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 내부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 내부 지진은 판 경계가 아닌 대륙 지각 또는 해양 지각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진은 정확한 발생 원인이 불분명하며, 오래된 단층대, 침강, 융기 현상, 또는 유체 이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판 내부 지진은 대륙 지각 내부 지진과 섭입대의 해양 지각 내부 지진으로 구분되며, 슬래브 내부 지진과 아웃터라이즈 지진으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주요 사례로는 2001년 구자라트 지진, 1886년 찰스턴 지진 등이 있으며, 과학자들은 지진계 관측 등을 통해 판 내부 지진의 원인과 예측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진의 종류 - 해구형 지진
    해구형 지진은 섭입대에서 판 경계면의 충상단층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지진으로,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하고 긴 시간 동안 강한 진동을 일으키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섭입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 지진의 종류 - 심발지진
    심발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200km를 초과하는 지진으로, 표면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실체파는 크게 느껴지며, 섭입하는 해양판의 움직임 등 여러 원인으로 판의 경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넓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지진이다.
  • 판 구조론 - 섭입
    섭입은 판 구조론의 핵심 과정으로, 밀도가 높은 지각판이 다른 지각판 아래로 가라앉는 현상이며, 지진, 화산 활동, 조산 운동과 같은 지각 활동과 해구, 화산호 등의 지형적 특징을 형성하고 지구의 지질학적 진화와 자연재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상 유일한 행성 규모의 현상이다.
  • 판 구조론 - 판 (지각)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되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 14~15개의 주요 판과 40여 개의 소규모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 내부 지진
개요
정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
원인판 내부의 기존 단층 활성화, 화산 활동, 인공 지진 등
발생 메커니즘
판 내부 응력판 경계에서 전달되는 응력, 맨틀 대류 등에 의한 응력 집중
단층 활성화기존 단층대의 약한 부분에서 응력 해소
특징
진원 깊이얕은 깊이에서 깊은 깊이까지 다양하게 발생 가능
발생 빈도판 경계 지진보다 상대적으로 낮음
피해 규모건물 붕괴, 지반 액상화 현상, 지진 해일 등
주요 발생 지역
대륙 내부미국 중동부,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등
해양 내부인도양, 대서양 등
연구 및 대책
연구판 내부 지진 발생 메커니즘 규명, 지진 위험 평가
대책내진 설계 강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지진 대비 훈련

2. 발생 원인

지구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판들은 아래 맨틀대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움직인다. 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돌하거나 미끄러질 때, 판의 경계 지역에서는 판간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반면, 판 내부 지진은 판의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판 내부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지진이다.[4] 이러한 지진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원인이 되는 단층은 깊이 매몰되어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16][7]

판 내부 지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대에 형성되었으나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리프트(rift) 지역이 지목된다. 이러한 지역은 지각에 약점을 남겨, 판 내부의 응력 변화에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4] 이 외에도 오래된 단층대의 재활성화[16][17], 지각 내 유체의 영향[7][10], 빙하 융해나 침식에 따른 지각 응력 변화[11][18]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으로 제시된다.

판 내부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판 경계 지진(거대조산대 지진)보다 더 많은 지진 에너지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지진의 잠재적 피해를 평가할 때, 지진 모멘트로 계산되는 규모(Mw)보다는 방출된 ''지진 에너지''가 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5]

많은 도시들이 드물지만 큰 규모의 판 내부 지진 발생 위험을 안고 있다. 하지만 원인이 불분명하고 발생 빈도가 낮아 특정 지역의 지진 위험도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현재 이러한 판 내부 지진을 일으키는 단층 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 1. 대한민국에서의 판 내부 지진 발생 원인

판 내부 지진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많은 경우 지진을 일으키는 활단층은 지하 깊숙이 숨어 있거나[16]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이다. 일부 지진학 연구에서는 과거에 활동했던 오래된 단층대를 따라 지각이 다시 움직이면서 판 내부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16][17] 이런 상황에서는 특정 도시의 지진 위험도가 얼마인지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렵다. 이러한 지진을 일으키는 단층의 역학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이해되고 있다.

또한, 판 내부 지진은 오래된 단층대의 활동과 전혀 관계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지각의 침강이나 융기 현상으로 인해 일어날 수도 있다.[18]

3. 종류

판 내부 지진은 크게 대륙 지각 내부에서 일어나는 지진과 섭입대의 해양 지각 내부에서 일어나는 지진 두 개로 구분할 수 있다.

3. 1. 대륙 지각 내부 지진

1891년 일본 기후현 노비평야에서 노비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표면에 드러난 지진 단층.


해양판이 섭입하는 대륙판의 가장자리 지역에서는 해구에서 수백 km 떨어진 넓은 범위까지 해양판이 누르는 힘이 전달된다. 이 힘은 판 내부나 지각 표면까지 전파되어 지각 표층부 곳곳에 균열을 만드는데, 이 균열을 단층이라고 한다. 이렇게 판의 경계가 아닌 지역의 단층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대륙 지각 내부 지진 또는 내륙 지각 내부 지진, 대륙판 내부 지진이라고 부른다. 일본의 이즈반도이즈 제도, 뉴질랜드는 해양판 위에 위치하지만, 이곳에서 발생하는 지진도 같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지진은 지표면에 단층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아 단층형 지진, 활단층형 지진이라고도 불리지만, 판 경계간 지진이나 다른 판 내부 지진 역시 단층 운동으로 발생하므로 엄밀히 말해 정확한 용어는 아니다. 내륙의 단층은 도시 바로 아래나 주변에 있는 경우가 많아 '직하형 지진'이라고도 부르지만, 간토대지진처럼 육지에서 발생하는 해구형지진도 존재하므로, 이와 구분하기 위해 "육지의 얕은 곳을 진원으로 하는 지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19][20]

대륙 지각 내부 지진의 규모는 활단층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단층에서는 최대 규모 M6-7 정도이며, 큰 단층의 경우 최대 M8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 해구형 지진처럼 긴 단층은 여러 개의 세그먼트(구간)로 나뉘어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동일한 활단층에서는 대략 수백 년에서 수십만 년을 주기로 큰 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 바로 아래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큰 피해를 줄 수 있지만, 강한 흔들림이 느껴지는 범위는 해구형 지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다. 또한, 대륙 지각 내부 지진은 초기 미동 감지 원리상 긴급지진속보가 늦게 발령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21]

지구의 지각은 7개의 주요 판과 8개의 보조 판, 그리고 수십 개의 작은 마이크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들은 아래 맨틀대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움직인다. 모든 판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판들은 서로 충돌하거나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판 경계 지역에서 빈번하게 지진을 일으킨다.

반면, 판의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판 내부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지진 발생 빈도가 낮다.[4] 이러한 판 내부 지진은 종종 과거에 형성되다 실패한 리프트(지각이 갈라지던 지역)와 같이 기존 판 구조에 약점으로 남아있는 지역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약점은 지역적인 판구조 변형에 취약할 수 있다. 판 내부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판 경계 지진(거대조산대 지진)보다 더 많은 지진 에너지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지진의 잠재적 피해를 평가할 때, 규모(Mw) 계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지진 모멘트보다 '지진 에너지'가 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다.[5]

대륙 지각 내부 지진의 대표적인 예로는 1995년 1월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M7.3의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진재), 2016년 규모 M7.3의 2016년 구마모토 지진, 그리고 한국에서 발생한 2016년 규모 M5.8의 9.12 경주 지진과 2017년 규모 M5.4의 2017년 포항 지진 등이 있다.[22]

3. 2. 해양 지각 내부 지진

동해 주변의 지진 분포 지도. 제일 오른쪽이 섭입대인 일본 해구이다. 파란 색으로 처진 지역이 훈춘-왕칭 심발지진대이다. 일본 해구에서 중국 만주로 갈수록 주요 지진의 발생 진원 깊이가 점점 깊어지는 모습(아래 그래프)를 보인다.


섭입대에서 침강 운동을 하는 해양 지각 내부에서도 지진이 발생한다. 이런 종류의 지진을 해양판 내부 지진 혹은 해양 지각 내부 지진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단순히 판 내부 지진이라고 하면 주로 이 해양판 내부 지진을 가리키며, 대륙판 내부 지진과는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때로는 판 경계간 지진과 함께 묶어 해구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진을 해구형 지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3]

해양판 내부 지진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이미 대륙판 아래로 섭입한 해양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지진(슬래브 내부 지진)으로, 진원이 매우 깊은 특징이 있다. 다른 하나는 섭입대 앞의 해양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지진(아웃터라이즈 지진)으로, 상대적으로 진원이 얕다.

3. 2. 1. 슬래브 내부 지진

해구를 지나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여 침강한 해양판은 맨틀 속으로 가라앉다가 깨지거나, 지하 깊은 곳에서 스태그넌트 슬래브(Stagnant slab)가 되어 큰 각도로 꺾이면서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해양판이 맨틀로 가라앉은 슬래브 내부에서 일어나는 지진을 슬래브 내부 지진(Intraslab earthquakeeng) 또는 슬래브 내 지진이라고 부른다.[12] 진원 깊이가 매우 깊은 경우가 많아 단순히 심발지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슬래브 내부 지진은 보통 진원 깊이가 깊고 진앙과의 거리도 멀지만, 규모가 큰 경우에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깊은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서 최대 진도에 가까운 흔들림이 관측될 수 있다. 판의 위치 관계나 맨틀 깊이 등에 따라 지진파의 전달 특성이 달라져, 진앙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오히려 더 큰 흔들림이 관측되는 이상진역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24]

이러한 지진은 차갑고 오래된 판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젊은 판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슬래브 내부 지진은 지하 500km가 넘는 깊이에서도 감지될 수 있으며, 중간 깊이 및 심발 지진의 주요 원인이 된다.[12]

한편, 지하 20km에서 60km 사이의 비교적 얕은 깊이에서 발생하는 슬래브 내부 지진도 있는데, 이는 천발 지진으로 분류되며 도시 지역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20세기에 발생한 최악의 지진 중 하나로 꼽히는 1970년 페루 해안의 1970년 안카시 지진(규모 Mw 7.9)이 대표적인 슬래브 내부 지진 사례이다. 또한, 미국 워싱턴주에서 발생한 2001년 니스퀄리 지진과 1949년 올림피아 지진 역시 슬래브 내부 지진이었다.[13]

3. 2. 2. 아웃터라이즈 지진

해양판이 대륙판 쪽으로 파고들 때 발생하는 왜곡은 판 경계에서 지진을 일으킨다. 그런데 이러한 왜곡은 섭입하기 전의 해양판, 즉 해구에서 먼 바다 쪽에서도 쌓이면서 해저가 융기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융기된 지역을 해구 외부 융기대(Outer trench swell) 또는 단순히 아웃터라이즈(Outer rise)라고 부른다.[25] 아웃터라이즈 지역에 쌓인 왜곡은 판 경계에서 발생하는 지진만으로는 완전히 해소되지 않기 때문에, 판 경계 지진 발생 전후에도 남은 왜곡으로 인해 습곡이나 단층 운동이 일어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해구 외부 융기대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아웃터라이즈 지진이라고 한다.

아웃터라이즈 지진은 주로 해양판이 아래로 구부러지기 직전, 가장 높게 솟아오른(수심이 얕은) 부분이 큰 장력을 받아 파괴되면서 발생하므로 정단층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26] 반면, 진원이 더 깊은 곳에서 발생하면 판 내부의 압축력으로 인해 역단층 형태의 지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아웃터라이즈 지진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깊은 바다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흔들림 피해는 적은 편이다. 그러나 규모 M8 이상의 거대 지진이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정단층 운동으로 해저 지반이 내려앉으면서 발생하는 쓰나미는 해구형 지진과 비슷한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27] 이는 해일지진처럼 지진동을 크게 느끼지 못해 쓰나미 대피가 늦어질 위험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아웃터라이즈 지진은 거대한 판 경계형 지진 이후 여진의 형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추가적인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28]

4. 판 내부 지진의 특징

지구의 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판들은 아래 맨틀대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움직인다. 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충돌하거나 미끄러지는 판의 경계 지역에서는 판간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반면, 판 내부 지진은 이러한 판의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판의 내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의미한다. 판간 지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낮다.[4] 이러한 지진은 종종 과거 지질 시대에 형성되다가 멈춘 리프트(rift)와 같이 지각에 구조적으로 약한 부분이 있는 곳에서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약한 지점은 주변 판의 움직임으로 인한 응력이 집중될 때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

판 내부 지진은 비슷한 규모(Mw)를 가진 판간 지진(거대충상단층 지진)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지진 에너지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지진이 주변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평가할 때, 지진 모멘트를 기반으로 계산된 규모(Mw)보다는 방출된 지진 에너지 자체가 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5]

5. 주요 사례


  • 1737년: 미국 뉴욕시에서 감지된 지진 (추정 규모 5.5)
  • 1755년: 미국 보스턴 인근 케이프 앤(Cape Ann) 지진 (추정 규모 6.0~6.3)
  • 1811년~1812년: 미국 미주리주 뉴매드리드 지진 (최대 추정 규모 8.6)[6]
  • 1884년: 미국 뉴욕시에서 다시 감지된 지진 (추정 규모 5.5)
  • 1886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지진 (추정 규모 6.5~7.3). 이 지역은 이전까지 지진 발생이 거의 없던 곳이어서 주목받았다.
  • 1888년 리오데라플라타 지진: 리오데라플라타 강 하구에서 발생한 판내 지진.[8] 남아메리카판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킬메스 해구(Quilmes Trough)의 재활성화된 단층에서 발생했다. 규모 5.0 이상의 이 지진은 부에노스아이레스, 라플라타 등 리오데라플라타 강 연안 지역에서 감지되었으며,[9] 우루과이푼타델에스테말도나도는 이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 피해를 입었다.[9]
  • 1989년: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뉴캐슬 지진
  • 2001년 구자라트 지진: 인도 구자라트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판내 지진. 판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여 지진 대비가 부족했다. 특히 쿠치(Kutch) 지역의 피해가 컸으며, 사망자는 2만 명 이상이었다.
  • 2011년: 미국 버지니아주 미네랄(Mineral) 지진 (추정 규모 5.8)
  • 2017년 보츠와나 지진: 보츠와나 동부에서 발생한 규모 6.5 지진 (진원 깊이 24km~29km). 가장 가까운 활성 판 경계로부터 3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으며,[7]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었다.

6. 예측 및 대비

과학자들은 판 내부 지진의 원인, 특히 그 반복 주기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가장 성공적인 연구 방법 중 하나는 지진계를 촘촘하게 설치하여 미소 지진(아주 작은 규모의 지진)을 상세하게 관측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통해 지진 발생의 원인이 되는 단층과 관련된 미소 지진들의 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미소 지진들은 단층의 활동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빙설지진은 때때로 판 내부 지진으로 오인될 수 있다.

7. 추가 정보

지구의 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판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며 경계부에서 잦은 지진을 일으킨다. 이를 판 경계 지진이라 한다. 반면, 판 내부 지진은 판의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드문 지진을 의미한다.[4] 이러한 지진은 종종 과거에 형성되다 만 리프트와 같이 지각에 구조적인 약점으로 남은 지역에서 발생하며, 지역적인 판 응력에 취약하여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

판 내부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판 경계 지진(메가스러스트 지진)보다 더 많은 지진 에너지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지진의 잠재적 파괴력을 평가할 때, 규모(Mw) 계산에 쓰이는 지진 모멘트보다 '지진 에너지'가 더 적합한 척도가 될 수 있다.[5]

판 내부 지진의 원인은 다양하며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주요 원인으로는 고대 단층대의 재활성화가 꼽히며, 때로는 지각 깊은 곳에서 상승하는 유체가 오래된 단층을 따라 이동하며 지진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10] 또한, 과거 빙하가 녹거나 침식 작용으로 인해 지각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하면서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11] 원인이 되는 단층은 매우 깊이 묻혀 있어[7] 발견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아, 특정 지역의 지진 위험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역사 기록상 지진 발생 횟수가 적은 지역에서는 더욱 예측이 힘들다. 과학자들은 지진계를 조밀하게 설치하여 미소 지진 활동을 상세히 관측하는 방식으로 판 내부 지진의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 반복 주기 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미소 지진들은 원인 단층을 따라 배열되는 경향을 보여 단층의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때때로 빙설지진이 판 내부 지진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주요 판 내부 지진 사례===

연도지역규모 (추정)비고
1737년, 1884년미국 뉴욕5.5
1755년미국 보스턴 (케이프 앤)6.0~6.3
1811년~1812년미국 뉴매드리드최대 8.6[6]
1886년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6.5~7.3이전까지 지진 활동이 거의 없던 지역에서 발생
1888년리오데라플라타 (아르헨티나/우루과이)5.0 이상[8]킬메스 해구(Quilmes Trough)의 재활성화된 단층에서 발생. 쓰나미 동반.[9]
1989년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뉴캐슬-
2001년인도 구자라트주Mw 7.7판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 2만 명 이상 사망 등 큰 피해.
2011년미국 버지니아주 미네랄5.8
2017년보츠와나 동부6.5가장 가까운 활성 판 경계에서 3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발생 (깊이 24km~29km).[7]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



===판내 지진 (Intraslab earthquake)과의 구분===

판 내부 지진(Intraplate earthquake)은 판의 경계에서 멀리 떨어진 안정된 대륙 지각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의미하는 반면, 판내 지진(Intraslab earthquake)섭입하는 해양판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가리킨다. 즉, 두 용어는 다른 종류의 지진을 지칭한다.

판내 지진은 섭입하는 판(slab)이 맨틀 속으로 파고들면서 판 내부의 응력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 지진은 차갑고 오래된 판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젊은 판에서는 드물다. 발생 깊이는 매우 다양하여, 500km 이상의 깊이에서도 감지될 수 있으며, 중발 및 심발 지진의 주요 원인이 된다.[12] 깊이 20km에서 60km 사이에서 발생하는 판내 지진은 천발 지진으로 분류되지만, 도시 지역 근처에서 발생할 경우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1970년 페루 해안에서 발생한 1970년 안카시 지진(Mw 7.9), 2001년 니스퀄리 지진, 1949년 올림피아 지진 등이 있다.[13]

참조

[1]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Heterogeneous Source Model of Intraslab Earthquakes Toward Strong Ground Motion Prediction
[2] 논문 Where and why do large shallow intraslab earthquakes occur?
[3] 논문 Intraplate Triggered Earthquakes: Observations and Interpretation http://bssa.geoscie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3-10-01
[4] 논문 Seismicity of the Ste. Genevieve Seismic Zone based on Observations from the EarthScope OIINK Flexible Array https://pubs.geoscie[...]
[5] 논문 Intraplate and interplate earthquakes in Chilean subduction zone: A theoretical and observational comparison
[6] 서적 The New Madrid Earthquakes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7] 논문 Aeromagnetic, gravity, and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analyses reveal the causative fault of the 3 April 2017 Mw6.5 Moiyabana, Botswana, earthquake 2017-09-09
[8] 논문 Seismicidad y seismotectónica en Uruguay https://revistas.ucm[...] 1998-01-01
[9] 논문 Shallow intraplate seismicity in the Buenos Aires province (Argentina) and surrounding areas: is it related to the Quilmes Trough? https://www.redalyc.[...]
[10] 논문 The April 2017 Mw6.5 Botswana Earthquake: An Intraplate Event Triggered by Deep Fluids https://hal.archives[...] 2018-07-13
[11] 뉴스 Can Rivers Cause Earthquakes? https://blogs.scient[...] 2018-12-26
[12] 논문 Revisiting Intraslab Earthquakes Beneath Kyushu, Japan: Effect of Ridge Subduction on Seismogenesis 2019-01-01
[13] 논문 Where and why do large shallow intraslab earthquakes occur? 2004-01-01
[14] 웹사이트 Earthquake Hazards Program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6-08-14
[15] 논문 Intraplate Triggered Earthquakes: Observations and Interpretation http://bssa.geoscie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3-10-01
[16] 논문 Aeromagnetic, gravity, and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analyses reveal the causative fault of the 3 April 2017 Mw6.5 Moiyabana, Botswana, earthquake 2017-09-09
[17] 논문 The April 2017 Mw6.5 Botswana Earthquake: An Intraplate Event Triggered by Deep Fluids https://hal.archives[...] 2018-07-13
[18] 뉴스 Can Rivers Cause Earthquakes? https://blogs.scient[...] 2018-12-18
[19] 논문 The April 2017 Mw6.5 Botswana Earthquake: An Intraplate Event Triggered by Deep Fluids https://hal.archives[...] 2018-07-13
[20] 뉴스 Can Rivers Cause Earthquakes? https://blogs.scient[...] 2018-12-18
[21] 뉴스 정확한 예측, 2년에 1회만 가능 = 긴급 지진 속보 개선 권고 - 총무성 시사통신사 2010-12-02
[22] 문서 東北地方の主な地震活動(2012年11月) https://www.jma.go.j[...]
[23] 웹사이트 해구형 지진과 활단층형 지진 http://www.j-shis.bo[...]
[24] 논문 상부맨틀의 이상구조가 강진동에 미치는 영향 https://eprints.lib.[...] 홋카이도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 지구행성과학전공 2019-04-01
[25] 논문 Bending-related faulting and mantle serpentinization at the Middle America trench
[26] 웹사이트 화제의 연구 수수께끼 해설 <보도자료><해양연구개발기구 http://www.jamstec.g[...] 2022-02-01
[27] 논문 2011년 동북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의 지각 활동에 관하여 https://doi.org/10.1[...]
[28] 문서 평田 직 등 (2011) pp.30-31, 오카다 (2012) pp.136-137, 엔다 (2011) pp.1050-1051, 엔다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