며, 이러한 수역에서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는 잉어이지만, 납자루 (''Gobio gobio'')의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18]

잔더는 최대 17년의 수명을 가지며, 3~10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일반적으로 4세가 일반적이다.[1]

잔더는 피부, 눈, 내부 장기를 감염시키는 수많은 기생충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장관은 선충류인 ''아니사키스''를 숙주로 삼을 수 있으며, 이 기생충은 생선을 훈제하거나 튀기거나 50°C 이하의 온도에서 요리할 경우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다. 잔더는 또한 흡충류인 ''부케팔루스 폴리모르푸스''의 매개체이며, 1960년대와 1970년대 프랑스 강 시스템에 기생충을 퍼뜨려 토착 잉어과 어류 개체수 감소를 초래했을 수 있다.[2]

잔더의 포식자로 기록된 종에는 다른 잔더뿐만 아니라 유럽뱀장어 (''Anguilla anguilla''), 노던 파이크, 유럽 농어, 웰스메기 (''Silurus glanis'') 및 카스피해 물범 (''Phoca caspia'') 등이 있다.[2]

유럽 중부에서 동부,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26] 자연, 인공을 가리지 않는 호수, 하천과 같은 담수역에 서식하며, 다른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 소동물 전반을 포식한다. 비교적 찬물을 좋아하며, 알은 수온 10~15도에서 3~11일 만에 부화한다.[26] 번식기는 2월부터 7월까지이다.[26] 어미 물고기는 암수 모두 둥지 짓기에 협력하여 알과 어린 물고기를 보호한다.

== 번식 ==

잔더는 흐르는 물 속 자갈 위에서 산란하며, 수컷은 모래나 자갈 바닥에 지름 약 50cm, 깊이 5-10cm의 얕은 웅덩이를 파서 영토성을 지킨다.[2] 노출된 식물 뿌리 사이에도 둥지를 틀며, 알은 이러한 뿌리에 낳는다.[2] 둥지는 일반적으로 탁한 물 속 1-3m 깊이에 위치한다.[2] 산란은 밤과 새벽에 짝을 이루어 이루어진다.[2] 암컷은 둥지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수컷은 둥지에서 약 1m 거리를 유지하며 암컷 주위를 빠르게 헤엄친다.[2] 수컷은 기질에 수직으로 자세를 취하고 짝은 빠르게 헤엄치며 알과 정자를 방출한다.[2] 암컷은 알을 낳은 후 떠나고, 수컷은 둥지에 남아 가슴지느러미를 사용하여 알에 물을 뿜어 보호한다.[2] 암컷은 한 번에 모든 알을 낳으며, 일 년에 한 번만 산란한다.[2] 유충은 빛에 끌리며 둥지를 떠난 후 동물플랑크톤과 작은 부유 동물을 먹고 산다.[2]

일반적인 산란기는 4월과 5월이지만, 예외적으로 2월 말부터 7월까지 산란할 수 있으며, 실제 기간은 위도와 고도에 따라 다르다.[1] 산란 시작 전 수온이 10-14°C에 도달해야 한다.[1] 유럽 중부에서 동부,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26] 알은 수온 10~15도에서 3~11일 만에 부화한다.[26] 번식기는 2월부터 7월까지이다.[26] 어미 물고기는 암수 모두 둥지 짓기에 협력하여 알과 어린 물고기를 보호한다.[26]

5. 1. 번식

잔더는 흐르는 물 속 자갈 위에서 산란하며, 수컷은 모래나 자갈 바닥에 지름 약 50cm, 깊이 5-10cm의 얕은 웅덩이를 파서 영토성을 지킨다.[2] 노출된 식물 뿌리 사이에도 둥지를 틀며, 알은 이러한 뿌리에 낳는다.[2] 둥지는 일반적으로 탁한 물 속 1-3m 깊이에 위치한다.[2] 산란은 밤과 새벽에 짝을 이루어 이루어진다.[2] 암컷은 둥지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수컷은 둥지에서 약 1m 거리를 유지하며 암컷 주위를 빠르게 헤엄친다.[2] 수컷은 기질에 수직으로 자세를 취하고 짝은 빠르게 헤엄치며 알과 정자를 방출한다.[2] 암컷은 알을 낳은 후 떠나고, 수컷은 둥지에 남아 가슴지느러미를 사용하여 알에 물을 뿜어 보호한다.[2] 암컷은 한 번에 모든 알을 낳으며, 일 년에 한 번만 산란한다.[2] 유충은 빛에 끌리며 둥지를 떠난 후 동물플랑크톤과 작은 부유 동물을 먹고 산다.[2]

일반적인 산란기는 4월과 5월이지만, 예외적으로 2월 말부터 7월까지 산란할 수 있으며, 실제 기간은 위도와 고도에 따라 다르다.[1] 산란 시작 전 수온이 10-14°C에 도달해야 한다.[1] 유럽 중부에서 동부,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26] 알은 수온 10~15도에서 3~11일 만에 부화한다.[26] 번식기는 2월부터 7월까지이다.[26] 어미 물고기는 암수 모두 둥지 짓기에 협력하여 알과 어린 물고기를 보호한다.[26]

6. 인간과의 관계

잔더는 유럽 토착 어종 중 가장 가치 있는 식용 물고기로 여겨진다.[19] 살이 희고 단단하면서도 부드럽고, 뼈가 적으며 맛이 섬세하여 높이 평가받는다.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양식되지는 않지만, 적응력이 뛰어나 잔더 어업은 상당히 지속 가능하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어린 잔더의 방류를 제한하는데, 이는 자연 개체군이 이미 시장에 충분한 공급을 제공하며, 이 대형 포식자의 개체수 증가가 먹이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잔더는 특히 생선 필레에 적합하다.[20] 통째로 굽거나, 훈제하거나, 요리해서 먹을 수도 있다. 일부 요리계에서는 잔더를 연어보다 더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내장조차도 콩소메로 요리할 수 있다.

벌레이턴퓌레드의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통구이 잔더, 헝가리.


2004년,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지역의 일부 레스토랑에서 북미산 월아이 (주의 물고기이자 이 지역에서 인기 있는 음식) 대신 수입산 잔더를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다. 잔더와 월아이는 맛으로 거의 구별할 수 없지만, 해당 레스토랑들은 유럽산 생선을 "월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는데, 이는 불법 행위였다.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의 조사가 이어졌다.[21]

오하이오주에서는 많은 레스토랑이 이리 호 노란 농어 대신 40~80g 크기의 어린 잔더 필레를 사용하는 것이 적발되었다. 농어 부족과 가격 급등으로 인해 도매업체와 레스토랑은 인기 있는 "파이크 농어 필레"에 어린 잔더를 사용하게 되었다.

쿠오르타네의 문장에 있는 잔더


핀란드에서는 보존 조치의 일환으로, 법으로 식용하기에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간주되는 잔더의 최소 크기를 규제한다.

2009년 7월, 드물게 마조레 호수의 스위스 지역에서 잔더가 수영하는 사람들을 물어 두 명이 응급실로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가장 심한 상처는 약 10cm 길이였다. 70cm, 8kg의 물고기는 나중에 지역 경찰에 의해 잡혀 요리되어 사건을 일으킨 관광객들에게 제공되었다.[22]

농어과에서 가장 큰 종인 잔더는 영국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 피싱 대상이다. 그러나 법적으로는 비 토착 침입종으로, 낚시꾼이 잡은 잔더는 모두 폐기해야 한다.[2]

식용 어류 및 낚시 어종으로 이용된다. 특히 독일에서는 식용 어획 대상어로 인식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외래종이다. 일본에서는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환경대신의 허가 없이 이동, 양도, 사육, 방류가 금지되어 있다.

6. 1. 양식

잔더는 유럽 토착 어종 중 가장 가치 있는 식용 물고기로 여겨진다.[19] 살이 희고 단단하면서도 부드럽고, 뼈가 적으며 맛이 섬세하여 높이 평가받는다.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양식되지는 않지만, 적응력이 뛰어나 잔더 어업은 상당히 지속 가능하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어린 잔더의 방류를 제한하는데, 이는 자연 개체군이 이미 시장에 충분한 공급을 제공하며, 이 대형 포식자의 개체수 증가가 먹이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잔더는 특히 생선 필레에 적합하다.[20] 통째로 굽거나, 훈제하거나, 요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벌레이턴퓌레드의 레스토랑에서는 통구이 잔더를 제공한다.[19] 일부 요리계에서는 잔더를 연어보다 더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내장조차도 콩소메로 요리할 수 있다.

2004년,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지역의 일부 레스토랑에서 북미산 월아이 (주의 물고기이자 이 지역에서 인기 있는 음식) 대신 수입산 잔더를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다. 잔더와 월아이는 맛으로 거의 구별할 수 없지만, 해당 레스토랑들은 유럽산 생선을 "월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는데, 이는 불법 행위였다.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의 조사가 이어졌다.[21] 오하이오주에서는 많은 레스토랑이 이리호 노란 농어 대신 40~80g 크기의 어린 잔더 필레를 사용하는 것이 적발되었다. 농어 부족과 가격 급등으로 인해 도매업체와 레스토랑은 인기 있는 "파이크 농어 필레"에 어린 잔더를 사용하게 되었다.

핀란드에서는 보존 조치의 일환으로, 법으로 식용하기에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간주되는 잔더의 최소 크기를 규제한다.

인간 소비를 위한 잔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양식업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오늘날 잔더의 번식 및 성장에 대한 정교한 프로토콜이 마련되어 있다.[23] 유럽 전역에서 재순환 양식 시스템(RAS)을 중심으로 치어 방류 또는 인간 소비를 위한 잔더를 생산하는 양식(aquaculture)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생산량은 여전히 낮지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RAS의 높은 투자 및 유지 관리 비용으로 인해 잔더와 같이 시장 수용성이 좋은 고부가가치 어종을 양식해야 한다.[24]

6. 2. 식용 관련 문제

잔더는 유럽 토착 어종 중 가장 가치 있는 식용 물고기로 여겨진다.[19] 살이 희고 단단하면서도 부드럽고, 뼈가 적으며 맛이 섬세하여 높이 평가받는다.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양식되지는 않지만, 적응력이 뛰어나 잔더 어업은 상당히 지속 가능하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어린 잔더의 방류를 제한하는데, 이는 자연 개체군이 이미 시장에 충분한 공급을 제공하며, 이 대형 포식자의 개체수 증가가 먹이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잔더는 특히 생선 필레에 적합하다.[20] 통째로 굽거나, 훈제하거나, 요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벌레이턴퓌레드의 레스토랑에서는 통구이 잔더를 제공한다. 일부 요리계에서는 잔더를 연어보다 더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내장조차도 콩소메로 요리할 수 있다.

2004년,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지역의 일부 레스토랑에서 북미산 월아이 (주의 물고기이자 이 지역에서 인기 있는 음식) 대신 수입산 잔더를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다. 잔더와 월아이는 맛으로 거의 구별할 수 없지만, 해당 레스토랑들은 유럽산 생선을 "월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는데, 이는 불법 행위였다.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의 조사가 이어졌다.[21]

오하이오주에서는 많은 레스토랑이 이리 호 노란 농어 대신 40~80g 크기의 어린 잔더 필레를 사용하는 것이 적발되었다. 농어 부족과 가격 급등으로 인해 도매업체와 레스토랑은 인기 있는 "파이크 농어 필레"에 어린 잔더를 사용하게 되었다.

핀란드에서는 보존 조치의 일환으로, 법으로 식용하기에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간주되는 잔더의 최소 크기를 규제한다.

2009년 7월, 드물게 마조레 호수의 스위스 지역에서 잔더가 수영하는 사람들을 물어 두 명이 응급실로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가장 심한 상처는 약 10cm 길이였다. 70cm, 8kg의 물고기는 나중에 지역 경찰에 의해 잡혀 요리되어 사건을 일으킨 관광객들에게 제공되었다.[22]

6. 3. 보존

참조

[1] 간행물 "''Sander lucioperca''" 2024-12-15
[2] FishBase
[3] 간행물 "''Perca lucioperca''" 2020-09-16
[4] 간행물 "''Sander''" 2020-09-16
[5] 서적 Biology and Culture of Percid Fishes Springer, Dordrecht
[6] 논문 Angler behaviors and motivations for exploiting invasive and native predatory fishes by catch-and-release: A case study on the river severn catchment, Western England https://www.tandfonl[...] 2019-09-03
[7] 웹사이트 Sander lucioperca (pike-perch) https://www.cabi.org[...] CABI 2020-09-17
[8] 웹사이트 Zander https://badangling.c[...] badangling.com 2020-09-17
[9] 웹사이트 Specieswatch: zander have a look of Dracula https://www.theguard[...] 2018-02-27
[10] 웹사이트 ZANDER https://www.anglingt[...] Angling Times 2018-04-01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Angling Rules" (IGFA) http://www.igfa.org/[...] 2008-11-19
[12] 웹사이트 IGFA World Records Database http://wrec.igfa.org[...] 2017-10-02
[13] 논문 Diet and growth of pikeperch (Stizostedion lucioperca L.) in a Baltic Sea area 1997-07-01
[14] 뉴스 Dirty dozen threaten waterways http://news.bbc.co.u[...] 2008-08-14
[15] 문서 Foreign Fishes The Living Countryside magazine
[16] 웹사이트 Zander http://www.invadings[...] 2020-11-23
[17] 웹사이트 Zander in Holland https://www.fishingi[...] 2024-07-27
[18] 웹사이트 Zander in the canals https://canalrivertr[...] Canal and Rivers Trust 2018-03-15
[19] 웹사이트 Zander https://www.fishingi[...] 2023-02-20
[20] 논문 Fish tapeworm and sushi
[21] 뉴스 Walleye or Zander? What Are You Really Eating? http://archive.kare1[...] KARE11TV 2004-12-07
[22] 뉴스 Switzerland: The teeth of the lake http://www.ladepeche[...] 2009-07-13
[23] 논문 Recent progress in European percid fish culture production technology—tackling bottlenecks https://doi.org/10.1[...] 2019-10-01
[24] 웹사이트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better farming indoors https://www.sfa.gov.[...] 2023-02-20
[25] 간행물 Sander lucioperc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2-12-23
[26] 웹사이트 파이크퍼치 http://www.env.go.jp[...] 2014-07-08
[27] 간행물 "''Perca lucioperca''" 2020-09-16
[28] FishBase
[29] 웹사이트 "International Angling Rules" (IGFA) http://www.igfa.org/[...] 2008-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