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에 소속된 벨기에 왈롱인으로 구성된 사단이다. 1930년대 벨기에 왈롱 지역에서 활동한 파시즘 단체 렉스당의 레옹 데그렐이 주도하여, 1941년 독일 국방군 소속 발로니엔 군단으로 창설되었다. 이후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어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나르바 전투 등에 참여했다. 전쟁 후 데그렐은 스페인으로 도피하여 망명 생활을 했고, 사단 생존자들은 전후 대독 협력 혐의로 처벌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나치 부역자 - 레옹 드그렐
    레옹 드그렐은 벨기에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30년대 렉시스트당을 창당하여 벨기에 정치에 영향을 미쳤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복무했으며, 전후 스페인으로 망명하여 홀로코스트 부정론을 펼치는 등 논란을 일으켰다.
  • 벨기에의 나치 부역자 -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플란데르 출신 의용병으로 구성되어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되었으며, 레닌그라드, 우크라이나, 나르바 등지에서 전투를 치르다 소련군에 항복했다.
  • 무장친위대의 여단 - 슈츠슈타펠
    슈츠슈타펠은 나치 독일의 핵심 조직으로, 히틀러 경호 부대에서 시작하여 힘러 지휘 아래 권력을 휘두르며 나치 정권의 범죄에 깊이 관여, 전후 범죄 단체로 규정되어 해체되었다.
  • 무장친위대의 여단 - SS기병여단
    SS기병여단은 1941년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헤르만 페겔라인의 지휘 아래 편성된 무장친위대 기병 부대로, 폴란드에서 경찰 및 보안 임무를 수행하다 소련 침공 작전에 투입되어 유대인 학살에 관여 후 1942년 해체,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창설의 기반이 되었다.
  • 무장친위대 보병사단 -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플란데르 출신 의용병으로 구성되어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되었으며, 레닌그라드, 우크라이나, 나르바 등지에서 전투를 치르다 소련군에 항복했다.
  • 무장친위대 보병사단 - 친위대 제19무장척탄병사단
    친위대 제19무장척탄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라트비아인 부대로, 동부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렀으나 나치즘 경도로 논란이 된다.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와롱 군단 병사들이 착용한 소매 배지
명칭레지옹 와로니 (와롱 군단)
약칭없음
기간1941년 – 1945년
국가없음
충성나치 독일
군종국방군 (1941–1943)
무장친위대 (1943–1945)
종류보병
역할없음
규모최대 병력 2,000명
총 7,000–8,000명 (1941–1945)
대대, 여단, 이후 사단 규모였으나 여단 규모를 넘지 못함.
지휘 구조없음
참전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우크라이나의 파르티잔 소탕 작전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투
존넨벤데 작전
탄넨베르크 선 전투
주요 지휘관레온 데그렐 (1944–45)
식별 기호[[파일:Wallonische_Legion_Wimpel_Stabsbrigade_1942.svg|100px]]
[[파일:Wallonische_Legion_Legionsfahne_1941.svg|100px]]
[[파일:Wallonische_Legion_Kompaniefahne.svg|100px]]
식별 기호 설명깃발
제28SS 의용 척탄병 사단 "발로니엔"
제28SS 의용 척탄병 사단 "발로니엔"의 사단 마크. 와롱 지방의 독립을 목표로 한 REX당의 X를 칼과 검으로 나타낸 것으로 추정됨.
창설1944년 10월 19일
해체1945년 5월 8일
국가나치 독일
소속무장친위대
병종척탄병
규모사단 (실제로는 여단 규모)
인원와롱인, 독일인
위치없음
상급 부대제3게르만SS기갑군단 (1945년 2월 ~ 3월)
SS사단 집단 "뮐러" (1945년 4월 15일)
별칭발로니엔
표어나의 명예는 충성 (Meine Ehre heißt Treue)
주요 전투독소 전쟁 (독일 육군 제373와롱 보병 대대 시절)
그로모바야-발카 전투
청색 작전
(SS 돌격 여단 시절)
코르순 포위전투
에스토니아 전투
(제28SS 의용 척탄병 사단 시절)
"존넨벤데" 작전
포메라니아 전투
알트담 교두보 방어전
실라스도르프 반격 작전
주요 지휘관레온 데그렐
추가 정보
프랑스어 명칭Légion Wallonie
독일어 명칭5. SS-Freiwilligen-Sturmbrigade „Wallonien“
28. SS-Freiwilligen-Panzergrenadier-Division „Wallonien“

2. 역사적 배경

1930년대 벨기에 왕국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인 왈롱 지역에서는 여러 파시즘 단체가 활동했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 단체는 가톨릭 출판사 경영자인 Léon Degrelle|레옹 데그렐프랑스어이 이끌던 렉시즘(Rexisme)이었다. 렉스당은 가톨릭 블록의 한 분파에서 시작되었지만, 1935년 11월 2일에 분리되어 독립적인 포퓰리즘 정당을 형성했다.[7]

렉스당은 이념적으로 벨기에 민족주의를 지지했지만, 조합주의와 반공주의에 대한 지지는 나치 이념과 유사한 측면을 보였다. 초기에는 상당한 성공을 거두어 1936년 벨기에 총선에서 전국 득표율의 11.5%를 얻으며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독일의 침공 이전 몇 년 동안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고, 1939년 선거에서는 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변두리에 머물렀다.

1940년 5월 10일, 독일이 서방 전역의 일환으로 벨기에 침공을 시작했을 때, 벨기에 당국은 친독, 친이탈리아적이었던 데그렐을 벨기에의 잠재적 적으로 간주하여 체포했다. 데그렐은 체포된 렉시즘 관계자들과 함께 프랑스로 보내졌고, 그중 21명이 총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처형을 면했다. 이후 데그렐은 스페인 국경 부근의 르 베르네 수용소(Vernet d'Ariège)에 수감되었지만,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한 후 1940년 7월 20일에 독일군에 의해 석방되었다.[8]

독일군 점령하의 벨기에로 돌아온 데그렐은 렉스당의 활동을 재개하고, 왈롱인의 독립을 위한 활동에 착수했다. 다만, 독일은 게르만 민족인 플라망인(벨기에의 플랑드르 지역 주민)의 독립을 지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비 게르만 민족인 왈롱인이 주체인 렉스당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1940년 5월 28일 벨기에 항복 이후, 독일 벨기에 및 북프랑스 군정은 점령지를 통치했다. 간접 통치 전략의 일환으로, 군정은 렉스당과 같은 변두리 정치 단체를 대체로 무시하고 기존 벨기에 정치 및 사회 엘리트와 협력하는 것을 선호했다.[1] 렉스당은 더 많은 영향력과 독일의 지원을 얻기 위해 점령 당국에 더 가까이 다가가려 했다.[2]

1943년경 벨기에 민족주의와 반공주의적 정서에 호소하는 발로니엔 군단의 모집 포스터. "동부 전선에서 싸우면서 벨기에를 방어하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2. 1. 레옹 데그렐과 렉스당

1930년대 벨기에 왕국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인 왈롱 지역에서는 여러 파시즘 단체가 활동했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 단체는 가톨릭 출판사 경영자인 Léon Degrelle|레옹 데그렐프랑스어이 이끌던 렉시즘(Rexisme)이었다. 렉스당은 가톨릭 블록의 한 분파에서 시작되었지만, 1935년 11월 2일에 분리되어 독립적인 포퓰리즘 정당을 형성했다.[7]

렉스당은 이념적으로 벨기에 민족주의를 지지했지만, 조합주의와 반공주의에 대한 지지는 나치 이념과 유사한 측면을 보였다. 초기에는 상당한 성공을 거두어 1936년 벨기에 총선에서 전국 득표율의 11.5%를 얻으며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독일의 침공 이전 몇 년 동안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고, 1939년 선거에서는 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변두리에 머물렀다.

1940년 5월 10일, 독일이 서방 전역의 일환으로 벨기에 침공을 시작했을 때, 벨기에 당국은 친독, 친이탈리아적이었던 데그렐을 벨기에의 잠재적 적으로 간주하여 체포했다. 데그렐은 체포된 렉시즘 관계자들과 함께 프랑스로 보내졌고, 그중 21명이 총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처형을 면했다. 이후 데그렐은 스페인 국경 부근의 르 베르네 수용소(Vernet d'Ariège)에 수감되었지만,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한 후 1940년 7월 20일에 독일군에 의해 석방되었다.[8]

독일군 점령하의 벨기에로 돌아온 데그렐은 렉스당의 활동을 재개하고, 왈롱인의 독립을 위한 활동에 착수했다. 다만, 독일은 게르만 민족인 플라망인(벨기에의 플랑드르 지역 주민)의 독립을 지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비 게르만 민족인 왈롱인이 주체인 렉스당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2. 2. 벨기에 점령과 렉스당의 협력

1940년 5월 독일의 침공 당시, 벨기에는 나치 독일의 권위주의적이고 반민주적인 이상에 공감하는 여러 정당들을 가지고 있었다. 왈롱브뤼셀에서 가장 큰 정당은 레옹 드그렐이 이끄는 렉스당이었다. 렉스당은 벨기에 민족주의를 지지했지만, 조합주의와 반공주의에 대한 지지로 나치 이념에 공감했다. 렉스당은 1936년 벨기에 총선에서 전국 득표율의 11.5%를 얻으며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급격히 하락하여 1939년 선거에서는 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변두리에 머물렀다.

1940년 5월 28일 벨기에 항복 이후, 독일 벨기에 및 북프랑스 군정은 점령지를 통치했다. 간접 통치 전략의 일환으로, 군정은 렉스당과 같은 변두리 정치 단체를 대체로 무시하고 기존 벨기에 정치 및 사회 엘리트와 협력하는 것을 선호했다.[1] 렉스당은 더 많은 영향력과 독일의 지원을 얻기 위해 점령 당국에 더 가까이 다가가려 했다.[2]

3. 발로니엔 군단의 창설 (1941–1942)

렉스당은 더 많은 영향력과 독일의 지원을 얻기 위해 점령 당국에 더 가까이 다가가려 했다. 1941년 6월 22일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렉스당은 군사 부대를 창설하는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플랑드르 민족주의 정당인 플람스 국민 연맹(Vlaamsch Nationaal Verbond, VNV) 또한 소련에서 독일군과 함께 싸울 "플랑드르 군단"을 결성하려 했고, 독일은 VNV에 우호적이었다.

1941년 7월, 렉스당은 발로니아 자유 군단(''Corps Franc Wallonie'') 또는 발로니엔 군단(''Légion Wallonie'')으로 명명된 자체 지원병 부대를 창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발로니엔 군단은 독일 국방군(Wehrmacht) 내에서 창설되었는데, 이는 발로니아인들이 나치 인종 이론가들에 의해 무장 친위대(Waffen-SS)에 들어갈 만큼 "게르만족"으로 충분히 여겨지지 않았기 때문이다.[9] 1941년 8월까지 총 850명의 남자가 자원하여 부대를 대대 규모로 만들었다.[12] 공식적으로 보병 제373대대(''Infanterie Bataillon 373'')로 지정된 이 부대는 독일 메제리츠에서 훈련을 받았다. 부대는 부르고뉴 십자를 휘장으로 채택했다.

군단의 초기 지원자 대부분은 렉시스트 간부였으며, 렉스당은 선전에서 반공주의적 측면을 강조하고 협력이 벨기에 애국심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7]

4. 동부 전선

발로니엔 군단은 1941년 11월부터 동부 전선 후방에서 "사소한 소탕 작전"에 투입되었다. 군단에서 복무한 러시아 이민자 로스티슬라프 자바츠키는 11월 말에 게릴라 혐의로 민간인을 총살한 것에 대해 일기를 썼다. 야전 헌병대 부대가 살인을 저질렀지만, 발로니엔 군단병도 참여했으며 벨기에 장교와 병사들이 지켜보며 사진을 찍었다.[9]

이후 루마니아군을 거쳐 제100엽병사단에 배속된 군단은 1942년 2월 28일 제17군의 일부로 도네츠크 근처 흐로모바 발카에서 소련군을 상대로 첫 번째 주요 교전을 벌였다. 질병과 전투로 인해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첫 몇 달 만에 150명으로 줄어들었다. 1942년 내내 "엄청난 손실"을 계속 겪었다. 군단은 1942년 7월 돈 강에 배치된 후 남쪽 코카서스로 이동했다. 단 한 번의 작전에서 부대는 854명의 사상자를 냈고 레옹 데그렐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1942년 11월까지 187명으로 줄었다.[9]

레옹 데그렐(Léon Degrelle), 렉스 지도자이자 왈로니아 군단 단원, 1944년 4월 샤를루아에서 촬영. 데그렐은 군단을 독일의 지원을 얻기 위한 정치적 도구로 여겼다.


1942년 말, 하인리히 힘러는 왈로니아인을 게르만 민족으로 선언하여 1943년 6월 1일 무장친위대에 합류하는 길을 열었다.

4. 1. 독일 국방군 소속 (1941–1943)

발로니엔 군단은 1941년 11월부터 동부 전선 후방에서 "사소한 소탕 작전"에 투입되었다. 이후 루마니아군을 거쳐 제100엽병사단에 배속되었다. 1942년 2월 28일, 제17군 소속으로 도네츠크 인근 흐로모바 발카에서 소련군과 첫 주요 교전을 벌였다. 질병과 전투로 큰 손실을 입었고, 1942년 내내 "엄청난 손실"이 계속되었다. 1942년 7월 돈 강을 거쳐 코카서스로 이동했다.[9] 높은 사상률로 인해 징집이 강화되었다. 1942년 초 자원병 연령 제한이 완화되었고, 2월에는 450명, 11월에는 1,700명을 추가 모집했다. 레옹 데그렐은 발로니엔 군단을 렉시스트 정당보다 효과적인 정치 도구로 보고, 그 정치적 잠재력에 주목했다. 군단의 전투 기록은 선전에 활용되어 데그렐의 정당성을 높였다.[10]

  • '''발로니 부대(Légion Wallonie) / 제373 발로니 보병대대(Wallonische Infanteriebataillon 373)''' 소속


소속 부대기간
제101엽병사단1941년 12월 10일 ~ 1942년 5월 16일
제100엽병사단 / "마르쿨" 전투단(Kampfgruppe Markulj)1941년 1월 ~ 1942년 2월 16일
제100엽병사단 / "트뢰거" 전투단(Kampfgruppe Tröger)1942년 2월 17일
제100엽병사단에서 제101엽병사단으로 복귀1942년 2월 17일 ~ 5월 16일
제68보병사단1942년 5월 17일 ~ 5월 20일
제97엽병사단1942년 5월 21일 ~ 1942년 11월 18일


4. 2. 무장친위대 소속 (1943–1945)

1942년 말, 하인리히 힘러는 왈로니아인을 게르만 민족으로 선언하여 1943년 6월 1일 무장친위대에 합류하는 길을 열었다. 왈로니아 군단은 2,000명 규모의 여단급 부대로 재편성되었으며, SS 돌격 여단 왈로니아(SS-Sturmbrigade Wallonien)로 알려졌다. 이적의 일환으로 부대와 렉스 사이의 연결 고리는 끊어졌다. 1943년 11월, 새로운 SS-돌격여단 왈로니아는 소련의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에 대응하여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에 배치되었다.[7] 그곳에서 여단은 1944년 2월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에서 SS 기갑사단 비킹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70%의 사상자를 냈다. 전투가 끝날 무렵, 부대의 실질적인 전력은 2,000명에서 632명으로 감소했다. 사망자 중에는 부대 지휘관인 뤼시앵 리페르|Lucien Lippert프랑스어도 있었다.[7] 그러나 레옹 데그렐은 체르카시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널리 찬사를 받아 "모든 유럽 협력자들의 포스터 보이"가 되었으며, 국방군의 잡지인 ''신호''에 실렸다.[7] 부대의 잔존 병력은 벨기에로 돌아와 1944년 4월 브뤼셀샤를루아에서 열병식을 개최했다.[7] 리페르트가 사망한 후 데그렐은 ''SS-돌격대지도자''로 진급하여 여단을 지휘했다.[7]

1944년 6월 서방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통해 노르망디에 상륙하여 벨기에를 향해 급속히 진격하기 시작했다. 동부 전선에서 여단은 7월에 프랑코니아에 있는 임시 캠프에서 급히 재배치되어 나르바 외곽의 탄넨베르크 선 전투에 플랑드르를 포함한 서유럽 출신의 다른 SS 부대와 함께 참여했다.[7] 1944년 9월 벨기에 해방 이후 데그렐은 연합군의 진격으로부터 도망치는 렉시스트 난민과 국가 사회주의 자동차 군단(NSKK)의 벨기에 자원병을 징집한 후 여단을 사단 지위로 승격시켰다.[7] 새로운 제28 SS 의용척탄병사단 왈로니아(28. SS-Freiwilligen-Grenadier-Division Wallonien)는 1944년 10월에 창설되었다.[7] 병력은 4,000명 미만으로, 전력이 크게 부족했다.[7] 청색 사단의 프랑스 군인과 스페인 군인들이 부대에 합류하여 병력을 늘렸다.[7]

1945년 초, 왈로니아 사단은 포메라니아 방어에 배치되었다. 2월 5일 슈타르가르트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그 달 말까지 병력은 700명으로 줄어들었고, 오데르강의 러시아 교두보에 대한 값비싼 공격에 투입되어 650명의 병력을 추가로 잃었다.[7] 이 실패 이후 생존자 중 일부는 해상으로 독일 점령 덴마크로 대피하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로 향했다.[7] 데그렐은 플뢴에서 하인리히 힘러와 만났지만 실질적인 명령은 받지 못하고 노르웨이로 도망쳤다.[7] 사단의 생존 인원은 뤼베크에서 영국군에 항복하여 소련군에 의한 포로 억류를 피했다.[7]

5. 지휘관

(Wallonische Infanteriebataillon 373)취임퇴임계급(취임 당시)성명1941년 8월1942년 1월 (제대)상급 대위조르주 자코브[29]1942년 1월1942년 3월 (면직)대위피에르 폴리 (B.E.M.)[29]1942년 4월1942년 6월 (부서 이동)대위게오르그 체코프[29]1942년 6월1943년 6월 (대대 재편성)중위뤼시앙 리페르



style="text-align:left; white-space:nowrap" | SS 돌격 여단 "발로니엔"
(SS-Sturmbrigade „Wallonien“)
취임퇴임계급(취임 당시)성명
1943년 6월1944년 2월 13일 (전사)SS 소령뤼시앙 리페르[46]
1944년 2월 14일
(공식 인지는 1944년 9월 3일)
1944년 9월 (여단 재편성)SS 대위레옹 데그렐[45]
1944년 6월 21일
(서류상의 지휘관)
1944년 9월
(데그렐이 정식으로 지휘관에 취임)
SS 상급 대령카를 부르크



style="text-align:left; white-space:nowrap" | 제28SS 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왈로니아 제1)
(28. SS-Freiwilligen-Grenadier-Division „Wallonien“ (wallonische Nr. 1))
취임퇴임계급(취임 당시)성명
1944년 9월1945년 5월 8일 (종전)SS 소령레옹 데그렐


6. 전후 활동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총 7,000명에서 8,000명 사이의 병력이 발로니엔 군단에서 복무했으며, 이 중 약 1,337명이 사망했다.[4] 최대 야전 병력은 2,000명을 넘지 못했다. 레옹 데그렐은 프랑코 정권 스페인으로 망명하여 1994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생활했다.

군단 생존자들은 전쟁 후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는 기사십자 훈장 수훈자와 장교들에게만 집행되었다. 사병들은 1946년부터 1951년 사이에 10년에서 20년의 징역형[4]과 재교육 및 훈련을 받고 풀려났다. 1992년에는 약 1,000명의 생존 퇴역 군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벨기에형법 제113조에서 "적국에 대한 군사 협력"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다.[82] 제2차 세계 대전무장친위대, 왈로니 부대 등 특정 조직에 소속되었던 벨기에인(왈롱인)들은 전후 각자의 죄상에 따라 판결을 받았다.[83]

1945년 6월 중순, 슈베린에서 미국군에 항복한 "발로니엔" 사단의 생존자들은 영국군에게 인도된 후 노이엔감메 강제 수용소 부지의 포로 수용소로 보내졌고, 이후 벨기에 본국으로 송환되어 대독 협력자로 처벌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무장친위대 왈론인 부대에 소속되었던 왈론인 장교들의 최후는 다음과 같다.[85]

구분인원
동부 전선에서 전사 (혹은 행방불명)26명
전후
사형48명 (부재자 재판에서의 사형 19명, 종신형 26명)
징역 20년23명
구류 10~20년9명
금고 5년1명
불기소1명[86]
1945~1948년에 자살 혹은 병사5명



1948년 6월 21일, 제373 왈론 보병 대대의 2대 지휘관 피에르 폴리 대위의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1948년 11월 6일, 유죄 판결을 받은 왈론인 장교 중 35명이 석방되었다. 1952년, 벨기에 당국에 체포되었던 모든 무장친위대 왈론인 의용병 (벨기에 국내 범죄자 및 "발로니엔" 사단 참모장 프랑스 엘레보 SS 소령 제외)이 석방되었다.[87]

제2차 세계 대전벨기에에서 무장친위대 플라망인 의용병 출신들은 1960년대부터 서적 출판, 상호 부조회 결성 등의 활동을 하며 플랑드르 지역 일부 주민에게 영웅으로 간주되었지만, 무장친위대 왈론인 의용병 출신들은 왈롱 지역 사회에서 소외되어 출판 및 상호 부조 활동을 할 수 없었다.

1945년 5월 8일, 오슬로에서 스페인으로 간 레옹 데그렐은 산세바스티안 해안에 불시착하여 중상을 입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은 연합국의 데그렐 신병 인도 및 송환 요청을 거부하고 스페인 체류를 허락했다.

1954년, 데그렐은 스페인 시민권을 획득, 실업계에서 활약하며 많은 저서를 출판했다. 그는 전후 유럽 극우 운동, 홀로코스트 부정론자, 네오파시즘 운동의 거물로 이름을 떨쳤다.

그러나 데그렐의 저서 및 활동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군무에 종사한 왈론인 의용병들은 전후 유럽 사회에서 가장 소외된 대전 경험자가 되었다.[88] 왈론인 의용병 생존자들은 대전의 마지막 장면에서 자신들을 버린 데그렐을 평생 용서하지 않았다.

1994년 4월 1일, 레옹 데그렐은 스페인 말라가에서 사망했다.

참조

[1] 書적 Zhukov at the Oder: the decisive battle for Berlin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2] 書적 Svoia chuzhaia voina: Dnevnik russkogo ofitsera Vermakhta,1941–1942 (War for an Alien Cause. Diary of Russian Officer of the Wehrmacht, 1941–1942) https://www.academia[...] Posev
[3] 웹사이트 10 mars 1942. Violence dans les rues de Bruxelles https://www.belgiumw[...] CEGESOMA
[4] 書적 The Unknown Eastern Front I.B. Tauris 2012
[5] 뉴스 Sur la réinsertion des survivants de la Légion Wallonie https://www.lesoir.b[...] Le Soir 1992-02-29
[6] 서적 【歴史群像】W.W.II 欧州戦史シリーズVol.18 武装SS全史II[膨張・壊滅編] 学習研究社 2002
[7] 서적 "For Rex and for Belgium: Léon Degrelle and Walloon Political & Military Collaboration 1940-1945" Helion & Company 2004
[8] 동상
[9] 동상
[10] 문서
[11] 문서
[12] 동상
[13] 동상
[14] 동상
[15] 문서
[16] 동상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동상
[21] 동상
[22] 문서
[23] 동상
[24] 동상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동상
[32] 문서
[33] 문서
[34] 동상
[35] 동상
[36] 書적 Olt. Henri Derriks de Bruyne & Rikmenspoel
[37] 書적 同上
[38] 문서 SS-Ustuf. Robert Denie
[39] 서적 同上
[40] 문서 1943年12月1日付でSS少尉から昇進。
[41] 서적 Campaign in Russia: The Waffen SS on the Eastern Front de Bruyne & Rikmenspoel, Verlaine, Léon Degrelle 1985
[42] 문서 ユベール・ヴァン・エゼSS少尉(SS-Ustuf. Hubert Van Eyzer):SS突撃旅団「ヴァロニェン」第1中隊第1小隊長 DEUTSCHES ROTES KREUZ - SUCHDIENST MÜNCHEN Vermisstenbildliste
[43] 문서 Finnisches Freiwilligen-Bataillon der Waffen-SS
[44] 서적 同上
[45] 문서 1944年1月1日付でSS中尉から昇進。
[46] 문서 他の者はすべて戦死もしくは病死、あるいはソビエト赤軍の捕虜となるか、負傷して早い段階で後送されていた。
[47] 문서 1944年3月にSS突撃旅団「ヴァロニェン」から改称。
[48] 문서 第12SS装甲師団「ヒトラー・ユーゲント」
[49] 서적 同上
[50] 문서 ジャック(ルネ)・ヴェランヌSS少尉(SS-Ustuf. Jacques(René) Verenne):「ヴァロニェン」戦闘団第4中隊の小隊長 de Bruyne & Rikmenspoel, Verlaine
[51] 문서 Campaign in Russia: The Waffen SS on the Eastern Front de Bruyne & Rikmenspoel, Verlaine, Léon Degrelle 1985
[52] 문서 マルセル・カポンSS少尉(SS-Ustuf. Marcel Capoen):「ヴァロニェン」戦闘団第2中隊の小隊長 http://forum.axishis[...] de Bruyne & Rikmenspoel, Verlaine, Axis History Forum
[53] 문서 マルセル・トマSS少尉(SS-Ustuf. Marcel Thomas):「ヴァロニェン」戦闘団第2中隊の小隊長 de Bruyne & Rikmenspoel
[54] 서적 Campaign in Russia: The Waffen SS on the Eastern Front Léon Degrelle 1985
[55] 웹사이트 독일어 http://forum.axishis[...]
[56] 문서 ナルヴァ軍集団(Armeegruppe Narwa)
[57] 서적 de Bruyne & Rikmenspoel
[58] 문서 ジョルジュ・リュエルSS中尉(SS-Ostuf. Georges Ruelle):1944年8月のエストニア戦線における「ヴァロニェン」戦闘団指揮官 de Bruyne & Rikmenspoel, Verlaine
[59] 서적 de Bruyne & Rikmenspoel
[60] 서적 The "Wallonien": The History of the 5th SS Sturmbrigade and the 28th SS Volunteer Panzergenadier Division Richard Landwehr, Jean-Louis Roba, Ray Merriam 2007
[61] 서적 de Bruyne & Rikmenspoel
[62] 웹사이트 http://forum.axishis[...]
[63] 서적 同上
[64] 웹사이트 Ritterkreuz http://home.arcor.de[...]
[65] 서적 de Bruyne & Rikmenspoel
[66] 문서 ベルギーの首都・ブリュッセルの解放日は1944年9月3日。
[67] 서적 de Bruyne & Rikmenspoel
[68] 서적 同上
[69] 문서 トニー・ゴンベルトSS少尉(SS-Ustuf. Tony Gombert):「ヴァロニェン」師団長レオン・デグレルの副官を務めたフラマン人将校 de Bruyne & Rikmenspoel
[70] 서적 同上
[71] 서적 Degrelle 前掲書 p291
[72] 문서
[73] 서적 de Bruyne & Rikmenspoel 前掲書 p280
[74] 문서
[75] 문서
[76] 문서 マルセル・ボニヴェルSS大尉(SS-Hstuf. Marcel Bonniver)
[77] 문서
[78] 문서
[79] 문서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루이・피에른
[87] 문서
[88] 서적 Marc J. Rikmenspoel "Waffen-SS Encyclopedia" ABERJONA PRESS 2004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피에르・드・바케르・드・레비유SS少尉 1945-04-27
[96] 문서
[97] 문서
[98] 문서 윌리엄=토마스・뷰터 1920-09-25
[99] 문서
[100] 문서 얀(컷)・스엘겐 1917
[10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