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메니아 고원은 폰토스 산맥에서 말레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유라시아 산맥의 일부로, 터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 등에 걸쳐 있는 고원 지대이다. 지질학적으로 화산 활동이 활발하여 세반 호, 반 호, 우르미아 호 등 호수를 형성했으며, 안티타우루스 산맥이 고원 능선의 중앙 주 축선을 이룬다. 역사적으로는 에덴 동산의 소재지로 여겨졌으며, 철기 시대 발상지이자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터키 동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 북서부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의 산맥 - 자그로스산맥
자그로스산맥은 유라시아판과 아라비아판의 충돌로 형성된 습곡 산맥으로, 터키 국경 지대에서 이란 남서부를 거쳐 호르무즈 해협에 이르며, 메소포타미아 평원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시리아의 산맥 - 안티레바논산맥
안티레바논산맥은 레바논과 시리아 국경을 따라 150km 뻗어 있으며, 최고봉은 헤르몬산이고, 쥐라기 시대의 석회암과 백악으로 이루어진 배사 산맥이며, 시리아 사막에 우산 효과를 제공하고, 레바논 산맥의 반대편에 위치한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아르메니아의 산맥 - 캅카스산맥
캅카스산맥은 유럽과 아시아 경계의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 산맥으로, 대캅카스산맥과 소캅카스산맥으로 나뉘며 지각판 충돌과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고, 다양한 기후와 지형,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여러 민족과 문화가 교차하는 지역이며, 현재는 여러 국가의 영토로 구성되어 있다. - 아르메니아의 산맥 - 말리캅카스산맥
말리캅카스산맥은 조지아,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의 국경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과거에는 안티카우카수스로 불렸으나 현재는 소(小) 코카서스라는 명칭으로 널리 사용되며, 최고봉은 아르메니아의 아라가츠 산(4,090m)이다.
아르메니아고원 | |
---|---|
개요 | |
![]() | |
위치 | 서아시아 |
국가 |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 터키 |
지리 | |
최고봉 | 아라라트산 |
최고봉 위치 | 터키 |
해발고도 | 5137m |
좌표 | 39.7019° N, 44.2983° E |
면적 | 400,000km² |
![]() | |
지질학적 특징 | |
지질 시대 | 불명 |
산맥 좌표 | 39°17′01″N 43°22′19″E |
역사 및 민족 | |
민족 | 아르메니아인 |
언어 | 아르메니아어 |
역사적 위치 | 동부 아나톨리아, 코카서스산맥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Haykakan leṙnašxarh |
터키어 이름 | Ermenistan Yaylası |
2. 지리
아르메니아 고원은 알파인 벨트의 일부이며, 폰토스 산맥에서 말레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유라시아 산맥의 일부를 형성한다. 역사적으로 활발한 화산 활동의 무대였으며,[15]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다.[17]
토마스 A. 싱클레어는 ''이슬람 백과사전'' 제3판에서 오늘날 터키의 상당 부분, 현재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전체 영토, 동쪽에 인접한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에 속한 지역, 그리고 현대 이란의 북서쪽 모퉁이를 차지한다고 하였다.[8]
브리태니커 온라인에 따르면 아르메니아 고원의 대부분은 현재 동부 아나톨리아에 있으며, 북서부 이란, 아르메니아 전체, 남부 조지아, 서부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한다.[14] 그 북동부 지역은 소 코카서스 산맥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르메니아 문화의 중심지이다.[20]
2. 1. 지형

아르메니아 고원은 알파인 벨트의 일부이며, 폰토스 산맥에서 말레이 반도까지 뻗어 있는 유라시아 산맥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체 면적은 약 400000km2이다.[14]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 고원은 활발한 화산 활동의 무대였으며,[15] 이 지역의 지질학적으로 최근의 화산 활동은 거대한 화산 지형을 초래했다. 일련의 산괴와 구조 운동은 세반 호, 반 호, 우르미아 호 등 고원의 3대 호수를 형성했다.[16] 아르메니아 고원은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다.[17]
서아르메니아를 가로질러 서쪽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아르메니아 고원 능선의 중앙 주 축선은 안티타우루스 산맥이라고 불린다.[18] 서쪽에서 안티타우루스 산맥은 중앙(킬리키아) 타우루스 산맥에서 북쪽으로 분기되어 아르메니아 고원의 정중앙을 지나 동(아르메니아) 타우루스 산맥과 나란히 뻗어 있으며, 동쪽에서는 아라라트 산에서 끝난다.[19]
서쪽에는 에게 해의 저지대 해안에서 서서히 솟아올라 카파도키아 동쪽에서 아르메니아 고원과 합류하는 아나톨리아 고원이 있다. 코카서스 산맥은 아르메니아 고원의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쿠라 강이 쿠라-아라스 저지대에서 그 동쪽 경계를 형성한다. 남동쪽에는 이란 고원이 있으며, 해발 약 약 609.60m에서 약 1524.00m로 급격히 낮아진다.[2] 남서쪽에는 메소포타미아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가 있다.
2. 2. 주요 봉우리
순위 | 산 | 고도 | 위치 |
---|---|---|---|
1 | 아라라트산 | 5137m | 튀르키예 아으르 주 |
2 | 질로 산 | 4135m | 튀르키예 하카리 주 |
3 | 아라가츠산 | 4090m | 아르메니아 아라가초튼 주 |
4 | 쉬판 산 | 4058m | 튀르키예 비틀리스 주 |
5 | 카푸트주흐산 | 3906m | |
6 | 아즈다하크 산 | 3597m | 아르메니아 게가르쿠니크 주 |
7 | 트라사르산 | 3594m | 아르메니아 쉬니크 주 |
8 | 아르토스산 | 3515m | 튀르키예 반 주 |
9 | 문주르 산맥 | 3463m | 튀르키예 툰젤리 주 |
2. 3. 수자원
아르메니아 고원은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다.[17] 구조 운동에 의해 세반호, 반 호, 우르미아 호와 같은 고원의 3대 호수가 형성되었다.[16] 산성 온천수는 요양의 효능이 있다고 여겨지며, Jermuk영어과 Arzni영어에서는 용수를 이용한 리조트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39]2. 4. 식생
살구는 로마인들에게 'prunus armenicus'(아르메니아 자두)로 알려졌으며,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유럽으로 전해졌다.[2] 오늘날 아르메니아 고원은 거의 숲이 없지만, 고대에 녹음이 우거졌던 모습은 폰토스 산맥이나 쿠르드 산지 등에 남아 있다.[43] 분지부에는 스텝과 반사막성 식생이 보이며, 강가에는 초원과 관목 덤불도 펼쳐져 있다.[43]산록부의 오아시스는 목화나 담배 재배에 적합하며, 엘레부니 자연보호구역에는 밀과 다른 재배 식물이 야생화된 식생이 보인다.[43] 습윤한 바람이 부는 산비탈에서는 소나무나 참나무 숲이 우세하며, 그 외 지역은 가시나무와 노간주나무속 덤불과 암반이 산재한다.[43] 갈색 토양이나 염생 습지에는 피스타치오, 팽나무, 선인장류와 같은 건조성 아열대형 숲도 확인된다.[43]
3. 역사
아르메니아 고원은 기원전 4000년부터 기원전 1000년까지 구리, 청동, 철로 만든 도구와 장신구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교역된 지역이다. 철기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철기 시대 야금술이 기원전 2천 년대 후반에 처음 등장한 곳으로, "철기 시대의 진원지"라고 불리기도 한다.[22] 길가메시 서사시에 등장하는 아라타는 아르메니아 고원을 묘사하는 지리적 공간에 위치해 있으며, 에덴 동산이 있던 곳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23]
고대사 시대 아르메니아 고원 거주자들은 민족적으로 다양했지만,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는 아르메니아어 사용자들이 두각을 나타냈다.[9]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르메니아 고원의 원주민이며, 기원전 3천 년대에서 기원전 2천 년대 사이에 상당한 유전자 혼합을 겪은 후 기원전 12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뚜렷한 유전자 고립군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유전자 혼합 시기는 기원전 2492년 아르메니아의 전설적인 건국과 일치한다.[11] 이 지역의 살구는 로마인에 의해 prunus armenicusla (아르메니아의 자두)라고 불리며, 유럽으로 수출되는 특산품이었다.[32]
1040년대 셀주크 튀르크가 처음 아르메니아 고원에 도착한 이후, 서쪽으로 확장하여 영토를 정복하고 정착했으며, 1299년 오스만 제국을 선포했다.[24]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셀주크의 승리는 이 지역 지배력을 강화했다. 13세기 초에는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칼루크와 호라즘 민족이 이주해왔다. 몽골은 1235년에 고원에 도달하여 아바스 왕조, 사산 왕조, 셀주크의 후계자로 여겨졌으며, 결국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에 왕조를 세웠다.[26] 1410년에는 카라 코윤루가, 1468년에는 아크 코윤루 튀르크가 이 지역을 지배했다. 사파비 왕조가 아르메니아를 이란의 지배하에 두었던 1502년까지 아크 코윤루의 통치가 지속되었다. 오스만 튀르크는 1514년 찰디란 전투에서 사파비 왕조를 패배시킨 후 고원을 지배하게 되었고, 쿠르드족 부족민을 지역 행정에 임명했다. 1516년까지 오스만 제국은 킬리키아를 포함한 모든 아르메니아 영토를 침략했다.[27][28]
근대 초기부터 이 지역은 사파비 이란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다. 이란의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 사이의 수 세기 동안 격렬한 분쟁과 수많은 전쟁이 벌어졌다. 서아르메니아는 오스만-사파비 전쟁 (1623-39)과 주하브 조약 이후 17세기 전반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최종 정복되었고,[29] 동아르메니아는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양도될 때까지 이란의 지배하에 있었다.[49]
19세기 전반, 오스만 제국령 서아르메니아를 포함한 아르메니아 고원은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경계 지역이었다. 러시아는 2세기 이상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통해 카자르 왕조 이란에 맞서 코카서스와 동아르메니아를 정복했다.[30] 19세기 후반, 아르메니아 고원은 네 차례에 걸친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결과 가자르 왕조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넘어갔으며,[49] 카스피해에서 아라라트 평야를 거쳐 흑해로 이어지는 육상 무역로의 요충지였다.[39]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 내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이 발생했으며, 서아르메니아는 "동아나톨리아"로 이름이 바뀌었다.[31] 역사가 Richard G. Hovannisian|리처드 G. 호바니시안영어은 "동아나톨리아"라는 지역명이 학살의 은폐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5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 분할 과정에서 아르메니아 고원은 터키, 이란, 소련의 경계 지역이 되었으며, 1991년 소련 해체 이후에는 아르메니아, 조지아 일부, 아제르바이잔의 일부가 되었다.[23]
3. 1. 고대
기원전 4000년부터 1000년까지 아르메니아고원에서는 구리, 청동, 철로 만든 도구와 장신구가 흔하게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금속이 부족한 주변 지역과 교역하였다. 이곳은 전통적으로 에덴 동산이 있던 곳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아르메니아 고원은 철기 시대 야금술이 기원전 2천 년대 후반에 처음 등장한 지역이기 때문에 "철기 시대의 진원지"라고 불려왔다.[22] 초기 철기 시대에는 반 왕국이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으나, 메디아와 오론티드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아라타는 아르메니아 고원을 묘사하는 지리적 공간에 위치해 있다.[23] 고대사 시대에 고원에 거주하는 인구는 민족적으로 다양했지만,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는 아르메니아어 사용자들이 두각을 나타냈다.[9]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르메니아 고원의 원주민이며, 이 지역에서 뚜렷한 유전자 고립군을 형성하고 있다. 기원전 3천 년대에서 기원전 2천 년대 사이에 아르메니아인들에게 상당한 유전자 혼합의 징후가 나타나는데, 이 혼합 시기는 기원전 2492년 아르메니아의 전설적인 건국과 일치하며,[11] 기원전 1200년 이후에는 미미한 수준으로 줄어들어 오늘날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에서 채취되는 살구는 로마인에 의해 ''prunus armenicus''la (아르메니아의 자두)라고 불렸으며, 유럽으로도 수출되는 특산품이었다.[32]
3. 2. 중세: 튀르크족의 정복
셀주크 튀르크는 1040년대에 처음 아르메니아 고원에 도착하여 서쪽으로 확장하여 영토를 정복하고 반도에 정착했으며, 마침내 1299년에 오스만 제국이 선포되었다.[24] 셀주크의 만지케르트 전투 승리는 이 지역에서 그들의 지배력을 강화했다. 아르메니아 공국의 루벤 1세는 일부 아르메니아인을 고원에서 이끌고 킬리키아 산맥으로 탈출하여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세웠다.[25]13세기 초, 다양한 민족이 진격하는 몽골의 맹공격에서 도망치면서, 고원에는 칼루크와 호라즘 민족의 이주가 있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구별하지 않은 몽골은 1235년에 고원에 도달했다. 그들의 도착으로 아르메니아는 비잔틴-사산 전쟁 동안 영토가 분할된 이후 처음으로 "동방"의 일부가 되었다. 아바스 왕조, 사산 왕조, 셀주크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몽골은 결국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에 왕조를 세웠다.[26]
1410년에는 카라 코윤루가 이 지역을 지배했으며, 1468년까지 통치했다. 카라 코윤루 튀르크의 유목 문화는 아르메니아의 농업 관행을 훼손했다. 1468년, 아크 코윤루 튀르크가 권력을 잡았으며, 그들의 통치는 사파비 왕조가 아르메니아를 이란의 지배하에 두었던 1502년까지 지속되었다. 오스만 튀르크는 오스만 제국 내 아르메니아인에게 ''밀레트'' 지위가 부여된 지 수십 년이 지난 1514년까지 고원 지역을 장악하지 못했다. 찰디란 전투에서 사파비 왕조가 패배한 후, 고원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그들은 쿠르드족 부족민을 고원의 지역 행정 업무를 통치하도록 임명했다. 1516년까지 오스만 제국은 킬리키아를 포함한 모든 아르메니아 영토를 침략했다.[27][28]
3. 3. 근세
근대 초기부터 이 지역은 사파비 이란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다. 이란의 사파비 왕조와 그들의 숙적인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수 세기 동안 격렬하게 분쟁이 벌어졌으며, 수많은 전쟁이 이 지역에서 일어났다. 서아르메니아를 구성하는 고원의 광대한 지역은 오스만-사파비 전쟁 (1623-39)과 그 결과인 주하브 조약 이후 17세기 전반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최종적으로 정복되었다.[29] 고원의 다른 주요 부분인 동아르메니아는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까지 이란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이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양도되었다.[49]3. 4. 근현대
19세기 전반, 오스만 제국령 서아르메니아를 포함한 아르메니아 고원은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경계 지역이었다. 이는 러시아가 2세기 이상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통해 카자르 왕조 이란에 맞서 코카서스와 동아르메니아를 정복한 결과였다.[30]19세기 후반, 아르메니아 고원은 네 차례에 걸친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결과 가자르 왕조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넘어갔다.[49] 이곳은 카스피해에서 아라라트 평야를 거쳐 흑해로 이어지는 육상 무역로의 요충지였다.[39]
3. 4. 1. 20세기: 아르메니아인 학살과 그 이후
아르메니아 대량 학살과 오스만 제국의 붕괴 이후 아르메니아 고원은 대규모 인구 변화를 겪었으며, 서아르메니아는 "동아나톨리아"로 이름이 바뀌었다.[31]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 내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이 발생했는데, 역사가 Richard G. Hovannisian|리처드 G. 호바니시안영어은 "동아나톨리아"라는 지역명이 학살의 은폐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50]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 분할 과정에서 아르메니아 고원은 터키, 이란, 소련의 경계 지역이 되었으며, 1991년 소련 해체 이후에는 아르메니아, 조지아 일부, 아제르바이잔의 일부가 되었다.[23]
참조
[1]
opentopomap
Ağrı Dağı
2023-06-15
[2]
서적
The Geography of Armenia
St. Martin's Press
[3]
EB1911
Caucasus
[4]
서적
A Bird's-eye View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Ticknor
1892
[5]
웹사이트
Armenian Rarities Collection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3-03-27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rme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7]
서적
Early Hellenistic coinage : from the accession of Alexander to the Peace of Apamea (336-188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EI3
Armenia (topography)
https://referencewor[...]
[9]
encyclopaedia
The Oxford Dictionary of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journal
AN ADMIXTURE SIGNAL IN ARMENIANS AROUND THE END OF THE BRONZE AGE REVEALS WIDESPREAD POPULATION MOVEMENT ACROSS THE MIDDLE EAST
https://www.biorxiv.[...]
2020-06-24
[11]
journal
Genetic evidence for an origin of the Armenians from Bronze Age mixing of multiple populations
2015-10-21
[12]
journal
Seeing like a nation-state: Young Turk social engineering in Eastern Turkey, 1913–50
Routledge
2008-06
[1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Armenian Highland | Historic Regi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5]
문서
Volcanoes, their structure and significance
[16]
간행물
Emerald Network Pilot Project in Armen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9-05-28
[17]
문서
Der Völkermord an den Armeniern
[18]
서적
The geography of Strabo
https://archive.org/[...]
H. G. Bohn
[19]
문서
https://allinnet.inf[...]
[2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1-09-20
[21]
문서
Mesopotamian Trade
[22]
서적
Armenia: Cradle of Civilization
George Allen & Unwin
[23]
문서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24]
서적
Post-Soviet Armenia: The New National Elite and the New National Narra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1-01
[25]
문서
The Cilician Kingdom of Armenia
Scottish Academic Press
[26]
서적
Armenia during the Seljuk and Mongol Periods
St. Martin's Press
[2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rme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5-13
[28]
서적
Conflict and Security in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4-12-26
[29]
서적
Armenia: with Nagorno Karabagh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4-09
[30]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31]
문서
The Armenian Genocide: Cultural and Ethical Legacies
[32]
서적
The Geography of Armenia
St. Martin's Press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rme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4]
서적
Early Hellenistic Coinage from the Accession of Alexander to the Peace of Apamaea (336-188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Armenian Highland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9-27
[36]
서적
Volcanoes, their structure and significance
1912
[37]
간행물
Emerald Network Pilot Project in Armenia
http://www.coe.int/t[...]
欧州評議会|Council of Europe
[38]
서적
Der Völkermord an den Armeniern
2005
[39]
웹사이트
Древнейшие племена, народности и Государства Армянского Нагорья
http://www.istorya.r[...]
История.ру
2015-09-27
[40]
웹사이트
Армянское нагорье
http://bse.sci-lib.c[...]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015-09-27
[41]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42]
서적
Армянское нагорье / География. Современная иллюстрирова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Росмэн
2006
[43]
웹사이트
Армянское нагорье и Закавказье
http://www.ecosystem[...]
Эк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Экосистема"
2015-09-27
[44]
문서
Mesopotamian Trade
[45]
서적
Armenia: Cradle of Civilization
George Allen & Unwin
1970
[46]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2009
[47]
서적
Conflict and Security in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ABC-CLIO
[48]
서적
Armenia: with Nagorno Karabagh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Press
[49]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50]
서적
The Armenian Genocide: Cultural and Ethical Legacies
2011
[51]
웹사이트
아르메니아 고지대
http://www.britannic[...]
[52]
서적
Introduction to Archaeology
19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