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하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하제는 변비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자극성 완하제, 팽창성 완하제, 연화성 완하제, 윤활성 완하제, 고삼투성 완하제, 염류성 완하제 등이 있으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여 배변을 돕는다. 완하제는 장기간 사용 시 의존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섭식 장애 환자들의 남용 문제가 심각하다. 과거에는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었으나, 현대 의학에서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한방에서도 완하제가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하제 - 피마자유
피마자유는 피마자 씨앗에서 추출한 리시놀레산이 주성분인 담황색의 점성 액체로, 완하제 및 윤활유, 코팅제,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 등 다양한 공업적 용도로 사용되지만,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하여 식용으로는 부적합하며 과거 체벌이나 고문에도 악용되었다. - 완하제 - 관장
관장은 액체를 항문을 통해 직장에 주입하여 배변, 대장 세척, 약제 투여, 수분·영양 보급 등에 사용되는 의료 행위로, 변비 치료, 대장 내시경 검사 전 처치 등에 활용되며 다양한 종류와 방법이 있지만 부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그 역사는 고대부터 이어져 왔다. - 위장병학 - 간염
간염은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남용, 약물,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A형, B형 간염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고 C형 간염은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었다. - 위장병학 - 크론병
크론병은 위장관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면역계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복통, 설사,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 요법, 영양 요법,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완치 치료법은 없다.
완하제 |
---|
2. 완하제의 종류
완하제는 작용 방식에 따라 크게 장을 직접 자극하는 자극성 완하제와 변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다른 기전의 완하제들로 나눌 수 있다.[36] 또한, 작용 강도에 따라 약한 효과를 내는 약제(예: 산화마그네슘, 센나, 대황)와 강한 효과를 내는 사하제(예: 비사코딜)로 구분하기도 한다.[37]
완하제는 다양한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팽창성 완하제: 식이섬유와 유사하게 변의 부피를 늘려 장 운동을 촉진한다. (폴리카르보필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39], 카르멜로스나트륨[40] 등)
- 삼투압성 완하제: 장 내 삼투압을 높여 수분을 끌어들여 변을 무르게 한다.
- 염류성 완하제: 산화마그네슘[41], 구연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등이 있다.[43]
- 당류성 완하제: 락툴로스[42], D-솔비톨 등이 있다.
- 고분자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모비콜®) 등이 있다.
- 연화성(침윤성) 완하제: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변 표면 장력을 낮추고 수분 침투를 도와 변을 부드럽게 한다. (디옥틸소듐술포석시네이트[43][44] 등)
- 자극성 완하제: 장 점막이나 신경을 직접 자극하여 장 운동을 촉진한다.[43]
- 소장 자극성: 피마자유 등이 있다.
- 대장 자극성: 안트라퀴논계(센나, 대황 등 생약 유래)[43]와 디페놀계(비사코딜, 피코술파트나트륨 등)[45]가 있다.
- 상피 기능 변형 약: 장 상피세포의 이온 채널 등에 작용하여 수분 분비를 촉진한다.
-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제: 루비프로스톤
- 구아닐산 시클라아제 C 수용체 작용제: 리나클로티드
- 담즙산 수송체 저해제: 엘로빅시밧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제제 등이 장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한방약: 이자탕, 가미소요산, 마자인환, 방풍통성산, 계지가작약탕, 센나대황정 등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된다.[46]
완하제를 선택할 때는 변비의 유형, 기저 질환, 복용 중인 다른 약물 등을 고려해야 한다.[36] 기능성 변비의 경우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며,[38] 직장탈과 같은 기질적 문제가 원인일 경우에는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38]
2. 1. 팽창성 완하제
팽창성 완하제는 식이섬유와 같은 물질 또는 일반의약품에 포함된 친수성 작용제를 말하며, 대변에 부피와 수분을 더하여 장(소화관 하부)을 통해 더 쉽게 배설되도록 돕는다.[2] 이들은 일반적으로 완하제 중에서 가장 부드러운 효과를 내며,[1] 장의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장기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특징 | 내용 |
---|---|
작용 부위 | 소장 및 대장 |
작용 개시 시간 | 12~72시간 |
예시 | 식이섬유, 차전자피(psyllium), 메틸셀룰로스(methylcellulose), 폴리카르보필(polycarbophil)[3], 폴리카르보필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39], 카르멜로스나트륨[40] 등 |
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는 차전자피 제품도 팽창성 완하제의 역할을 한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섭취도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1. 1. 식이섬유
팽창성 완하제는 식이섬유와 같은 물질 또는 일반의약품에 포함된 친수성 작용제를 말하며, 대변에 부피와 수분을 더하여 장을 통해 더 쉽게 배설되도록 돕는다.[2] 식이섬유와 같은 팽창성 완하제는 일반적으로 완하제 중에서 가장 부드러운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1] 장의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장기간 유지하는 데 이상적이다. 이들은 주로 소장 및 대장에서 작용하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보통 12시간에서 72시간이 걸린다.[3]변비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이 포함된다. 식이섬유는 불용성 섬유와 수용성 섬유를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식품에 많이 들어 있다.[4]
- 과일: 바나나[5](익는 정도에 따라 다름)[6], 키위, 자두, 사과(껍질째), 배(껍질째), 라즈베리[1]
- 채소: 브로콜리, 강낭콩, 케일, 시금치[4], 삶은 겨울호박, 삶은 타로와 포이, 삶은 완두콩, 구운 감자(껍질째)[1]
- 통곡물
- 밀기울 제품[1][4]
- 견과류
- 콩류: 콩, 완두콩, 렌틸콩[1]
2. 2. 연화성 완하제 (대변 연화제)
연화성 완하제는 대변 연화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대변에 물과 지방이 더 많이 흡수되도록 하여 장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특징은 다음과 같다.
연화제는 만성 변비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변비를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3]
2. 3. 윤활성 완하제
윤활성 완하제는 변의 표면을 미끄러운 지질로 코팅하여 결장에서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줄여준다. 이를 통해 변이 결장을 더 쉽게 통과하도록 돕는다. 또한 변의 무게를 늘리고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9]'''특징'''
미네랄 오일(예: 액체 파라핀)은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윤활성 완하제이다. 하지만 실수로 흡인될 경우 지방폐렴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특히 어린이와 영유아에게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10][11] 미네랄 오일은 지용성 비타민과 일부 무기질의 체내 흡수를 방해할 수도 있다.[9]
2. 4. 고삼투성 완하제
고삼투성 완하제(고장성 완하제라고도 함)는 결장 내부에 수분을 더 많이 머물게 하여 삼투압 차이를 만들고, 이로 인해 장에 압력이 가해져 배변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12][10]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 시 12시간에서 72시간 후에 효과가 나타나며, 직장 투여 시에는 15분에서 1시간 내에 효과를 볼 수 있다.[12]주요 고삼투성 완하제는 다음과 같다.
- '''락툴로스''': 삼투압 효과로 결장에 수분을 유지시키며,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젖산, 개미산, 아세트산 등을 생성하여 장 내부의 pH를 낮춘다. 이는 결장의 연동 운동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낸다. 또한, 간성 뇌병증(문맥계 전신성 뇌병증) 치료에도 사용된다.[12]
- '''소르비톨''': 락툴로스와 유사한 삼투압 효과를 통해 배변을 돕는다. 상품명으로는 SoftLax 등이 있다.[12]
-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Macrogol): 삼투압 작용으로 수분을 장으로 끌어들여 변을 부드럽게 하고 배변을 유도한다. 염화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염화칼륨, 때로는 황산나트륨과 같은 전해질과 함께 사용되어 수술이나 대장내시경 전 장 준비를 위한 전장관 세척이나 특정 중독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관련 상품명으로는 GoLytely, GlycoLax, Cosmocol, CoLyte, Miralax, Movicol, NuLytely, Suprep, Fortrans, 모비콜® 등이 있다.[12]
- '''글리세린 좌약''': 주로 고삼투성 작용을 통해 배변을 유도하지만, 제제에 포함된 스테아르산나트륨(sodium stearate)이 결장에 국소적인 자극을 주기도 한다.[12]
- '''염류성 완하제''': 산화마그네슘[41], 구연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등이 있다. 이들은 장관 내에 흡수되지 않는 염류를 투여하여 삼투압을 높여 장관 내 수분량을 유지하고 배변을 촉진한다.[43] 염류성 완하제 복용 시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함께 마시는 것이 중요하며, 고령자나 신장 기능 저하자, 인공 투석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41] 산화마그네슘의 경우, 위에서는 위산(HCl)과 반응하고(MgO + 2HCl → MgCl2 + H2O), 장에서는 췌액(NaHCO3)과 반응하여(MgCl2 + 2NaHCO3 → Mg(HCO3)2 + 2NaCl) 작용한다.
2. 5. 염류성 완하제
염류성 완하제는 체내에 거의 흡수되지 않고 삼투압 작용을 통해 장 내용물의 수분 함량을 높이는 약물이다.[3] 장관 내강으로 물을 끌어들여 변을 부드럽게 하고 부피를 늘려 장벽을 자극하며, 이는 장 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을 돕는다.[3] 특히 마그네슘을 함유한 제제는 콜레시스토키닌 분비를 촉진하여 장 운동성과 체액 분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3] 이 과정에서 환자의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3]- 인산나트륨 및 유사체
- 구연산마그네슘
- 수산화마그네슘 (밀크 오브 마그네시아)
- 황산마그네슘 (엡솜 솔트)
- 산화마그네슘
염류성 완하제를 복용할 때는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섭취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41] 고령자, 신장 기능 저하자, 인공 투석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하며,[41] 특히 마그네슘 제제는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고마그네슘혈증을 유발할 위험이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산화마그네슘의 경우 하루 최대 복용량은 2g이다.[41]
진단되지 않은 복통이나 장폐색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47] 투석 환자나 신장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기될 수 있다.[47]
산화마그네슘은 체내에서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을 거친다.
- 위에서는 위산(염산, HCl)과 반응하여 염화마그네슘(MgCl2)과 물(H2O)을 생성한다.
MgO + 2HCl → MgCl2 + H2O - 장에서는 췌액의 중탄산나트륨(NaHCO3)과 반응하여 중탄산마그네슘(Mg(HCO3)2)과 염화나트륨(NaCl)을 생성한다.
MgCl2 + 2NaHCO3 → Mg(HCO3)2 + 2NaCl
2. 6. 자극성 완하제
자극성 완하제는 장 점막이나 신경총에 직접 작용하여 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하고, 수분과 전해질 분비를 변화시켜 배변을 유도하는 약물이다.[13][14] 주로 결장에서 작용하며, 복용 후 약 6~10시간 후에 효과가 나타난다.[3] 대표적인 예로는 센나, 비스코딜 등이 있다.[3]이 유형의 완하제는 기능성 변비 중에서도 특히 장의 운동 기능이 저하되어 변이 장 내에 오래 머무르는 '결장 통과 시간 지연형' 변비에 사용된다.[38] 다만, 장기간 사용 시 결장의 팽기가 손상되어 약물에 대한 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며, 스스로 배변하는 능력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한 연구에서는 만성적으로 자극성 완하제를 사용한 환자의 28%가 1년 동안 결장 팽기를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15] 따라서 대증요법으로 사용하되, 장기 연용은 피하고 상태가 호전되면 점차 사용량을 줄여 중단하는 것이 권장된다.
자극성 완하제는 작용 부위에 따라 소장을 자극하는 것(피마자유 등)과 대장을 자극하는 것(안트라퀴논계, 디페놀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작용 강도에 따라 약한 것은 일반적인 완하제로, 강한 것은 사하제로 구분하기도 한다.[37]
2. 6. 1. 안트라퀴논계 유도체

안트라퀴논계 유도체는 자극성 완하제 중 대장을 자극하는 유형에 속한다. 알로에, 센나, 대황 등 주로 생약에서 유래한 성분으로 구성된다.[43] 이 성분들은 소장에서 흡수된 후 혈액을 통해 이동하여 대장 점막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43] 대표적인 약물로는 센노사이드, 아로에센, 프루제니드 등이 있다. 센나나 대황은 상대적으로 작용 강도가 약한 완하제로 분류되기도 한다.[37]
2. 6. 2. 디페놀 유도체
자극성 완하제의 한 종류로, 대표적인 성분에는 비사코딜과 피코설페이트나트륨 등이 있다. 대장 검사 전에 장을 비우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예: 락소베론)도 디페놀 유도체에 속한다.[45]이 약물들은 대장 내에 서식하는 세균이 만들어내는 특정 효소(아릴술파타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성분은 대장의 운동을 촉진하고 장에서의 수분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배변을 유도한다.[43] 작용 강도에 따라 분류할 때, 비사코딜과 같이 효과가 강한 약물은 사하제로 구분하기도 한다.[37]
2. 7. 기타 완하제
피마자유는 췌장의 리파아제에 의해 리시놀레산으로 가수분해되어 완하 작용을 나타낸다.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작용 부위: 결장, 소장
- 작용 개시 시간: 2~6시간
- 예시: 피마자유[3]
피마자유를 장기간 사용하면 체액, 전해질, 영양소 손실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이 약물들은 장관신경계의 5-HT₄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장 운동성을 자극한다. 그러나 일부 약물은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때문에 판매가 중지되거나 사용이 제한되었다.
- 테가세로드(제품명 Zelnorm®)는 심장마비 또는 뇌졸중 위험 증가 보고로 인해 2007년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서 일반 판매가 중단되었다. 다만, 생명을 위협하거나 입원이 필요한 응급 상황의 환자에게는 의사의 판단 하에 처방될 수 있다.[16]
- 프루칼로프라이드(제품명 Resolor®, Resotran®)는 유럽 연합(2009년 10월 15일)[17], 캐나다(2011년 12월 7일)[18], 미국(2018년 12월)에서 승인되어 현재 사용 중인 약물이다.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제'''
- 루비프로스톤(Lubiprostone)은 만성 특발성 변비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 이 약물은 장에서 염화물이 풍부한 액체 분비를 유도하여 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장 운동성을 증가시켜 자연스러운 배변을 돕는다.
3. 완하제 사용 시 주의사항
완하제는 변비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증요법일 뿐, 근본 원인을 치료하는 약은 아니다.[47] 따라서 완하제 사용 전 변비의 원인이 되는 다른 질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직장탈이나 직장류 같은 기질적 이상이 있다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38] 기질적 이상이 없는 기능성 변비라도 완하제 복용과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38]
특히 '''자극성 완하제'''의 만성적인 사용은 피해야 한다. 장기간 사용 시 과도한 자극으로 결장 조직이 손상되어 배변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33] 실제로 자극성 완하제를 오래 사용한 환자에게서 장 조직에 갈색 색소가 침착되는 멜라노시스 콜리가 흔히 발견되기도 한다.
완하제는 변비 유형에 따라 적절한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크게 장 운동을 자극하는 '''자극성 완하제'''와 변의 수분량을 늘리는 '''물리적 완하제'''(팽창성, 삼투압성, 침윤성 등)로 나뉜다.[36] 예를 들어, 결장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변이 장에 오래 머무는 유형의 변비에는 자극성 완하제가 쓰일 수 있으나, 식이섬유 섭취는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38] 반면, 배변 횟수는 정상이지만 변의 양이 적은 경우(결장 통과 시간 정상형)에는 식이섬유 섭취와 식사량 증가가 도움이 될 수 있다.[38]
또한, 복용 중인 다른 약이나 기저 질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완하제 종류가 제한될 수 있다.[36] 예를 들어, 투석 환자나 신장 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염류성 완하제(예: 산화마그네슘) 사용은 금기이다.[47] 장폐색이 있거나 원인 불명의 복통이 있을 때도 완하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47] 삼투압성 완하제 중 염류성 완하제를 복용할 때는 충분한 물과 함께 섭취해야 한다.[41]
일반적으로 변비 치료 시 1차 선택 약물로는 산화마그네슘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권장된다.[47] 효과가 부족하면 다른 약으로 변경하거나 여러 약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완하제라도 복용량을 늘리면 효과가 강해지지만[47], 동일한 완하제를 장기간 계속 사용하면 효과가 감소하거나 약물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47] 따라서 증상이 호전되면 점차 복용량을 줄여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7]
완하제 사용 전에는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상태에 맞는 약물을 선택하고 올바른 용법과 용량으로 복용해야 한다.
4. 완하제 남용 문제
거식증이나 폭식증과 같은 섭식 장애가 있는 일부 사람들은 체중 감량을 위해 완하제를 남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완하제는 소장에서 영양소 흡수가 이미 완료된 후에 대장을 통한 대변 이동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뿐이다. 따라서 완하제 남용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은 실제 에너지(칼로리) 손실보다는 주로 일시적인 체액 손실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30][31][32]
완하제 남용은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비교적 덜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탈수증(떨림, 쇠약, 실신, 시야 흐림, 신장 손상을 유발), 저혈압, 빈맥, 기립성 어지러움, 실신 등이 있다.[30] 그러나 완하제 남용은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산염기 불균형과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30] 예를 들어, 심각한 저칼륨혈증은 완하제 남용으로 인한 원위 신세뇨관 산증과 관련이 있으며,[30] 대사성 알칼리증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산염기 불균형이다.[30]
기타 중요한 부작용으로는 횡문근융해증,[30] 지방변,[30] 결장 점막의 염증 및 궤양,[30] 췌장염,[30][26] 신부전,[30][27][28] 가성 설사[30][29] 등이 있다.[30] 또한, 장기간 남용하면 결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양의 완하제를 필요로 하게 되어, 결국 '게으른 결장'(장 무력증), 감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 잠재적인 간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5. 역사 속 완하제
완하제는 과거 "피직스(physickseng)" 또는 "사하제(purgativeseng)"라고 불렸다. 의학사에서는 현재 증거 기반 의학에서 효과가 없다고 여겨지는 많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완하제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34] 또한, 대체 의학 분야에서는 완하제를 이용한 대장 세척이 마치 점액 플라크와 같은 가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것처럼 홍보되기도 하는데, 이는 의료 사기에 해당할 수 있다.[35]
6. 한방에서의 완하제
한의학에서는 환자의 상태가 허증(虛證)인지 실증(實證)인지에 따라 다양한 한약을 사용하여 변비를 치료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이자탕, 가미소요산, 마자인환, 방풍통성산, 계지가작약탕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맞춰 선택된다. 이 외에도 센나대황정은 진정 작용을 하는 감초가 포함되지 않아 생약 그대로의 효능으로 완고한 변비에 사용되기도 한다.[46]
참조
[1]
웹사이트
Constipation
http://digestive.nid[...]
National Digestive Diseases Information Clearinghouse
2014-11-03
[2]
웹사이트
Bulk-forming agent
http://www.cancer.go[...]
[3]
서적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6
[4]
웹사이트
The Facts About Fiber
http://www.aicr.org/[...]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2014-11-03
[5]
논문
Medicinal and nutritional values of banana cv. NENDRAN
http://www.cabdirect[...]
2012-11-29
[6]
뉴스
15 Foods That Cause Constipation (Caffeine, Chocolate, Alcohol)
http://www.medicinen[...]
2017-12-12
[7]
논문
Kiwifruit promotes laxation in the elderly.
[8]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of prunes: a functional food?
[9]
서적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6
[10]
서적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An Interactive Approach to Self-Care, 20th Edition
https://pharmacylibr[...]
The American Pharmacists Association
2020-11-30
[11]
웹사이트
Constipation
http://proxycheck.li[...]
2020-03-20
[12]
서적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6
[13]
웹사이트
Laxative (Oral Route)
http://www.mayoclini[...]
2012-11-01
[14]
논문
Alterations in colonic anatomy induced by chronic stimulant laxatives: the cathartic colon revisited
[15]
논문
Alterations in Colonic Anatomy Induced by Chronic Stimulant Laxatives: The Cathartic Colon Revisited
1998-06
[16]
웹사이트
Postmarket Drug Safety Information for Patients and Providers - Zelnorm (tegaserod maleate) Information
https://www.fda.gov/[...]
2018-04-14
[17]
웹사이트
European Medicines Agency EPAR summary for the public
http://www.emea.euro[...]
2018-04-14
[18]
웹사이트
Health Canada, Notice of Decision for Resotran
http://www.hc-sc.gc.[...]
2018-04-14
[19]
웹사이트
SAFETY ISSUES AFFECTING HERBS: How Long can Stimulant Laxatives be Used?
http://www.itmonline[...]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2010-03-19
[20]
웹사이트
Stimulant Laxatives
http://www.fpnoteboo[...]
Family Practice Notebook, LLC
2010-03-19
[21]
논문
A randomized, multicenter comparison of polyethylene glycol laxative and tegaserod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constipation
[22]
논문
Comparison of a low dose polyethylene glycol electrolyte solution with lactulose for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23]
논문
A randomized, multicenter, placebo-controlled trial of polyethylene glycol laxative for chronic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24]
논문
Cost-effective treatment of constipation in the elderly: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ison of sorbitol and lactulose
[25]
웹사이트
BestBETs: Is polyethylene glycol safe and effective for chro...
http://www.bestbets.[...]
2007-09-06
[26]
논문
Evidence for long-term pancreatic damage caused by laxative abuse in subjects recovered from anorexia nervosa
[27]
논문
Renal failure associated with laxative abuse
[28]
논문
Renal injury associated with laxative abuse
[29]
논문
Laxative abuse syndrome
1980-11
[30]
논문
Laxative abuse: epidem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31]
논문
Controlling weight by purgation and vomiting: A comparative study of bulimics
[32]
웹사이트
Acid-base and electrolyte abnormalities with diarrhea
http://www.uptodate.[...]
2017-12-12
[33]
논문
Alterations in colonic anatomy induced by chronic stimulant laxatives: the cathartic colon revisited
1998-06
[34]
논문
The miraculous effects of taking laxatives. Success and failure of pre-modern medical treatment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2003
[35]
서적
Illustrated medical pharmacology
JP Medical
2013-09-30
[36]
뉴스
国内初の『慢性便秘症診療GL』の特徴は?
http://medical.nikke[...]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7-10-20
[37]
웹사이트
薬学用語解説 下剤
http://www.pharm.or.[...]
[38]
논문
慢性便秘の診断と治療
2016
[39]
뉴스
その便秘薬の処方、間違っていませんか?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8-09-04
[40]
PDF
カルメロースナトリウム原末
http://database.japi[...]
[41]
PDF
ニプロ
https://pins.japic.o[...]
[42]
PDF
中外製薬
https://pins.japic.o[...]
[43]
논문
薬物相互作用 (13―下剤の薬物相互作用)
2008
[44]
PDF
ベンコール配合錠
https://pins.japic.o[...]
[45]
PDF
主な下剤の種類と特徴
http://cms.softsync.[...]
熊本大学薬学部
[46]
웹사이트
センナダイオウ錠シンワ
https://www.shinwa-s[...]
[47]
논문
高齢入院患者の血清マグネシウム値への腎機能障害と酸化マグネシウム投与の影響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