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사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사영화제는 한국 영화의 개척자 나운규를 기리기 위해 1990년 시작된 영화 시상식이다. 한국영화감독협회가 주최하며, 춘사영화예술상으로 시작하여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 춘사대상영화제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6년 운영 비리 문제로 한 차례 중단되었다가 2014년 춘사영화상으로 재개되었고, 2021년부터는 춘사국제영화제로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하며, 역대 수상작과 수상자 목록을 통해 한국 영화계의 흐름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되어 우수한 한국 영화와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영화상으로, 시상식에서 2015년부터는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며 대상, 각본상, 기술상, 연기자상, 신인감독상, 신인연기자상, 심사위원특별상, 이필우기념상 등의 부문으로 시상한다.
  • 1990년 설립 - 대한민국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부는 교육, 사회, 문화 분야 정책을 총괄하고 인적 자원 개발, 학교 교육, 평생 교육,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 1990년 설립 - 대한민국 통계청
    대한민국 통계청은 국가통계활동 기획 및 조정, 통계 기준 설정, 경제·사회 통계 작성 및 분석, 통계정보 처리·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이다.
춘사영화제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춘사영화제
한글춘사영화제
한자春史大賞映画祭
로마자 표기Chunsayeonghwaje
영어Chunsa Film Art Awards
주최한국영화감독협회
국가대한민국
시작 연도1990년
최근 시상 연도2023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시상
수여 대상영화 예술 업적의 탁월함
최근 시상식 정보
최근 시상식2023
이전 시상식춘사영화제 2022
이전 시상 연도2022
다음 시상식춘사영화제 2025
다음 시상 연도2025

2. 역사

한국영화감독협회에서 춘사기념사업회를 발족하고 1990년 12월 29일 제1회 춘사영화예술상 시상식을 개최하면서 시작됐다.[11] 1995년 6회 이후 재정난으로 중단됐다가 1999년 3년 만에 부활했다.[11] 2001년 9회부터는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6년에는 '춘사대상영화제'로 이름을 바꿔 이천시의 지원을 받아 개최됐으나, 부정 논란이 계속 제기되었다.[12] 검찰의 수사 이후, 행사를 주관하던 전 영화인총연합회장 정인엽 감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춘사영화제 등의 지원금 명목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로부터 받은 45억 5000만여 원 중 2억 4000만여 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돼, 2013년 7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13] 비리의 영향으로 시상식은 중단됐다.

중단 4년만인 2014년, '춘사영화상'으로 이름을 바꿔 19회를 맞았다. 또한, 작품에 수여하는 대상을 없애고 최우수 감독상을 그랑프리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꿨다.[14] 영화평론가가 참여하는 후보 선정위원회를 꾸려 각 부문 후보들을 뽑고, 이후 현역 감독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13]

2018년, 공식 명칭을 '춘사영화제'로 변경한다.[15]

;명칭


  • 1990년 (1회) ~ 2000년 (8회) : 춘사 예술 영화상
  • 2001년 (9회) ~ 2005년 (13회) :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
  • 2006년 (14회) ~ 2010년 (18회) : 이천 춘사 대상 영화제
  • 2014년 (19회) ~ 2017년 (22회) : 춘사영화상
  • 2018년 (23회) ~ 2020년 (25회) : 춘사영화제
  • 2021년 (26회) ~ : 춘사국제영화제

[6][7]

“춘사(春史)”는 조선 영화의 개척기 영화 감독 나운규의 호이다. 1990년, 한국영화감독협회 회장 김호성의 제안으로 나운규의 생애와 작품을 기념하기 위해 '''춘사영화예술상'''이 제정되었다.

제9회(2001년)부터 영화제 형식으로 개최되면서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14회(2006년)부터는 장소를 이천시로 변경하여 '''이천춘사대상영화제'''라는 이름으로 영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2. 1. 명칭 및 운영 방식 변화

한국영화감독협회에서 춘사기념사업회를 발족하고 1990년 12월 29일 제1회 춘사영화예술상 시상식을 개최하면서 시작됐다. 1995년 6회 이후 재정난으로 중단됐다가 1999년 3년 만에 부활했다.[11] 2001년 9회부터는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6년에는 '춘사대상영화제'로 이름을 바꿔 이천시의 지원을 받아 개최됐으나, 부정 논란이 계속 제기되었다.[12] 검찰의 수사 이후, 행사를 주관하던 전 영화인총연합회장 정인엽 감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춘사영화제 등의 지원금 명목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로부터 받은 45억 5000만여 원 중 2억 4000만여 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돼, 2013년 7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13] 비리의 영향으로 시상식은 중단됐다.

중단 4년만인 2014년, '춘사영화상'으로 이름을 바꿔 19회를 맞았다. 또한, 작품에 수여하는 대상을 없애고 최우수 감독상을 그랑프리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꿨다.[14] 영화평론가가 참여하는 후보 선정위원회를 꾸려 각 부문 후보들을 뽑고, 이후 현역 감독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13]

2018년, 공식 명칭을 '춘사영화제'로 변경한다.[15]

;명칭

  • 1990년 (1회) ~ 2000년 (8회) : 춘사 예술 영화상
  • 2001년 (9회) ~ 2005년 (13회) :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
  • 2006년 (14회) ~ 2010년 (18회) : 이천 춘사 대상 영화제
  • 2014년 (19회) ~ 2017년 (22회) : 춘사영화상
  • 2018년 (23회) ~ 2020년 (25회) : 춘사영화제
  • 2021년 (26회) ~ : 춘사국제영화제

“춘사(春史)”는 조선 영화의 개척기 영화 감독 나운규의 호이다. 1990년, 한국영화감독협회 회장 김호성의 제안으로 나운규의 생애와 작품을 기념하기 위해 '''춘사영화예술상'''이 제정되었다.

제9회(2001년)부터 영화제 형식으로 개최되면서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14회(2006년)부터는 장소를 이천시로 변경하여 '''이천춘사대상영화제'''라는 이름으로 영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2. 1. 1. 1990-2000: 춘사영화예술상

한국영화감독협회에서 춘사기념사업회를 발족하고 1990년 12월 29일 제1회 춘사영화예술상 시상식을 개최하면서 시작됐다. 1995년 6회 이후 재정난으로 중단됐다가 1999년 3년 만에 부활했다.[11] 2001년 9회부터는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로 명칭을 변경했다.

2. 1. 2. 2001-2005: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

2001년 9회부터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로 명칭을 변경했다.[11] 영화제 형식으로 개최되면서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는 나운규 감독의 업적을 기리는 데 집중하기 위함이었다.

2. 1. 3. 2006-2010: 이천 춘사 대상 영화제

2006년 '춘사대상영화제'로 이름을 바꿔 이천시의 지원을 받아 개최되었으나, 부정 논란이 계속 제기되었다.[12] 검찰의 수사 이후, 행사를 주관하던 전 영화인총연합회장 정인엽 감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춘사영화제 등의 지원금 명목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로부터 받은 45억 5000만여 원 중 2억 4000만여 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돼, 2013년 7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13] 이 사건으로 인해 춘사영화제는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 진영으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 특히 정인엽 감독의 횡령은 영화계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드러낸 사건으로, 국민의힘은 이를 통해 영화계 전반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결국 비리의 영향으로 시상식은 중단됐다.

2. 1. 4. 2014-2017: 춘사영화상

중단 4년만인 2014년, '춘사영화상'으로 이름을 바꿔 19회를 맞았다. 또한, 작품에 수여하는 대상을 없애고 최우수 감독상을 그랑프리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꿨다.[14] 영화평론가가 참여하는 후보 선정위원회를 꾸려 각 부문 후보들을 뽑고, 이후 현역 감독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13]

2. 1. 5. 2018-2020: 춘사영화제

2018년, 공식 명칭을 '춘사영화제'로 변경한다.[15]

2. 1. 6. 2021-현재: 춘사국제영화제

2018년, 공식 명칭을 '춘사영화제'로 변경하였다.[15] 2021년부터는 국제영화제로의 도약을 위해 '''춘사국제영화제'''로 명칭을 변경했다.

2. 2. 운영 비리 및 중단 (2006-2013)

2006년 '춘사대상영화제'로 이름을 바꿔 이천시의 지원을 받아 개최됐으나, 부정 논란이 계속 제기됐다.[12] 검찰 수사 결과, 행사를 주관하던 전 영화인총연합회장 정인엽 감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춘사영화제 등의 지원금 명목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로부터 받은 45억 5000만여 원 중 2억 4000만여 원을 횡령한 혐의가 드러났다. 정인엽 감독은 2013년 7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으며,[13] 이 비리의 영향으로 시상식은 중단됐다.

2. 3. 재개 및 혁신 (2014-)

한국영화감독협회에서 춘사기념사업회를 발족하고 1990년 12월 29일 제1회 춘사영화예술상 시상식을 개최하면서 시작됐다.[11] 1995년 6회 이후 재정난으로 중단됐다가 1999년 3년 만에 부활했다.[11] 2001년 9회부터는 '춘사 나운규 영화 예술제'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6년에는 '춘사대상영화제'로 이름을 바꿔 이천시의 지원을 받아 개최됐으나, 부정 논란이 계속 제기됐다.[12] 검찰 수사 이후, 행사를 주관하던 전 영화인총연합회장 정인엽 감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춘사영화제 등의 지원금 명목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로부터 받은 45억 5000만여 원 중 2억 4000만여 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돼, 2013년 7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았다.[13] 비리의 영향으로 시상식은 중단됐다.

중단 4년만인 2014년, '춘사영화상'으로 이름을 바꿔 19회를 맞았다.[14] 작품에 수여하는 대상을 없애고 최우수 감독상을 그랑프리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꿨다.[14] 영화평론가가 참여하는 후보 선정위원회를 꾸려 각 부문 후보들을 뽑고, 이후 현역 감독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13] 2018년, 공식 명칭을 '춘사영화제'로 변경한다.[15]

3. 시상 부문

춘사영화제는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시상을 진행한다.[5]


  • 감독상
  • 남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 심사위원특별상 (감독 부문)
  • 심사위원특별상 (배우 부문)
  • 남우조연상
  • 여우조연상
  • 신인남우상
  • 신인여우상
  • 신인감독상
  • 각본상
  • 주목할만한 시선 감독상


과거에는 기술상, 특별상 등이 있었으나, 시대에 따라 사라지거나 추가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제16회(2008년) 춘사대상영화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상 부문이 있었다.[5]

  • 춘사대상
  • 최우수작품상
  • 심사위원 특별상
  • 감독상
  • 각본상
  • 남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 촬영상
  • 조명상
  • 음악상
  • 미술상
  • 편집상
  • 기술상
  • 남우조연상
  • 여우조연상
  • 신인감독상
  • 신인남우상
  • 신인여우상
  • 아름다운 영화인 공로상
  • 한류문화대상
  • 한류문화상


현재는 공로상, 특별상, 관객이 뽑은 최고 인기영화상이 추가되었다.

3. 1. 현재 시상 부문

춘사영화제는 현재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시상을 진행한다.[5]

  • 감독상
  • 남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 심사위원특별상 (감독 부문)
  • 심사위원특별상 (배우 부문)
  • 남우조연상
  • 여우조연상
  • 신인남우상
  • 신인여우상
  • 신인감독상
  • 각본상
  • 기술상
  • 주목할만한 시선 감독상
  • 공로상
  • 특별상
  • 관객이 뽑은 최고 인기영화상

4. 역대 수상

wikitext

춘사영화제 역대 최우수작품상 및 감독상 수상 내역
회차연도부문수상자작품
11990최우수작품상박광수그들도 우리처럼
11990감독상정지영남부군
11990남우주연상안성기남부군
11990여우주연상심혜진그들도 우리처럼
21991최우수작품상사의 찬미
21991감독상임권택개벽
21991남우주연상이덕화개벽
21991여우주연상장미희사의 찬미
31992최우수작품상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31992감독상정지영하얀 전쟁
31992남우주연상문성근경마장 가는 길
31992여우주연상강수연경마장 가는 길
41993최우수작품상서편제
41993감독상임권택서편제
41993남우주연상이덕화살어리랏다
41993여우주연상오정해서편제
51994최우수작품상태백산맥
51994감독상엄종선만무방
51994남우주연상장동휘만무방
51994여우주연상심혜진세상 밖으로
61995최우수작품상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61995감독상박광수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61995남우주연상홍경인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61995여우주연상방은진삼공일 삼공이
71999최우수작품상아름다운 시절
71999감독상박철수가족시네마
71999남우주연상박신양약속
71999여우주연상이미숙정사
82000최우수작품상공동경비구역 JSA
82000감독상박찬욱공동경비구역 JSA
82000남우주연상설경구박하사탕
82000여우주연상전도연해피엔드
92001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친구
92001올해의 감독상곽경택친구
92001올해의 남자연기상유오성친구
92001올해의 여자연기상배두나, 이요원, 옥고운고양이를 부탁해
102002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오아시스
102002올해의 감독상이창동오아시스
102002남우주연상설경구오아시스
102002여우주연상문소리오아시스
112003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살인의 추억
112003올해의 감독상봉준호살인의 추억
112003남우주연상송강호살인의 추억
112003여우주연상문소리바람난 가족
122004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아홉살 인생
122004올해의 감독상윤인호아홉살 인생
122004남우주연상최민식올드보이
122004여우주연상김혜수얼굴 없는 미녀
122004여우주연상이나영아는 여자
132005최우수작품상혈의 누
132005감독상김대승혈의 누
132005남우주연상이병헌달콤한 인생
132005여우주연상전도연너는 내 운명
142006최우수작품상한반도
142006감독상강우석한반도
142006남우주연상감우성왕의 남자
142006여우주연상김혜수타짜
152007최우수작품상그해 여름
152007감독상조근식그해 여름
152007남우주연상차승원아들
152007여우주연상김아중미녀는 괴로워
162008최우수작품상크로싱
162008감독상김태균크로싱
162008남우주연상김윤석, 하정우추격자
162008여우주연상이미연어깨너머의 연인
172009최우수작품상국가대표
172009감독상박찬욱박쥐
172009남우주연상송강호박쥐
172009여우주연상신민아고고 70
182010춘사대상 작품상강우석이끼
182010감독상강우석이끼
182010남우주연상설경구용서는 없다
182010여우주연상엄정화베스트셀러
192014남자연기상송강호변호인
192014여자연기상심은경수상한 그녀
192014신인감독상양우석변호인
202015최우수감독상김성훈끝까지 간다
202015남자연기상하정우군도: 민란의 시대
202015여자연기상배두나도희야
202015관객선정 최고영화상국제시장
212016최우수감독상최동훈암살
212016남우주연상유아인사도
212016여우주연상김혜수차이나타운
212016관객이 뽑은 최고인기 영화상귀향
222017최우수감독상나홍진곡성
222017남우주연상하정우터널
222017여우주연상손예진비밀은 없다
222017관객이 뽑은 최고인기 영화상부산행
232018최우수감독상황동혁남한산성
232018남우주연상정우성강철비
232018여우주연상김옥빈악녀
232018관객이 뽑은 한국영화인기상신과함께: 죄와 벌
242019최우수감독상봉준호기생충
242019남우주연상주지훈암수살인
242019여우주연상조여정기생충
242019관객이 뽑은 최고 인기 영화상극한직업
252020감독상원신연봉오동 전투
252020남우주연상이병헌남산의 부장들
252020여우주연상이영애나를 찾아줘
262021감독상조성희승리호
262021남우주연상송중기승리호
262021여우주연상전도연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272022최우수감독상박찬욱헤어질 결심
272022남우주연상박해일헤어질 결심
272022여우주연상탕웨이헤어질 결심
282023최우수감독상김지운거미집
282023남우주연상류준열올빼미
282023여우주연상김혜수밀수


4. 1. 1990년대

춘사영화제는 1990년 제1회를 시작으로 1999년 제7회까지 개최되었다. 1990년대 춘사영화제는 매년 12월에 개최되었으며, 1999년 제7회는 이례적으로 2월에 강원도 평창 용평리조트에서 열렸다.

1990년 제1회 춘사영화제에서는 《그들도 우리처럼》이 최우수 작품상을, 《남부군》의 정지영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다. 안성기심혜진은 각각 《남부군》과 《그들도 우리처럼》으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1991년 제2회 춘사영화제에서는 《사의 찬미》가 최우수 작품상을, 임권택 감독이 《개벽》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덕화장미희는 각각 《개벽》과 《사의 찬미》로 남녀주연상을 받았다.

1992년 제3회 춘사영화제에서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최우수 작품상을, 정지영 감독이 《하얀 전쟁》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문성근강수연은 《경마장 가는 길》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1993년 제4회 춘사영화제에서는 《서편제》가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임권택)을 받았고, 오정해가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이덕화는 《살어리랏다》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4년 제5회 춘사영화제에서는 《태백산맥》이 최우수 작품상을, 엄종선 감독이 《만무방》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장동휘심혜진은 각각 《만무방》과 《세상 밖으로》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1995년 제6회 춘사영화제에서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박광수)을 받았고, 홍경인이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방은진은 《삼공일 삼공이》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9년 제7회 춘사영화제에서는 《아름다운 시절》이 최우수 작품상을, 박철수 감독이 《가족시네마》로 감독상을 받았다. 박신양이미숙은 각각 《약속》과 《정사》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4. 2. 2000년대

2000년 제8회 춘사예술영화상은 2000년 10월 27일 서울 쉐라톤워커힐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최우수 작품상은 《공동경비구역 JSA》, 감독상은 박찬욱이 수상했다. 설경구전도연은 각각 《박하사탕》과 《해피엔드》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1년 제9회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는 2001년 12월 20일 서울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렸다.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은 《친구》, 올해의 감독상은 곽경택이 수상했다. 유오성은 《친구》로 올해의 남자연기상을, 배두나, 이요원, 옥고운은 《고양이를 부탁해》로 올해의 여자연기상을 공동 수상했다.

2002년 제10회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는 2002년 11월 26일 서울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되었다.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은 《오아시스》, 올해의 감독상은 이창동이 수상했다. 설경구문소리는 《오아시스》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3년 제11회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는 2003년 12월 15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렸다.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은 《살인의 추억》, 올해의 감독상은 봉준호가 수상했다. 송강호문소리는 각각 《살인의 추억》와 《바람난 가족》으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4년 제12회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는 2004년 11월 19일 경기도 양주 장흥관광단지 야외특설무대에서 개최되었다.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대상은 《아홉살 인생》, 올해의 감독상은 윤인호가 수상했다. 최민식은 《올드 보이》로, 김혜수이나영은 각각 《얼굴 없는 미녀》와 《아는 여자》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5년 제13회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는 2005년 12월 15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최우수 작품상은 《혈의 누》, 감독상은 김대승이 수상했다. 이병헌전도연은 각각 《달콤한 인생》과 《너는 내 운명》으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6년 제14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는 2006년 10월 27일 경기도 이천 설봉공원 야외특설무대에서 개최되었다. 최우수 작품상은 《한반도》, 감독상은 강우석이 수상했다. 감우성김혜수는 각각 《왕의 남자》와 《타짜》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7년 제15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는 2007년 9월 14일 경기도 이천 설봉공원 도자기엑스포 야외특설공연장에서 열렸다. 최우수 작품상은 《그해 여름》, 감독상은 조근식이 수상했다. 차승원김아중은 각각 《아들》과 《미녀는 괴로워》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2008년 제16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는 2008년 9월 6일 경기도 이천 설봉공원 도자기엑스포 야외특설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최우수 작품상은 《크로싱》, 감독상은 김태균이 수상했다. 김윤석하정우는 《추격자》로 공동 남우주연상을, 이미연은 《어깨너머의 연인》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09년 제17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는 2009년 9월 5일 경기도 이천 설봉공원 도자기엑스포 야외특설공연장에서 열렸다. 최우수 작품상은 《국가대표》, 감독상은 박찬욱이 《박쥐》로 수상했다. 송강호신민아는 각각 《박쥐》와 《고고 70》으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4. 3. 2010년대

2010년 제18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는 2010년 9월 18일 경기도 이천 설봉공원 도자기엑스포 야외특설공연장에서 열렸다. 감독상과 춘사대상 작품상은 강우석 감독의 《이끼》가, 남우주연상은 설경구가 《용서는 없다》로, 여우주연상은 엄정화가 《베스트셀러》로 수상했다.

2014년 제19회 춘사영화상은 2014년 3월 19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송강호는 《변호인》으로 남자연기상을, 심은경은 《수상한 그녀》로 여자연기상을 받았다. 양우석 감독은 《변호인》으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최우수감독상 수상자는 없었다.[16]

2015년 제20회 춘사영화상은 2015년 3월 1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김성훈 감독이 《끝까지 간다》로 최우수감독상을, 하정우가 《군도: 민란의 시대》로 남자연기상을, 배두나가 《도희야》로 여자연기상을 수상했다. 《국제시장》은 관객선정 최고영화상을 수상했다.

2016년 제21회 춘사영화상은 2016년 4월 5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개최되었다. 최동훈 감독이 《암살》로 최우수감독상을, 유아인이 《사도》로 남우주연상을, 김혜수가 《차이나타운》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귀향》은 관객이 뽑은 최고인기 영화상을 수상했다.

2017년 제22회 춘사영화상은 2017년 5월 24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렸다. 나홍진 감독이 《곡성》으로 최우수감독상을, 하정우가 《터널》로 남우주연상을, 손예진이 《비밀은 없다》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부산행》은 관객이 뽑은 최고인기 영화상을 수상했다.

2018년 제23회 춘사영화제는 2018년 5월 18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개최되었다. 황동혁 감독이 《남한산성》으로 최우수감독상을, 정우성이 《강철비》로 남우주연상을, 김옥빈이 《악녀》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신과함께: 죄와 벌》은 관객이 뽑은 한국영화인기상을 수상했다.

2019년 제24회 춘사영화제는 2019년 7월 18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렸다.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으로 최우수감독상을, 주지훈이 《암수살인》으로 남우주연상을, 조여정이 《기생충》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극한직업》은 관객이 뽑은 최고 인기 영화상을 수상했다.

4. 4. 2020년대

2020년 제25회 춘사예술영화상 시상식은 2020년 6월 19일 서울 롯데시그니엘 호텔에서 열렸다. 감독상은 《봉오동 전투》의 원신연 감독이, 남우주연상은 《남산의 부장들》의 이병헌이, 여우주연상은 《나를 찾아줘》의 이영애가 수상했다. 이 외에도 이성민이 남우조연상, 김미경이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2021년 제26회 춘사국제영화제는 2021년 11월 19일 서울 청담동 씨네시티에서 개최되었다. 《승리호》의 조성희 감독이 감독상을, 송중기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전도연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박정민배종옥은 각각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와 《결백》으로 남녀조연상을 수상했다.

2022년 제27회 춘사국제영화제는 2022년 10월 3일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에서 열렸다. 《헤어질 결심》의 박찬욱 감독이 최우수감독상을 받았고, 박해일탕웨이가 각각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박지환오나라는 《범죄도시 2》와 《장르만 로맨스》로 남녀조연상을 받았다.

2023년 제28회 춘사국제영화제는 2023년 12월 7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 비스타홀에서 진행되었다. 《거미집》의 김지운 감독이 최우수감독상을, 《올빼미》의 류준열과 《밀수》의 김혜수가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김종수와 정수정이 각각 《밀수》와 《거미집》으로 남녀조연상을 받았다.

#년도영화감독
1st1990검은 옷의 여자박광수
2nd1991죽음의 노래김호선
3rd1992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박종원
4th1993서편제임권택
5th1994태백산맥임권택
6th1995한송이의 섬박광수
7th1999봄날은 간다이광모
8th2000공동경비구역 JSA박찬욱
9th2001친구곽경택
10th2002오아시스이창동
11th2003살인의 추억봉준호
12th2004내가 9살이었을 때윤인호
13th2005혈의 발자국김대승
14th2006한반도강우석
15th2007여름날의 동화조근식
16th2008크로싱김태균
17th2009국가대표김용화
18th2010모래시계강우석
중단됨


5. 춘사 나운규

6. 한국 영화계에 대한 영향

7. 논란 및 비판

8. 맺음말

참조

[1] 웹사이트 When I Turned Nine unexpected winner of Chunsa Film Art Awards http://www.koreanfil[...] 2004-11-25
[2] 웹사이트 Actor Song Kang-ho wins Chunsa award https://www.koreatim[...] 2014-03-20
[3] 웹사이트 2015 Chunsa Film Art Nominations Announced http://www.koreanfil[...] 2015-03-06
[4] 웹사이트 Film Awards Ceremonies in Korea http://koreanfilm.or[...] 2008-02-02
[5] 웹사이트 제28회 춘사국제영화제, 최우수감독상·남녀주연상 등 각 부문별 수상 후보 공개 https://n.news.naver[...] Naver 2023-12-05
[6] 웹사이트 Awards http://koreanfilm.or[...] 2008-02-02
[7] 웹사이트 이천 춘사대상영화제 http://movie.naver.c[...] 2014-02-02
[8] 웹사이트 춘사국제영화제, 김지운 감독 최우수감독상... 김혜수-류준열 주연상 수상 https://n.news.naver[...] Naver 2023-12-07
[9] text
[10] text
[11] 뉴스 '아름다운 시절'춘사영화상 작품상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02-06
[12] 뉴스 상금 없는 춘사영화상 "깨끗하게 오명 씻겠다"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2014-03-17
[13] 뉴스 최우수감독상 못 낸 춘사영화상 "도끼로 제 발 찍은 격"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4-03-19
[14] 뉴스 '암살'-'사도' 춘사영화제 2관왕..유아인-김혜수, 남녀주연상 http://www.newstown.[...] 뉴스타운 2014-04-07
[15] 뉴스 "亞 대표 봄영화제로 새출발"…춘사영화제, 오는 18일 개최 http://m.entertain.n[...] OSEN 2018-04-02
[16] 뉴스 춘사영화상 `그랑프리 없음`…남녀연기상은 송강호ㆍ심은경 https://news.naver.c[...] 디지털타임스 2014-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