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민주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후 민주주의는 일본이 연합국의 포츠담 선언을 수락한 후, GHQ에 의한 간접 통치 하에 급속하게 진행된 민주화 과정을 의미한다. 이 시기 천황의 지위 문제가 주요 관심사였으며, 1946년 쇼와 천황의 신년 조서를 통해 천황의 신성 부정이 이루어졌다. GHQ는 천황을 간접 통치에 활용하기로 결정하고, 1947년 일본국 헌법을 공포하며 국민 주권,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가치로 하는 전후 민주주의가 시작되었다. 전후 민주주의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신장시켰지만, 보수 세력과 신좌파 등으로부터 공동체 의식 약화, 이기주의 조장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전후 민주주의는 전후 레짐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요시다 독트린을 따른 보수 세력에 의해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후 일본의 정치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로,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하고 국민주권, 민주주의,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9조에서 전쟁 포기 및 전력 불보유를 선언하고 있다. - 전후 일본의 정치 - 55년 체제
1955년 체제는 1955년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양대 정당 체제로, 장기 집권의 폐해와 정치 개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 일본의 역사 논란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역사 논란 - 오케하자마 전투
오케하자마 전투는 1560년 오다 노부나가가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이마가와 가문을 몰락시키고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 확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자유주의 - 하토야마 유키오
하토야마 유키오는 일본의 정치 명문가 출신으로 도쿄대와 스탠퍼드대에서 공학을 전공하고 제93대 일본 총리를 지냈으며, 재임 중 복지 정책 추진과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 정치자금 비리 의혹 등으로 사임 후 정계 은퇴, 사회 활동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일본의 자유주의 - 마루야마 마사오 (정치학자)
마루야마 마사오는 도쿄 대학 법학부 교수 출신의 일본 정치학자이자 사상가로, 전후 일본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일본 정치 사상사 연구』, 『현대 정치의 사상과 행동』 등의 저서를 통해 '초국가주의' 비판과 '세' 개념 발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전후민주주의 | |
|---|---|
| 개요 | |
| 개념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나타난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포괄하는 개념 |
| 역사적 배경 | |
| 종전 직후 | 연합군 점령 하의 일본. 극동 국제 군사 재판 등을 통한 전쟁 책임 추궁. 일본국 헌법 제정 및 시행 (1947년). 민주주의적 가치 확산 및 정치 개혁. |
| 냉전 시대 | 미국의 영향력 하에 놓임. 자유민주주의 진영에 속하게 됨.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 추구. |
| 주요 특징 | |
| 정치 | 일본국 헌법에 따른 민주주의 체제 확립. 평화주의 헌법에 따른 군사력 제한. 의원내각제 채택. 정당 정치 발전. |
| 사회 | 교육 제도 개혁. 여성의 지위 향상. 노동 운동 활성화. 사회 복지 제도 도입. |
| 경제 | 자유 시장 경제 체제 도입. 재벌 해체 시도. 농지 개혁. 노동 조합 결성 장려. |
| 비판적 시각 | |
| 보수 진영 | 전통적 가치 훼손 우려. 일본국 헌법의 개정 필요성 주장. 자유민주당 장기 집권 체제 비판. |
| 진보 진영 | 미국의 영향력 과대 우려. 사회적 불평등 문제 해결 미흡 지적. 환경 문제 등 새로운 과제 등장. |
| 같이 보기 | |
2. 역사적 배경
전후 민주주의는 전전의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본의 패전 이후 연합군 최고 사령관 총사령부(GHQ)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일련의 민주화 개혁을 통해 확립되었다. 일본국 헌법에 명시된 국민 주권, 평화주의, 기본적인 인권 존중을 공통 가치로 삼고 있으며, 교육 기본법 역시 이러한 가치를 옹호한다.
전후 민주주의는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약점을 극복했지만, GHQ의 영향으로 '위로부터'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약점이나 딜레마가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2. 1.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한계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천황 주권 하의 대일본 제국 헌법을 민주주의적으로 해석한 것이었다. 제창자인 요시노 사쿠조는 정부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민주주의" 대신 "민본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대일본 제국 헌법 하에서는 기본적 인권이 개인의 생득적인 권리로 규정되지 않아, 유럽이나 미국에서 당연시되던 천부 인권설이 일본에는 보급되지 않았다. 의원내각제 역시 헌법상의 규정 없이 헌정의 정도라는 관습으로 실현되었다. 내각총리대신의 지도력은 확립되지 않았고, 내각을 구성하는 다른 국무대신을 임의로 파면할 수 없을 만큼 약했다. 군의 최고 지휘권(통수권)은 천황에게 있었고 내각에는 없었기 때문에, 통수권을 방패 삼은 군부의 폭주를 억제할 법적인 힘이 내각과 의회에는 없었다.2. 2. GHQ의 민주화 개혁과 신헌법 제정
포츠담 선언 수락 후, GHQ는 일본 정부를 통해 간접 통치를 시작하며 민주화 지령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쇼와 천황은 1946년 1월 1일 신년 휘어지시를 발표하여 신성을 부정하고, 더글러스 맥아더는 이를 환영했다. GHQ는 천황을 도쿄 재판에 회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패전 직후, 미노베 다쓰키치를 포함한 헌법 학자들은 헌법 개정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GHQ는 요시다 시게루 총리에게 헌법 개정을 시사했고, 헌법 문제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어 개헌안이 마련되었다. 1946년 2월 1일, 헌법 문제 조사 위원회의 개정 시안이 아사히 신문에 특종 보도되자, GHQ 민정국은 맥아더 3원칙(천황의 국가 최고 지위 유지, 전쟁 포기, 봉건제 폐지)을 제시했다. 일본 정부는 이 초안을 수용하여 대일본제국헌법 제73조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헌법 개정을 진행했다.
마이니치 신문의 여론 조사에서 전쟁 포기 조항에 대한 찬성은 70%, 반대는 28%였다. 요미우리 신문사 사장 바바 쓰네고는 "일본은 무저항주의를 철저히 할 각오를 다졌다"라고 말했다. 요시다 총리는 "세계는 머지않아 전쟁의 참화에 눈을 뜨고, 결국 우리와 같은 깃발을 흔들며... 따라오는 시대가 나타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제9조는 후에 비판받기도 했지만, 당시 국민과 지식인들은 이념에 기대를 걸었다. 미나미하라 시게루 귀족원 의원은 UN 가입 조건에 병력 보유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의문을 제기했다[2]。
상징 천황제로의 전환에 대한 여론 조사에서는 85%가 찬성했다. 전쟁 포기 조항, 상징 천황제 등을 포함한 헌법 개정 초안은 제국 의회에서 심의되었다. 추밀원, 중의원, 귀족원의 심의를 거쳐 1946년 10월 7일 중의원에서 확정되었고, 일본국 헌법으로 공포되었다.
1946년 12월 16일 마이니치 신문의 여론 조사에서 요시다 내각의 정책 중 헌법 개정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성공" 응답은 35%, "대체로 좋음" 응답은 57%였다.
3. 전후 민주주의의 주요 특징
일본국 헌법에 제시된 국민 주권(주권 재민), 평화주의, 기본적인 인권 존중은 전후 민주주의가 존중한 공통의 가치이다.[2] 교육 기본법도 일본국 헌법과 함께 이러한 가치를 옹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전후 민주주의는 국민 주권과 기본적 인권을 기본 원칙으로 함으로써, 천황 주권의 대일본 제국 헌법을 민주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에 기초했던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약점을 극복했다고 할 수 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는 기본적 인권이 개인의 생득적인 권리로 규정되지 않았고, 의원내각제도 헌법상의 규정이 없어 헌정의 정도라는 개념으로 관습적으로 실현되었다.
그러나 전후 민주주의는 영국처럼 의회가 힘을 키워 청교도 혁명, 명예 혁명 등의 혁명을 통해 왕권을 제한함으로써 확립된 것이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 후 GHQ의 영향 아래 이루어진 개혁에 의해 확립되었다는 점에서 약점이나 딜레마가 있다고도 한다.
일본의 패전 직후, 헌법 학자들은 헌법 개정이 불필요하다는 공통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천황기관설을 주장했던 미노베 다쓰키치도 "민주주의 정치 실현은 현행 헌법 하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며, 헌법 개정은 결코 현재의 비상 사태 속에서 즉시 실행해야 할 만큼 급박한 문제는 아니라고 확신한다."라며 헌법 개정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GHQ는 요시다 시게루 총리에게 헌법 개정을 시사했고, 요시다는 헌법 문제 조사 위원회를 설치하여 개헌안을 마련했다. 1946년 2월 1일, 헌법 문제 조사 위원회의 헌법 개정 시안이 아사히 신문에 특종 보도되자, GHQ 민정국은 맥아더 3원칙을 제시하고, 이 3원칙에 기초하여 작성된 초안을 일본 정부에 제시했다. 일본 정부는 이 초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헌법 개정은 대일본제국헌법 제73조에 규정된 개정 절차를 밟아 실시되었다.
마이니치 신문이 실시한 "전쟁 포기 조항은 필요한가"라는 여론 조사에서 찬성 답변이 70%였다. 요미우리 신문사 사장 바바 쓰네고는 "현재 일본에는 교전하고 싶어도 교전할 무력이 없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헌법은 장래에도 일본 국가가 그러한 무력을 갖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일본은 무저항주의를 철저히 할 각오를 다졌다."라고 말했다. 요시다 총리 또한 전쟁 조사회 인사말에서 "전쟁을 포기한다는 것은 꿈의 이상이며, 현실적인 정책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장래 학술의 진보 발달에 의해 원자폭탄의 수십 배, 수백 배에 달하는 파괴적인 신병기가 발견되지 않을 것을 누가 보증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했다.
제9조는 후에 혹독한 비판에 직면하지만, 당시 국민과 유식자들은 이념에 깊은 기대를 걸고 있었다. 물론 비판적인 의견도 존재했다. 귀족원 의원 미나미하라 시게루는 UN 가입 조건에 병력 보유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 다른 국가에 의존하여 살아남으려 하는 것은 일종의 체념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2]
주권자로서의 천황에서 상징 천황제로의 전환에 대한 여론 조사에서는 85%가 찬성하여 천황의 존재가 국민에게 널리 수용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전쟁 포기 조항, 상징 천황제 등을 포함한 헌법 개정 초안 요강이 바탕이 되어 "헌법 개정 초안"이 제국 의회에서 심의되었다. 추밀원 심의 후 중의원에서 수정 가결되었고, 귀족원의 수정 가결을 거쳐 1946년 10월 7일에 중의원에서 확정되었다. 확정된 개정안은 천황의 재가를 얻어 일본국 헌법으로 공포되었다.
4.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갑론을박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은 일본 사회에서 다양한 관점이 충돌하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보수 진영에서는 전후 민주주의가 일본인의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고 이기주의를 조장하며, 가부장제와 순결주의 등 전통 문화를 파괴했다고 비판한다. 1955년 자유민주당 창당 강령과 후쿠다 쓰네아리 등 보수 논객들이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 이들은 전후 민주주의자들을 "좌익"으로 규정했지만, 전후 민주주의 지지자 중에는 자유주의를 지향하는 사람도 많다.
미시마 유키오는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일본의 전통적 가치가 부정되고 "국민 정신"이 사라졌다고 주장하며, 전후 대중사회를 "모든 것을 삼켜버리는 괴물"로 묘사했다. 그는 돈을 우선시하고 문화를 경시하는 풍조를 우려했고, 대중이 정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일본사회당이나 일본공산당을 지지하는 "위험함"을 지적했다.
신좌파는 평화주의와 의회주의 등 전후 민주주의의 가치관을 공격했다. 요시모토 타카아키 등은 반권위주의적 입장에서 전후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젊은이들의 지지를 얻었다. 신좌파의 학생운동 과격화는 자유주의 성향의 전후 민주주의와 기존 정당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시미즈 이쿠타로는 전후 민주주의의 가치 체계가 치안유지법에 대한 지식인들의 복수심이며, 마루야마 마사오의 "회한공동체"는 사실 "원한공동체"였다고 주장했다.
전후 레짐은 전후 민주주의와 유사한 개념이다. 이는 일본국 헌법과 미일안보를 동전의 양면으로 보고, 일본이 처한 국제적 위치를 의미한다. 요시다 시게루의 경무장 경제발전 노선(요시다 독트린)이 전후 레짐의 특징이며, 이케다 내각 이후 확립되었다. 자민당 내 "보수 주류"는 요시다 노선을 계승한 광지회이며, 이들은 대체로 호헌 노선이었다. 따라서 "전후 민주주의자"와 보수 주류파가 겹치는 부분이 있다.
4. 1.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견해
보수 진영에서는 전후 민주주의가 일본인의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고 이기주의를 조장하며, 전통 문화를 파괴했다고 비판한다. 1955년 자유민주당 창당 강령과 후쿠다 쓰네아리 등 보수 논객들이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 이들은 전후 민주주의자들을 "좌익"으로 규정했지만, 전후 민주주의 지지자 중에는 자유주의를 지향하는 사람도 많다.[6]미시마 유키오는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일본의 전통적 가치가 부정되고, "국민 정신"이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후 대중사회를 "모든 것을 삼켜버리는 괴물"로 묘사하며, 돈을 우선시하고 문화를 경시하는 풍조를 우려했다. 또한 대중이 정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일본사회당이나 일본공산당을 지지하는 "위험함"을 지적했다.[6]
신좌파는 전후 민주주의의 평화주의와 의회주의를 부르주아적이라고 비판했다. 요시모토 타카아키 등은 반권위주의적 입장에서 전후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젊은이들의 지지를 얻었다. 신좌파의 학생운동 과격화는 자유주의 성향의 전후 민주주의와 기존 정당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시미즈 이쿠타로는 전후 민주주의의 가치 체계가 치안유지법에 대한 지식인들의 복수심이며, 마루야마 마사오의 "회한공동체"는 사실 "원한공동체"였다고 주장했다.[7]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견해는 다음과 같다.
| 비판 내용 |
|---|
| 일본 제국의 국책에 대한 반테제로, 전전 사회 풍조에 부정적이다. |
| 일본국 헌법 제9조의 비무장 조항을 절대시하는 반전 전체주의 이념이다. |
| 개인의 자유를 절대시하고 집단의 결정을 악으로 간주한다(쓰지 하지메). |
| 도쿄 재판 사관에 근거하여 구미의 민주주의를 맹신한다(오케타니 히데아키). |
| 자학사관과 반일주의를 조장하는 역사 교육을 문제 삼는다(새역모, 일본회의). |
| 진보적 문화인과 반일주의자에 대한 인신공격. |
| 일본 국민 대다수가 자유와 권리만 누리고 책임과 의무는 다하지 않는다. |
| "전후 민주주의"라는 말 자체가 알맹이 없는 캐치프레이즈에 불과하다. |
| 부락민 차별 등 진정한 민주주의와 거리가 멀다(일본사회당, 일본공산당). |
| 평화주의 가치관 자체가 부르주아적이다(신좌파). |
4. 2.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옹호적 견해
일본은 기나긴 봉건제에 시달려 왔고 전후에야 겨우 개인이 존중되는 사회가 실현되었다. 완벽하지는 못하지만 현행 헌법에 명시된 사상과 신조의 자유, 학문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 개인의 내면에 관한 자유가 인정받음으로써 예전같은 권력에 의한 사상탄압과 공권력의 학문에 대한 개입, 개인 내면에 대한 개입이 없는 세상이 일본사상 처음으로 성사되었다.[7]일본이 잘못된 전쟁에 대한 반성으로 평화주의를 택하고 국외에 전력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길을 택함으로써 국제사회에 신용받는 국가가 되었다.[7]
자유, 인권, 평등 등 여러 가치는 인류 보편의 가치인데, 일본에서는 전후에야 처음으로 모든 사람에게 보장된 것이다.[7]
무가정권이나 메이지 정부 등 중근대의 일본 정부들은 모두 서민이 선택해 수립한 정부가 아니었고, 전후에야 비로소 국민의 선거에 의해 정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7]
현행 일본국헌법이 보장하는 여러 가치들 덕분에 압도적 대다수 국민이 해방되어 자신의 의사에 따라 학문을 하고 자리를 잡는 사회가 되었다.[7]
4. 3. 한국의 시각에서 본 전후 민주주의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는 일본국 헌법에 명시된 국민 주권,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바탕으로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약점을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GHQ의 영향 아래 '위로부터' 이루어졌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대한민국에서는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과거사 문제에 대한 불충분한 반성과 우경화 움직임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역사 교과서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위안부 문제 등에서 전후 민주주의의 한계가 드러난다고 지적한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일본의 평화 헌법 개정 움직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일본의 군사 대국화를 경계하고 있다.
5. 전후 민주주의 관련 인물
전후 민주주의의 오피니언 리더로는 마루야마 마사오, 오쓰카 히사오, 쓰루미 슌스케 등 학자, 작가, 평론가 등이 있다.[1] 오에 겐자부로는 전후 민주주의자를 자처하며, 특히 그 대표로 여겨지기도 한다.[1]
6. 전후 레짐과의 관계
전후 레짐은 전후 민주주의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일본국 헌법과 미일안보를 동전의 양면으로 보는, 전후 일본의 국제적 입지를 의미한다. 전후 레짐은 요시다 시게루의 경무장 경제발전 노선(요시다 독트린)을 특징으로 하며, 자민당 내 보수 주류(고치카이)가 이를 계승했다.[6] 이케다 내각 이후 전후 레짐이 확립되었다고 본다. 전후 정치학의 맥락에서 말하는 자민당 내 "보수 주류"는 요시다 노선을 계승한 고치카이다. 이 보수 주류와 전후 레짐 주도세력이 겹치며, 고치카이 계열은 기본적으로 일본국 헌법에 호헌 노선이었다. 대표적인 호헌파 미야자와 기이치가 이 고치카이 출신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후민주주의자"와 보수 주류파가 겹치는 부분이 있다. 보수파는 전후 민주주의 비판자들은 전후 민주주의자를 "좌익"이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전후 레짐의 개념틀로 보면 오히려 전후 민주주의자가 보수 세력인 것이다.[6]
참조
[1]
서적
戦後民主主義
中公新書
2021-01-25
[2]
문서
第90回帝国議会貴族院帝国憲法改正案特別委員会速記録第24号
1946-08-27
[3]
강연
我が国の自主防衛について
1970-09-03
[4]
서적
メディアと知識人 - 清水幾太郎の覇権と忘却
中央公論新社
2012
[5]
간행물
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ヘイトスピーチと右傾化現象を読み解く -「2 ちゃんねる」と「イルベ」掲示板のユーザーはなぜ「左」では なく「右」を選択しているのか -
https://doi.org/10.1[...]
日本国際情報学会
2017
[6]
강연
我が国の自主防衛について
1970-09-03
[7]
서적
メディアと知識人 - 清水幾太郎の覇権と忘却
중앙공론신사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