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머리 (사전 편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머리(1837–1915)는 스코틀랜드의 사전 편찬자이자 언어학자로서,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의 초대 편집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187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OED 편찬을 이끌었으며, 사전 편찬을 위해 방대한 양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다. 머리는 언어의 기술주의적 접근 방식을 취하여, 단어의 실제 사용례를 기록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OED는 그의 사후인 1928년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그의 업적은 소설과 영화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으며, 현대 언어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교사 - 제임스 비티 (시인)
    제임스 비티는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철학자로, 마리샬 칼리지의 도덕 철학 교수였으며, 서사시 《음유시인》과 에세이 《진실의 본질과 불변성에 관한 에세이》 등의 대표작을 남긴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중요 인물이다.
제임스 머리 (사전 편찬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Banbury Road의 Scriptorium에 있는 Murray (1910년 이전)
Banbury Road의 Scriptorium에 있는 Murray (1910년 이전)
이름제임스 머리
본명제임스 오거스터스 헨리 머리
출생일1837년 2월 7일
출생지덴홀름, 록스버그셔, 스코틀랜드
사망일1915년 7월 26일
사망지옥스퍼드, 잉글랜드
국적영국
배우자매기 스콧 (1862년 결혼, 1865년 사망)
에이다 아그네스 루스벤 (1867년 결혼)
자녀11명 (해럴드 머리, 오스윈 머리 포함)
학문
직업학계
사전 편찬
언어학
분야문헌학
사전학
주요 업적옥스퍼드 영어 사전 편찬
주요 저서'스코틀랜드 남부 주의 방언'
학회문헌학회

2. 생애와 학문

제임스 머리는 어린 시절 어려운 가정 환경 속에서도 학문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독학으로 여러 언어를 익히며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 1856년, 그는 호윅 고고학회를 설립하기도 했다.[5]

그는 어원학과 언어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대영 박물관에 지원했으나 채용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1869년 어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1873년 ''스코틀랜드 남부 카운티의 방언''을 출판하며 언어학자로서 명성을 쌓았다. 1881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8]

머리는 두 번의 결혼을 통해 11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하여 훗날 머리의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 편찬 작업을 도왔다.[10] 그는 1915년 흉막염으로 사망하여 옥스퍼드에 묻혔다.[11]

2. 1. 초기 생애

제임스 머리는 스코틀랜드 보더스의 호윅 근처 덴홀름 마을에서 포목상 토마스 머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형제들로는 찰스 올리버 머레이와 나중에 ''뉴캐슬 데일리 저널''의 편집자가 된 A. D. 머레이가 있었다.[3] 그는 '제임스 머리'로 세례를 받았지만, 1855년에 호윅 지역의 다른 제임스 머리들과 구별하기 위해 '어거스터스 헨리'라는 이름을 추가했다.[4]

배움에 대한 왕성한 욕구를 가진 조숙한 아이였던 제임스 머리는 부모가 교육을 계속 받을 수 있는 학비를 지불할 여력이 없어 14세에 학교를 그만두었다. 17세에 호윅 문법 학교(현재의 호윅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되었고, 3년 후 그곳의 구독 아카데미의 교장이 되었다. 1856년, 그는 호윅 고고학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5]

1861년, 머리는 음악 교사인 매기 스콧을 만나 다음 해에 결혼했다. 2년 후, 그들은 딸 안나를 낳았지만, 안나는 곧 결핵으로 사망했다. 매기 역시 같은 병에 걸렸고, 의사의 권고에 따라 부부는 스코틀랜드의 겨울을 피하기 위해 런던으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머리는 차터드 은행 오브 인디아에서 행정직을 맡는 동시에 틈틈이 그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학문적 관심사를 추구했다. 매기는 런던에 도착한 지 1년 안에 사망했다. 1년 후 머리는 아다 아그네스 루스벤과 약혼했고, 다음 해에 그녀와 결혼했다. 그들의 들러리는 그의 친구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었는데,[6] 그는 이전에 머리로부터 기초적인 전기에 대한 지도를 받았으며, 종종 머리를 "전화의 할아버지"라고 칭했다.[7]

이 무렵 머리는 주로 언어와 어원학, 즉 단어의 기원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언어적 박식함의 깊이와 범위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은 그가 대영 박물관의 인쇄물 보관자인 토마스 와츠에게 보낸 지원서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라틴어에 대해 '친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조금 더 포르투갈어, 보도어, 프로방스어 및 다양한 방언'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그는 네덜란드어, 독일어, 덴마크어에 '꽤 익숙'했다. 그의 고대 영어와 메조-고트어 연구는 '훨씬 더 깊이 있었다'고 했으며, '약간의 켈트어'를 알고 있었고, 당시 '슬라브어를 연구하고 있었으며, 러시아어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습득했다'고 했다. 그는 '히브리어시리아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 구약 성경과 페쉬타를 읽고 인용할 수 있었고', 더 적은 정도지만 아람어, 아랍어, 콥트어, 페니키아어를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그 직업을 얻지 못했다.

1869년까지 머리는 어학회의 이사회에 있었고, 1873년까지 은행에서 직장을 그만두고 밀 힐 스쿨에서 다시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 후 그는 ''스코틀랜드 남부 카운티의 방언''을 출판하여 언어학계에서 그의 명성을 높였다. 1881년, 그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8]

머리는 아다와의 사이에서 11명의 자녀를 두었다(모두 그의 장인 조지 루스벤과의 약속에 따라 '루스벤'이라는 성을 사용함). 장남인 해롤드 제임스 루스벤 머레이는 저명한 체스 역사학자가 되었고, 경 오스윈 머레이는 1917년부터 1936년까지 해군성 (영국)의 상임 비서였으며, 윌프리드 조지 루스벤 머레이는 그의 아버지에 대한 기록을 썼다.[9] 11명의 자녀 모두 성년까지 살아남았고(당시에는 드문 일), 그가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을 편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0]

2. 2. 독학으로 이룬 학문적 성취

제임스 머리는 스코틀랜드 보더스의 호윅 근처 덴홀름 마을에서 포목상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그는 배움에 대한 욕구가 컸지만, 가정 형편 때문에 14세에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독학으로 여러 언어를 익혔다. 17세에 호윅 문법 학교(현재의 호윅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되었고, 3년 후에는 그곳의 구독 아카데미 교장이 되었다.[5] 1856년, 그는 호윅 고고학회를 설립하기도 했다.[5]

머리는 어원학과 언어에 큰 관심을 가졌다. 대영 박물관의 인쇄물 보관자에게 보낸 지원서에서 그는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라틴어에 능통하며, 포르투갈어, 보도어, 프로방스어 및 다양한 방언을 조금 알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네덜란드어, 독일어, 덴마크어에도 익숙하며, 고대 영어와 메조-고트어 연구는 더 깊이 있다고 했다. 켈트어를 조금 알고, 슬라브어를 연구 중이며, 러시아어에 대한 지식도 있다고 했다. 히브리어시리아어를 읽고 인용할 수 있었고, 아람어, 아랍어, 콥트어, 페니키아어도 조금씩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이 직업을 얻지 못했다.

1869년, 머리는 어학회의 이사회원이 되었고, 1873년에는 은행을 그만두고 밀 힐 스쿨에서 다시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남부 카운티의 방언''을 출판하여 언어학계에서 명성을 얻었다.[8]

2. 3. 언어학 연구와 저술

머리는 언어와 어원학, 즉 단어의 기원에 주로 관심을 가졌다. 대영 박물관의 인쇄물 보관자인 토마스 와츠에게 보낸 지원서에서 그는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라틴어에 대해 '친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조금 더 포르투갈어, 보도어, 프로방스어 및 다양한 방언'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4] 또한 네덜란드어, 독일어, 덴마크어에 '꽤 익숙'했으며, 고대 영어와 메조-고트어 연구는 '훨씬 더 깊이 있었다'고 했다. '약간의 켈트어'를 알고 있었고, 당시 '슬라브어를 연구하고 있었으며, 러시아어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습득했다'고 밝혔다. 그는 '히브리어시리아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 구약 성경과 페쉬타를 읽고 인용할 수 있었고', 더 적은 정도지만 아람어, 아랍어, 콥트어, 페니키아어를 알고 있었다.[4] 하지만 그는 그 직업을 얻지 못했다.

1869년까지 머리는 어학회의 이사회에 있었다. 1873년에는 은행에서 직장을 그만두고 밀 힐 스쿨에서 다시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 후 그는 ''스코틀랜드 남부 카운티의 방언''을 출판하여 언어학계에서 그의 명성을 높였다. 1881년, 그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8]

2. 4. 결혼과 가족

1861년, 머리는 음악 교사인 매기 스콧을 만나 이듬해 결혼했다. 2년 후, 딸 안나를 낳았지만, 안나는 곧 결핵으로 사망했다. 매기 역시 같은 병에 걸렸고, 의사의 권고에 따라 부부는 스코틀랜드의 겨울을 피해 런던으로 이사했다. 매기는 런던에 도착한 지 1년 안에 사망했다.[5] 1년 후 머리는 아다 아그네스 루스벤과 약혼했고, 이듬해 그녀와 결혼했다. 그들의 들러리는 그의 친구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었는데,[6] 그는 이전에 머리로부터 기초적인 전기에 대한 지도를 받았으며, 종종 머리를 "전화의 할아버지"라고 칭했다.[7]

머리는 아다와의 사이에서 11명의 자녀를 두었다(모두 그의 장인 조지 루스벤과의 약속에 따라 '루스벤'이라는 성을 사용함). 장남인 해롤드 제임스 루스벤 머레이는 저명한 체스 역사학자가 되었고, 오스윈 머레이 경은 1917년부터 1936년까지 해군성 (영국)의 상임 비서였으며, 윌프리드 조지 루스벤 머레이는 그의 아버지에 대한 기록을 썼다.[9] 11명의 자녀 모두 성년까지 살아남았고(당시에는 드문 일), 그가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을 편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0]

3.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 편찬

1878년, 머레이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의 초청을 받아 ''존슨 사전''을 대체하고 영어권 세계의 모든 단어와 의미를 담는 새로운 영어 사전의 편집을 맡게 되었다. 1879년, 머레이를 편집자로 하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 편찬 계약이 체결되었다. 당시 예상으로는 10년 안에 7,000페이지, 4권 분량으로 완성될 예정이었지만, 실제로는 1928년에 12권, 414,825개 단어와 1,827,306개 인용문을 담아 출판되었다.[12]

머레이는 어휘 채택 기준으로 영어의 문어구어에서 "보통어"의 "중심"을 지정했다.[23] 그는 사전을 "화자가 언어의 소재를 시간과 함께 어떻게 발전시켜 사용해 왔는지의 기록"으로 보는 기술주의적 입장이었다. 단어 사용에 대한 질문에는 "자연스러운 표현 선호의 문제"라고 답하며, "어휘의 전기를 쓰는 것"을 목표로, 기원이나 형식에서 뜻을 추론하는 것을 배제했다.[23]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는 OED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이었다.[16] 머레이는 1899년에 마이너의 기여에 대해 "그의 인용문만으로도 지난 4세기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라고 칭찬했다.[17][18]

머레이 사후 몇 년 뒤인 1927년 섣달 그믐날, 『OED』의 완성이 선언되었다.

3. 1. OED 편찬의 시작

1878년 4월 26일, 머레이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대표단과의 만남에 초대받아 새로운 영어 사전의 편집자 역할을 맡았다. 이 사전은 ''존슨 사전''을 대체하고 당시 영어권 세계에 존재했던 모든 단어의 다양한 의미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 1879년 3월 1일, 머레이가 새로운 영어 사전을 편집하기로 하는 공식적인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이 사전은 결국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이 되었다. 사전은 완성하는 데 10년이 걸리고 약 7,000페이지, 4권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928년에 출판된 최종 결과는 12권으로 늘어났으며, 414,825개의 단어가 정의되었고, 그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1,827,306개의 인용문이 사용되었다.[12]

78번 반버리 로드의 파란색 명판


78번 반버리 로드, 옥스퍼드에 있는 제임스 머레이의 옛 집: 파란색 명판은 2002년에 설치되었다.


머레이는 앞으로의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밀 힐 스쿨 부지에 골함석 창고인 스크립토리움을 지었다. 이곳에는 그의 작은 조수 팀과, 그의 요청에 따라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한 방대한 양의 슬립(사전에 정의될 단어의 용례를 보여주는 인용구가 적힌 종이)을 수용하였다. 사전 초반 작업이 계속되면서 머레이는 교사직을 그만두고 전업 사전 편찬자가 되었다.

1884년 여름, 머레이와 그의 가족은 북옥스퍼드의 반버리 로드에 있는 큰 집으로 이사했다. 머레이는 뒷마당에 두 번째 스크립토리움을 지었는데, 첫 번째 것보다 더 크고 머레이와 그의 팀에게 보내지는 점점 늘어나는 슬립을 보관할 공간이 더 많았다. "미스터 머레이, 옥스퍼드"로 주소를 적은 편지는 항상 그에게 전달되었고, 머레이와 그의 팀이 보낸 우편물의 양이 엄청나서 우체국은 머레이의 집 밖에 특별한 우편함을 설치했다. 머레이는 옥스퍼드 우표 협회의 회장이 되었고, 전 세계의 많은 독자들로부터 받은 방대한 우표 컬렉션을 활용했다.[13]

1857년, 리처드 트렌치영어는 "우리나라 영어 사전의 결함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런던 도서관에서 강연하며, 앞으로 편찬될 대사전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듬해인 1858년에 문헌학회가 "역사적 원리에 기초한 신영어 사전" 편찬을 계획하고, 허버트 콜리지영어가 초대 편집 주간이 되었지만, 1860년에 사망했다.

1877년에 머레이는 문헌학회로부터 사전 편찬 의뢰를 받아, 견본 몇 페이지를 제작했다. 1878년, 머레이는 옥스퍼드 대학교에 초청되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이사진과 면담했고, 1879년에 문헌학회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가 정식으로 계약을 체결하면서 머레이가 편집 주간이 되어 본격적으로 작업이 시작되었다.[23]

머레이는 어휘 채택 기준으로 영어의 문어·구어 양면에서의 "보통어"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지정했다.[23] 그는 사전을 "화자가 그 언어의 소재를, 시간과 함께 어떻게 발전시켜 사용해 왔는지의 기록"으로 간주하는 기술주의에 철저했다. 많은 사람들이 단어 사용의 정오에 대한 편지를 보내 질문해도, 그는 단어의 다양성을 이유로 "자연스러운 표현 선호의 문제"라고 답했다.[23] 머레이의 목적은 "어휘의 전기를 쓰는 것"에 있었고, 기원이나 형식에서 어의를 짜내려고 하는 의식을 배제했다.[23]

3. 2. 편찬 과정과 어려움



1878년 4월 26일, 머레이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대표단을 만나 존슨 사전을 대체하고 당시 영어권 세계에 존재했던 모든 단어의 다양한 의미를 포착할 새로운 영어 사전의 편집자 역할을 맡게 되었다.[12]

1879년 3월 1일, 머레이가 새로운 영어 사전을 편집하기로 하는 공식적인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이 사전은 결국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이 되었다. 당초 10년이 걸리고 약 7,000페이지, 4권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928년에 출판된 최종 결과는 12권, 414,825개의 단어 정의, 1,827,306개의 인용문으로 늘어났다.[12]

머레이는 사전 작업을 위해 밀 힐 스쿨 부지에 스크립토리움이라는 골함석 창고를 지었다. 이곳에서 그의 작은 조수 팀과 함께 쏟아져 들어오는 방대한 양의 슬립(사전에 정의될 단어의 용례를 보여주는 인용구가 적힌 종이)을 정리했다. 이후 머레이는 교사직을 그만두고 전업 사전 편찬자가 되었다.

1884년 여름, 머레이와 그의 가족은 북옥스퍼드의 반버리 로드에 있는 큰 집으로 이사했다. 머레이는 뒷마당에 더 큰 두 번째 스크립토리움을 지어 늘어나는 슬립을 보관했다. "미스터 머레이, 옥스퍼드"로 주소를 적은 편지는 항상 그에게 전달되었고, 우체국은 머레이의 집 밖에 특별한 우편함을 설치할 정도였다. 머레이는 옥스퍼드 우표 협회의 회장이었고, 전 세계 독자들로부터 받은 방대한 우표 컬렉션을 활용했다.[13]

머레이는 나이와 건강 악화에도 불구하고 사전 작업에 헌신했다. 그는 1908년에 기사작위를 받았지만,[14] 옥스퍼드에서 상대적으로 이방인으로 남아 대학 생활에 완전히 참여하지는 못했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칼리지의 펠로우가 된 적이 없었고, 사망하기 1년 전에 옥스퍼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5]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는 OED의 주요 기고가였다.[16] 그는 이 프로젝트의 가장 효과적인 자원 봉사자 중 한 명이었고, 머레이는 1891년 1월에 그를 방문했다. 1899년에 머레이는 마이너의 기여에 대해 "그의 인용문만으로도 지난 4세기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라고 칭찬했다.[17][18]

1857년 리처드 체네빅스 트렌치는 "우리나라 영어 사전의 결함에 관하여"라는 강연에서 대사전 편찬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1858년 문헌학회는 "역사적 원리에 기초한 신영어 사전" 편찬을 계획하고, 허버트 콜리지가 초대 편집 주간이 되었지만, 1860년에 사망했다.

1877년 머레이는 문헌학회로부터 사전 편찬 의뢰를 받고 견본 페이지를 제작했다. 1878년 옥스퍼드 대학교에 초청되어 출판부 이사진과 면담했다. 1879년 문헌학회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가 정식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머레이가 편집 주간이 되어 본격적으로 작업이 시작되었다.[23]

머레이는 어휘 채택 기준으로 영어의 문어·구어 "보통어"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지정했다.[23] 그는 사전을 "화자가 그 언어의 소재를, 시간과 함께 어떻게 발전시켜 사용해 왔는지의 기록"으로 간주하는 기술주의에 철저했으며, 단어 사용의 정오에 대한 질문에 "자연스러운 표현 선호의 문제"라고 답했다.[23] 머레이의 목적은 "어휘의 전기를 쓰는 것"에 있었고, 기원이나 형식에서 어의를 짜내려고 하는 의식을 배제했다.[23]

『OED』의 완성은 머레이의 사망 후 몇 년 뒤인 1927년 섣달 그믐날에 선언되었다.

3. 3. 기술주의적 접근과 언어 철학

머레이는 어휘를 채택하는 기준으로 영어의 문어·구어 양면에서 "보통어"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지정했다.[23] 그러나 머레이 자신은 사전을 "화자가 그 언어의 소재를, 시간과 함께 어떻게 발전시켜 사용해 왔는지의 기록"으로 간주하는 기술주의에 철저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단어 사용의 정오(different from영어이라는 표현이 different to영어라는 표현보다 나은지, disyllable영어이라는 철자가 dissyllable영어보다 선호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편지를 보내 질문해도, 그는 단어의 다양성을 이유로 "자연스러운 표현 선호의 문제"라고 답했다.[23] 머레이의 목적은 "어휘의 전기를 쓰는 것"에 있었고, 기원이나 형식에서 어의를 짜내려고 하는 의식을 배제했다.[23]

3. 4. OED의 완성

1879년 3월 1일, 머레이는 새로운 영어 사전을 편집하기로 공식 합의했으며, 이 사전은 결국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이 되었다. 완성에는 10년이 걸리고 약 7,000페이지, 4권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1928년에 최종 결과가 출판되었을 때 12권으로 늘어났으며, 414,825개의 단어가 정의되었고, 그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1,827,306개의 인용문이 사용되었다.[12]

머레이는 나이와 건강 악화에도 불구하고 사전 작업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그의 삶의 많은 부분을 이 작업에 헌신했다.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는 OED의 주요 기여자였다.[16] 그는 이 프로젝트의 가장 효과적인 자원봉사자 중 한 명이었으며, 머레이의 주목을 받아 1891년 1월에 그를 방문했다. 1899년에 머레이는 마이너의 사전 기여에 대해 "우리는 그의 인용문만으로도 지난 4세기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라고 칭찬했다.[17][18]

머레이는 어휘 채택 기준으로 영어의 문어구어 양면에서 "보통어"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을 지정했다.[23] 그는 사전을 "화자가 그 언어의 소재를, 시간과 함께 어떻게 발전시켜 사용해 왔는지의 기록"으로 간주하는 기술주의에 철저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단어 사용의 정오에 대해 질문하는 편지를 보내도, 단어의 다양성을 이유로 "자연스러운 표현 선호의 문제"라고 답했다.[23]

『OED』의 완성은 머레이가 사망하고 몇 년 뒤인 1927년 섣달 그믐날에 선언되었다.

4. 후대에 미친 영향

사이먼 윈체스터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에 기여한 마이너의 만년과 관련된 책과 OED의 역사를 다룬 책을 출판했다. 1998년 소설 ''크로손의 외과의사(미국에서는 ''교수와 광인''으로 출판)''는 마이너의 만년과 OED 기여를 다루었고, 멜 깁슨의 아이콘 프로덕션에서 영화 판권을 구매했다.[19] 파르하드 사피니아 연출, 깁슨과 숀 펜 주연의 영화 ''교수와 광인''은 2019년 5월에 개봉했다.[20] 2003년 윈체스터는 ''모든 것의 의미: 옥스퍼드 영어 사전 이야기''를 통해 OED의 기원과 역사를 폭넓게 다루었다. 핍 윌리엄스의 2020년 베스트셀러 소설 ''잃어버린 단어 사전''은 머리와 그의 팀이 OED 작업을 했던 원고실을 배경으로 한다.[21]

4. 1. 학문적 유산

사이먼 윈체스터가 1998년에 출판한 소설 ''크로손의 외과의사(미국에서는 ''교수와 광인''으로 출판)는 마이너의 만년과 그가 ''옥스퍼드 영어 사전'' 제작에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1998년에 이 책의 영화 판권은 멜 깁슨의 아이콘 프로덕션에 의해 구매되었다.[19] 파르하드 사피니아가 연출한 영화 각색 작품의 제목은 ''교수와 광인''이었으며, 깁슨이 머리 역을, 숀 펜이 마이너 역을 맡았다.[20] 이 영화는 2019년 5월에 개봉했다.

2003년, 윈체스터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기원부터 거의 70년 후에 완성되기까지의 역사를 담은 더 폭넓은 역사서인 ''모든 것의 의미: 옥스퍼드 영어 사전 이야기''를 출판했다.

''잃어버린 단어 사전''(2020)은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핍 윌리엄스의 베스트셀러 소설로, 머리와 그의 팀이 OED 작업을 했던 원고실을 배경으로 하는 부분이 많다.[21]

4. 2. OED의 현대적 의의

사이먼 윈체스터가 1998년에 출판한 소설 ''크로손의 외과의사''(미국에서는 ''교수와 광인''으로 출판)는 마이너의 만년과 그가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 제작에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1998년에 멜 깁슨의 아이콘 프로덕션이 이 책의 영화 판권을 구매했다.[19] 파르하드 사피니아가 연출한 영화 각색 작품의 제목은 ''교수와 광인''이었으며, 깁슨이 머리 역을, 숀 펜이 마이너 역을 맡았다.[20] 이 영화는 2019년 5월에 개봉했다.

2003년, 윈체스터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기원부터 거의 70년 후에 완성되기까지의 역사를 담은 더 폭넓은 역사서인 ''모든 것의 의미: 옥스퍼드 영어 사전 이야기''를 출판했다.

''잃어버린 단어 사전''(2020)은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핍 윌리엄스의 베스트셀러 소설로, 머리와 그의 팀이 OED 작업을 했던 원고실을 배경으로 하는 부분이 많다.[21]

5. 수상 및 서훈

머리는 9개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 Editors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public.oed.c[...]
[2] 간행물 Murray, Sir James Augustus Henry (1837–1915), lexicographer http://www.oxforddnb[...]
[3] 뉴스 Obituary [Charles Oliver Murray] "[[Hawick News]]" 1923-12-14
[4] 서적 Caught in the Web of Words: James A.H. Murray and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Yale University Press 2001
[5] 학술지 Murray, James Augustus Henry https://books.google[...]
[6] 서적 Caught in the Web of Words: James A.H. Murray and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Yale University Press 2001
[7] 서적 Caught in the Web of Words: James A.H. Murray and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Yale University Press 2001
[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17
[9] 서적 Murray the dictionary maker: a brief account of Sir James A. H. Murray... the chief editor of The Oxford (or new) English dictionary Rustica Press
[10] 웹사이트 Did you know that James Murray… had eleven children, all of whom helped in the compilation of the OED? http://blog.oxforddi[...]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1-11
[11] 서적 Words of the World: A Global History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13] 서적 Words of the World: A Global History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4] 뉴스 London Gazette, 28 July 1908 https://www.thegazet[...] 1908-07-28
[15] 서적 Words of the World: A Global History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6] 간행물 Contributors http://oed.com/publi[...] Oxford English Dictionary
[17] 서적 The Meaning of Everything: The Story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UP]]"
[18] 서적 Caught in the Web of Words: James A.H. Murray and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Yal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The Strange Case of the Madman With a Quotation for Every Word https://www.nytimes.[...] 2006-12-04
[20] 뉴스 Mel Gibson, Sean Penn to Star in 'Professor and the Madman' (Exclusive) http://www.hollywood[...] "[[The Hollywood Reporter]]" 2005-02-21
[21] 웹사이트 A few words in your ear about gender, dictionaries and kindness https://www.smh.com.[...] 2020-05-08
[22] 뉴스 Glasgow University jubilee https://www.thetimes[...] The Times 1901-06-14
[23] 문서 ジェームズ・A. H. マレー
[24] 웹인용 Dictionary Editors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public.oed.c[...]
[25] 간행물 Murray, Sir James Augustus Henry (1837–1915), lexicographer http://www.oxfordd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