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랴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랴크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코라크'라는 순록을 의미하는 추코트카-캄차달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린다. 코랴크인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인류학자들은 베링 해협을 통해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대륙을 연결되었을 때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17세기 러시아의 코사크 침략과 천연두 유행으로 인구가 감소했으나, 소련 시대에 코랴크 자치구가 형성되었다가 2007년 캄차카 지방에 통합되었다. 전통적으로 순록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돔 형태의 텐트인 야랑가에서 거주한다.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Y염색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유전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랴크인 - 코랴크어
    코랴크어는 차브추벤, 님일란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로 표기하며, 전설, 중설, 후설 모음과 순음, 치경음 등의 자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캄차카 변경주 - 캄차카 시간
    캄차카 시간은 러시아의 시간대 중 하나로, 캄차카 지방과 추코트카 자치구에 적용되며, 2014년 부활 이후 UTC+12를 사용한다.
  • 캄차카 변경주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캄차카반도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캄차카반도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캄차카반도 남동부 아바차 만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캄차카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서, 군사 및 어업 기지 역할과 캄차카 화산군 중심의 관광 산업이 발전한 곳이다.
코랴크인
기본 정보
새 불을 피우는 코랴크 의식
새 불을 피우는 코랴크 의식 (1905년)
러시아어 명칭коряки
영어 명칭Koryak, Koriak
인구 통계
총 인구 (2021년)7,554명
러시아 (2021년)7,485명
우크라이나 (2001년)69명
언어
사용 언어러시아어, 코랴크어
종교
종교주로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
관련 민족
관련 민족다른 축치-캄차카 민족

2. 어원

'코랴크'라는 이름은 이웃한 추코트카-캄차달어족에서 '순록(코르)'을 의미하는 타칭어 '코라크'에서 유래되었다.[4][7] 이 명칭은 1695년 차르를 위해 캄차카를 정복한 러시아 코사크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의 기록에 처음 나타나며,[4] 이후 러시아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면서 널리 퍼졌다.[7] 러시아 탐험가 스테판 크라셰닌니코프가 1775년에 '코랴크'라는 단어를 처음 기록하였다.[7]

3. 기원

인류학자들은 후기 홍적세 동안 육교가 유라시아북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주민들이 오늘날 코랴크인의 땅을 거쳐 북아메리카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있다. 과학자들은 최후 빙하기가 물러나기 전에 이 지역과 하이다 과이 사이를 사람들이 왕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들은 코랴크인의 조상이 이 시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시베리아 아시아로 돌아왔다고 이론화한다.[9] 니브흐족과 코랴크인 사이에는 문화적, 언어적 유사성이 존재한다. 고대 오호츠크인과의 관련성도 지적되고 있다.[10]

4. 역사

코랴크 샤먼 여성(1900년경)


코랴크인은 한때 러시아 극동 지역의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점유했다. 그들의 겹치는 경계는 하바롭스크 지방의 니브흐 지역까지 뻗어 있었으나, 에벤족이 도착하면서 현재의 지역으로 밀려났다.[9] 1769~1770년의 천연두 유행과 러시아 코사크와의 전쟁으로 인해 코랴크인의 인구는 1700년 10,000~11,000명에서 1800년 4,800명으로 감소했다.[5]

소련 치하에서 1931년에 코랴크 자치구가 형성되었으며, 코랴크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5년 지역 주민 투표를 통해 2007년 7월 1일부터 캄차카 지방과 통합되었다.[8] 7세기경 북동아시아에 존재했던 류큐국의 백성이 640년당나라에 조공했을 때, "자신들이 사는 곳보다 북쪽으로 한 달 거리의 곳에 야차라는 나라가 있다"고 전했는데, 이 "야차"가 고대 코랴크인이라는 견해가 있다.[10]

5. 문화

코랴크인들이 전통적으로 착용한 판갑 (1900년경)


코랴크인의 문화는 순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순록은 이들의 주요 식량원이었을 뿐만 아니라, 의복, 도구, 주거 등 생활 전반에 걸쳐 활용되었다.

5. 1. 사회

코랴크인의 사회는 6~7명 정도의 가족이 모여 밴드 사회를 이루는 형태로, 명목상의 족장이 있었지만 지배적인 권위를 갖지는 않았다. 이들은 합의를 통해 의사를 결정하는 평등주의적인 사회였다.

내륙 지역 사람들의 삶은 주된 식량원인 순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순록은 식량뿐만 아니라 바느질 재료, 옷, 도구, 무기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고기는 주로 구이로 먹었고, , 골수, 우유는 날것으로 섭취했다. , 심장, 신장, 는 별미로 여겨졌다. 연어와 다른 민물고기, 열매, 뿌리 등은 순록 고기만으로는 섭취하기 어려운 비타민, 무기질, 식이 섬유를 보충해주는 중요한 식량원이었다.

오늘날 코랴크인들은 , 시리얼, 통조림 생선과 같은 가공식품도 구매한다. 이들은 돈을 벌기 위해 매년 일부 순록을 판매하기도 하지만, 순록의 개체 수가 많아 가축을 늘리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다.

코랴크 여성의 코트


전통적으로 코랴크인의 의류는 순록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남녀 모두 으로 만든 옷을 입는 경우가 많다. 남성들은 헐렁한 바지와 가죽 셔츠를 입었는데, 셔츠에는 종종 후드가 달려 있었다. 또한 순록 가죽으로 만든 부츠와 전통적인 모자를 착용했다. 여성들은 남성과 같은 옷을 입었지만,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더 긴 셔츠를 입었다. 오늘날 여성들은 머리 수건과 치마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추운 날씨에는 순록 가죽 로브를 입기도 한다.

코랴크인은 '자얀가' 또는 야랑가(더 유명한 추크치 용어에서 유래)라고 불리는 돔 형태의 텐트에서 생활했다. 이는 아메리카 대평원 인디언의 티피와 유사하지만 덜 수직적인 형태이며, 일부는 유르트에서 살기도 했다. 텐트의 뼈대는 순록 가죽으로 덮여 있었으며, 중앙에는 난로가 있었는데, 현재는 철제 스토브로 대체되었다. 순록 가죽 침대는 텐트 동쪽에 놓였고, 작은 찬장에는 가족의 음식, 옷, 개인 용품 등을 보관했다. 오늘날에는 야랑가를 주거지로 사용하는 가족은 거의 없지만, 툰드라로 여행할 때 사용하는 경우는 여전히 남아있다.

5. 2. 경제

코랴크인들은 전통적으로 순록 유목을 중심으로 생활했다. 순록은 식량(고기, 피, 골수, 우유 등), 의복, 도구, 무기, 주거(야랑가) 재료 등 삶의 모든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 고기는 주로 구이로 먹었고, , 골수, 우유는 날것으로 마시거나 먹었다.[2] , 심장, 신장, 는 별미로 여겨졌다.[2] 연어와 다른 민물고기뿐만 아니라 열매뿌리도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는데, 이는 순록 고기만으로는 혹독한 툰드라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비타민, 무기질, 식이 섬유 등을 충분히 섭취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2]

오늘날 코랴크인들은 , 시리얼, 통조림 생선과 같은 가공식품도 구매하여 소비한다.[3] 순록을 팔아 돈을 벌기도 하지만, 순록 개체 수가 많아 가축을 늘리는 데도 힘쓰고 있다.[3]

5. 3. 의복

과거 코랴크인의 의류는 순록 가죽으로 만들었지만, 현대에는 남녀 모두 으로 만든 옷을 입는 경우가 많다.[2] 남성은 헐렁한 바지와 가죽 셔츠를 입었는데, 셔츠에는 종종 후드가 달려 있었다.[2] 또한 순록 가죽으로 만든 부츠와 전통적인 모자를 착용했다.[2] 여성은 남성과 같은 옷을 입었지만,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더 긴 셔츠를 입었다.[2] 오늘날 코랴크 여성은 머리 수건과 치마를 착용하기도 하며, 추운 날씨에는 순록 가죽 로브를 입는다.[2]

5. 4. 주거

코랴크인은 돔 형태의 텐트에서 살았는데, 이를 '자얀가' 또는 야랑가(더 유명한 추크치 용어에서 유래)라고 불렀다. 이는 아메리카 대평원 인디언티피와 유사하지만 덜 수직적이며, 일부는 유르트에서 살았다.[1] 뼈대는 많은 순록 가죽으로 덮여 있었다.[1] 야랑가를 주거지로 사용하는 가족은 거의 없지만, 툰드라로 여행할 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1] 야랑가의 중앙에는 난로가 있었는데, 지금은 철제 스토브로 대체되었다.[1] 순록 가죽 침대는 춤의 동쪽에 놓여 있었다.[1] 그들은 작은 찬장을 사용하여 가족의 음식, 옷, 개인 용품을 보관했다.[1]

5. 5. 교통

내륙 코랴크족은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뿔을 잘라낸 순록을 타고 이동했다. 또한 순록 여러 마리에 굴레를 씌워 썰매에 연결하여 물건과 사람을 수송했다.[1] 오늘날 코랴크족은 순록보다 스노모빌을 더 자주 사용한다. 대부분의 마을 간 이동은 항공 또는 보트를 이용하며, 인접 마을로 이동할 때는 궤도 차량을 사용한다.[2]

겨울에 눈이 깊을 때 사용하는 설피를 개발했다(그리고 지금도 사용한다). 설피는 순록 힘줄과 가죽 조각을 테니스 라켓 모양의 자작나무 껍질 또는 버드나무 고리에 묶어 만든다. 힘줄 끈은 신발을 발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어린이들은 아주 어린 나이에 순록 타기, 썰매 타기, 설피 사용법을 배웠다.

다른 코랴크족은 고래와 다른 해양 포유류를 사냥하는 숙련된 뱃사람이었다.

6. 종교

코랴크인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최고 존재를 믿는 애니미즘적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ŋajŋənen''(우주/세계), ''ineɣitelʔən''(감독자), ''ɣət͡ɕɣoletənvəlʔən''(상계의 지배자), ''ɣət͡ɕɣolʔən''(고고한 자) 등으로 불렀다.[6] 최고 존재는 천국에 가족과 함께 거주하며, 인간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해 벌을 내린다고 여겨졌다. 코랴크 신화는 초자연적 샤먼이자 최초의 인간, 코랴크인의 수호자인 '쿠킬'(큰 까마귀)을 중심으로 전개된다.[8] 큰 까마귀 신화는 틀링깃, 하이다, 심시안 등 북서 태평양 연안의 다른 원주민들에게서도 발견된다.[8]

7. 유전자

코랴크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Y염색체 하플로그룹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7명 대상 조사:
  • C: 59.3% (16명)
  • C-M48: 33.3% (9명)
  • C-RPSY4(xM48): 25.9% (7명)
  • N-Tat: 22.2% (6명)
  • P-M45(xM17, M3): 18.5% (5명)[12]

  • 마가단주 세베로에벤스키 지구 코랴크인 남성 12명 대상 조사:
  • C-M325(xM86,P39,P369): 33% (4명)
  • N-L392(xL550,P89,Z1936): 33% (4명)
  • Q-NWT1: 17% (2명)
  • O-P201(xM7,M134): 8% (1명)
  • J-M241: 8% (1명)[13]

8. 환경

팔라나 (캄차카 지방)의 코랴크인 다수 거주 지역


코랴크인의 거주지는 과 화산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북극 툰드라로 덮여 있다. 침엽수는 오호츠크 해 셸레호바 만 연안을 따라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내륙의 북부 지역은 훨씬 추워서 다양한 관목만 자라지만, 이것만으로도 순록의 이동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8] 겨울 평균 기온은 -13°C이며, 짧은 여름은 12°C이다. 러시아 식민지화 이전 그들이 차지했던 면적은 301500km2로, 행정 중심지가 팔라나인 코랴크 오크루크와 대략 일치한다.[7] 오늘날 코랴크인은 8,743명으로 최대 소수 민족 집단이다. 이 지방의 인구는 현재 러시아인, 즉 코사크 식민지 개척자들의 후손이 다수를 차지한다.

9. 현대 사회의 코랴크인

코랴크인은 한때 극동 러시아의 더 광범위한 지역을 이동했다. 7세기경 북동아시아에 존재했던 류큐국의 백성이 640년 당나라에 조공했을 때, "자신들이 사는 곳보다 북쪽으로 한 달 거리의 곳에 야차라는 나라가 있다"고 전했는데, 이 "야차"가 고대 코랴크인이라는 견해가 있다.[10] 하바롭스크 지방의 니브흐인 거주 지역과 겹쳐질 정도로 확대되었던 그들의 행동 반경은 에벤인의 등장과 함께 현재의 지역으로 한정되었다.[9]

1769년부터 1770년에 걸쳐 코사크와의 교전과 천연두의 유행으로 1700년에 1만 명에서 1만 1,000명이었던 인구가 1800년에는 4,800명까지 감소했다.[11] 소비에트 연방 정부에 의해 코랴크 자치구1931년에 설치되었으나, 2007년 6월 1일을 기점으로 캄차카 지방에 합병되었다.[8]

10. 문학


  • Народы Сибири|나로듸 시비리ru, М. — Л., 1956;
  • Гурвич И. С., Кузаков К. Г., Коряк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округ|구르비치 이. 스., 쿠자코프 크. 그., 코랴크스키 나치오날늬 오크루그ru, М., 1960;
  • Антропова В. В., Культура и быт коряков|안트로포바 브. 브., 쿨투라 이 븨트 코랴코프ru, Л., 1971.
  • 발데마르 조켈슨, ''The Koryak''. 뉴욕: AMS, 1975.
  • 블라디미르 일리치 조켈슨, F. 보아스, ''Religion and Myths of the Koryak Material Culture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e Koryak''. 뉴욕: [s.n.], 1908.
  • 유카리 나가야마 편, ''The Magic Rope Koryak Folktale''. 교토, 일본: ELPR, 2003.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2]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3] 웹사이트 Chukchi https://minorityrigh[...] 2024-01-21
[4] 서적 Kolonial'naia politika tsarizzna na Kamchatke Tsentral'nyi istoricheskii arkhiv. Leningradskoe otdelenie. 1935
[5]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of the Russian North, Siberia and Far East" http://www.npolar.no[...] Arctic Network for the Support of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Russian Arctic
[6] 논문 The Mythology of the Koryak https://zenodo.org/r[...] 1904
[7] 서적 2001
[8] 서적 1995
[9] 서적 1994
[10] 서적 2009
[11]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of the Russian North, Siberia and Far East" http://www.npolar.no[...] Arctic Network for the Support of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Russian Arctic
[12] 논문 The dual origin and Siberian affinities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https://www.ncbi.nlm[...] 2002
[13] 논문 Siberian genetic diversity reveals complex origins of the Samoyedic-speaking populations. 201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