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원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원군은 강원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1945년 분할 점령 이후 한국 전쟁을 거치며 현재의 행정 구역이 형성되었다. 1963년 김화군 일부가 편입되고 신서면이 연천군으로 이관되었으며, 1970년대 읍·면 승격이 이루어졌다. 지리적으로는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백역산맥을 경계로 평야와 고원 지형을 이루며, 한탄강과 금성천이 흐른다. 대륙성 기후로 겨울철 기온이 낮고 연교차가 크며, 현무암 용암 대지를 기반으로 벼농사가 발달했다. 철원군은 4개의 읍과 7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9년 기준 약 4만 5천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철의 삼각지대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지였으나, 현재는 군사분계선으로 인해 그 기능이 제한적이다. 고석정, 삼부연폭포 등 한탄강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으며, 5개의 고등학교, 5개의 중학교, 17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미국 뉴욕 맨하튼, 쿠바 관타나모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대한민국) -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은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며 2018년 처음 개최되어 DMZ 인근 지역에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 공연과 역사적 장소를 활용하여 평화와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악 축제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철원군 (남)의 행정 구역 - 갈말읍
    갈말읍은 강원도 철원군에 속하며, 한국 전쟁 정전협정으로 수복되었고,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신철원리 등 11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신철원 지역의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철원군 (남)의 행정 구역 - 철원읍 (대한민국)
    철원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에 속하는 읍으로, 과거 군사·교통의 요충지였고 일제강점기에는 상업지였으며, 현재는 화지리를 중심으로 도심을 이루고, 철원 노동당사 등 근대문화유산이 위치한다.
철원군 (대한민국)
기본 정보
철원군청사
철원군청사
image_file: Flag of Cheorwon.svg
지도image_file: Map Cheorwon-gun.PNG
면적889.43
총인구43,340
총인구 조사연도2021
세대20,862
세대 조사연도2021
4
7
군수이현종(국민의힘)
국회의원한기호(국민의힘,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군청 소재지갈말읍 삼부연로 51 (신철원리 649)
홈페이지철원군
군목잣나무
군화산철쭉
군조두루미

2. 역사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철원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4]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철원군에서는 철원읍, 갈말면, 동송면, 신서면, 묘장면, 어운면과 인목면 남반부, 내문면 독검리, 북면 유정리·홍원리가 수복되었으며, 김화군에서는 김화읍, 서면, 근남면 전역과 근동면, 근북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의 남쪽 일부 지역이 수복되었다.[4] 이들 지역은 대부분 한반도 비무장 지대 안에 위치했다.

1954년 11월 17일, 철원군과 김화군의 행정권이 군정에서 강원도로 이양되었다.[4] 1963년 1월 1일, 군사분계선 이남의 김화군 일원이 철원군에 편입되고, 신서면이 경기도 연천군에 이관되었다.[5]

1972년 12월 28일, 내문면 독검리와 북면 유정리·홍원리가 철원읍에 편입되고, 평강군 중 유일하게 군사분계선 이남에 위치한 평강군 남면 정연리가 갈말면에 편입되었다.[6] 1973년 7월 1일, 서면 청양리, 도창리가 김화읍에 편입되었다. 1979년 5월 1일, 갈말면이 갈말읍으로 승격하였고,[7] 1980년 12월 1일, 동송면이 동송읍으로 승격하였다.[8]

2. 1. 한국전쟁 이전

2. 2. 한국전쟁 이후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철원군과 김화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4]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철원군에서는 철원읍, 갈말면, 동송면, 신서면, 묘장면, 어운면과 인목면 남반부, 내문면 독검리, 북면 유정리·홍원리가 수복되었으며, 김화군에서는 김화읍, 서면, 근남면 전역과 근동면, 근북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의 남쪽 일부 지역이 수복되었다.[4] 철원군 인목면, 내문면, 북면과 김화군 근동면, 근북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의 수복지구는 전부 또는 대부분이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했다.[4]

1954년 11월 17일 철원군과 김화군의 행정권이 군정으로부터 강원도로 이양되었다.[4] 1963년 1월 1일 군사분계선 이남의 김화군 일원이 철원군에 편입되고, 신서면경기도 연천군에 이관되었다.[5] 1972년 12월 28일 내문면 독검리와 북면 유정리·홍원리가 철원읍에 편입되고, 평강군 중 유일하게 군사분계선 이남에 위치한 평강군 남면 정연리가 갈말면에 편입되었다.[6] 1973년 7월 1일 서면 청양리, 도창리가 김화읍에 편입되었다.[6] 1979년 5월 1일 갈말면이 갈말읍으로, 1980년 12월 1일 동송면이 동송읍으로 승격하였다.[7][8]

2. 3. 경기도 편입 논란

철원군 동송읍, 갈말읍에서 강원특별자치도청이 있는 춘천시까지는 자동차로 1시간 30분~45분이 걸리지만, 경기도청 북부청사가 있는 의정부시까지는 1시간 10분이면 갈 수 있다.[18]

이러한 이유로 2011년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가 ‘지방행정체제 개편 시군 통합기준(안)’을 제시하자 철원군에서는 경기도 편입 주장이 제기되었다. 철원군의 경기도 편입론은 철원(옛 김화군 지역 제외) 주민 상당수가 철원을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 의정부시 등의 경기북부와 같은 생활권으로 인식하는 데에 기인하고 있다.[18]

철원군은 경기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의정부지방법원의 관할에 속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철원군에 주둔하는 3사단과 6사단을 경기 지방의 3야전군 예하에 두고 있다. 그러나 근동면, 근남면김화읍 일부에서는 화천군에 본부가 있는 15사단이, 두입지인 옛 금성군 지역(원남·원동·임남면)에는 7사단을 주둔시키고 있다.[19] 만약 철원군이 경기도로 편입될 경우, 주민이 거주하지 않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금성지구(원남·원동·임남면)는 경기도돌출부가 되기 때문에 이 지역은 화천군에 편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19]

3. 지리

강원도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전반적으로 높은 구릉을 이룬다. 군(郡)의 중앙부를 백두대간에서 뻗어나온 백역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 서반부(옛 철원군 지역)의 평야지대와 동반부(옛 김화군 지역)의 고원지대로 양분한다. 서부, 즉 철원지구는 200 ~ 500m의 대지(臺地)로 추가령구조곡의 구조열선에서 유동성 흑색현무암의 용암이 분출하여 평탄한 용암대지가 이루어져 있으며, 용암대지의 사면은 화강암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지형이다. 김화지구는 동쪽에 광주산맥이 남남서로 뻗으면서 용문산(1,068m)·구단발령(1,175m) 등 높은 산이 솟아있다. 수계(水系)로는 임진강의 지류 한탄천과 북한강의 상류 금성천이 있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 결정편암으로 되어 있다.

== 지형 ==

철원군 일대는 현무암질 용암이 추가령 구조곡을 메워 형성된 용암 대지이다.[9] 용암대지는 점성이 약한 마그마가 분출하여 넓은 지역을 평탄하게 하거나 지질 구조선을 따라 형성된 하곡을 매워서 만든 지형이다.[9] 철원군의 용암 대지 표면은 하천을 비롯한 여러 작용으로 운반된 물질들이 쌓여 넓은 평야를 이루고 있으며, 주변의 수리 시설을 바탕으로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9] 이 용암 대지를 통과하는 한탄강 주변에는 수직 절벽과 용암이 식으면서 만들어진 주상절리 등의 화산 지형이 있다.[9]

== 기후 ==

철원군은 내륙에 위치하여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철에는 대관령을 제외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곳 중 하나이며, 강수량이 많은 다우지이다.[10] 연 평균 기온은 10.3 °C, 1월 평균 기온은 -5.7 °C, 8월 평균 기온은 24.0 °C이고, 연 평균 강수량은 1354mm이다.

2001년 1월 16일에 최저기온 -29.2 °C를 기록하였고, 비공식적으로 2010년 1월 6일 오전 7시 9분 갈말읍 정연리에서 -30.5 °C가 관측된 바 있다.[10] 이같은 겨울의 추운 날씨로 인해 "철베리아" (철원 + 시베리아)라고도 부른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88년 8월 10일에 최고기온 36.9 °C를 기록했다. 2020년 장마철 당시 동송읍에 10일간 1000mm 넘는 비가 쏟아져 한탄강이 범람해 큰 피해를 입었다.[11][12]

3. 1. 지형

철원군 일대는 현무암질 용암이 추가령 구조곡을 메워 형성된 용암 대지이다.[9] 용암대지는 점성이 약한 마그마가 분출하여 넓은 지역을 평탄하게 하거나 지질 구조선을 따라 형성된 하곡을 매워서 만든 지형이다.[9] 철원군의 용암 대지 표면은 하천을 비롯한 여러 작용으로 운반된 물질들이 쌓여 넓은 평야를 이루고 있으며, 주변의 수리 시설을 바탕으로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9] 이 용암 대지를 통과하는 한탄강 주변에는 수직 절벽과 용암이 식으면서 만들어진 주상절리 등의 화산 지형이 있다.[9]

3. 2. 기후

철원군은 내륙에 위치하여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철에는 대관령을 제외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곳 중 하나이며, 강수량이 많은 다우지이다.[10] 연 평균 기온은 10.3 °C, 1월 평균 기온은 -5.7 °C, 8월 평균 기온은 24.0 °C이고, 연 평균 강수량은 1354mm이다.

2001년 1월 16일에 최저기온 -29.2 °C를 기록하였고, 비공식적으로 2010년 1월 6일 오전 7시 9분 갈말읍 정연리에서 -30.5 °C가 관측된 바 있다.[10] 이같은 겨울의 추운 날씨로 인해 "철베리아" (철원 + 시베리아)라고도 부른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88년 8월 10일에 최고기온 36.9 °C를 기록했다. 2020년 장마철 당시 동송읍에 10일간 1000mm 넘는 비가 쏟아져 한탄강이 범람해 큰 피해를 입었다.[11][12]

4. 지질

한탄강과 현무암

5. 행정 구역

철원군은 4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889.43 km2이다.[15]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4만5584 명, 2만1216 가구이다.[16] 남녀 성비는 1.09로, 인근 양구군, 화천군, 포천시, 연천군 등과 같은 남초 지역이다.

철원군은 철원(동송읍 이평리·철원읍 화지리), 신철원(갈말읍 신철원리·지포리), 김화(서면 와수리·김화읍 학사리)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소도심에 인구가 밀집해 거주하는 특징이 있다.

행정구역한자면적(km2)인구세대행정구역도
철원읍鐵原邑99.765,5042,453
|450px]]
김화읍金化邑87.953,7471,768
갈말읍葛末邑171.4612,2795,705
동송읍東松邑127.5015,7627,192
서면西面74.335,9222,902
근남면近南面129.132,2591,138
근북면近北面23.7311158
철원군鐵原郡889.445,58421,216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군사분계선 인근 군작전지역으로 민간인 비거주지역은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이다. 근북면, 근동면은 김화읍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은 근남면이 관할한다.

읍·면한자면적법정리
근동면近東面19.71광삼리, 방통리
원남면遠南面77.99남둔리, 주파리, 진현리, 죽대리, 노동리
원동면遠東面61.08세현리, 등대리
임남면任南面16.79수동리


5. 1. 민간인 비거주지역

5. 2. 미수복지구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군사분계선 이북에 위치한 철원군의 다음 지역에 대하여 명예면장을 임명한다.[17]

면적리의 수리(里)비고
어운면(於雲面)65.195하갈(下葛) 양지(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 중강(中江)동송읍에 편입
법정리 전 지역 수복, 일부지역 미수복
묘장면(畝長面)62.594중세(中細) 대마(大馬) 가단(加丹) 산명(山明)철원읍에 편입
법정리 전 지역 수복, 일부지역 미수복
북면(北面)102.776회산(回山) 유정(楡井) 홍원(洪元) 외학(外鶴) 보막(洑幕) 용학(龍鶴)유정·홍원리
철원읍에 편입
내문면(乃文面)73.176창동(倉洞) 독검(篤儉) 오동(梧桐) 반석(班石) 내문(乃文) 마방(馬放)독검리
철원읍에 편입
마장면(馬場面)73.466장포(長浦) 남원(南院) 대전(大田) 왕피(往避) 입석(立石) 밀암(密巖)전 지역 미수복
인목면(寅目面)73.296도밀(道密) 덕산(德山) 갈현(葛峴) 신현(薪峴) 승양(承陽) 검사(檢寺)도밀·덕산·갈현·신현리
연천군 신서면에 편입


6. 산업

철원분지는 현무암이 분해되어 토양이 비옥하고, 봉래제·감둔제(甘屯堤)·마산제(馬山堤) 등 관개 시설이 잘 갖추어져 강원도내 제1의 쌀 생산지대이다. 김화고원은 옥수수·감자·콩·담배가 많이 났으며 양잠·양봉·목축이 성했다. 또 철원주도 유명하였다. 소는 경인지방에 많이 공급되었다.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데, 김화에서 금성에 이르는 일대에 유화철광·중정석·망간이 유명했고 형석·하석(霞石)·남정석·홍주석·명반석·금·은·아연 등도 산출되었다. 현재 옛 김화군 광산 지역의 일부는 남한 지역에 존재하나, 접경지대의 특성으로 인해 분단으로 채광이 중단되었다.

7. 교통

철원군과 김화군평강군과 더불어 ‘철의 삼각지대’라고 불리는 교통·군사상의 요지이다.[20][21] 일제강점기에는 경원선신서면~철원읍~북면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철원역에서 금강산선이 분기되었으나, 한국전쟁으로 대부분 폐선되었다.[20][21]

1963년 경원선 구간이 남아있는 신서면(신탄리역, 대광리역)이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면서 철원군에는 50년간 운행하는 철도가 없었다. 그러나 2012년 11월 20일 연천군 신탄리역까지였던 경원선의 운행구간이 철원읍 대마리(옛 묘장면 지역)의 백마고지역까지 연장되어 열차가 다니고 있다. 이후 백마고지역 ~ 월정리역 구간의 철도 연결 사업이 2015년 8월에 개시되었다가, 2016년 6월에 중단되었다.[20][21]

철원읍과 김화읍은 한국전쟁 전까지 서울과 원산, 금강산 등을 잇는 사통팔달한 도로교통의 요지였으나, 현재는 북쪽이 군사분계선이어서 그 기능을 상실했다.[20][21]

8. 문화·관광

철원군에는 다양한 문화·관광 명소가 있다. 한탄강은 철원군을 대표하는 관광지 중 하나로, 고석정, 삼부연폭포, 직탕폭포, 매월대폭포, 순담계곡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명소들이 한탄강을 따라 이어진다. 소이산 재송평과 용양늪, 송대소 주상절리, 학저수지 등도 철원군에서 가볼 만한 곳이다.

9. 교육

wikitable

학교학교명
고등학교신철원고등학교
철원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철원여자고등학교
중학교철원중학교
신철원중학교
김화중학교
철원여자중학교
김화여자중학교
초등학교묘장초등학교
철원초등학교
동송초등학교
오덕초등학교
용정초등학교
장흥초등학교
내대초등학교
도창초등학교
토성초등학교
내대초등학교
문혜초등학교
신철원초등학교
청양초등학교
김화초등학교
와수초등학교
서면초등학교
근남초등학교


10. 자매 도시

wikitable

지역 & 국가도시
미국/United States영어뉴욕주 뉴욕 맨하튼
쿠바/Cubaes관타나모 주 관타나모


11. 출신 인물

wikitable

출신 인물
분류:철원군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조

[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문서 춘천시 신북읍, 동면, 서면, 사북면, 북산면, 신사우동,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일원 해당.
[4]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5] 법률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6] 법률 법률 제2395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12-28
[7]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9] 서적 고등학교 한국 지리 금성출판사 2015
[10] 뉴스 철원, 영하 30도 한파 https://news.naver.c[...] 2020-10-28
[11] 뉴스 열흘새 1,000mm...철원 피해마을 전체 이주 논의 https://www.ytn.co.k[...] 2020-10-28
[12] 뉴스 철원 침수 마을 “여기서 더는 못 살겠다” 집단 이주 요구 http://news.kbs.co.k[...] 2020-10-28
[13]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철원(9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4]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철원(9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5] 웹사이트 철원군 토지구성 http://www.cwg.go.kr[...] 철원군청 홈페이지 2018-03-02
[1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9-03
[17] 문서 [[군사분계선]] 이남의 인목면은 [[1954년]] [[11월 17일]] [[신서면]]에 편입된 후,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었다.
[18] 웹사이트 강원도 변방 철원군, 경기도편입론 '찬성한다' http://cwinews.co.kr[...] 철원인터넷뉴스 2011-08-23
[19] 뉴스 다시 불거진 철원 경기 편입론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4-04-29
[20] 뉴스 신탄리~철원 열차 60년만에 달린다 http://news.nate.com[...] 한겨레 2012-11-20
[21] 뉴스 경원선 백마고지역 멈춰진 복원 현장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9-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