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카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카르인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카라차이인과 언어적, 문화적으로 유사하며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의 쿠미크인과도 관련이 있다. 발카르인의 기원은 훈족, 불가르인 등 다양한 민족의 혼합으로 추정되며, 13세기 몽골 제국 침략 이전에는 알란인의 민족 연합에 속해 있었다. 18세기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19세기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944년에는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다가 1957년에 귀환했다. 발카르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러시아어와 함께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카바르다인
카바르다인은 세계에서 가장 큰 체르케스족 집단으로 여러 국가에 거주하며 각국의 체르케스인 공동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를 믿었으나 현재는 수니파 무슬림이 대다수이며, 정치,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튀르크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튀르크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발카르인 | |
---|---|
일반 정보 | |
![]() | |
![]() | |
인구 | 약 135,000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러시아 내 인구 | 125,044명 (2021년) |
카자흐스탄 내 인구 | 1,798명 (2009년) |
종교 | 주로 수니 이슬람 |
언어 | 카라차이-발카르어(발카르 방언) 카바르디어 러시아어 |
관련 민족 | 카라차이인 쿠미크인 북캅카스 민족 |
자칭 |
2. 정체성
현대 발카르인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카라차이인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며 다게스탄의 쿠미크인과도 언어적으로 강한 유사성을 보인다.[3] 때때로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은 하나의 민족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발카르인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훈족, 하자르, 불가르인, 알란인, 킵차크(쿠만), 체코인, 타타르인 등 여러 민족으로부터 갈라져 나왔다는 다양한 가설이 있다. 최근 학자들은 발카르인이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알란인과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 특히 흑불가르인과 서킵차크 등 다양한 문화의 복합 집단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발카르인의 문화는 근동, 지중해 세계, 카프카스, 러시아의 문화와 관련이 있다. 13세기 이전, 즉 몽골 제국 성립 이전에는 알란인의 민족 연합에 속해 있었으나, 몽골 제국의 침략 과정에서 중앙 카프카스의 계곡으로 후퇴했다.
발카르인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훈족, 하자르, 불가르인, 알란인, 킵차크(쿠만), 체코인, 타타르인 등 여러 민족으로부터 갈라져 나왔다는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최근 학자들은 그들의 기원에 대해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알란인과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 특히 흑불가르인과 서킵차크 등 다양한 문화의 복합 집단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발카르인의 문화는 근동, 지중해 세계, 카프카스, 러시아의 문화와 관련이 있다. 몽골 제국 성립 이전인 13세기 이전 발카르인은 알란인의 민족 연합의 일부에 속해 있었으나, 몽골 제국의 침략 과정에서 중앙 카프카스의 계곡으로 후퇴했다.
전승에 따르면, 발카르인은 원래 발카르 계곡의 분지에 살았으며, 거기서 사냥꾼 마르칼이 성공을 거두고, 그의 종 미사카와 마자르인 바시아트가 그를 따랐다. 이 계곡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세기에 기록된 조지아 남오세티아 공화국 츠힌발리에 있는 성모 승천 교회의 금십자가에 새겨진 비문으로, 바시아니안 문자가 보인다. 보다 최근에는 러시아에서 바시안이나 발잘 등으로 기록된 증거가 발견되었다.
3. 역사
전승에 따르면, 발카르인은 원래 발카르 계곡의 분지에 살았으며, 그곳에서 사냥꾼 마르칼이 성공을 거두고, 그의 종 미사카와 마자르인 바시아트가 그를 따랐다고 한다. 이 계곡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세기에 기록된 조지아 남오세티아 공화국 츠힌발리에 있는 성모 승천 교회의 금십자가에 새겨진 비문으로, 바시아니안 문자가 보인다.
티무르가 엘브루스 산을 넘어 침입했다는 전설과 연대기가 전해진다. 발카르인은 16세기, 17세기 서유럽과 터키의 연대기에도 등장하며,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카바르드인과 함께 조지아인, 러시아인과의 관계가 설명되었다.
1827년 발카르인은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들의 전통은 인질 상태에 놓였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일부 발카르인은 터키와 시리아로 이주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1920년 소비에트 연방이 성립되자 발카르인은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가 되어 카바르디노발카리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1944년 초, 요시프 스탈린은 발카르인이 나치 독일과 협력했다는 이유로 전체 인구를 중앙아시아, 특히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후 1957년 명칭이 복원됨과 동시에 많은 발카르인이 귀환했다.
3. 1. 민족 형성
쿠브라트 칸이 통치했던 고대 불가리아에 거주했던 불가르인과 11세기 알라니아를 침입한 킵차크 투르크인, 그리고 그들의 쿠만 동맹군의 영향으로 발카르인의 민족 형성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4] 알라니아의 수도는 마가스였는데, 일부 학자들은 마가스가 현재 카라차이-발카르인이 거주하는 산악 지대인 아르히즈에 위치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현재의 인구셰티야 또는 북오세티야에 위치한다고 주장한다.
타브쿨(Tavkul, 2015)은 불가르인과 킵차크인 등의 기여를 인정하면서도, 발카르-카라차이인을 포함한 카프카스 지역 여러 민족들의 민족 형성은 외부가 아닌 카프카스 내부에서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4]
14세기, 티무르에 의해 알라니아가 멸망하면서 많은 알란인, 쿠만인, 킵차크인들이 서쪽 유럽으로 이주했다. 남은 알란인 대부분은 남쪽 산 속 깊숙이 도망쳤다. 티무르의 북카프카스 침입은 남아 있던 사람들에게 이슬람교를 전파하고 혼혈과 민족 형성 과정을 가져왔다.
전승에 따르면, 발카르인은 원래 발카르 계곡의 분지에 살았으며, 그곳에서 사냥꾼 마르칼이 성공을 거두고, 그의 종 미사카와 마자르인 바시아트가 그를 따랐다고 한다. 이 계곡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세기에 기록된 조지아 남오세티아 공화국 츠힌발리에 있는 성모 승천 교회의 금십자가에 새겨진 비문으로, 바시아니안 문자가 보인다.
티무르가 엘브루스 산을 넘어 침입했다는 전설과 연대기가 전해진다. 또한 발카르인은 16세기, 17세기 서유럽과 터키의 연대기에도 등장하며,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카바르드인과 함께 조지아인, 러시아인과의 관계가 설명되었다.
3. 2. 카프카스 전쟁 (19세기)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은 고대부터 카바르딘인의 반란을 도왔다.[8] 1804년 5월 9일 체게마 강에서 카바르다 봉기 당시 카라차이인과 발카르인이 지원에 나섰고, 글라제납 중장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에게 전투가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지속되었다고 보고했다.[8]
1810년 카바르다에서 발생한 봉기에서도 발카르인들은 도움을 주었다. 불가코프 장군은 체렉 강 진영에서 2천 명이 넘는 기병과 보병으로 구성된 무장 집단이 발카르인들의 도움으로 산기슭 협곡에 틀어막혀 있다고 보고했다.
1822년 6월, 알렉세이 예르몰로프는 카라차이인들의 강도 행위에 대해 언급했다.[9] 1828년, 네즐롭나야 마을에는 도망친 카바르딘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등이 모였고, 고지대 주민 부대가 제국군과 전투를 벌였다. 조르지 에마뉘엘은 보고서에서 산악인들이 포병을 공격하는 등 격렬하게 싸웠다고 기록했다.[10]
같은 해 조르지 에마뉘엘은 카라차이 원정을 감행했다. 10월 1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 원정에는 15문의 대포와 3천 명이 넘는 전투병력이 투입되었다. 최종 전투는 10월 20일 카르트-주르트 마을 근처에서 벌어졌으며, 러시아 제국의 사상자는 공식 자료에 따르면 262명, 비공식 자료에는 최대 800명이었다.[11][12]
전투 후, 카라차이인들은 인질을 제공하고 제국의 조건을 받아들였다.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러시아에 대한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카바르딘인 등의 죄인들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러시아 왕위에 충성하고 훔친 것을 돌려준다.
2. 네 가문에서 인질을 제공한다.
3. 러시아 침략을 위해 체르케스 군대가 통과할 경우, 막을 수 없는 경우에는 알리고, 막을 수 있는 자들에게는 책임을 진다.
4. 러시아 황제의 신민 중 무슬림과의 주장은 관습과 샤리아를 따르도록 한다.
5. 교환과 무역을 위해 교역소를 설립하고, 러시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락한다.
1830년에서 1831년 사이에 체르케스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아바자인 사이에 서로 돕기로 하는 협정이 체결되었고, 세페르 베이 자노코가 대표로 선출되었다. 제임스 벨은 1837년에 체르케스인들이 러시아에 대한 전쟁을 계속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카라차이-발카르인들은 1833년까지 쿠반 체르케스인들을 지원했고, 1828년에 받아들여진 인질들은 1833년에 군사 칸토니스트들에게 보내졌다. 카라차이인들은 미네랄니예 보디와 카바르다 주변 지역의 평화 유지에 기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시 복종을 표명하면 이전 인질을 돌려주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그들은 다음을 약속했다.
1. 장로와 자유민 중에서 한 명의 인질을 제공한다.
2. 카바르딘인 왕자를 집행관으로 받아들인다.
3. 적대적인 산악인들과의 관계를 중단하고, 코카서스 산맥 꼭대기에서 쿠반의 돌다리 근처인 모르지신 강까지 경계병을 배치한다.
4. 약탈 부대가 마르지시나 강 아래로 돌파할 경우, 군사 당국은 카라차이 집행관에게 알리고 러시아군을 지원한다.
카라차이인들은 쿠반을 건너 약탈 부대가 카바르다에서 가축을 훔치고 소년을 납치했을 때, 추격에 나서 전리품을 되찾아 돌려주었다.[13]
1836년, 영국 관리 에드먼드 스펜서 블랙번은 체르케스인들이 카라차이로부터 화약을 구입한다고 기록했다.[14] 1837년, 제임스 벨 (모험가)은 샤프수그인들이 쿠반 상류의 카라차이라는 지역에서 총을 배달받는다고 기록했다.[15]
1855년, 카라차이인들은 대부분 체르케스의 이맘 무하마드 아민을 지지하고 그의 군대에 합류했지만,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1851년 봄, 무하마드-아민의 권력은 흑해 샤프수그인들에 의해 전복되었고, 같은 해 여름 나투하이인 주민들과 큰 샤프수그인들이 나이브에 반대했다. 테미르고이인들은 나이브의 권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1855년 8월, 하사우카 지역에서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쿠반 외곽 아디게인, 노가이인, 아바진 및 차르 군대의 연합 무장 부대와 코즐롭스키 장군이 지휘하는 러시아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러시아군이 승리하고 나이브 무하마드-아민은 쿠반 외곽으로 이동했으며, 카라차이에는 20000RUB의 벌금이 부과되었다.[17]
1857년부터 1859년까지 체르케스인들 사이에서 살았던 테오필루스 라핀스키는 코카서스의 사람들을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카프카스 전쟁과 체르케스인 학살 후 약 10,000~15,756명의 카라차이인과 발카르인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3. 3. 강제 이주 (1944년)
1944년, 소비에트 정부는 거의 모든 발카르인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그리고 시베리아 옴스크주로 강제 이주시켰다. 1944년 3월 8일에 시작하여 다음 날에 끝난 이 강제 이주에서, NKVD는 14개의 열차 편성에 37,713명의 발카르인을 태워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로 보냈다. 스탈린 정권은 강제 이주된 발카르인들을 러시아인 독일인, 칼미크인, 카라차이인, 체첸인, 인구시인에게 부과되었던 것과 동일한 특별 정착 제한 조치 하에 두었다.[19] 1946년 10월까지 영양실조와 질병으로 인한 사망으로 발카르 인구는 32,817명으로 감소했다. 발카르인들은 1956년 4월 28일까지 특별 정착 제한 조치에 따라 거주지가 제한되었다. 그러나 그들이 코카서스의 산악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던 것은 1957년이 되어서였다. 1957년과 1958년에 34,749명의 발카르인이 고향으로 돌아왔다.[19]
4. 언어
발카르인들이 사용하는 키릴 문자에는 8개의 모음과 27개의 자음이 있다. 과거 종교 의식에는 아랍어가, 사업에는 터키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1920년부터 발카르어가 초등학교 교육 언어가 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러시아어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1928년까지 발카르어를 아랍 문자로 표기했으며, 1937년 이후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인구의 96%는 발카르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 발카르어와 러시아어로 된 대중매체, 중등 교육 교재, 신문, 잡지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이중 언어 사용자 수는 1.3% 증가하여 인구의 97.3%가 발카르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구사하게 되었다. 이는 도시 지역의 세계화와 러시아 교육의 영향 때문이며, 아이들이 러시아어 교육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카이스인 쿨리예프는 발카리아 땅과 전통에 대한 애정을 강조한 발카르 작가의 한 예이다.[1]
5. 저명한 발카르인
- 카즈무라트 아카예프(Khadzhimurat Akkaev), 역도 선수
- 아스케르 자푸예프(Asker Dzhappuyev), 지하디스트 지도자
- 무슬림 아타예프(Muslim Atayev), 지하디스트 지도자
- 야히야-하지 장구라조프(Yahya-Hadji Zhangurazov), 아브렉 (아브렉은 체첸과 다게스탄 지역에서 활동한 반란군 지도자를 의미하는 러시아어)
- 알림 쿨리예프(Alim Kouliev), 배우, 연극 연출가
- 아자마트 쿨리예프(Azamat Kuliev), 예술가
- 카이신 쿨리예프(Kaisyn Kuliev), 시인
- 알리한 샤바예프(Alikhan Shavayev), 축구 선수
- 이스마일 무수카예프(Ismail Musukaev), 레슬링 선수
- 알베르트 투메노프(Albert Tumenov), 프로 종합격투기 선수
- 비베르트 투메노프(Bibert Tumenov), 프로 종합격투기 선수
- 하룬 보지예프(Kharun Boziev), 프로 권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of 2021
https://view.officea[...]
[2]
서적
Turks and Khazars: Origins, Institutions, and Interactions in Pre-Mongol Eurasia
[3]
문서
Процесс и этапы формирования карачаево-балкарского этноса и развитие этнической и религиозной идентичности.
[4]
서적
Karachay-Balkar folksongs
https://core.ac.uk/d[...]
L'Harmattan
2015
[5]
문서
Народы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вказа и Дагестана: этнополитические аспекты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XVI-XVIII вв.)
[6]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Muslims of the Soviet Empire: A Guid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86
[8]
서적
Acts collected by the Caucasian Archaeographic Commission: Volume II
https://runivers.ru/[...]
Main Directorate of the Viceroy of the Caucasus
1868
[9]
서적
E.V. Service of an artillery officer brought up in the 1st cadet corps
https://www.vostlit.[...]
1815
[10]
웹사이트
All-in-all report of Gen.-L. Emmanuel, from June 10, 1828. - Goryachevodsk
http://apsnyteka.org[...]
[11]
문서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losses of Caucasian troops during the wars of the Caucasus-Mountain, Persian, Turkish and the Trans-Caspian Territory. 1801-1885
[12]
뉴스
Caucasus newspaper
1869-06-18
[13]
서적
REPORT OF THE COMMANDER OF THE SEPARATE CAUCASIAN CORPS OF THE CITY OF C ROSEN TO THE MINISTER OF WAR A. I. CHERNYSHEV ABOUT THE NEGOTIATIONS OF PRINCE I. C SHAKHOVSKY AND KARACHAYS ABOUT THE RESUMPTION OF THE OATH OF ALLEGIANCE TO RUSSIA
https://constitution[...]
1834-09-24
[14]
서적
DESCRIPTION OF TRIPS IN THE WESTERN CAUCASUS IN 1836
http://apsnyteka.org[...]
K. A. Malbakhov
[15]
서적
Journal of a residence in Circassia during the years 1837, 1838, and 1839
https://archive.org/[...]
[16]
간행물
Notes of an old Cossack
1873-02
[17]
저널
PEOPLE'S LIBERATION STRUGGLE IN THE NORTH-WESTERN CAUCASUS UNDER THE LEADERSHIP OF MUHAMMED-AMIN IN THE 50S. XIX CENTURY
https://cyberleninka[...]
2017
[18]
서적
Mountaineers of the Caucasus and their liberation struggle against the Russians
https://www.etno-cir[...]
M. Kotlyarov
[19]
서적
Iosif Stalin - Lavrentiiu Berii: "Ikh nado deportirovat;": Dokumenty, fakty, kommentarii
"Druzhba narodov"
[20]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02: Population by ethnicity
http://demoscope.ru/[...]
[2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02: Population by ethnicity
http://demoscope.ru/[...]
[22]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data All-Ukrainian census of the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12-01-17
[23]
서적
Iosif Stalin - Lavrentiiu Berii: "Ikh nado deportirovat;": Dokumenty, fakty, kommentarii
"Druzhba narodov"
[24]
서적
Iosif Stalin - Lavrentiiu Berii: "Ikh nado deportirovat;": Dokumenty, fakty, kommentarii
"Druzhba narod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