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K. A. 스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K. A. 스미스는 캐나다 출신의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문화 비평, 철학, 신학, 윤리학, 미학, 과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학문적 연구를 수행한다. 그는 대륙 철학을 기반으로 아우구스티누스 전통의 신학적 문화 비평에 영향을 받았으며, "문화적 전례" 개념을 통해 교회의 실천과 문화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다. 과거 급진 정통주의를 지지하며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머전트 교회 운동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스미스는 칼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널리 알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빈 대학교 교수 - 앨빈 플랜팅가
    앨빈 플랜팅가는 형이상학과 인식론, 특히 종교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철학자로, 개혁주의 인식론, 자유 의지 옹호론, 자연주의에 대한 진화론적 논증 등으로 유명하며 미국 철학회와 기독교 철학자 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템플턴 상을 수상했다.
  • 캘빈 대학교 교수 - 카린 마아그
    카린 마아그는 독일의 정치인, 작가, 번역가, 기업 이사로서 독일 연방 하원 의원, 보건 정책 대변인, 비영리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ETH 취리히 재단 이사, 스위스 국립은행 감사 위원회 위원, 노바티스 이사회 멤버로도 활동했다.
  • 워털루 대학교 동문 - 데이비드 모렐
    데이비드 모렐은 캐나다 출신의 소설가로, 소설 《퍼스트 블러드》를 통해 유명해졌으며, 영화 《람보》 시리즈의 원작을 썼고, 국제 스릴러 작가 협회 공동 회장을 역임했다.
  • 워털루 대학교 동문 - 라스무스 러도프
    라스무스 러도프는 PHP 프로그래밍 언어 창시자로 잘 알려진 캐나다 프로그래머로, 아파치 HTTP 서버 기여, mSQL DBMS에 LIMIT 절 추가 등 초기 웹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러 기업에서 웹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MIT 테크놀로지 리뷰 TR100에 선정되기도 했다.
  • 포스트모더니스트 - 오노 요코
    오노 요코는 일본계 미국인 전위 예술가, 음악가, 영화 제작자, 작가로서 플럭서스 운동 참여, 개념 미술과 퍼포먼스 아트 선구자, "컷 피스"와 『그레이프프루트』 등의 대표작, 실험 영화 제작, 존 레논과의 협업, 평화 운동가 활동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술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 포스트모더니스트 - 아사다 아키라
    아사다 아키라는 교토대학 출신의 사상가이자 평론가로,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사상을 재구성한 저서를 발표하고, 비평 활동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제임스 K. A. 스미스
기본 정보
2019년 리벨 위즈덤에 출연한 스미스
2019년 리벨 위즈덤에 출연한 스미스
본명제임스 케네스 알렉산더 스미스
출생1970년 10월 9일
출생지엠브로, 온타리오 주, 캐나다
국적캐나다
미국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학력엠마우스 성경 대학
기독교 학문 연구소
빌라노바 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신학의 현상학적 가능성에 대하여: 말하지 않기를 피하는 방법
학위 논문 년도1999년
학문적 전통대륙 철학
포스트모던 기독교
개혁주의 철학
박사 지도 교수존 D. 카푸토
학문적 조언자제임스 올트하우스
영향아우구스티누스
장 칼뱅
아브라함 카이퍼르
존 밀뱅크
올리버 오도노반
캐서린 픽스톡
앨빈 플랜팅가
캘빈 세어벨드
찰스 테일러
관심 분야해석학
철학적 신학
사회 과학 철학
세속주의
직장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
캘빈 대학교
참고자료

2. 생애와 교육

스미스는 1970년 10월 9일[7] 캐나다 온타리오주 엠브로에서 태어났다.[8] 그는 캐나다미국에서 교육 과정을 마쳤으며,[18][19][8][9][10] 현재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거주하고 있다.

2. 1. 학문적 배경

스미스는 워털루 대학교와 엠마우스 성경 대학에서 학부 과정을 마쳤다.[18][8] 그는 기독교 연구소에서 제임스 올투이스 교수의 지도하에 1995년 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9][8][9] 이후 빌라노바 대학교에서 유명한 해체주의 철학자 존 D. 카푸토의 지도를 받아 1999년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8][19][8][9][10]

2. 2. 주요 경력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에서 잠시 가르친 후,[8][9][10] 스미스는 현재 캘빈 칼리지에서 철학과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18] 그는 또한 트리니티 포럼의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3. 주요 사상

제임스 K. A. 스미스의 학문적 연구는 철학, 신학, 윤리학, 미학, 과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교차점에서 이루어진다.[11] 그는 대륙 철학과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아브라함 카이퍼로 이어지는 아우구스티누스 전통의 신학적 문화 비평에 영향을 받았으며,[11] 개혁주의오순절주의 신학 배경도 가지고 있다.

스미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현대 사회의 문화적 실천들이 개인의 욕망과 세계관을 형성하는 "문화적 전례"로 기능한다고 분석하는 것이다.[11] 그는 이러한 문화적 힘에 맞서 교회가 고유한 신앙적 실천과 전례를 통해 신자들의 삶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과거 급진 정통주의를 지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스미스는 신학과 교회의 이야기가 근대주의를 극복할 힘이 있다고 본다.[12] 그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머전트 교회 운동의 일부 경향이 실제로는 계몽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비판하며,[12] 진정한 대안은 역사적 기독교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공동체에 헌신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의 연구는 종교 철학, 도시 이타주의, 과학과 신학의 관계 등 폭넓은 주제를 아우른다.

3. 1. 대륙 철학과 개혁주의 신학의 영향

제임스 K. A. 스미스의 학문적 연구는 철학, 신학, 윤리학, 미학, 과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교차점에서 이루어진다. 그는 대륙 철학에 깊은 기반을 두고 있으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존 칼빈에서 시작하여 조나단 에드워즈, 아브라함 카이퍼로 이어지는 오랜 아우구스티누스 전통의 신학적 문화 비평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11] 그의 학문적 배경에는 대륙 철학 외에도 개혁주의오순절주의 신학 연구가 포함되며, 이는 그의 다양한 지적 관심사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현재 그의 주된 관심사는 교회의 실천과 문화에 대한 교회의 증언에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그가 "문화적 전례"라고 부르는 것을 해석하고 이해할 필요성을 강조한다.[11] 스미스의 연구 주제는 종교에 관한 대륙 철학에서부터 도시 이타주의, 과학과 신학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나타난다.

과거 급진 정통주의를 지지했던 스미스는 신학, 특히 교회가 전하는 이야기가 근대주의를 극복할 힘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그의 대중적인 글들은 복음주의자들에게 포스트모더니즘과 급진 정통주의를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는 이머전트 교회 운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 운동이 추구하는 가치 중 일부에는 공감을 표한다.[12] 스미스는 특정 포스트모던 철학적 주장이나 이를 수용하려는 일부 교회의 시도가 실제로는 계몽주의가 설정한 의제를 벗어나지 못했으며, 따라서 충분히 포스트모던하지 않다고 비판한다. 그는 역사적 교회 전통에서 벗어나려는 이머전트 교회의 경향을 비판하며, 오히려 교회 공동체에 깊이 뿌리내리고 장기적으로 헌신하며, 역사적 기독교 정통성 안에서 깊이 있는 담론에 참여하는 것이야말로 오늘날 교회가 취할 수 있는 진정한 포스트모던적 혹은 반(反)근대적 실천이라고 강조한다.

3. 2. 문화적 전례 (Cultural Liturgies)

제임스 K. A. 스미스의 주요 학문적 관심사는 교회의 실천과 문화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여, 그가 "문화적 전례"(Cultural Liturgies)라고 부르는 것을 해석하고 이해할 필요성으로 모아진다.[11] 이는 그의 연구가 철학, 신학, 윤리학, 미학, 과학, 정치의 교차점에서 이루어지며, 특히 대륙 철학과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존 칼빈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와 아브라함 카이퍼에 이르는 오랜 아우구스티누스 전통의 신학적 문화 비평에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11]

스미스는 '문화적 전례'라는 개념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반복되는 습관과 실천들이 단순히 의식적인 믿음뿐만 아니라 우리의 근본적인 욕망과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현대 사회의 여러 문화적 요소들이 사람들의 가치관과 정체성을 만드는 세속적인 '전례'로 기능한다고 본다.

따라서 그는 교회가 이러한 '문화적 전례'의 힘을 이해하고, 기독교적 가치를 담은 대안적인 실천과 전례를 통해 신자들의 삶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과거 급진 정통주의의 입장에서 신학과 교회의 이야기가 근대성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던[12] 스미스는, 역사적 교회 전통에 뿌리를 내리고 공동체에 헌신하며 기독교 정통성 안의 깊이 있는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야말로 오늘날 교회가 추구해야 할 진정한 반(反)-근대적 실천이라고 역설한다.[12] 이는 일부 이머전트 교회 운동이 역사적 전통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된다.[12] 그의 이러한 주장은 대륙 철학개혁주의오순절주의 신학 배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3. 3. 포스트모더니즘과 급진 정통주의 비판

과거 급진 정통주의의 지지자였던 스미스는 신학, 특히 교회가 전하는 이야기가 근대주의를 극복할 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대중적인 글들은 복음주의자들에게 포스트모더니즘과 급진 정통주의에 대해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이머전트 교회 운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 운동의 여러 측면에는 공감하는 모습을 보인다.[12]

스미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특정 포스트모던 철학적 주장들과 이를 다루려는 일부 교회의 시도들이 실제로는 충분히 포스트모던하지 않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시도들이 오히려 계몽주의가 설정한 틀을 받아들였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관점은 역사적 교회 전통에서 벗어나려는 이머전트 교회의 경향이 심각한 실수라는 그의 경고에서 잘 나타난다. 스미스는 뿌리를 내리고, 공동체에 장기적으로 헌신하며, 역사적인 기독교 정통성 안에서 깊이 있는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야말로 오늘날 교회가 취할 수 있는 진정으로 포스트모던하거나 반(反)근대적인 실천이라고 강조한다.

3. 4. 이머전트 교회 비판과 대안 제시

스미스는 이머전트 교회 운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그 운동이 추구하는 일부 목표에는 공감하기도 한다.[12] 그는 특정 포스트모던 철학적 주장이나 이를 받아들이려는 일부 교회의 시도들이 실제로는 충분히 포스트모던하지 않으며, 오히려 계몽주의가 설정한 의제를 답습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미스는 이머전트 교회가 역사적 교회 전통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그는 진정으로 포스트모던하거나 반(反)-근대적인 교회의 실천은 오히려 공동체에 깊이 뿌리내리고 장기적으로 헌신하며, 역사적 기독교 정통성 안에서 이루어지는 심오한 담론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과거 급진 정통주의를 지지했던 그의 생각과도 연결되는데, 그는 '신학', 특히 교회가 전하는 이야기가 근대주의를 극복할 힘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12]

4. 저서

제임스 K. A. 스미스는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신학, 문화 이론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폭넓은 저술 활동을 펼쳐왔다. 그의 저작에는 단독 저서뿐만 아니라 다른 학자들과의 공저, 주요 저서 편집, 그리고 장뤽 마리옹과 같은 사상가의 저작 번역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이 포함된다.

4. 1. 주요 저서 목록

연도제목비고
2000『해석의 몰락: 창조적 해석학의 철학적 기초』 (The Fall of Interpretation: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a Creational Hermeneuticeng)2012년 제2판 출간
2002『말과 신학: 언어와 성육신의 논리』 (Speech and Theology: Language and the Logic of Incarnationeng)
2004『철학의 101가지 핵심 용어와 신학적 중요성』 (101 Key Terms in Philosophy and Their Importance for Theologyeng)켈리 제임스 클라크 및 리처드 린츠 공저
2004『급진 정통주의 입문: 탈세속 신학 지형 그리기』 (Introducing Radical Orthodoxy: Mapping a Post-secular Theologyeng)존 밀뱅크 서문
2004The Crossing of the Visible장뤽 마리옹 저서 번역
2004『자선의 해석학: 해석, 자기, 포스트모던 신앙』 (The Hermeneutics of Charity: Interpretation, Selfhood, and Postmodern Faitheng)헨리 아이작 베네마와 공동 편집 (제임스 올트하이스 기념 논문집)
2005『자크 데리다: 살아있는 이론』 (Jacques Derrida: Live Theoryeng)
2005『급진 정통주의와 개혁 전통: 창조, 언약, 참여』 (Radical Orthodoxy and the Reformed Tradition: Creation, Covenant, and Participationeng)제임스 올트하이스와 공동 편집
2006『교차로의 해석학』 (Hermeneutics at the Crossroadseng)브루스 엘리스 벤슨 및 케빈 J. 반후저와 공동 편집
2006『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데리다, 리오타르, 푸코를 교회로 데려오기』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eng)교회와 포스트모던 문화 시리즈
2008『근대성 이후?: 세속성, 세계화, 그리고 세계의 재주술화』 (After Modernity?: Secularity, Globalization, and the Reenchantment of the Worldeng)편집
2009『악마는 데리다를 읽는다: 그리고 대학, 교회, 정치, 예술에 관한 다른 에세이들』 (The Devil Reads Derrida: and Other Essays on the University, the Church, Politics, and the Artseng)
2009『왕국을 욕망하라: 예배, 세계관, 문화 형성』 (Desiring the Kingdom: Worship, Worldview, and Cultural Formationeng)문화적 전례 시리즈 1권
2010『방언으로 생각하기: 기독교 철학에 대한 오순절적 기여』 (Thinking in Tongues: Pentecostal Contributions to Christian Philosophyeng)
2010『과학과 영: 과학과의 오순절적 만남』 (Science and the Spirit: A Pentecostal Engagement with the Scienceseng)아모스 용과 공동 편집
2010『젊은 칼뱅주의자에게 보내는 편지: 개혁 전통으로의 초대』 (Letters to a Young Calvinist: An Invitation to the Reformed Traditioneng)
2011『가르침과 기독교 실천: 신앙과 배움의 재형성』 (Teaching and Christian Practices: Reshaping Faith and Learningeng)데이비드 I. 스미스와 공동 편집
2013『왕국을 상상하라: 예배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Imagining the Kingdom: How Worship Workseng)문화적 전례 시리즈 2권
2013『현재 시제의 제자도: 신앙과 문화에 대한 성찰』 (Discipleship in the Present Tense: Reflections on Faith and Cultureeng)
2014『누가 상대주의를 두려워하는가?: 공동체, 우연성, 피조물성』 (Who's Afraid of Relativism?: Community, Contingency, and Creaturehoodeng)교회와 포스트모던 문화 시리즈
2014『세속적이지 않는 법: 찰스 테일러 읽기』 (How (Not) to Be Secular: Reading Charles Tayloreng)
2016『당신이 사랑하는 것이 당신이다: 습관의 영적인 힘』 (You Are What You Love: The Spiritual Power of Habiteng)
2017『왕을 기다리며: 공공 신학 개혁하기』 (Awaiting the King: Reforming Public Theologyeng)문화적 전례 시리즈 3권
2019『성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길 위에서: 불안한 마음을 위한 실제적인 영성』 (On the Road with Saint Augustine: A Real-World Spirituality for Restless Heartseng)
2022『어떻게 시간을 살 것인가: 과거를 이해하고, 미래에 직면하고, 현재를 충실하게 살아가기』 (How to Inhabit Time: Understanding the Past, Facing the Future, Living Faithfully Noweng)


5. 영향과 평가

제임스 K. A. 스미스는 현대 기독교 철학신학 분야에서 주목받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술과 강연은 많은 기독교인들과 공동체에 신앙의 실천적 측면에 대한 깊은 성찰과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있는 현대 사회 속에서 신앙의 의미와 교회의 역할을 재조명하며, 개인의 삶과 공동체적 실천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그의 작업은 예배일상의 실천들이 개인의 정체성과 세계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회가 세속 문화 속에서 대안적인 가치를 제시하는 공동체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5. 1.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제임스 K. A. 스미스의 핵심 개념인 "문화적 전례"(cultural liturgieseng)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11] 스미스는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일상적인 문화 활동, 예를 들어 소비주의 문화나 대중문화 참여 등을 통해 특정 가치관과 욕망을 내면화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화적 실천들이 개인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형성하는 강력한 힘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 사회에서 종교적 실천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문화 활동이 개인의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분석하는 틀을 제공한다. 특히 한국 기독교 교회에 대해서는, 교회의 예배와 공동체 활동이 어떻게 세속 사회의 '문화적 전례'에 맞서 대안적인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제시하는 '대항적 전례'(counter-liturgieseng)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 성찰하게 한다.[11] 스미스는 교회가 단순히 교리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신자들의 삶 전체를 형성하는 실천 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스미스가 포스트모더니즘 논의 속에서 교회의 역사적 전통과 공동체에 대한 깊은 헌신을 강조한 점은[12], 급변하는 현대 한국 사회 속에서 교회가 어떻게 뿌리를 내리고 사회와 의미 있게 소통하며 복음을 증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준다. 이는 피상적인 유행을 따르기보다, 깊이 있는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역사적 기독교 정통성에 기반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참조

[1] 학위논문 How to Avoid Not Speaking: On the Phenomenological Possibility of Theology Villanova University
[2] 뉴스 Christmas, 2015: Dr. James K.A. Smith http://anglicanplane[...] 2018-02-12
[3] 웹사이트 Doing Political Theology, Waiting for King Jesus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20-12-23
[4] 웹사이트 James K.A. Smith's 'Cultural Liturgies' https://divinity.uch[...] University of Chicago 2019-05-06
[5] 간행물 James K. A. Smith's Theological Journey https://www.americam[...] 2019-05-06
[6] 웹사이트 Editorial Announcement - Image Journal https://imagejournal[...]
[7] 웹사이트 Smith, James K. A., 1970- - LC Linked Data Service: Authorities and Vocabularies | Library of Congress, from LC Linked Data Service: Authorities and Vocabularies (Library of Congress) https://id.loc.gov/a[...]
[8] 웹사이트 James K.A. Smith http://go.galegroup.[...] Gale 2013-06-10
[9] 서적 Jacques Derrida: Live Theory Continuum
[10] 서적 Deconstructing Radical Orthodoxy: Postmodern Theology, Rhetoric and Truth https://cdn.dal.ca/c[...] Ashgate 2020-08-23
[11] 웹사이트 Desiring the Kingdom: Worship, Worldview, and Cultural Formation http://www.calvin.ed[...] Calvin College 2011-04-17
[12] 서적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Baker Academic 2006
[13] 뉴스 Christmas, 2015: Dr. James K.A. Smith http://anglicanplane[...] 2018-02-12
[14] 간행물 James K. A. Smith's Theological Journey https://www.americam[...] 2019-05-06
[15] 웹인용 James K.A. Smith's 'Cultural Liturgies' https://divinity.uch[...] University of Chicago 2019-05-06
[16] 웹인용 Blog Comment at Women in Theology http://womenintheolo[...]
[17] 웹인용 Desiring the Kingdom: Worship, Worldview, and Cultural Formation http://www.calvin.ed[...] Calvin College 2011-04-17
[18] 웹인용 James K.A. Smith http://go.galegroup.[...] Gale 2013-06-10
[19] 서적 Jacques Derrida: Live Theory https://archive.org/[...] Continu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