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가는 고대 인도의 왕국으로, 현재의 비하르 주 동부에 위치했으며, 참파강과 라지마할 언덕 사이에 자리 잡았다. 수도는 참파였으며, 마가다, 밧사, 칼링가 등 주변 국가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역사를 이어갔다. 기원전 6세기 빔비사라에 의해 멸망하여 마가다에 병합되었으며, 이후 불교 사원들이 존재했으나 점차 쇠퇴하여 바르만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앙가인들은 인도아리아인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믈레차의 자손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가 - 앙기카어
    앙기카어는 인도와 네팔에서 약 1,50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독특한 문화와 요리를 지니고 있으며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고 자르칸드 주에서는 제2주 언어로 인정받았다.
  • 앙가 - 마가다-앙가 전쟁
    빔비사라가 앙가의 브라마닷타 왕에게 복수하여 앙가를 정복하고 마가다에 병합했으며, 이후 그의 아들 아자타샤트루가 참파의 부왕이 되었다.
  • 비하르주의 옛 왕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비하르주의 옛 왕국 - 난다 제국
    난다 제국은 기원전 345년경 마가다 왕국을 멸망시키고 마하파드마 난다에 의해 건국되어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북인도 대부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기원전 321년경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멸망했다.
  • 십육대국 - 마가다
    고대 인도 동부 갠지스 평원에 위치했던 마가다는 철광석 산지와 갠지스강 수운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자이나교와 불교의 발생지이자 여러 왕조와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으며,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는 인도 아대륙 대부분을 지배하는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했다.
  • 십육대국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앙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국명앙가
로마자 표기Aṅga
위치비하르 주 부근
수도참파푸리 (현재의 바갈푸르 부근)
말리니푸리 (현재의 뭉게르 부근)
역사
건국 시기기원전 1100년경 (추정)
멸망 시기기원전 530년경
주요 사건마가다에 정복됨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통치자 칭호라자 (왕)
주요 통치자브라흐마닷타 (기원전 6세기 중반)
언어 및 문화
주요 언어산스크리트어
종교역사적 베다 종교
불교
자이나교
경제
통화파나
기타

2. 위치

앙가(산스크리트어: Aṅgasa)는 서쪽으로는 찬단강(참파강)과 동쪽으로는 라지마할 언덕 사이에 위치했다. 때로는 남쪽으로 벵골만(바다)까지 영토가 확장되거나, 서쪽으로 마가다를 포함하기도 했다.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앙가는 현재 인도 비하르주바갈푸르와 뭉게르 지역을 중심으로 서벵골주 동부까지 뻗어 있었으며, 이후 벵골 지방 전체를 지배했을 가능성도 있다. 남서쪽으로는 찬단강을 경계로 마가다와 접했고, 북서쪽으로는 코시강 부근을 경계로 바지국과 접했다. 동쪽으로는 해변 마을 비탄카푸르를 소유했다는 기록(카타사릿사가라)이 있어, 전성기에는 벵골만까지 세력을 확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앙가의 수도인 '''참파'''는 찬단강과 갠지스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했으며, 오늘날 인도 비하르주 동부에 있는 참파푸리와 참파나가르 마을에 해당한다. 자타카에서는 참파를 칼라-참파라고도 불렀으며,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고대 이름은 말리니였다고 한다.

앙가 왕국 내의 다른 중요한 도시로는 아사푸라(Aśvapura|아슈바푸라sa)와 바디야(Badarikā|바드리카sa)가 있었다.

3. 어원

마하바라타(I.104.53–54)와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앙가''는 왕국의 창시자이자 아들이 없었던 발리 왕의 아들인 앙가 왕자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 발리 왕은 현자 디르가타마스에게 아들을 축복해 달라고 요청했고, 현자는 그의 아내 수데스나 왕비를 통해 다섯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1] 이 왕자들의 이름은 앙가, 방가, 칼링가, 수흐마, 푼드라였다.[2]

한편, 라마야나(1.23.14)는 ''앙가''라는 이름의 기원을 다른 이야기로 설명한다. 카마데바시바 신에 의해 불태워 죽임을 당하고 그의 신체 일부(''앙가'')가 흩어진 장소이기 때문에 앙가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3]

4. 역사

앙가는 고대 인도 동부에 위치했던 왕국으로, 아타르바베다와 같은 초기 베다 문헌에도 이름이 언급된다. 초기에는 아이타레야 브라마나에 세계 정복자로 기록될 만큼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으며, 수도 캄파는 석가모니 시대 북인도의 6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번성했다. 철기 시대에는 수바르나부미와의 교역을 통해 부유한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기도 했다.

기원전 6세기 다디바하나 왕의 통치 아래에서는 한때 서쪽의 마가다를 정복하는 등 세력을 확장했으나,[12][13] 이후 마가다와의 경쟁에서 점차 밀려났다.[14][15]

결국 기원전 6세기 중반, 마가다의 왕자(훗날의 왕) 빔비사라가 앙가의 마지막 왕 브라마다타를 죽이고 왕국을 정복하면서 앙가의 독립적인 역사는 끝이 났다. 이후 앙가는 마가다 제국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수도 캄파는 마가다의 부왕령 수도가 되었다.

왕국이 멸망한 뒤에도 앙가 지역은 계속해서 존재했다. 4세기 말 중국 동진의 승려 법현은 순례 중에 캄파(당시 중국어 발음 瞻波|찬포중국어)에 여전히 많은 불교 사원이 남아있다고 기록했다. 당시 앙가는 중국어로 鴦伽|양지아중국어로 알려져 있었다. 이후 11세기에서 12세기경에는 바르만 왕조가 이 지역을 지배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6]

4. 1. 초기 역사

앙가는 서쪽으로 참파 강, 동쪽으로 라즈마할 언덕 사이에 위치했으며, 때로는 남쪽으로 바다까지 영토가 확장되거나 서쪽의 마가다를 포함하기도 했다. 수도 참파는 참파 강과 강가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었으며, 오늘날 인도 비하르 주 동부의 참파푸리와 참파나가르 지역에 해당한다. Jātaka에 따르면 참파는 칼라-참파라고도 불렸으며, 푸라나 문헌에서는 고대 이름이 말리니였다고 전한다. 앙가 왕국 내의 다른 중요한 도시로는 Assapura|아사푸라pi(산스크리트어: Aśvapura|아슈바푸라sa)와 Bhaddiya|바디야pi(산스크리트어: Bhadrika|바드리카sa)가 있었다.

앙가는 아타르바베다에서 처음 언급되며, 간다라족(Gāndhārī), 무자바트족(Mūjavats), 마가다족(Māgadhī)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앙가의 창시자는 아이타레야 브라마나에서 아리아인의 Aindra mahābhiśeka|아인드라 마하비셰카sa 의례를 통해 즉위한 통치자로 언급된 앙가 바이로차나 왕으로 추정된다. 『마하바라타』나 『마츠야 푸라나』 등에서도 앙가국의 이름이 건국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앙가 왕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Baudhāyana Dharmasūtra와 같은 베다 문헌에서는 앙가족(Āṅgeyas)을 "혼합된 기원"을 가진 민족 중 하나로 기술하기도 했다.

아이타레야 브라마나 시대에 앙가는 강력한 왕국이었으며, 해당 문헌은 앙가 왕 중 한 명의 "세계 정복"을 언급하고 있다. 수도 캄파는 석가모니가 사망할 때까지 라자그리하(Rājagaha), 슈라바스티(Sāvatthī), 사케타, 코삼비(Kosāmbī), 바라나시(Vārāṇasī)와 함께 당시 북인도의 6대 주요 도시 중 하나로 꼽힐 만큼 번성했다.

철기 시대 동안 앙가는 영토를 확장하여 방가(Vaṅga)를 포함시켰고, 수도 캄파는 상인들이 수바르나부미(Suvarṇabhūmi)로 항해하는 부유한 상업 중심지였다. 카타사리트사가라에 따르면 앙가의 도시 비탄카푸라는 해안가에 위치했다고 한다.

기원전 6세기경 앙가의 왕은 다디바하나였다. 자이나교 문헌과 푸라나 문헌 등에서 그의 이름이 언급된다. 그는 리차비 공주 파드마바티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리차비 공화국의 수장(Ceṭaka)의 딸이었다.[4] 체타카의 여동생 트리샬라(Trisalā)는 자이나교의 24대 티르탕카라(Tīrthaṅkara)인 마하비라(Mahāvīra)의 어머니였기에, 마하비라는 체타카를 외삼촌으로, 파드마바티를 이종사촌으로 두게 되었다. 체타카는 마하비라의 가르침을 따랐고, 리차비의 수도인 바이샬리(Vesālī)를 자이나교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그의 딸들의 결혼은 북인도 전역에 자이나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5] 다디바하나와 파드마바티의 딸인 칸다나(Candanā) 또는 찬드라발라(Candrabālā)는 마하비라가 케발라 즈냐나 경지를 얻은 직후 자이나교로 개종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다디바하나의 치세 동안 앙가는 서쪽 이웃인 마가다를 정복했다. 이 때문에 불전 Vidhura Paṇḍita Jātaka|비두라 판디타 자타카pi는 마가다의 수도 라자그리하를 앙가의 도시로 묘사하기도 했다. 『마하바라타』에서도 앙가 국왕이 가야의 비슈누파다 산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어, 한때 앙가가 마가다를 지배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정복으로 앙가는 마가다의 서쪽 이웃인 바차(Vatsa)와 직접 국경을 맞닿게 되었다. 바차의 왕 사타니카(Śatānīka)는 다디바하나의 팽창을 경계하여 앙가의 수도 캄파를 공격했다. 그러나 다디바하나는 전쟁 대신 우호 관계를 원했고, 자신의 딸을 사타니카의 아들인 우다야나(Udayana)와 결혼시켰다. 이후 사타니카가 아반티(Avanti)의 왕 프라디오타(Pradyota)와 전쟁 중 이질로 사망하자, 우다야나는 한동안 우자인(Ujjenī)의 프라디오타 궁정에서 포로로 지냈다.[6]

우다야나가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칼링가(Kaliṅga)가 앙가를 공격하여 다디바하나를 포로로 잡았다. 프라디오타가 자신의 딸 바사바닷타(Vāsavadattā)를 우다야나와 결혼시키고 그를 왕위에 복위시킨 후, 우다야나는 칼링가를 물리치고 다디바하나를 앙가 왕좌에 복위시켰다. 이후 다디바하나의 딸 프리야다르시카(Priyadarśikā)는 우다야나와 결혼했다. 후대의 희곡 프리야다르시카에 따르면, 앙가의 신하가 그녀를 숲의 왕 빈디야케투(Vindhyaketu)의 은신처로 피신시켰으나 우다야나의 군대에 붙잡혔다. 그녀는 빈디야케투의 딸로 오인되어 아라니카(Āraṇyakā, "숲에서 온 그녀")라는 이름으로 바차로 끌려가 바사바닷타의 시녀가 되었고, 나중에 앙가의 신하가 칼링가를 물리친 우다야나에게 그녀의 신분을 밝힌 후 우다야나와 결혼하게 되었다고 한다.[7]

앙가의 번영은 기원전 6세기 중반에 끝났다. 마가다의 왕자였던 빔비사라(Bimbisāra Śreṇika)는 과거 아버지가 앙가에게 패배했던 것에 대한 복수로 앙가를 침공하여 당시 왕이었던 브라흐마다타(Brahmadatta)를 살해했다. 이후 앙가는 마가다 제국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수도 캄파는 마가다의 부왕(副王)이 다스리는 지역이 되었다. 이로써 앙가는 독립적인 세력으로서의 역사를 마감하고 마가다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4. 2. 기원전 6세기 앙가

기원전 6세기경 앙가의 왕은 다디바하나였다. 그는 리차비 공주 파드마바티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리차비 공화국의 수장 체타카의 딸이었다.[4] 체타카의 여동생 트리샬라자이나교의 24대 티르탕카라마하비라의 어머니였기 때문에, 다디바하나는 체타카를 처남으로, 마하비라는 처사촌이 되었다. 체타카는 마하비라의 가르침을 따랐고, 리차비의 수도 바이샬리를 자이나교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그의 딸들의 결혼은 북인도 전역에 자이나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5] 다디바하나와 파드마바티의 딸인 칸다나(찬드라발라)는 마하비라가 깨달음(케발라)을 얻은 직후 자이나교로 개종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다디바하나의 통치 아래 앙가는 서쪽의 이웃 나라인 마가다를 정복하기도 했다. 불교 경전인 『비두라 판디타 자타카』에서는 마가다의 수도 라자그리하를 앙가의 도시로 묘사하고 있으며, 『마하바라타』에서도 앙가 국왕이 가야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어 한때 앙가가 마가다를 지배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가다 정복으로 앙가는 마가다 서쪽에 위치한 밧사와 직접 국경을 맞닿게 되었다. 밧사의 왕 사타니카는 다디바하나의 세력 확장을 경계하여 앙가의 수도 캄파를 공격했다. 그러나 다디바하나는 밧사와 우호적인 관계를 원했고, 자신의 딸을 사타니카의 아들인 우다야나와 결혼시켰다. 이후 사타니카는 아반티의 왕 프라디요타와의 전쟁 중 병으로 사망했고, 우다야나는 한동안 프라디요타 궁정에서 포로로 지냈다.[6]

우다야나가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칼링가가 앙가를 공격하여 다디바하나 왕을 포로로 잡았다. 프라디요타는 자신의 딸 바사바닷타를 우다야나와 결혼시킨 후 그를 풀어주었다. 왕위를 되찾은 우다야나는 칼링가를 물리치고 다디바하나를 앙가 왕위에 복위시켰다. 이후 다디바하나의 다른 딸인 프리야다르시카가 우다야나와 결혼했다. 후대에 쓰인 희곡 『프리야다르시카』에 따르면, 칼링가의 침공 당시 앙가의 신하가 프리야다르시카를 숲으로 피신시켰고, 그녀는 우다야나의 군대에 발견되어 밧사로 끌려가 바사바닷타의 시녀가 되었다가 나중에 신분이 밝혀져 우다야나와 결혼하게 되었다고 한다.[7]

앙가의 번영은 기원전 6세기 중반에 끝났다. 마가다의 왕자였던 빔비사라는 과거 아버지가 앙가에게 패배한 것에 대한 복수로 앙가를 침공하여 당시 왕이었던 브라흐마다타를 살해했다. 이후 앙가는 마가다 제국에 병합되었고, 수도 캄파는 마가다 부왕령이 되었다.

4. 3. 앙가의 멸망

기원전 6세기 중엽, 이웃 마가다의 왕자였던 빔비사라가 앙가를 침공하여 당시 왕이었던 브라마다타(또는 브라흐마다타)를 살해하면서 앙가의 번영은 끝을 맺었다. 이로써 앙가는 마가다 제국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수도였던 캄파는 마가다의 부왕령이 되었다.

앙가 왕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그 지역은 계속해서 존재했다. 4세기 말 중국 동진의 승려 법현이 이곳을 순례했을 때, 그는 캄파에 여전히 많은 불교 사원이 존재한다고 기록했다. 당시 앙가는 중국어로 양지아(鴦伽)로 불리고 있었다. 이후 11세기에서 12세기경에는 바르만 왕조가 앙가 지역을 지배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6]

4. 4. 이후의 역사

기원전 6세기경 앙가의 왕이었던 다디바하나는 리차비의 수장 체타카의 딸인 파드마바티와 결혼하였다.[12] 체타카의 여동생 트리살라는 자이나교의 24대 티르탕카라마하비라의 어머니였기 때문에, 마하비라는 체타카를 외삼촌으로, 파드마바티를 사촌으로 두었다. 체타카는 점차 마하비라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아 리차비의 수도인 바이샬리를 자이나교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그의 딸들과의 혼인 관계는 북인도 전역에 자이나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13] 마하비라가 깨달음을 얻은 직후, 다디바하나와 파드마바티의 딸인 칸다나(또는 칸드라발라)는 자이나교로 개종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다디바하나의 통치 아래 앙가는 서쪽 이웃인 마가다국을 정복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불교 경전인 『비두라 판디타 자타카』는 마가다의 수도 라자그리하를 앙가의 도시로 묘사하기도 했다. 이 정복으로 앙가는 마가다의 서쪽 이웃인 밧사와 직접 국경을 맞닿게 되었다. 밧사의 왕 사타니카는 다디바하나의 팽창을 경계하여 앙가를 공격했으나, 다디바하나는 밧사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원했고, 자신의 딸을 사타니카의 아들인 우다야나와 결혼시켰다. 사타니카가 아반티의 왕 프라디요타와 싸우던 중 이질로 사망하자, 훗날 밧사의 군주가 되는 우다야나는 한동안 프라디요타의 궁정에서 포로로 지냈다.[14]

우다야나가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칼링가가 앙가를 공격하여 다디바하나 왕을 포로로 잡았다. 이후 프라디요타가 자신의 딸인 바사바닷타를 우다야나와 결혼시킨 후, 우다야나는 칼링가를 물리치고 다디바하나를 구출하여 앙가의 왕으로 복위시킬 수 있었다. 이때 다디바하나의 다른 딸인 프리야다르시카도 우다야나와 결혼하였다. 후대에 쓰인 희곡 『프리야다르시카』에 따르면, 앙가의 한 수장이 그녀를 숲의 왕 빈디아케투의 피난처로 데려갔고, 그곳에서 그녀는 우다야나의 군대에 붙잡혀 아라뉘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빈디아케투의 딸로 오인되어 바사바닷타의 시녀가 되기 위해 밧사로 끌려갔다. 나중에 앙가 수장이 칼링가를 물리친 후 그녀의 진짜 신분이 밝혀져 우다야나와 결혼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15]

앙가의 번영은 기원전 6세기 중엽, 마가다의 왕자(훗날의 왕) 빔비사라가 앙가의 마지막 왕 브라마다타를 물리치고 살해하면서 끝났다. 이후 앙가는 마가다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수도 캄파는 마가다의 부왕령 수도가 되었다.

4세기 말, 중국 동진의 승려 법현은 순례 중에 캄파(당시 중국어 발음 瞻波|찬포중국어)에 여전히 많은 불교 사원이 존재한다고 기록했다. 당시 앙가 왕국은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으며, 중국어로는 鴦伽|양지아중국어로 알려졌다.

11세기에서 12세기에 앙가 지역은 바르만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보자바르만의 벨라바 동판 기록에 따르면, 자타바르만이 그의 아버지 바즈라바르만의 지도력 아래 앙가를 정복하고 그의 가문의 통치를 확립했다고 한다.[16]

5. 경제

앙가국의 수도였던 짬파는 불교 경전인 『디가 니까야』에 따르면 당시 인도의 6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중요한 도시였다. 이곳에서는 교역과 상업이 매우 번성했으며, 특히 항구를 통한 해상 교역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6. 민족

자이나교 문헌에 따르면, 앙가국의 부족은 인도아리아인이었다. 그러나, 《마하바라타》와 다르마 샤스트라 문헌에 따르면, 앙가의 사람들은 야만인으로 여겨지는 믈레차의 자손이라고 한다.

참조

[1] 서적 Cultural History from the Vāyu Purān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
[2]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Volume 1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3] 웹사이트 Bala Kanda Book I, Chapter 23 http://www.valmikira[...]
[4] 서적 History of Jaina Monachism from Inscriptions and Literature Deccan College Post-Graduate and Research Institute 1956
[5] 서적 Lord Mahāvīra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1974
[6] 저널 On the Ancient Chronology of India (II) https://www.jstor.or[...] 1957
[7] 저널 The Legend of Udayana https://www.jstor.or[...] 1957
[8] 문서 佛光電子大辭典 (Buddha's Light Electronic Dictionary') Buddha's Light Publishing (Fo Guang Shan)
[9]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A.D. 985–1206 https://books.google[...] People's Publishing House 1992
[10] 서적 Cultural History from the Vāyu Purān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
[11] 웹사이트 Balakanda Book I, Chapter 23 http://www.valmikira[...]
[12] 서적 History of Jaina Monachism from Inscriptions and Literature Deccan College Post-Graduate and Research Institute 1956
[13] 서적 Lord Mahāvīra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1974
[14] 저널 On the Ancient Chronology of India (II) https://www.jstor.or[...] 1957
[15] 저널 The Legend of Udayana https://www.jstor.or[...] 1957
[16]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A.D. 985–1206 https://books.google[...] People's Publishing House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