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 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트모던 신학은 현대 사회의 변화에 대한 신학적 반응으로, 기독교 메시지를 포스트모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시대적 전환을 배경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마르틴 하이데거의 철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파가 등장했다. 주요 분파로는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사상에 기반한 약한 신학, 해체주의적 신학, 건설주의적 신학, 급진 정통주의 등이 있으며, 하비 콕스는 해방신학을 포스트모던 신학의 유력한 후보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적 실존주의 - 기독교적 실존주의
기독교적 실존주의는 쇠렌 키르케고르의 사상을 바탕으로 신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중시하며, 인간의 선택과 주관적 진리를 통해 신앙을 탐구하고, 성경을 실존적 주체로서 개인적으로 받아들여 초기 기독교로 회귀하는 것을 강조한다.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 젠더 트러블
젠더 트러블은 주디스 버틀러가 쓴 책으로, 젠더 수행성 이론을 통해 젠더의 고정된 실체에 도전하고 퀴어 이론과 페미니즘에 영향을 미쳤다. - 다원주의 - 다원론
다원론은 현실 구조와 내용에 대한 다양한 형이상학적 모델을 포괄하는 철학적 개념으로, 형이상학적, 존재론적, 인식론적 다원론으로 나뉘어 현실의 영역, 존재 방식, 지식 획득 방법을 논하며 고대 그리스 철학자부터 현대 철학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 다원주의 -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는 종교적 관용을 넘어 다양한 종교의 가르침과 신념을 존중하며 종교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배타주의와 달리 다양한 종교가 각자의 방식으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 포스트모던 신학 | |
|---|---|
| 개요 | |
| 분야 | 기독교 신학 |
| 영향 받은 사상 |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 실존주의 |
| 주요 인물 |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마크 C. 테일러 존 D. 캐푸토 칼 라쉬케 |
| 특징 | |
| 주요 특징 | 전통적인 신학 체계 거부 객관적 진리 부정 상대주의적 관점 강조 종교적 다원주의 옹호 탈 중심적 신 이해 언어의 해체적 분석 경험과 맥락의 중요성 강조 |
| 비판 | |
| 주요 비판 | 허무주의적 경향 기독교 교리의 본질 희석 신학적 상대주의 심화 대중의 지지 부족 |
2. 포스트모던 신학의 기원
포스트모던 신학은 현대 후기 세계관과 문화 및 의식의 전환에 대한 신학적 응답으로, 기독교 메시지를 포스트모던 정황의 조명 아래 해석하려는 시도이다.[10]
토인비에 따르면, 제1차 세계 대전이 이러한 전환의 결정적 계기였다. 칼 바르트는 포스트모던 신학의 시발점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그는 1차 대전과 그 이전의 사건들을 경험하며 많은 현대적 실험들을 거부했다. 그러나 그는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의 개척자는 아니었고, 발기인이나 선창자로 여겨진다.[10] 1964년 존 캅이 신학에서 포스트모던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뉴 예일학파는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포스트모던 실험을 했다.[10]
포스트모던 신학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마르틴 하이데거를 공통 출발점으로 삼은 소수의 철학자들이 기독교[2] 신학과 관련한 영향력 있는 책들을 출판하면서 등장했다.[3] 이 시기 주요 저서로는 장-뤽 마리옹의 『존재 없는 신』(1982), 마크 C. 테일러의 『오류』(1984), 찰스 윈퀴스트의 『갈망하는 신학』(1994), 존 D. 카푸토의 『자크 데리다의 기도와 눈물』(1997), 칼 라슈케의 『신학의 종말』(2000) 등이 있다.
포스트모던 신학에는 하이데거 이후의 특정 대륙 철학 철학자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발전한 두 가지 분파, 즉 급진 정통주의와 약한 신학이 있다.
2. 1.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던 신학 논의
3. 포스트모던 신학의 다양한 분파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신학의 한 분파인 약한 신학은, 데리다가 "약한 힘"이라고 부르는 도덕적 경험을 묘사한다.[11][12] 약한 신학은 하나님이 강압적인 물리적 혹은 형이상학적 힘을 가진 존재라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어떠한 힘도 행사하지 않고 조건없이 주장하는 존재로 본다. 강제성을 배제한 요구자로서 약한 신학의 하나님은 자연에 간섭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약한 신학은 지금 이 세상에서 인간의 책임있는 행동을 강조한다.[8] 존 D. 카푸토가 이 운동의 대표적인 옹호자이다.[13]
해체주의적 신학은 푸코와 데리다로 대변되는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한 신학이다. 그것은 전통적 가치 체계의 해체에 근거해 전개된 부정적 성격의 신학이다. 그것은 하나님, 자아, 진리, 목적, 의미, 실재적 세계의 존재를 부정하고 일체의 세계관을 파괴한다. 대표자는 마크 테일러(Mark. Taylor)다. 그는 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해체주의 신학을 전개했다. 그의 급진적 기독론에 따르면, 초월적 하나님이 이 세상의 물질에 완전히 육화되었기 때문에 저 세상적이며 초월적인 것은 남아 있지 않다. 인간은 목표가 없는 삶을 사는 존재다. 테일러의 해체주의적 신학은 상대주의와 허무주의로 귀결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건설주의적 신학은 건설적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한 긍정적, 적극적 성격의 신학을 말한다. 건설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주의의 이점을 포기하지 않고 확장 또는 완성하려고 한다. 건설주의적 신학은 신, 진리, 자유, 가치, 도덕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것에 대한 서구 사상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대표자는 존 캅과 데이비드 그리핀이다. 그리핀의 포스트모더니즘은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 근거하여 현대성의 전제들을 개정하며 하나님과 자아와 같은 관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건설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성의 비물활론을 개정하여 신물활론, 즉 자연적 유신론을 주장했다. 그것은 모든 현실적 개체들이 자발성의 원리를 구현하고 있다는 견해다. 그 개체들에서 구현되고 있는 궁극적 실재가 창조성이다. 그리핀은 자연적 유신론에 근거하여 생태학적 포스트모던 신학을 주장했다. 그의 신학은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성서적 신이해를 왜곡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급진 정통주의는 현상학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신학의 한 분파로, 장-뤽 마리옹, 폴 리쾨르, 미셸 앙리 등이 그 영향을 미쳤다.[4] 급진 정통주의는 비공식적으로 조직되어 있지만, 그 지지자들은 몇 가지 명제에 동의한다. 이성과 믿음 또는 계시 사이에는 뚜렷한 구분이 없으며, 완전한 하나님의 이해는 불가능하지만, 세상은 하나님과의 상호 작용(문화, 언어, 역사, 기술, 신학 포함)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된다. 하나님은 사람들을 진리로 인도하지만, 진리는 결코 완전히 접근할 수 없다. 물리적 세계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초월성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구원은 하나님 및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견된다.[5] 존 밀뱅크, 캐서린 픽스톡, 그레이엄 워드가 급진 정통주의의 주요 지지자이다.
하비 콕스는 "세속도시"에서 기독교의 철저한 세속화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최근 저서 "세속도시의 종교: 포스트모던 신학을 향하여"에서 종교의 소생을 인정하고 기독교 메시지를 재해석하는 것을 포스트모던 신학의 과제로 보았다. 그는 포스트모던 신학을 주도할 두 후보로 매스메디아 근본주의와 해방신학과 결합된 기초 공동체 운동을 지목했고, 해방신학을 포스트모던 시대의 선두에 설 최고의 기독교 신학 후보로 평가했다. 한편 콕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해방사상이 과연 포스트모던적이냐 하는 것이다.[10]
3. 1. 약한 신학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신학의 한 분파인 약한 신학은, 데리다가 "약한 힘"이라고 부르는 도덕적 경험을 묘사한다.[11][12] 약한 신학은 하나님이 강압적인 물리적 혹은 형이상학적 힘을 가진 존재라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어떠한 힘도 행사하지 않고 조건없이 주장하는 존재로 본다.[8] 강제성을 배제한 요구자로서 약한 신학의 하나님은 자연에 간섭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약한 신학은 지금 이 세상에서 인간의 책임있는 행동을 강조한다.[8] 존 D. 카푸토(John D. Caputo)가 이 운동의 대표적인 옹호자이다.[13]3. 2. 해체주의적 신학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신학의 한 분파인 약한 신학은, 데리다가 "약한 힘"이라고 부르는 도덕적 경험에 대한 그의 묘사를 포함한다.[11][12][6][7] 약한 신학은 하나님이 강압적인 물리적 혹은 형이상학적 힘을 가진 존재라는 것을 거부한다. 대신, 하나님은 어떠한 힘도 행사하지 않고 조건없이 주장하신다고 한다. 강제성을 배제한 요구자로서 약한 신학의 하나님은 자연에서 간섭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약한 신학은 여기에 지금 이 세상에서 인간의 책임있는 행동을 강조한다.[8] 존 D. 카푸토(John D. Caputo)가 이 운동의 유명한 옹호자이다.[13]해체주의적 신학은 푸코와 데리다로 대변되는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한 신학이다. 그것은 전통적 가치 체계의 해체에 근거해 전개된 부정적 성격의 신학이다. 그것은 하나님, 자아, 진리, 목적, 의미, 실재적 세계의 존재를 부정하고 일체의 세계관을 파괴한다. 대표자는 마크 테일러(Mark. Taylor)다. 그는 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해체주의 신학을 전개했다. 그의 급진적 기독론에 따르면, 초월적 하나님이 이 세상의 물질에 완전히 육화되었기 때문에 저 세상적이며 초월적인 것은 남아 있지 않다. 인간은 목표가 없는 삶을 사는 존재다. 테일러의 해체주의적 신학은 상대주의와 허무주의로 귀결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 3. 건설주의적 신학 (과정신학)
건설주의적 신학은 건설적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한 긍정적, 적극적 성격의 신학을 말한다.[10] 건설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주의의 이점을 포기하지 않고 확장 또는 완성하려고 한다. 건설주의적 신학은 신, 진리, 자유, 가치, 도덕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것에 대한 서구 사상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대표자는 존 캅(John Cobb)과 데이비드 그리핀(David Griffin)이다. 그리핀의 포스트모더니즘은 화이트헤드(Whitehead)의 과정철학에 근거하여 현대성의 전제들을 개정하며 하나님과 자아와 같은 관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건설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성의 비물활론을 개정하여 신물활론, 즉 자연적 유신론을 주장했다. 그것은 모든 현실적 개체들이 자발성의 원리를 구현하고 있다는 견해다. 그 개체들에서 구현되고 있는 궁극적 실재가 창조성이다. 그리핀은 자연적 유신론에 근거하여 생태학적 포스트모던 신학을 주장했다. 그의 신학은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성서적 신이해를 왜곡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0]3. 4. 급진 정통주의
급진 정통주의는 현상학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신학의 한 분파로, 장-뤽 마리옹, 폴 리쾨르, 미셸 앙리 등이 그 영향을 미쳤다.[4]급진 정통주의는 비공식적으로 조직되어 있지만, 그 지지자들은 몇 가지 명제에 동의한다. 이성과 믿음 또는 계시 사이에는 뚜렷한 구분이 없으며, 완전한 하나님의 이해는 불가능하지만, 세상은 하나님과의 상호 작용(문화, 언어, 역사, 기술, 신학 포함)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된다. 하나님은 사람들을 진리로 인도하지만, 진리는 결코 완전히 접근할 수 없다. 물리적 세계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초월성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구원은 하나님 및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견된다.[5]
존 밀뱅크, 캐서린 픽스톡, 그레이엄 워드가 급진 정통주의의 주요 지지자이다.
3. 5. 해방주의적 신학
하비 콕스(Harvey Cox)는 "세속도시"에서 기독교의 철저한 세속화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최근 저서 "세속도시의 종교: 포스트모던 신학을 향하여"에서 종교의 소생을 인정하고 기독교 메시지를 재해석하는 것을 포스트모던 신학의 과제로 보았다.[10] 그는 포스트모던 신학을 주도할 두 후보로 매스메디아 근본주의와 해방신학과 결합된 기초 공동체 운동을 지목했고, 해방신학을 포스트모던 시대의 선두에 설 최고의 기독교 신학 후보로 평가했다. 한편 콕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해방사상이 과연 포스트모던적이냐 하는 것이다.[10]4. 포스트모던 신학자들
존 D. 카푸토, Richard Kearney, Mario Kopić, Jean-Luc Marion, Françoise Meltzer, 존 밀뱅크, James Olthuis, Carl Raschke, Peter Rollins, 제임스 K. A. 스미스, 마크 C. 테일러, Gabriel Vahanian, Gianni Vattimo, Charles Winquist, 캐서린 픽스톡, 메리-제인 루빈스타인, 캐서린 켈러, 미하일 엡스타인 등이 포스트모던 신학자로 언급된다.
5. 한국의 포스트모던 신학자
6. 비판과 전망
참조
[1]
서적
Postmodern Theology: A Biopic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Postmodern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
서적
Radical Political Theology
https://archive.org/[...]
[4]
서적
Deconstructing Radical Orthodoxy
Routledge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8-02-12
[6]
서적
The Weakness of God
Indiana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Weakness of God
Indiana University Press
[8]
서적
After the Death of God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Postmodern Theology: A Biopic
[10]
논문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신학
http://www.theology.[...]
[11]
서적
The Weakness of God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Weakness of God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3]
서적
After the Death of God
Columb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