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첸저우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첸저우사우루스(Qianzhousaurus)는 약 6670만 년 전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이다. 중국 간저우의 난슝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길쭉한 주둥이를 가진 특징이 있다. 몸길이는 약 6.3m, 몸무게는 750~757kg으로 추정되며, 알리오라무스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첸저우사우루스는 좁은 이빨과 긴 다리를 가졌으며, 작은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난슝 층에서는 다양한 공룡 화석과 함께 오비랍토르 알이 흔하게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공룡 - 주청티라누스
    중국 주청시에서 발견된 주청티라누스는 몸길이 약 11미터의 대형 육식 수각류 공룡으로, 상악골의 독특한 특징으로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과 구별되며 백악기 후기 생태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티라노사우루스과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북아메리카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튼튼한 두개골과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포식자이며, 고르고사우루스와 생태적 지위를 놓고 경쟁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세 종이 명명되어 진화적 관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티라노사우루스과 - 알리오라무스
    알리오라무스는 후기 백악기 몽골에서 서식한 티라노사우루스과의 한 속으로, 길고 낮은 두개골과 코 위의 뼈 볏이 특징이며, *Alioramus remotus*와 *Alioramus altai* 두 종이 알려져 있고,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 201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토포덴타투스
    아토포덴타투스는 특이한 이빨을 가진 2.75~3m 크기의 중생대 초식성 해양 파충류로, 망치 모양 머리에 촘촘한 끌 모양 이빨을 사용하여 해저 조류를 긁어모아 먹었으며 육지 활동 가능성도 시사하는 독특한 골격 구조를 지녔다.
  • 201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나누크사우루스
    나누크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알래스카 북극 지역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육식 공룡으로, 타르보사우루스와 유사하며 북극 환경에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2014년에 "북극곰 도마뱀"이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첸저우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홀로타입 두개골
홀로타입 두개골
학명Qianzhousaurus
명명자et al., 2014
키안조우사우루스속
Q. sinensis
모식종 명명자et al., 2014
동의어없음
생물학적 분류
진핵생물
척삭동물문
조룡강
상목공룡상목
용반목
아목수각아목
아목 계통군신수각류
조비류
하목경미하목
하목 계통군조수각류
코엘루로사우루스류
소목 계통군티라노랍토라
상과티라노사우루스상과
상과 계통군판티라노사우루스류
진티라노사우루스류
티라노사우루스과
아과티라노사우루스아과
알리오람스족
고생물학적 정보
생존 시기후기 백악기, ~
시기마스트리흐트절

2. 발견과 명명

모식 표본이 발견된 간저우시 지역을 보여주는 지도


모식 표본 '''GM F10004'''는 2010년 여름, 중국 남부 간저우의 난슝 층에서 산업 단지 건설 중에 발굴되었으며, 고생물학자 뤼쥔창, 이라이핑, 스티븐 L. 브루사테, 링 양, 화 리, 류천에 의해 2014년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처음 보고되었다. 이 속은 거의 완전한 두개골, 아래턱, 모든 이빨 (화석화 과정에서 유실됨), 9개의 목뼈, 3개의 등뼈, 18개의 꼬리뼈, 양쪽 어깨뼈와 부리뼈, 부분적인 엉덩이뼈, 넙다리뼈, 정강뼈, 종아리뼈, 목말뼈발꿈치뼈, 그리고 셋째와 넷째 발허리뼈로 구성된 부분적인 아성체 개체로부터 알려졌다. 속명인 ''첸저우사우루스''(Qianzhousaurus)는 유해가 발견된 첸저우(간저우의 옛 이름)를, 종명인 ''시넨시스''(sinensis)는 중국을 나타내는 그리스어 단어 Σῖναι (sin, sino, sinai)에서 유래되었다.[1]화석 유해는 간저우시 인근 건설 현장의 작업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유해를 지역 박물관으로 가져갔다.[2]

주 저자인 중국 지질 과학원 지질 연구소의 뤼쥔창은 "이 새로운 발견은 매우 중요하다. 몽골의 ''알리오라무스''와 함께, 긴 주둥이를 가진 티라노사우루스과가 아시아에 널리 분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직 배우는 단계에 불과하지만, 긴 주둥이를 가진 티라노사우루스는 아시아의 주요 육식 공룡 그룹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3] 긴 주둥이를 가진 티라노사우루스의 존재는 짧은 주둥이를 가진 종의 어린 개체로 설명될 수 있는 다른 결정적이지 않은 화석 발견으로 인해 이전에 의심되었지만, 에든버러 대학교의 공동 저자인 스티븐 L. 브루사테는 "이 발견은 긴 주둥이를 가진 티라노사우루스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매우 분명하게 알려준다. 그들은 공룡 시대 말기에 살았던, 다른 종류의 공룡이었다."라고 밝혔다.[4]

첸저우사우루스 화석은 2010년 여름[27], 당시 개발이 진행 중이던 중국 장시성 간저우 시에 위치한 공업 단지 건설 현장에서 발견되었다.[24][27][28] 화석은 작업자가 굴착기로 화석을 발견하여 우연히 발견되었으며[28], 보존 상태가 좋고 크기가 커서 공사가 잠시 중단되었다.[27] 발굴된 화석은 간저우 박물관에 소장되었다.[29]

중국 지질 과학원 지질 연구소의 공룡 연구자였던 뤼쥔창은 2013년 학회에서 이 화석 이야기를 에든버러 대학교의 스티븐 브루사테에게 꺼냈다.[28] 브루사테는 박사 과정 시절 지도 교수인 마크 노렐 등과 함께 알리오라무스 속의 신종 ''Alioramus altai''를 명명했으며, 뤼는 새로 발견된 화석과 ''A. altai''가 모두 긴 주둥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브루사테를 공동 연구에 초대한 것이었다.[28]

간저우 시의 화석을 홀로타입 표본으로 하여, 2014년에 티라노사우루스상과 알리오라무스족의 신속 신종 ''Qianzhousaurus sinensis''가 기재·명명되었다.[29] 홀로타입 표본에 보존되어 있는 부위는 거의 완전한 두개골과 왼쪽 아래턱의 대부분, 9개의 경추, 3개의 앞쪽 흉추, 18개의 중부 - 후부 미추, 완전한 오른쪽 견갑골 오훼골, 부분적인 왼쪽 견갑골 오훼골, 부분적인 좌우 장골, 왼쪽 넙다리뼈, 왼쪽 정강이뼈, 부분적인 왼쪽 종아리뼈, 왼쪽 목말뼈, 왼쪽 발꿈치뼈, 왼쪽 족근골이며, 이들은 한 개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29] 속명은 발견지인 간저우 시(Ganzhou)의 옛 지명인 Qianzhou에서 유래했으며, 종소명은 본 종이 중국에서 산출된 것을 반영하고 있다.[29]

3. 특징

생물 복원도


''첸저우사우루스''는 중간 크기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몸길이는 6.3m, 엉덩이 높이는 2m, 몸무게는 750kg에서 757kg 사이로 추정된다.[1][5] 최대 몸길이는 7.5m에서 9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6]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비교했을 때, ''첸저우사우루스''는 매우 좁은 전상악골, 상악골 상단 연장에 있는 공기 구멍, 장골 측면에 수직 융기 구조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1] 깊고 튼튼한 턱과 두꺼운 이빨을 가진 일반적인 티라노사우루스과와 달리, ''첸저우사우루스''는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복원된 모습에서는 좁은 이빨을 가졌다.

모식 표본은 알리오라무스 두 종의 모식 표본보다 크고 성숙했지만, 목과 등뼈 사이 일부 봉합선이 부분적으로 융합되어 있어 미성숙한 개체, 즉 아성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첸저우사우루스''는 긴 다리를 가졌으며, 넙다리뼈 길이는 70cm, 정강이뼈 길이는 76cm이다.[1]

3. 1. 두개골



첸저우사우루스는 주둥이가 긴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알리오라무스와 함께 긴 주둥이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29][30] 첸저우사우루스와 알리오라무스는 두개골의 선단에서 안와까지에 상당하는 주둥이가 두개골 전체 길이의 약 70%를 차지하는데, 이는 다른 대형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이 약 60%인 것에 비해 길쭉한 것이다.[29][30]

나노티라누스(혹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어린 개체)도 주둥이가 긴 티라노사우루스류에 속하지만, 주둥이 길이가 두개골의 약 65%로 알리오라무스족에는 미치지 못한다.[29] 또한 나노티라누스는 주둥이에 존재하는 비골의 돌기, 대형 상악창, 18개 이상의 치골 치아와 같은 알리오라무스족의 공유 파생 형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29]

첸저우사우루스는 알리오라무스와 공유하는 형질 외에 고유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29] Lü ''et al''. (2014)에 따르면, 상악골의 상행지에 대형 함기창이 존재하고, 전상악골의 최대 전후 길이가 두개저의 약 2.2%까지 극단적으로 축소되며(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에서는 4.3 - 4.6% 정도), 장골의 외측면에 발달한 수직 융선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29] 다만, 장골의 융선 부재는 랍토렉스와도 공유될 가능성이 있다.[29]

Foster ''et al''. (2022)는 Lü ''et al''. (2014)의 기재를 바탕으로 두개골을 더 상세히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고유 파생 형질을 발견했다.[31]

  • 비골이 콧구멍 주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직선형이며 막대 모양이다.
  • 누골의 복측 돌기가 전복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 인상골의 전측지의 배측 선단이 가늘고 얕다.
  • 치골의 전연이 복측연과 합류한다.
  • 상치골의 배측연이 크게 움푹 들어간다.


전관절골의 내측면에 존재하는 타원형 구멍이나 관악골이 내측으로 많이 노출되지 않는 것도 고유 파생 형질일 수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31]

3. 2. 골격

''첸저우사우루스''는 중간 크기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몸길이는 6.3m, 엉덩이 높이는 2m, 몸무게는 750kg으로 추정된다.[1][5] 더 높은 추정치에 따르면 최대 몸길이는 7.5m에서 9m에 달했을 수 있다.[6]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와 비교했을 때, ''첸저우사우루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매우 좁은 전상악골(premaxilla)
  • 상악골(maxilla) 상단 연장에 있는 공기 구멍
  • 장골(ilium) 측면에 수직 융기 구조가 없음[1]


"전통적인" 티라노사우루스과는 깊고 튼튼한 턱과 두꺼운 이빨을 가졌지만, ''첸저우사우루스''는 특히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복원되었을 때 좁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 모식 표본은 알리오라무스 두 종의 모식 표본보다 눈에 띄게 크고 성숙했다. 그러나 목과 등뼈 사이의 일부 봉합선(Suture (anatomy))이 부분적으로 융합되어 있어, 모식 표본은 미성숙한 개체, 아마도 아성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첸저우사우루스''는 긴 다리를 가진 동물로, 넙다리뼈(femur)의 길이는 70cm이고, 정강이뼈(tibia)의 길이는 76cm이다.[1]

첸저우사우루스는 주둥이가 긴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이다.[29][30] 첸저우사우루스와 알리오라무스는 두개골의 선단에서 안와까지에 상당하는 주둥이가 두개골 전체 길이의 약 70%를 차지하며, 다른 대형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이 약 60%인 것을 감안하면 길쭉하다.[29][30]

Lü ''et al''. (2014) 에서는 첸저우사우루스만의 고유 파생 형질로 다음을 언급했다.

  • 상악골의 상행지에 대형 함기창 존재
  • 전상악골의 최대 전후 길이가 두개저의 약 2.2%까지 극단적으로 축소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에서는 4.3 - 4.6% 정도)
  • 장골의 외측면에 발달한 수직 융선이 없음[29] ( 랍토렉스와 공유될 가능성이 있음[29])


Foster ''et al''. (2022)는 두개골에 대한 상세한 재기재를 통해 새롭게 발견된 고유 파생 형질을 제시했다.

  • 비골이 콧구멍 주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직선형이며 막대 모양
  • 누골의 복측 돌기가 전복측으로 기울어져 있음
  • 인상골의 전측지의 배측 선단이 가늘고 얕음
  • 치골의 전연이 복측연과 합류
  • 상치골의 배측연이 크게 움푹 들어감[31]
  • 전관절골 내측면에 존재하는 타원형 구멍이나 관악골이 내측으로 많이 노출되지 않는 것도 고유 파생 형질일 수 있지만, 단정은 보류[31]

4. 분류

''첸저우사우루스''의 가장 가까운 친척을 이루는 ''A. remotus''와 ''A. altai''의 모식 표본 두개골 도표


''첸저우사우루스''의 발견으로 티라노사우루스과에 긴 주둥이를 가진 ''Q. sinensis''와 두 종의 ''알리오라무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분지군인 알리오라미니가 탄생했다.[1] 초기 계통 발생 분석에서 알리오라미니는 ''알베르토사우루스''보다 ''티라노사우루스''에 더 가까워 티라노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1] 다른 분석에서는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를 포함하는 분지군 밖에 위치하여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자매군으로 나타나기도 했다.[1]

2017년 토마스 D. 카는 ''첸저우사우루스''가 계통 발생 분석에서 자매 종으로 복원된다는 이유로 ''알리오라무스''의 주니어 동의어로 간주했다.[7] 그러나 2022년 포스터와 동료들이 ''첸저우사우루스'' 모식 표본 두개골을 재기술하여 고유한 특징을 발견하면서 ''알리오라무스''와 ''첸저우사우루스''를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었다.[8]

Brusatte and Benson (2013)의 데이터 세트를 사용한 계통 분석에서는 알리오라무스족이 티라노사우루스과 내에서 알베르토사우루스보다 티라노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위치에 놓였다.[29] 알리오라무스족 내의 유연 관계는 불분명한데, 이는 ''A. remotus'' 화석이 부분적이고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29]

Lü ''et al''. (2014)는 Loewen ''et al''. (2013)의 데이터 세트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알리오라무스족이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를 합친 분지군보다 기저적인 위치에 재현되었다.[29] 데이터 세트에 따라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 위치는 달라지지만, 어느 경우든 알리오라무스족이 분지군으로 재현되므로 첸저우사우루스가 주둥이가 긴 작은 분지군에 속한다는 점은 여전히 시사된다.[29]

Carr ''et al''. (2017)는 첸저우사우루스와 알리오라무스가 계통 분석에서 자매군으로 재현되었기 때문에 첸저우사우루스를 알리오라무스의 주니어 동의어로 간주했다.[32] 그러나 Foster ''et al''. (2022)는 첸저우사우루스의 두개골을 재기술하여 고유 파생 형질을 보고하면서 알리오라무스와 첸저우사우루스를 별개의 속으로 보는 견해를 다시 제시했다.[33]

4. 1. 알리오라미니 분지군

Qianzhousaurus중국어의 발견은 티라노사우루스과 내에서 긴 주둥이를 가진 ''Q. sinensis''와 두 종의 알리오라무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분기군인 알리오라미니를 탄생시켰다.[1] 초기 분석에서는 이 분지군과 다른 티라노사우루스 분지군 구성원들과의 관계가 불확실했다. 주요 계통 발생 분석 결과 알리오라미니가 알베르토사우루스보다 티라노사우루스에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져 티라노사우루스아과의 구성원임이 밝혀졌다.[1] 그러나 같은 논문의 두 번째 분석에서는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를 포함하는 분지군 밖에 위치했으며, 따라서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자매군으로 나타났다.[1]

2017년 토마스 D. 카는 동료들과 함께 ''첸저우사우루스''가 계통 발생 분석에서 자매 종으로 회복되었다는 근거에 따라 ''알리오라무스''의 주니어 동의어라고 간주했다.[7] 그러나 포스터와 그의 동료들은 2022년에 ''첸저우사우루스''의 모식 표본 두개골에 대한 자세한 재기술을 수행하여 이 속 고유의 여러 특징을 발견했으며, 따라서 ''알리오라무스''와 ''첸저우사우루스''의 분리를 뒷받침했다.[8]

Brusatte and Benson (2013)의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실시된 계통 분석에서는, 알리오라무스족은 2개의 최절약수로부터 형성된 엄밀 합의수에서 티라노사우루스과에 위치하며, 특히 알베르토사우루스보다 티라노사우루스에 근연한 위치에 놓였다.[29]。알리오라무스족 내의 유연 관계는 다분지를 이루었기 때문에 불명이지만, 이것은 ''A. remotus''의 화석이 부분적이며 정보가 대폭 결락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29]

또한 Lü ''et al''. (2014)는 Loewen ''et al''. (2013)의 데이터 세트도 사용하여 예비적인 분석을 실시했지만, 이 결과에서는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를 더한 분지군보다 기저적인 위치에 알리오라무스족이 재현되었다.[29]。즉 Brusatte and Benson (2013)과 Loewen ''et al''. (2013)의 어느 쪽의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티라노사우루스상과 내에서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지만, 후자의 데이터 세트에서도 알리오라무스족이 분지군으로 재현되었으므로, 키안저우사우루스가 주둥이가 긴 작은 분지군에 속한다는 것은 여전히 시사되고 있다.[29]

Carr ''et al''. (2017)는 키안저우사우루스와 알리오라무스가 계통 분석에서 자매군으로 재현되었으므로, 키안저우사우루스를 알리오라무스의 주니어 동의어로 간주했다.[32]。그러나, Foster ''et al''. (2022)가 키안저우사우루스의 두개골에 대한 상세한 재기술을 하여 본 속의 고유 파생 형질을 새롭게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알리오라무스와 키안저우사우루스를 별속으로 하는 견해가 다시 제창되고 있다.[33]

5. 고생물학

''첸저우사우루스'' (파란색)와 다른 알리오라미니 구성원 비교


첸저우사우루스는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와 비교하여 매우 좁은 전상악골(premaxilla), 상악골(maxilla)의 상단 연장에 있는 공기 구멍, 그리고 장골(ilium)의 측면에 수직 융기 구조가 없다는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1]

깊고 튼튼한 턱과 두꺼운 이빨을 가진 "전통적인" 티라노사우루스과와 달리, 첸저우사우루스는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복원되었을 때 좁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 모식 표본은 알리오라무스(Alioramus) 두 종의 모식 표본보다 눈에 띄게 크고 성숙했다. 그러나 목과 등뼈 사이의 일부 봉합선(Suture (anatomy))이 부분적으로 융합되어 있어, 모식 표본은 미성숙한 개체, 아마도 아성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첸저우사우루스는 긴 다리를 가진 동물이었다.[1]

5. 1. 개체 성장

2022년, 알리오라미니(Alioramini)에 속하는 ''첸저우사우루스''와 ''알리오라무스(Alioramus)''(A. altai, A. remotus)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 종에서 나타나는 변이는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 속의 성장 추세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그러나 각 종에 대해 유아기부터 성체에 이르는 완전한 성장 단계 표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8] ''첸저우사우루스''는 알리오라미니 내에서 발견된 가장 크고 성숙한 동물로, 성체의 성숙도를 나타낸다.[8]

첸저우사우루스의 표본은 알리오라무스보다 성숙한 개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28] 알리오라무스는 뼈의 내부 구조를 통해 어린 개체임이 밝혀졌으며, 주둥이의 긴 형질 상태가 계통 발생과 개체 발생 중 어느 것에 기인하는지 불분명했다.[28] 첸저우사우루스는 넙다리뼈(대퇴골) 길이가 약 70cm에 달하며, ''A. altai''의 약 56cm를 초과한다.[28] 추정 체중은 전자가 약 757kg, 후자가 약 369kg으로, 약 2배에 달한다.[29] 또한 두개골의 봉합선(Suture (anatomy))은 티라노사우루스의 성숙 개체와 마찬가지로 닫혀 있으며, 봉합선이 열린 아리오람스와 다르다.[29][24] 게다가 팽대된 눈물뼈의 돌출부나, 등쪽으로 돌출된 후안와골의 돌출부, 두꺼운 이빨, 아리오람스와 비교하여 적은 상악골 치아 및 치골 치아와 같은 특징은 더욱 성숙한 개체 성장 단계를 나타낸다.[29] 그러나, 경추에서 흉추에 이르는 척추체와 신경궁이 부분적으로만 유합되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완전히 성숙한 단계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29]

이 연구에서 알리오라미니 티라노사우루스에게 고유한 성장 단계의 한 부분이 밝혀졌는데, 이는 광대뼈의 거친 돌기(rugose process)가 작고 원뿔형으로 시작하여 동물이 성장함에 따라 거대하고 불분명해진다는 점이다.[8] 또한, 알리오라미니가 다른 티라노사우루스처럼 날씬한 유체에서 튼튼한 성체로 변태(metamorphosis)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빠른 먹이를 추적하는 데 더 적합한 독특한 생리를 유지했다는 점을 시사한다.[8]

Foster ''et al''. (2022)의 연구에서는 알리오람스족에 고유한 성장 패턴 또한 발견되었다.[31] 이는 광대뼈의 거친 돌출부 형태와 관련된 것으로, 돌출부는 더 어린 개체에서 작고 원뿔형이지만, 성장함에 따라 더 크고 불분명한 형태로 변화한다.[31] 또한, 다른 티라노사우루스류가 가늘고 어린 개체에서 튼튼한 성숙 개체로 성장하는 데 반해, 아리오람스족은 그러한 성장에 따른 변형을 겪지 않는다.[31] 이는 재빠른 먹잇감 추적에 적합한 생리 기능을 유지했음을 시사한다.[33]

5. 2. 식성

에서 볼 수 있듯이, ''첸저우사우루스''(Qianzhousaurus)는 깊고 튼튼한 턱과 두꺼운 이빨을 가진 "전통적인" 티라노사우루스과와 달리, 특히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복원되었을 때 좁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

2022년, 포스터와 그의 동료들은 ''첸저우사우루스''와 다른 알리오라무스과 공룡들이 가늘고 날렵한 체형을 가지고 있어 작고, 특히 빠르고 민첩한 먹이를 사냥했을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이 더 큰 동물을 전문적으로 사냥하는 크고 튼튼한 친척들과의 경쟁을 피하도록 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8]

''알리오라무스''와 ''첸저우사우루스''와 같은 알리오라무스과 공룡들의 길고 섬세한 주둥이는 이들이 ''타르보사우루스''와 같은 어린 개체와 성체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이 사냥하는 것과 같은 먹이를 사냥하는 것을 방해했을 수 있지만, 이 더 큰 티라노사우루스류 역시 가끔 알리오라무스과 공룡을 먹이로 사냥했을 수 있다.[8] 알리오라무스과 공룡은 또한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다른 먹이 섭취 전략을 가졌을 수 있는데, 이들의 턱은 더 큰 속의 턱보다 약해 보이며, 심지어 더 큰 종의 어린 개체조차도 알리오라무스과 공룡보다 비례적으로 더 높은 물기 힘을 가지고 있다.[8]

Foster 외 (2022)는 첸저우사우루스를 포함한 아리오람스족이 가늘고 섬세한 체형으로 인해 작고 민첩한 먹이를 사냥했을 가능성이 있으며[31], 대형 동물을 사냥하는 데 특화된 더 크고 튼튼한 근연 속과의 경쟁을 피했을 수 있다고 시사했다.[31] 또한 두부 형태를 볼 때, 동일한 체구일 경우 아리오람스의 교합력은 타르보사우루스의 어린 개체보다 낮았을 것으로 추정된다.[31] 타르보사우루스는 경우에 따라 아리오람스족 자체를 먹이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지만, 라라미디아 대륙에 서식하며 경쟁을 피할 수 없었던 다스플레토사우루스고르고사우루스와 달리, 아리오람스족은 다른 분기군과의 생태적 지위 분할을 나타내는 새로운 형태를 획득했다고 여겨진다.[31]

알리오라미니는 아시아에 갇혀 있었는데, 이는 어떤 요인이 이들이 북아메리카의 더 잘 표본화된 화석 퇴적지를 식민지화하는 것을 막았음을 시사한다. 이것이 무엇일지는 현재로서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8]

2024년에 다양한 티라노사우루스류의 두개골 연구는 ''첸저우사우루스''와 다른 알리오라무스과 티라노사우루스들이 물고 먹이를 섭취할 때 더 낮은 스트레스를 경험했음을 시사한다. 같은 연구에서 추가적인 증거는 ''첸저우사우루스''가 다른, 더 큰 속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이 사용하는 "관통-끌어당기기" 먹이 섭취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9]

6. 고환경

''첸저우사우루스''는 약 6670만 ± 30만 년 전의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는 난슝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0] 이 지층은 붉은 자줏빛 이암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따뜻하고 습윤한 아열대 기후의 범람원 환경에서 퇴적되었다.[11]

오비랍토르 이 이 지층 전반에 걸쳐 특히 흔하게 발견되며, 난슝 지층은 다양한 오비랍토로사우루스 속으로 유명하다. 지층에 대한 층서학적 분석이 미흡하여 이 지층의 매우 다양한 오비랍토로사우루스는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17] 작고 더 튼튼하게 생긴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인 ''아시아티라누스''의 존재는 ''첸저우사우루스''가 지층의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아시아티라누스''는 다른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더 큰 친척과는 다른 먹이를 사냥했다는 것을 시사한다.[16]

6. 1. 난슝 층

''첸저우사우루스''가 발견된 난슝 지층은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며, 아르곤-아르곤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약 6670만 ± 30만 년 전의 지층으로 추정된다.[10] 난슝 층의 주요 암상은 붉은 자줏빛 이암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따뜻하고 습윤한 아열대 기후의 범람원 환경에서 퇴적되었다.[11]

이 지층에서는 오비랍토르 이 전반에 걸쳐 특히 흔하게 발견되며, 수많은 보존이 잘 된 알 덩어리나 둥지,[12] 그리고 둥지를 짓는 개체들도 발견된다.[13][14][15] 난슝 지층은 풍부한 오비랍토로사우루스 속으로 유명하지만, 지층에 대한 층서학적 분석이 미흡하여 이 지층의 매우 다양한 오비랍토로사우루스는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17]

난슝 지층에서 발견된 다른 척추동물 화석은 다음과 같다.

종류
티라노사우루스과아시아티라누스[16]
오비랍토로사우루스반지, 간저우사우루스, 코리토랍토르, 난캉기아, 후아난사우루스, 스싱기아, 통톈룽[17][18]
하드로사우루스미크로하드로사우루스 (의문명)[19]
용각류간난사우루스[20]
테리지노사우루스난시웅고사우루스[21]
악어장시수쿠스[22]
유린목치앙시아, 톈위사우루스[23]
거북장시케리스, 난시웅케리스[11]


6. 2. 공존 동물

난슝 층은 후기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에 해당하는 지층으로, 아르곤-아르곤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약 6670만 년 전(66.7 ± 0.3 Ma)에 형성되었다.[10] 이 지층은 붉은 자줏빛 이암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따뜻하고 습윤한 아열대 기후의 범람원 환경에서 퇴적되었다.[11] 오비랍토르 화석이 특히 많이 발견되며, 보존 상태가 좋은 알 덩어리나 둥지,[12] 둥지를 짓는 개체들도 발견된다.[13][14][15]

난슝 층에서는 첸저우사우루스 외에도 다양한 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동물 종류속(Genus)
티라노사우루스아과아시아티라누스[16]
오비랍토로사우루스반지, 간저우사우루스, 코리토랍토르, 난캉기아, 후아난사우루스, 스싱기아, 통톈룽[17][18]
하드로사우루스미크로하드로사우루스 (의문명)[19]
용각류간난사우루스[20]
테리지노사우루스난시웅고사우루스[21]
악어장시수쿠스[22]
유린목치앙시아, 톈위사우루스[23]
거북장시케리스, 난시웅케리스[11]



특히, 난슝 층은 다양한 오비랍토로사우루스 화석으로 유명하다.[17] 다만, 지층에 대한 층서학적 분석이 미흡하여 이들 오비랍토로사우루스가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7]

''아시아티라누스''는 작고 더 튼튼하게 생긴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이다. ''아시아티라누스''의 존재는 ''첸저우사우루스''가 난슝 층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했으며, ''아시아티라누스''는 다른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더 큰 친척과는 다른 먹이를 사냥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6]

참조

[1] 논문 A new clade of Asian Late Cretaceous long-snouted tyrannosaurids 2014
[2] 뉴스 Long-nosed 'Pinocchio rex' dinosaur discovered by scientists https://www.telegrap[...] Telegraph 2014-05-07
[3] 웹사이트 Qianzhousaurus sinensis: Long-Snouted Tyrannosaur Discovered in China | Paleontology http://www.sci-news.[...] Sci-News.com 2014-05-07
[4] 뉴스 'Pinocchio Rex' Dinosaur Unearthed In China Confirms Theory About Tyrannosaurs http://www.huffingto[...] Huffingtonpost.com 2014-05-07
[5] 서적 Récords y curiosidades de los dinosaurios Terópodos y otros dinosauromorfos Larousse
[6] 논문 A probable tyrannosaurid track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southern China https://www.research[...]
[7] 논문 A new tyrannosaur with evidence for anagenesis and crocodile-like facial sensory system 2017
[8] 논문 The cranial anatomy of the long-snouted tyrannosaurid dinosaur Qianzhousaurus sinensi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China 2022-02-11
[9] 논문 Morphological evolution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giantism in tyrannosauroid dinosaurs http://dx.doi.org/10[...] 2024-09
[10] 논문 Tertiary Dinosaurs in the Nanxiong Basin, Southern China, Are Reworked from the Cretaceous https://www.academia[...] 2004
[11] 논문 A revision of the holotype of Nanhsiungchelys wuchingensis, Ye, 1966 (Testudines: Cryptodira: Trionychoidae: Nanhsiungchelyidae) https://www.research[...] 2019
[12] 논문 Reconstruction of oviraptorid clutches illuminates their unique nesting biology 2019
[13] 논문 A Pair of Shelled Eggs Inside A Female Dinosaur https://www.research[...] 2005
[14] 논문 An oviraptorosaur adult-egg association from the Cretaceous of Jiangxi Province, China https://scholarworks[...] 2020
[15] 논문 An oviraptorid preserved atop an embryo-bearing egg clutch sheds light o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non-avialan theropod dinosaurs https://hal.archives[...] 2021
[16] 논문 The first deep-snouted tyrannosaur from Upper Cretaceous Ganzhou City of southeastern China 2024-07-25
[17] 논문 A Late Cretaceous diversification of Asian oviraptorid dinosaurs: evidence from a new species preserved in an unusual posture 2016
[18] 논문 High diversity of the Ganzhou Oviraptorid Fauna increased by a new cassowary-like crested species 2017
[19] 논문 Late Cretaceous ornithopod-dominated, theropod, and pterosaur track assemblages from the Nanxiong Basin, China: New discoveries, ichnotaxonomy, and paleoecology http://www.xinglida.[...] 2017
[20] 논문 A New Somphospondylan Sauropod (Dinosauria, Titanosauriforme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Ganzhou, Jiangxi Province of Southern China http://www.geojourna[...] 2013
[21] 논문 A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evaluation of Therizinosauria (Dinosauria: Maniraptora) https://www.research[...] 2010
[22] 논문 A new crocodyloid (Eusuchia: Crocodyl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China 2018
[23] 논문 A large predatory lizard (Platynota, Squamat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South China 2012
[24] 웹사이트 新種のT・レックスはピノキオの口先 https://natgeo.nikke[...] 2014-05-08
[25] 웹사이트 刷新される恐竜像と私たち~21世紀の恐竜番組~ https://www2.nhk.or.[...] 日本방송협회 2024-02-29
[26] 서적 グレゴリー・ポール恐竜事典 原著第2版 共立出版 2020-08-31
[27] 웹사이트 Rise of the Tyrannosaurs https://www.scientif[...] 2017-05-01
[28] 서적 よみがえる恐竜 最新研究が明かす姿 日経サイエンス社 2017-06-15
[29] 논문 A new clade of Asian Late Cretaceous long-snouted tyrannosaurids 2014
[30] 웹사이트 "「中国」で発見された「めちゃくちゃ鼻の長いティラノサウルス」につけられた「ユニークな名前」"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3-04-03
[31] 논문 The cranial anatomy of the long-snouted tyrannosaurid dinosaur Qianzhousaurus sinensi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China 2022-02-11
[32] 논문 A new tyrannosaur with evidence for anagenesis and crocodile-like facial sensory system 2017
[33] 논문 The cranial anatomy of the long-snouted tyrannosaurid dinosaur Qianzhousaurus sinensi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China 2022-02-11
[34] 논문 Tertiary Dinosaurs in the Nanxiong Basin, Southern China, Are Reworked from the Cretaceous https://www.academia[...] 2004
[35] 논문 A revision of the holotype of Nanhsiungchelys wuchingensis, Ye, 1966 (Testudines: Cryptodira: Trionychoidae: Nanhsiungchelyidae) https://www.research[...] 2019
[36] 논문 Reconstruction of oviraptorid clutches illuminates their unique nesting biology 2019
[37] 논문 A Pair of Shelled Eggs Inside A Female Dinosaur https://www.research[...] 2005
[38] 논문 An oviraptorosaur adult-egg association from the Cretaceous of Jiangxi Province, China https://scholarworks[...] 2020
[39] 논문 An oviraptorid preserved atop an embryo-bearing egg clutch sheds light o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non-avialan theropod dinosaurs https://hal.archives[...] 2021
[40] 논문 The first deep-snouted tyrannosaur from Upper Cretaceous Ganzhou City of southeastern China 2024-07-25
[41] 논문 A Late Cretaceous diversification of Asian oviraptorid dinosaurs: evidence from a new species preserved in an unusual posture 2016
[42] 논문 High diversity of the Ganzhou Oviraptorid Fauna increased by a new cassowary-like crested species 2017
[43] 논문 Late Cretaceous ornithopod-dominated, theropod, and pterosaur track assemblages from the Nanxiong Basin, China: New discoveries, ichnotaxonomy, and paleoecology http://www.xinglida.[...] 2017
[44] 논문 A New Somphospondylan Sauropod (Dinosauria, Titanosauriforme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Ganzhou, Jiangxi Province of Southern China http://www.geojourna[...] 2013
[45] 논문 A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evaluation of Therizinosauria (Dinosauria: Maniraptora) https://www.research[...] 2010
[46] 논문 A new crocodyloid (Eusuchia: Crocodyl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China 2018
[47] 논문 A large predatory lizard (Platynota, Squamat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South China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