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라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일라카섬은 페르시아만 북부에 위치한 섬으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아온 곳이다. 기원전 3000년경부터 딜문 문명의 일부였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섬을 이카로스라고 불렀다. 이후 바빌로니아, 카시트, 아케메네스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아르테미스 신전이 세워지기도 했다. 20세기에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주민들이 강제 이주당하고 군사 기지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걸프 전쟁 이후 지뢰 제거 및 관광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024년에는 섬 동쪽 해상 유전에서 대규모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웨이트의 섬 - 부비얀섬
부비얀섬은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퇴적물로 형성된 쿠웨이트의 섬으로, 걸프 전쟁 당시 원유 유출 피해를 입었으며,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철새와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 쿠웨이트의 역사 - 쿠웨이트 침공
쿠웨이트 침공은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하여 점령한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규탄과 다국적군의 개입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쿠웨이트가 해방되었다. - 쿠웨이트의 역사 - 쿠웨이트 공화국
쿠웨이트 공화국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후 세워진 괴뢰 정부로, 이라크의 합병 선언과 국제 사회의 반대로 단기간에 소멸되었으며, 이는 걸프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다. - 메소포타미아 - 로마 제국
로마 제국은 기원전 27년부터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이어진 고대 로마의 제국 시대로, 팍스 로마나 시대를 거쳐 다민족 국가로 성장했으나 분열과 멸망을 겪었으며, 법, 군사,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메소포타미아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파일라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아랍어) | جزيرة فيلچا |
로마자 표기 | Faylakah |
로마자 표기 (다른 표기) | Fēlaka |
IPA | /fe:lɪt͡ʃə/ |
어원 (고대 그리스어) | φυλάκιο(ν) fylakio(n) "전초 기지" |
위치 | 페르시아만 |
국가 | 쿠웨이트 |
행정 구역 | 수도 주 |
지리 | |
면적 | 43 km² |
길이 | 14 km |
너비 | 6.5 km |
최고점 | 라스 시비차 |
인구 통계 | |
인구 (2011년) | 147명 |
시간대 | |
시간대 | 아라비아 표준시 |
UTC 오프셋 | +3 |
기타 | |
웹사이트 | 제트 추진 연구소 |
2. 역사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2000년 이후 해수면 감소에 따라 정착이 시작되었으며,[5]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도시 국가 우르가 부상한 이후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6]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기원전 2000년에 쿠웨이트의 파일라카섬에 처음 정착했다.[6][7]
딜문 시대(기원전 3000년경부터)에 파일라카섬은 엔자크의 땅인 "아가룸"으로 알려졌으며,[12]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는 문해력, 이성, 서기, 지혜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호신인 나부와 동일시되었다.[8] 딜문의 일부로서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3천년기 말부터 1천년기 중반까지 문명의 중심지가 되었다.[12]
딜문의 상업적 권력은 기원전 1800년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고, 해적 행위가 만연했다. 기원전 600년 이후 바빌로니아인들은 딜문을 자신들의 제국에 추가했다. 딜문 문명 이후 파일라카섬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카시트인들이 거주했으며,[11]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11]
네부카드네자르 2세 치하에서 파일라카섬은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았다.[14] 설형 문자 문서는 섬에 바빌로니아인들이 존재했음을 나타낸다.[15]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바빌로니아 왕들은 파일라카섬에 있었고, 나보니두스는 파일라카섬에 총독을 두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팔라이카에 궁전과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16][17]
7세기경 섬이 버려진 이후, 쿠웨이트 만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18] 기원전 4세기에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치하에서 고대 그리스인들이 쿠웨이트 만을 식민지화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이카로스'로 불리게 되었다.[19][20][21][22]
헬레니즘 시대에 이 섬에는 아르테미스 사원이 있었고,[28][29][30] 섬의 야생 동물들은 여신에게 헌정되었다.[28] 스트라본은 섬에 아폴론 사원과 아르테미스(타우로폴루스)의 신탁이 있었다고 기록했다.[31]
파일라카섬은 카라케네 왕국의 무역 기지(엠포리온)였다.[44] 기원전 127년에 카라케네 왕국은 현재의 쿠웨이트의 테레돈 주변에 세워졌으며,[39][40][41]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한 파일라카섬도 그 영토에 속했다.[42][43]
파일라카섬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도 받았다.[36][16] 아람어 비문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존재를 증명한다.[36] 후기 사산 시대와 초기에서 후기 이슬람 시대의 정착지도 발견되었다.[45][46] 5세기부터 9세기까지는 기독교인 네스토리우스 정착지가 번성하기도 했다.[47][48]
알 아와젬 부족은 근대에 이 섬에 처음으로 거주한 부족으로 알려져 있다. 1990년 이라크 침공 이전에는 2천 명 이상의 주민과 여러 학교가 있었으며, 섬 북서쪽의 알 자우르(조르) 마을은 쿠웨이트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람이 살았던 곳이었다.[53] 1990년 이라크의 침공으로 주민들은 본토로 추방되었고, 섬에는 지뢰가 매설되었으며 시설과 건물은 사격 훈련에 사용되었다. 1991년 연합군의 공격으로 이라크군은 항복했고[53], 하수 처리 시스템은 파괴되어 아직 복구되지 않았다.
전쟁 후 지뢰 제거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섬은 여전히 군사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와나사 비치" 리조트가 설립되면서 쿠웨이트 시티의 휴양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2. 1. 고대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2000년 이후 해수면 감소로 인해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5]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도시 국가 우르가 성장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6]딜문 문명, 카시트인,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거쳐,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는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18] 기원전 4세기에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지시로 고대 그리스인들이 쿠웨이트 만을 식민지화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이카로스'로 불리게 되었다.[19][20][21][22]
스트라본과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일라카섬이 에게해 섬과 모양이 비슷하여 '이카로스'라고 명명했다.[23] 그리스 신화 요소가 지역 숭배와 혼합되었으며,[23] "이카로스"는 섬의 중요한 도시 이름이기도 했다.[24]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에서 돌아온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섬을 이카루스 섬의 이름을 따서 이카루스라고 부르라고 명령했다.[28] 이는 고대 청동기 시대 지명인 아가룸에서 파생된 아카르(아람어 'KR)의 헬레니즘화였을 가능성이 높다.[25] 또는 바빌로니아 신화의 태양신 샤마쉬에게 헌정된 에-카라 사원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파일라카섬과 에게해의 이카루스 모두 황소 숭배를 거행했다는 점도 이러한 동일시를 뒷받침한다.[26][27]
헬레니즘 시대에 섬에는 아르테미스 사원이 있었고,[28][29][30] 섬의 야생 동물들은 여신에게 헌정되었다.[28] 스트라본은 섬에 아폴론 사원과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루스)의 신탁이 있었다고 기록했다.[31]
정착지 유적에는 큰 헬레니즘 요새와 두 개의 그리스 사원이 있다.[34] 파일라카섬은 카라케네 왕국의 무역 기지(엠포리온)였다.[44]
네아르코스는 파일라카섬을 탐험한 최초의 그리스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6] 섬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명령으로 아르키아스, 타소스의 안드로스테네스, 히에론에 의해 조사되었다.[36]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유프라테스강 하구는 쿠웨이트 북부에 있었고,[37][38] 코르 수비야를 통해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37][38] 파일라카섬은 유프라테스강 하구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37][38] 기원전 1세기까지 코르 수비야 강줄기는 말라버렸다.[37][38]
기원전 127년에 카라케네 왕국은 현재의 쿠웨이트의 테레돈 주변에 세워졌다.[39][40][41] 카라케네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했으며,[42] 파일라카섬도 포함되었다.[43]
파일라카섬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도 받았다.[36][16] 아람어 비문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존재를 증명한다.[36]
이후 파일라카섬에서는 후기 사산 시대와 초기에서 후기 이슬람 시대의 정착지도 발견되었다.[45][46] 5세기부터 9세기까지는 기독교인 네스토리우스 정착지가 번성하기도 했다.[47][48]
기원전 3000년경, 독자적인 판테온, 태양 숭배 (참조: 샤마슈), 인신공양을 행하고 있었다.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로스 3세 (대왕)의 인도 원정 때, 고대 그리스인들은 에게해의 이카리아 섬과 형태가 유사하다는 이유로 이카리아(Icaria)라고 이름 붙여 식민지를 건설했다.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당시, 약 2,000명이었던 주민들은 모두 쫓겨났고, 이라크군의 거점이 되었다. 다음 해 걸프 전쟁에서 미국군이 이끄는 다국적군이 탈환했다.
2002년, 파일라카 섬에서 실시된 쿠웨이트군과 해병대의 합동 훈련 때, 이슬람 원리주의를 신봉하는 쿠웨이트인에 의한 미군 살해 사건이 발생했지만, 치안은 안정되어 있다.
2. 1. 1. 딜문 문명과 카사이트인의 지배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2000년 이후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5]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도시 국가 우르가 성장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6] 기원전 2000년에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쿠웨이트의 파일라카섬에 처음 정착했고,[6][7] 우르의 상인들은 파일라카섬에 거주하며 장사를 했다.[7][6] 이 섬에는 기원전 2000년경 이라크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한 메소포타미아 양식의 건물들이 많이 있었다.[7][6]딜문 시대(기원전 3000년경부터)에 파일라카섬은 엔자크의 땅인 "아가룸"으로 알려졌는데, 수메르 설형 문자 기록에 따르면 딜문 문명의 위대한 신이었다.[12]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엔자크는 글쓰기, 이성, 서기, 지혜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호신인 나부와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8] 딜문의 일부로서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1000년기 중반까지 문명의 중심지였다.[12]
기원전 1650년경부터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왕의 이름을 새긴 도장에는 다음과 같은 짧은 글이 추가로 새겨져 있다.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인 수무-렐의 딸 [라]'우-라 파니파." 수무-렐은 이 시대 딜문의 세 번째 왕이었고,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은 딜문에서 왕의 칭호였다. 이 후기 통치자들의 이름은 아모리인이다.[9]
딜문의 상업력은 기원전 1800년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고, 이 지역에는 해적 행위가 만연했다. 기원전 600년 이후 바빌로니아인들은 딜문을 자신들의 제국에 포함시켰다.
딜문 문명 이후 파일라카섬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카시트인들이 거주했으며,[11] 공식적으로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11]
2. 1. 2. 고대 그리스 시대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2000년 이후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5]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도시 국가 우르가 성장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중요한 전략적 위치가 되었다.[6] 기원전 2000년에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쿠웨이트의 파일라카섬에 처음 정착했고,[6][7] 우르의 상인들이 섬에 거주하며 상업 활동을 했다.[7][6] 이 섬에는 기원전 2000년경 이라크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한 메소포타미아 양식의 건물들이 많이 있었다.[7][6]딜문 시대(기원전 3000년경부터)에 파일라카섬은 엔자크의 땅인 "아가룸"으로 알려졌는데, 수메르 설형 문자 기록에 따르면 딜문 문명의 위대한 신이었다.[12]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엔자크는 글쓰기, 이성, 서기, 지혜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호신인 나부와 동일시되었다.[8] 딜문의 일부로서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1000년기 중반까지 문명의 중심지가 되었다.[12]
기원전 1650년경부터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왕의 이름을 보존하는 봉인에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인 수무-렐의 딸 [라]'우-라 파니파."라는 짧은 기록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수무-렐은 이 시대에 속하는 딜문의 세 번째 왕이었다.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은 딜문에서 왕의 칭호였다. 이 후기 통치자들의 이름은 아모리인이다.[9]
딜문의 상업적 권력은 기원전 1800년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딜문이 쇠퇴하는 동안 해적 행위가 이 지역 전체에 퍼졌다. 기원전 600년 이후 바빌로니아인들은 딜문을 자신들의 제국에 추가했다.
딜문 문명 이후 파일라카섬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카시트인들이 거주했으며,[11] 공식적으로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11] 연구에 따르면 파일라카섬에서는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서기 2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정착의 흔적이 발견될 수 있다.[12]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연결되어 있으며, 파일라카섬이 안티오크에 기반을 둔 문명으로 점차 끌려들어갔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13]
네부카드네자르 2세 치하에서 파일라카섬은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았다.[14]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설형 문자 문서는 섬의 인구에 바빌로니아인들이 존재했음을 나타낸다.[15] 바빌로니아 왕들은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파일라카섬에 있었고, 나보니두스는 파일라카섬에 총독을 두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팔라이카에 궁전과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16][17] 파일라카섬에는 또한 바빌론 판테온에서 메소포타미아의 태양신인 샤마쉬를 숭배하기 위한 사원이 있었다.[17]
7세기경 섬이 버려진 이후, 쿠웨이트 만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18]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왕 치하에서 고대 그리스인들이 쿠웨이트 만을 식민지화했는데, 고대 그리스인들은 본토 쿠웨이트를 '라리사'로 명명했고 파일라카섬은 '이카로스'로 명명했다.[19][20][21][22]
스트라본과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일라카섬이 크기와 모양 면에서 해당 이름의 에게해 섬과 닮았기 때문에 '이카로스'라고 명명했다. 그리스 신화의 다양한 요소가 파일라카섬의 지역 숭배와 혼합되었다.[23] "이카로스"는 또한 파일라카섬에 위치한 중요한 도시의 이름이었다.[24]
다른 설명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에서 페르시아로 돌아온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섬을 이카루스 섬의 이름을 따서 이카루스라고 부르라고 명령했다.[28] 이것은 고대 청동기 시대의 지명인 아가룸에서 파생된 지역 이름 아카르(아람어 'KR)의 헬레니즘화였을 가능성이 높다.[25] 또 다른 제안은 이카로스라는 이름이 바빌로니아 신화의 태양신 샤마쉬에게 헌정된 지역 에-카라 사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파일라카섬과 에게해의 이카루스 모두 황소 숭배를 거행했다는 사실은 동일시를 더욱 유혹했을 것이다.[26][27]
헬레니즘 시대에 이 섬에는 아르테미스 사원이 있었다.[28][29][30] 섬의 야생 동물들은 여신에게 헌정되었으며 아무도 그들을 해쳐서는 안 되었다.[28] 스트라본은 섬에 아폴론 사원과 아르테미스(타우로폴루스)의 신탁 (μαντεῖον Ταυροπόλου)이 있었다고 썼다.[31] 이 섬은 또한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32]와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언급되었다.[33]
정착지의 유적에는 큰 헬레니즘 요새와 두 개의 그리스 사원이 있다.[34] 파일라카섬은 또한 카라케네 왕국의 무역 기지(엠포리온)였다.[44] 파일라카섬의 헬레니즘 요새에서 돼지는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했지만, 인근의 아카즈에서는 돼지 유해가 발견되지 않았다.[35]
네아르코스는 파일라카섬을 탐험한 최초의 그리스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6] 이 섬은 기원전 324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명령한 세 번의 탐험 원정 동안 아르키아스, 타소스의 안드로스테네스, 히에론에 의해 더 방문되고 조사되었다.[36] 파일라카섬은 셀레우코스 1세 또는 안티오코스 1세 시대에 요새화되고 정착되었을 수 있다.[36]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유프라테스강의 하구는 쿠웨이트 북부에 위치해 있었다.[37][38] 유프라테스강은 당시 강줄기였던 코르 수비야를 통해 페르시아 만으로 직접 흘러 들어갔다.[37][38] 파일라카섬은 유프라테스강 하구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37][38] 기원전 1세기까지 코르 수비야 강줄기는 완전히 말라버렸다.[37][38]
기원전 127년에 카라케네 왕국은 현재의 쿠웨이트의 테레돈 주변에 세워졌다.[39][40][41] 카라케네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한 지역을 중심으로 했으며,[42] 파일라카섬도 포함되었다.[43] 활발한 파르티아 시대의 카라케네 상업 기지가 파일라카섬에 존재했다.[44]
파일라카섬은 또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을 받았다.[36][16] 아케메네스 제국의 존재를 증명하는 아람어 비문이 있다.[36]
2. 1. 3. 카라케네 왕국과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2000년 이후 해수면 감소로 인해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5]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도시 국가 우르가 성장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6] 기원전 2000년에 메소포타미아인들이 파일라카섬에 처음 정착했으며,[6][7] 우르의 상인들은 섬에서 상업 활동을 했다.[7][6] 섬에서는 이라크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한 메소포타미아 양식의 건물들이 많이 발견되었다.[7][6]딜문 시대(기원전 3000년경)에 파일라카섬은 엔자크 신의 땅인 "아가룸"으로 알려졌다.[12]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엔자크는 지혜의 신 나부와 동일시되었다.[8] 딜문 문명의 중심지였던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1000년기 중반까지 번성했다.[12]
기원전 1650년경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봉인에는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인 수무-렐의 딸 [라]'우-라 파니파"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수무-렐은 딜문의 세 번째 왕이었으며,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은 딜문 왕의 칭호였다. 이 통치자들의 이름은 아모리인 계통이다.[9]
기원전 1800년 이후 딜문의 상업적 권력이 쇠퇴하면서 해적 행위가 만연했고, 기원전 600년 이후 바빌로니아인들은 딜문을 제국에 편입시켰다. 딜문 문명 이후 파일라카섬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카시트인들이 거주했으며,[11]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11] 파일라카섬에서는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20세기까지 인간 정착의 흔적이 발견된다.[12] 섬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연결되어 있으며, 안티오크에 기반을 둔 문명으로 점차 끌려들어갔음을 보여준다.[13]
네부카드네자르 2세 치하에서 파일라카섬은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았다.[14] 설형 문자 문서는 섬에 바빌로니아인들이 존재했음을 나타낸다.[15]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바빌로니아 왕들이 파일라카섬에 있었고, 나보니두스는 총독을 두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섬에 궁전과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16][17] 파일라카섬에는 바빌론 판테온의 태양신 샤마쉬를 숭배하는 사원도 있었다.[17]
7세기경 버려졌던 쿠웨이트 만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18]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왕 치하에서 고대 그리스인들이 쿠웨이트 만을 식민지화하면서, 본토 쿠웨이트는 ''라리사'', 파일라카섬은 ''이카로스''로 명명되었다.[19][20][21][22]
스트라본과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일라카섬이 에게해 섬과 닮았기 때문에 ''이카로스''라고 명명했다. 그리스 신화 요소가 지역 숭배와 혼합되었으며,[23] "이카로스"는 섬의 중요한 도시 이름이기도 했다.[24]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에서 돌아온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섬을 이카루스 섬의 이름을 따서 이카루스라고 부르라고 명령했다.[28] 이는 고대 청동기 시대 지명인 아가룸에서 파생된 아카르(아람어 'KR)의 헬레니즘화였을 가능성이 높다.[25] 또는 바빌로니아 신화의 태양신 샤마쉬에게 헌정된 에-카라 사원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파일라카섬과 에게해의 이카루스 모두 황소 숭배를 거행했다는 점도 이러한 동일시를 뒷받침한다.[26][27]
헬레니즘 시대에 섬에는 아르테미스 사원이 있었고,[28][29][30] 섬의 야생 동물들은 여신에게 헌정되었다.[28] 스트라본은 섬에 아폴론 사원과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루스)의 신탁 (μαντεῖον Ταυροπόλου)이 있었다고 기록했다.[31] 이 섬은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32]와 프톨레마이오스도 언급했다.[33]
정착지 유적에는 큰 헬레니즘 요새와 두 개의 그리스 사원이 있다.[34] 파일라카섬은 카라케네 왕국의 무역 기지(엠포리온)였다.[44] 헬레니즘 요새에서 돼지는 인구의 20%를 차지했지만, 인근 아카즈에서는 돼지 유해가 발견되지 않았다.[35]
네아르코스는 파일라카섬을 탐험한 최초의 그리스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6] 섬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명령으로 아르키아스, 타소스의 안드로스테네스, 히에론에 의해 조사되었다.[36] 파일라카섬은 셀레우코스 1세 또는 안티오코스 1세 시대에 요새화되고 정착되었을 수 있다.[36]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유프라테스강 하구는 쿠웨이트 북부에 있었고,[37][38] 코르 수비야를 통해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37][38] 파일라카섬은 유프라테스강 하구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37][38] 기원전 1세기까지 코르 수비야 강줄기는 말라버렸다.[37][38]
기원전 127년에 카라케네 왕국은 현재의 쿠웨이트의 테레돈 주변에 세워졌다.[39][40][41] 카라케네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했으며,[42] 파일라카섬도 포함되었다.[43] 활발한 파르티아 시대의 카라케네 상업 기지가 파일라카섬에 존재했다.[44]
파일라카섬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도 받았다.[36][16] 아람어 비문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존재를 증명한다.[36]
2. 2. 중세 및 근대
알 아와젬 부족이 이 섬에 처음으로 거주한 부족으로 알려져 있다. 걸프 전쟁 이전에는 2천 명 이상의 주민과 여러 학교가 있었으며, 섬 북서쪽의 알 자우르(조르) 마을은 쿠웨이트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람이 살았던 곳이었다.[53] 1990년 이라크의 침공으로 주민들은 본토로 추방되었고, 섬에는 지뢰가 매설되었으며 시설과 건물은 사격 훈련에 사용되었다. 1991년 연합군의 공격으로 이라크군은 항복했고[53], 하수 처리 시스템은 파괴되어 아직 복구되지 않았다.전쟁 후 지뢰 제거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섬은 여전히 군사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와나사 비치" 리조트가 설립되면서 쿠웨이트 시티의 휴양지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라이브 음악, 승마, 카누, 카약 등을 즐길 수 있다.
2. 2. 1. 알 아와젬 부족과 무사이드 알 아즈미
알 아와젬 부족은 근대에 이 섬에 처음으로 거주한 부족으로 여겨진다. 1682년, 이 섬에서 태어난 셰이크 무사이드 알 아즈미는 무와타 이맘 말리크의 사본을 출판했는데, 이는 쿠웨이트의 현대사에서 가장 오래된 문서로 간주된다.[51][52]2. 3. 현대
알 아와젬 부족은 근대에 이 섬에 처음으로 거주한 부족으로 여겨진다. 1682년, 이 섬에서 태어난 셰이크 무사이드 알 아즈미는 무와타 이맘 말리크의 사본을 출판했는데, 이는 쿠웨이트의 현대사에서 가장 오래된 문서로 간주된다.[51][52]1990년 이라크 침공 이전에는 이 섬에 2천 명 이상의 주민과 여러 학교가 있었다. 알 자우르 또는 조르 마을은 섬 북서쪽 중간 부근에 위치해 있었으며, 쿠웨이트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람이 거주했던 장소였다.
전쟁 후, 파일라카는 지뢰가 제거되었지만, 어느 정도 군사적 사용이 계속되고 있다.
2. 3. 1. 이라크 침공과 걸프 전쟁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전에는 이 섬에 2천 명 이상의 주민과 여러 학교가 있었다. 그러나 침공 당시 이라크는 섬의 모든 주민들을 본토로 추방하면서 섬을 비웠다. 이라크 군은 해변에 지뢰를 매설하고 섬의 시설과 건물을 사격 훈련에 사용했다.[53]1991년 걸프 전쟁에서 미국군이 이끄는 다국적군은 폭격과 심리전 작전을 통해 섬을 점령한 이라크군을 항복시켰다.[53] 이라크군 철수 후에는 미국 해병대의 훈련 기지로 사용되어 출입 금지 구역이었지만, 현재는 제한이 해제되어 주민들이 귀환했다.
전쟁으로 하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고, 아직 완전히 복구되지 않아 섬 곳곳에서 전투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2. 3. 2. 전후 복구와 관광 산업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전에는 섬에 2천 명 이상의 주민과 여러 학교가 있었다. 1990년과 1991년 동안, 침략한 이라크는 섬의 모든 주민들을 본토로 추방하면서 섬을 비웠다. 이라크 군은 해변에 지뢰를 매설하고 섬의 시설과 건물을 사격 훈련에 사용했다. 1991년, 연합군은 폭격과 심리전 작전을 통해 섬을 점령한 이라크군을 항복시켰다.[53] 하수 처리 시스템은 파괴되었고 아직 완전히 복구되지 않았다. 또한 많은 오래된 집들이 여전히 비어 있고 낡은 채로 남아 있다.전쟁 후, 파일라카는 지뢰가 제거되었지만, 어느 정도 군사적 사용이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시티에서 인기 있는 휴가지가 되고 있으며, "와나사 비치" 리조트가 설립된 이후 라이브 음악, 승마, 카누, 카약 활동 등을 제공하고 있다.
걸프 전쟁 당시, 파일라카섬 전체는 이라크군의 거점이었다. 이라크군 철수 후에는 미국 해병대의 훈련 기지로서 출입 금지 구역이었지만, 현재는 제한이 해제되어 주민들이 귀환했다. 그러나 전쟁 당시 파괴된 사회 기반 시설 복구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 섬 곳곳에서 전투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1950년대의 유적 조사에서 고대 그리스 문화가 확인되어, 문화 관광지로서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2. 3. 3. 이란계 쿠웨이트인
파일라카섬의 쿠웨이트인 대다수는 이란계 혈통이다.[71] 이들은 원래 이란 해안, 주로 카르그섬과 반다르 랭게에서 파일라카로 이주했다.[71] 이 사람들은 걸프 협력 회의(GCC) 국가에서 일반적으로 후왈라로 알려져 있다.[71] 이들은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며 아랍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만, 석유가 발견되기 전에는 페르시아어도 유창하게 구사했다.[71] 파일라카섬에서 가장 중요한 후왈라 정착지는 1841년에서 1842년 사이에 이란의 카르그섬에서 파일라카로 이주한 40가구와 관련이 있었다.[71] 가장 최근의 정착은 레자 샤에 의해 베일 해제법이 시행된 후인 1930년대 초에 발생했다.[71] 파일라카섬 쿠웨이트 가족의 소수는 시아 페르시아인이며, 그들은 자신들만의 후세이니야를 가지고 있었고, 이전 세대는 당시 쿠웨이트 시티 본토의 페르시아계 쿠웨이트 시아파와는 달리 아랍어를 자주 사용했다.[71]3. 지리 및 기후
파일라카섬은 페르시아만 북부에 위치해 있다. 파일라카섬의 봄은 쿠웨이트인들에게 특히 특별하게 여겨진다. 파일라카는 쿠웨이트 본토와는 상당히 다른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피어나는 꽃과 변화하는 기온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섬의 기반 시설은 여전히 열악하지만, 파일라카는 낚시, 보트 타기, 수영, 요트 타기 및 기타 해양 스포츠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 관광 산업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1990년 이라크 침공 이전에 가족과 함께 섬에 살았던 파일라카인들이다. 대부분의 파일라카인들은 자신만의 배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는 관광업에 종사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관광업이 조용한 섬 생활을 방해하는 것에 대해 꺼리고 있다. 일부 파일라카인 가족들은 현재 쿠웨이트 본토에 살고 있지만, 주말에는 정기적으로 섬에 방문한다.
본토 쿠웨이트 시티에서는 섬으로 연결되는 다리를 건설하고 파일라카를 휴양지로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이 논의되어 왔다. 새로운 호텔 리조트가 많은 개선을 장려했다.
2024년 7월 15일, 쿠웨이트 국영 석유 및 가스 회사 쿠웨이트 석유 공사(KPC)는 파일라카섬 동쪽 해상 유전에서 "대규모" 경질유 및 관련 가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54] 탄화수소 매장의 예비 추정치는 경질유 약 과 가스 약 144.42조L3였으며, 이는 약 에 해당한다.
4. 교통
페리 "이카루스"가 쿠웨이트 시티에서 운항하고 있다.
5. 고고학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2000년 이후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5]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도시 국가 우르가 성장하면서 파일라카섬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6] 기원전 2000년에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쿠웨이트의 파일라카섬에 처음 정착했으며,[6][7] 수메르 도시 우르의 상인들이 파일라카섬에 살면서 장사를 했다.[7][6] 이 섬에는 기원전 2000년경 이라크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한 메소포타미아 양식의 건물들이 많이 있었다.[7][6]
딜문 시대(기원전 3000년경부터)에 파일라카섬은 엔자크 신의 땅인 "아가룸"으로 알려졌다. 수메르 설형 문자 기록에 따르면 엔자크는 딜문 문명의 위대한 신이었다.[12]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엔자크는 글쓰기, 이성, 서기, 지혜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호신인 나부와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8] 딜문의 일부로서 파일라카섬은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1000년기 중반까지 문명의 중심지였다.[12]
기원전 1650년경부터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왕의 이름을 새긴 봉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추가로 새겨져 있다.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인 수무-렐의 딸 [라]'우-라 파니파." 수무-렐은 이 시대 딜문의 세 번째 왕이었다. "아카룸의 인자크의 종"은 딜문에서 왕의 칭호였다. 이 후기 통치자들의 이름은 아모리인이다.[9]
고대 딜문이 현대의 세 곳, 즉 현대 쿠웨이트 근처에서 바레인까지의 아라비아 동부 해안, 바레인 섬, 쿠웨이트의 파일라카 섬을 포함한다는 학자들의 의견이 일치하지만, 기원전 6000년경 해수면이 상승하기 전 페르시아 만이 다시 물에 잠기기 전의 원래 지형을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10] 딜문의 상업적 힘은 기원전 1800년 이후 약해지기 시작했고, 해적 행위가 이 지역 전체에 퍼졌다. 기원전 600년 이후 바빌로니아인들은 딜문을 자신들의 제국에 포함시켰다.
딜문 문명 이후 파일라카섬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카시트인들이 살았으며,[11] 공식적으로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11] 연구에 따르면 파일라카섬에서는 기원전 3000년기 말부터 2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사람이 살았던 흔적을 찾을 수 있다.[12]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들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연결되어 있으며, 파일라카섬이 안티오크를 중심으로 한 문명에 점차 끌려들어갔음을 보여준다.[13]
네부카드네자르 2세 통치 시기에 파일라카섬은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았다.[14] 파일라카섬에서 발견된 설형 문자 문서는 섬에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살았음을 보여준다.[15] 바빌로니아 왕들은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파일라카섬에 있었고, 나보니두스는 파일라카섬에 총독을 두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팔라이카에 궁전과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16][17] 파일라카섬에는 바빌론 판테온에서 메소포타미아의 태양신인 샤마쉬를 섬기는 사원도 있었다.[17]
7세기경 사람들이 떠난 후, 쿠웨이트 만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기원전 550~330년)에 다시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18] 기원전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왕 통치 시기에 고대 그리스인들이 쿠웨이트 만을 식민지로 만들었는데, 고대 그리스인들은 본토 쿠웨이트를 '라리사'라고 불렀고 파일라카섬은 '이카로스'라고 불렀다.[19][20][21][22] 스트라본과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일라카섬이 크기와 모양이 에게해 섬과 비슷했기 때문에 '이카로스'라고 이름 지었다. 그리스 신화의 다양한 요소들이 파일라카섬의 지역 신앙과 섞였다.[23] "이카로스"는 파일라카섬에 있던 중요한 도시의 이름이기도 했다.[24]
다른 설명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에서 페르시아로 돌아온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섬을 이카루스 섬의 이름을 따서 이카루스라고 부르라고 명령했다.[28] 이것은 고대 청동기 시대의 지명인 아가룸에서 파생된 지역 이름 아카르(아람어 'KR)를 헬레니즘화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높다.[25] 또 다른 가능성은 이카로스라는 이름이 바빌로니아 신화의 태양신 샤마쉬에게 바쳐진 지역 에-카라 사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파일라카섬과 에게해의 이카루스 모두 황소 숭배를 했다는 사실은 이러한 동일시를 더욱 유력하게 만들었다.[26][27]
헬레니즘 시대에 이 섬에는 아르테미스 사원이 있었다.[28][29][30] 섬의 야생 동물들은 여신에게 바쳐졌으며 아무도 그들을 해쳐서는 안 되었다.[28] 스트라본은 섬에 아폴론 사원과 아르테미스(타우로폴루스)의 신탁 (μαντεῖον Ταυροπόλου)이 있었다고 썼다.[31] 이 섬은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32]와 프톨레마이오스도 언급했다.[33] 정착지 유적에는 큰 헬레니즘 요새와 두 개의 그리스 사원이 있다.[34] 파일라카섬은 카라케네 왕국의 무역 기지(엠포리온)이기도 했다.[44] 파일라카섬의 헬레니즘 요새에서 돼지는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했지만, 인근의 아카즈에서는 돼지 유해가 발견되지 않았다.[35]
네아르코스는 파일라카섬을 탐험한 최초의 그리스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6] 이 섬은 기원전 324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명령한 세 번의 탐험 원정 동안 아르키아스, 타소스의 안드로스테네스, 히에론이 방문하고 조사했다.[36] 파일라카섬은 셀레우코스 1세 또는 안티오코스 1세 시대에 요새화되고 정착되었을 수 있다.[36]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유프라테스강 하구는 쿠웨이트 북부에 있었고,[37][38] 유프라테스강은 당시 강줄기였던 코르 수비야를 통해 페르시아 만으로 직접 흘러 들어갔다.[37][38] 파일라카섬은 유프라테스강 하구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37][38] 기원전 1세기까지 코르 수비야 강줄기는 완전히 말라버렸다.[37][38]
기원전 127년에 카라케네 왕국은 현재의 쿠웨이트의 테레돈 주변에 세워졌다.[39][40][41] 카라케네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한 지역을 중심으로 했으며,[42] 파일라카섬도 포함되었다.[43] 활발한 파르티아 시대의 카라케네 상업 기지가 파일라카섬에 있었다.[44] 파일라카섬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도 받았다.[36][16] 아케메네스 제국의 존재를 증명하는 아람어 비문이 있다.[36]
파일라카섬 전역에는 후기 사산 시대와 초기에서 후기 이슬람 시대의 정착지도 있다.[45][46]
기독교인 네스토리우스 정착지는 5세기부터 9세기까지 파일라카섬에서 번성했다.[47][48] 발굴 조사 결과 5, 6세기에 지어진 여러 농장, 마을, 두 개의 대형 교회가 발견되었다.[47] 고고학자들은 현재 8, 9세기에 번성했던 정착지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인근 유적을 발굴하고 있다.[47] 오래된 섬의 전통은 기독교 신비주의자와 은둔자를 중심으로 공동체가 성장했다는 것이다.[47] 작은 농장과 마을은 결국 버려졌다.[47] 비잔틴 제국 시대의 네스토리우스 교회의 유적이 파일라카섬의 알-쿠수르에서 발견되었다. 유적지의 도자기는 7세기 전반부터 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49][50]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제프리 비비가 이끄는 덴마크 팀이 이 유적지를 발굴했다. 그들은 파일라카섬 남서쪽 모퉁이에 있는 텔 F3, 텔 F4, 텔 F5, 텔 F6의 네 군데 텔에서 발굴을 진행했다. 텔 F4와 F5는 헬레니즘 시대에 속한다. 텔 F3 (작은 주택)와 텔 F6 (발굴자들이 "궁전"이라고 명명한 400제곱미터 규모의 구조물)은 기원전 2천년 초로 거슬러 올라가며, 높이 약 4미터, 면적 약 7500제곱미터에 달했다.[55][56] 약 50개의 원통형 인장과 약 400개의 도장 인장이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원통형 인장은 포스트 아카드, 우르 제3왕조 시대와 고 바빌로니아 시대의 몇 개였지만, 대부분은 미탄니와 카사이트 시대에 속했으며, 이신 제2왕조 시대의 엘람 기원의 인장도 몇 개 있었다. 도장 인장의 대부분은 딜문 양식으로, 고대 도시 우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57][58] 몇 개의 인장에는 쐐기 문자 비문이 새겨져 있었는데, 그중 하나는 "마르두크, 훌륭한 왕자, 자비로운 신, 하늘과 땅에서 칭송받는 이여,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적혀 있었다.[59]
유적지 연대기는 다음과 같이 확립되었다:[60]
시기 | 연대 (기원전) | 비고 |
---|---|---|
시기 4B | 1300-1400년경 | |
시기 4A | 1400-1500년경 | 카사이트 시대 |
시기 3B | 1500-1600년경 | |
시기 3A | 1600-1700년경 | 고 바빌로니아 시대 |
시기 2B | 1700-1800년경 | |
시기 1/2A | 1800-2200년경 | 이신-라르사 및 우르 제3왕조 시대 |
1972년 정찰 조사를 거쳐 1974년과 1975년에 미국의 한 팀이 작업을 진행했다.[61] 1983년 예비 조사를 거쳐 1984년부터 1988년까지 프랑스 팀이 이 유적지를 발굴했다. 그들은 텔 F6에서 "궁전"에서 동쪽으로 15미터 떨어진 곳에서 두께 2.8미터의 벽을 가진 "신전"이라고 불리는 구조물을 발견했으며, 그 아래에서 딜문 인장 2개를 더 발견했다.[62] 초기 석조 건축물의 상당 부분은 인근 헬레니즘 요새 건설 중에 약탈당했다. 텔 G3라는 작은 유적지(높이 1.8미터)가 유적지 북쪽에서 발굴되었는데, 기원전 2000년경의 두 개의 점유층(파괴층 사이에 석재 약탈)이 발견되기 전에 원지반에 도달했다. 텔 F5의 요새에서 남쪽으로 200미터 떨어진 헬레니즘 시대의 구역 B6가 발굴되었다. 수많은 기원 물건이 있는 성소가 발견되었다. 작은 유물로는 여러 개의 청동 동전, 다수의 철제 또는 청동제 화살촉, 반지, 연석 인장, 그리고 여러 개의 돌 그물 고리가 포함되었다.[63][64][65] 수백 미터 북쪽, 마을 사람들이 석재를 대거 약탈해 간 텔 카즈네라는 작은 유적지에서 아람어 비문이 새겨진 블록이 발견되었다. [66]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조지아 팀이 섬 북동 해안의 알-아와짐 지역을 중심으로 파일라카섬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 이탈리아 팀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섬에서 작업했다.[67] 슬로바키아, 그리스, 그리고 최근에는 폴란드 출신의 고고학자들이 그곳에서 작업을 했다.[68][69] 묘지와 재사용된 기초석 비문(텔 F6 근처 현대 가옥에서 발견) "이 궁전은 바빌론의 왕 네부카드네자르의 것이다"를 근거로 이 유적지가 신 바빌로니아 시대에 점유되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70]
6. 미래
본토 쿠웨이트 시티에서는 섬으로 연결되는 다리를 건설하고 파일라카를 휴양지로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이 논의되어 왔다. 새로운 호텔 리조트가 많은 개선을 장려했다.[54]
참조
[1]
웹사이트
Geoportal for Kuwait Census 2011
https://gis.csb.gov.[...]
Central Statistical Bureau of Kuwait
2019-11-26
[2]
뉴스
BBC News article
http://news.bbc.co.u[...]
[3]
웹사이트
Failaka Island, Kuwait
https://www.jpl.nasa[...]
2013-04-04
[4]
서적
Kuwait
https://books.google[...]
Cavendish Square Publishing, LLC
[5]
서적
Mesopotamian civilization: the material foundations
[6]
웹사이트
Failaka Island – Silk Roads Programme
https://en.unesco.or[...]
[7]
웹사이트
Traders from Ur?
http://www.archaeolo[...]
2013-07-21
[8]
간행물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The British Museum * Press
[9]
간행물
'Inscriptions from the Royal Mounds of A''alo (Bahrain) and related Texts'
Aarhus
[10]
논문
New light on human prehistory in the Arabo-Persian Gulf oasis
http://birmingham.ac[...]
2010-12
[11]
학술지
Potts 2009 – The archaeology and early history of the Persian Gulf
https://www.academia[...]
[12]
웹사이트
Sa'ad and Sae'ed Area in Failaka Island
https://whc.unesco.o[...]
2013-08-28
[13]
웹사이트
Failaka Island: Unearthing the Past in Kuwait
https://mei.nus.edu.[...]
2013-07-21
[14]
웹사이트
Brill's New Pauly: encyclopedia of the ancient world
https://www.google.c[...]
[15]
서적
The Archaeology of Seafaring in Ancient South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From Cyrus to Alexander: A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7]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학술지
Guest editors' foreword
https://onlinelibrar[...]
[19]
서적
Kuwait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
서적
Middle East Annual Review
https://books.google[...]
Middle East Review.
[21]
서적
The Gulf Handbook - Volume 3
https://books.google[...]
Trade & Travel Publications.
[22]
서적
K̲h̲alīj aur bainulaqvāmī siyāsat
https://books.google[...]
[23]
학술지
Kuwait-Georgian Archaeological Mission –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n the Island of Failaka in 2011–2017
http://science.org.g[...]
2017
[24]
간행물
Charax and the Karkhen
[25]
서적
'Royal Mounds of A''ali in Bahrain: The Emergence of Kingship in Early Dilmun'
ISD LLC
[26]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Arabian Gulf'
Routledge
[27]
간행물
"Dilmun, Magan and Meluhha"
Kegan Paul International
[28]
웹사이트
Arrian, Anabasis of Alexander, §7.20
https://www.perseus.[...]
[29]
웹사이트
Dionysius of Alexandria, Guide to the Inhabited World, §600
https://topostext.or[...]
[30]
웹사이트
Aelian, Characteristics of Animals, §11.9
https://topostext.or[...]
[31]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16.3.2
https://topostext.or[...]
[32]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I329.12
https://topostext.or[...]
[33]
웹사이트
Ptolemaeus, Geography, §6.7.47
https://topostext.or[...]
[34]
서적
Arab Seafaring: In the [[Indian Ocean]] in Ancient and Early [[Medieval]] Tim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서적
Evolution of a Taboo: Pigs and People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웹사이트
HELLENISTIC IKAROS-FAILAKA
https://www.ancientp[...]
[37]
서적
Naval and Maritime Activities of Alexander the Great in South Mesopotamia and the Gulf
https://www.academia[...]
[38]
간행물
The Persian Gulf shorelines and the Karkheh, Karun and Jarrahi Rivers: A Geo-Archaeological Approach
https://www.academia[...]
[39]
서적
The Hellenistic Gulf: Greek Naval Presence in South Mesopotamia and the Gulf (324-64 B.C.)
https://www.academia[...]
[40]
웹사이트
Travel - Peter Harrington London
https://www.peterhar[...]
Peter Harrington
2017
[41]
간행물
The Bahrein Islands, in the Persian Gulf
https://www.jstor.or[...]
JSTOR
1890-01
[42]
서적
Shadows in the Desert: Ancient Persia at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USA
[43]
웹사이트
Hellenism in the East
http://berlinarchaeo[...]
[44]
웹사이트
A Parthian Harbour in the Gulf: the Characene
https://www.academia[...]
[45]
간행물
A consideration on the interest of a pottery typology adapted to the late Sasanian and early Islamic monastery at al-Qusur (Kuwait)
https://onlinelibrar[...]
[46]
간행물
Failaka Island in the Late Islamic Period. Investigations at the fishing village of Kharaib al-Dasht
https://onlinelibrar[...]
[47]
웹사이트
Hidden Christian Community
http://www.archaeolo[...]
2013-08-28
[48]
citation
Christianity in the Arab-Persian Gulf: an ancient but still obscure history
[49]
문서
Vincent Bernard and Jean Francois Salles, "Discovery of a Christian Church at Al-Qusur, Failaka (Kuwait)," ''Proceedings of the Seminar for Arabian Studies'' 21 (1991), 7–21. Vincent Bernard, Olivier Callot and Jean Francois Salles, "L'eglise d'al-Qousour Failaka, Etat de Koweit," ''Arabian Archaeology and Epigraphy'' 2 (1991): 145–181.
[50]
문서
Yves Calvet, "Monuments paléo-chrétiens à Koweit et dans la région du Golfe," ''Symposium Syriacum, Uppsala University, Department of Asian and African Languages, 11–14 August 1996'', ''Orientalia Christiana Analecta'' 256 (Rome, 1998), 671–673.
[51]
문서
https://archive.org/[...]
[52]
문서
https://www.alraimed[...]
[53]
뉴스
US psy-ops play it loud
http://news.bbc.co.u[...]
2003-03-17
[54]
웹사이트
Large oil & gas discovery springs up offshore Kuwait
https://www.offshore[...]
2024-07-15
[55]
문서
The Danish Archaeological Expedition to Kuwait 1958-1963. A glimpse into the archives of Moesgård Museum
Moesgård Museum & The Kuwaiti National Council for Culture, Arts and Letters
2008
[56]
문서
Failaka/Dilmun. The Second Millennium Settlements III. The Bronze Age Architecture
aarhus: aarhus University press
2013
[57]
문서
Seals of Dilmun Type from Failaka, Kuwait
1980
[58]
문서
Intercultural Relations between Iran, the Murghabo-Bactrian Archaeological Complex (BMAC), Northwest India and Failaka in the Field of Seals
2000
[59]
문서
Inscriptions cunéiformes de Failaka/Cuneiform inscriptions from Failaka
https://www.persee.f[...]
1984
[60]
문서
The Bronze Age Pottery
1987
[61]
문서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Reconnaissance Expedition to the Arab-Iranian Gulf
1972
[62]
문서
The temple-tower of Failaka in its Near Eastern context
https://www.persee.f[...]
2008
[63]
문서
French excavations at Failaka, 1984
1985
[64]
문서
Failaka Fouilles Francaises 1984-1988. Matériel céramique du temple-tour et épigraphie
Travaux de la Maison de L’Orient et de la Méditerranée 48, Lyon
2008
[65]
문서
Survey of Failaka Island, Kuwait 1982
1983
[66]
문서
The Inscriptions from Failaka and the Lapidary Aramaic Script
1995
[67]
문서
Kuwaiti-Italian Archaeological Mission to Failaka 2010-2014
State of Kuwait: National Council for Culture, Arts & Letters
2015
[68]
문서
Preliminary report on the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joint Kuwaiti–Polish mission, Failaka Island, 2012
https://bibliotekana[...]
2015
[69]
간행물
Kuwait-Georgian Archaeological Mission –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n the Island of Failaka in 2011–2017
http://science.org.g[...]
2017
[70]
문서
An inscribed stone-slab of Nebuchadressar II
1975
[71]
논문
Middle-aged women in Kuwait: Victims of change
https://core.ac.uk/r[...]
Durham University
1988-06
[72]
뉴스
BBC News article
http://news.bbc.co.u[...]
BBC
[73]
웹인용
Failaka Island – Silk Roads Programme
https://en.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