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루샤르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루샤르타는 산스크리트어로 "인간의 목적" 또는 "인간 추구의 대상"을 의미하며, 힌두교의 핵심 개념으로, 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한 네 가지 목표를 제시한다. 이 네 가지 목표는 다르마(Dharma, 의무), 아르타(Artha, 부), 카마(Kama, 쾌락), 목샤(Moksha, 해방)로, 고대 인도 문헌에서는 다르마가 가장 중요하며, 목샤를 궁극적인 목표로 여긴다. 푸루샤르타는 삶의 네 단계를 의미하는 아슈라마와 연관되어 논의되기도 하며, 각 목표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담은 문헌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용어 - 다르마
    다르마는 인도 철학과 종교에서 우주적 질서, 법, 의무, 진리, 가르침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핵심 개념으로, 각 종교와 철학적 학파에 따라 해석과 중요성이 다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윤리적, 도덕적 가치관의 지침이 된다.
  • 힌두교 용어 - 아스티카와 나스티카
    아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인도 철학 학파를, 나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학파를 지칭하며, 이 구분은 유신론이나 무신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푸루샤르타
개요
의미인간 삶의 네 가지 목표
다른 이름차투르바르가 (Cāturvarga)
목표
다르마 (Dharma)정의, 윤리, 종교적 의무
아르타 (Artha)부, 번영, 경제적 가치
카마 (Kama)즐거움, 기쁨, 감각적 만족
모크샤 (Moksha)해방, 영적 해탈
설명
다르마정의롭고 윤리적인 삶을 사는 것
사회적, 종교적 의무를 다하는 것
아르타정당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하고 번영을 이루는 것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
카마감각적 즐거움과 기쁨을 추구하는 것
사랑, 아름다움, 예술을 향유하는 것
모크샤윤회로부터 해방되어 영원한 자유를 얻는 것
자아를 실현하고 궁극적인 진리를 깨닫는 것
중요성
균형네 가지 목표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함
조화다르마를 바탕으로 아르타와 카마를 추구하고, 궁극적으로 모크샤를 지향하는 삶
관련 개념
아쉬라마 (Āśrama)삶의 단계 (학생기, 가주기, 은둔기, 유랑기)
바르나 (Varṇa)사회 계층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2. 어원

''푸루샤르타''(पुरुषार्थ)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인 ''푸루샤''(पुरुष)와 ''아르타''(अर्थ)의 합성어이다. ''푸루샤''는 "영", "비물질적 본질", "우주의 영혼이자 근원으로서의 원초적 인간"을 의미한다.[5] ''푸루샤르타''는 문자 그대로 "인간의 목적" 또는 "인간 추구의 대상"을 의미한다.[1][6]

알프 힐테바이트는 ''푸루샤르타''를 "인간의 목표"로 번역한다.[32] 프라사드는 고대 및 중세 인도 텍스트에서 "인간"은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한다고 설명한다.[6] 올리벨은 ''푸루샤르타''를 "인간 삶의 목표"로 번역한다.[7] 프라부파다는 저서 ''바가바드 기타''(Bhagavad-Gita As It Is)에서 ''푸루샤르타''를 "물질적 종교성, 경제적 발전, 감각적 만족, 그리고 마지막으로 최고 존재와 하나가 되려는 시도"로 묘사한다.[8]

''푸루샤르타''는 ''차투르바르가''(Chaturvarga)라고도 불린다.[9]

3. 푸루샤르타의 네 가지 목표

푸루샤르타는 힌두교의 핵심 개념으로, 모든 인간은 충족되고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하고 충분한 네 가지 적절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10]


  • 다르마 - 의무, 권리, 법, 행위, 덕목 및 '올바른 삶의 방식'을 포함한다.
  • 아르타 - 부, 직업, 생계를 위한 활동, 재정적 안정 및 경제적 번영을 포함한다.
  • 카마 - 욕망, 소망, 열정, 감정, 감각적 쾌락, 삶의 미학적 즐거움, 애정 또는 사랑을 의미한다.
  • 목샤 - 해방, 자유 또는 해방을 의미한다.

3. 1. 다르마 (धर्म)

다르마는 삶과 우주를 가능하게 하는 질서인 리타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행동을 의미하며,[11] 의무, 권리, 법, 행위, 덕목 및 '올바른 삶의 방식'을 포함한다.[12] 힌두교 다르마는 각 개인의 종교적 의무, 도덕적 권리 및 의무뿐만 아니라 사회 질서, 올바른 행위, 덕목을 가능하게 하는 행동을 포함한다.[12] 반 부이테넨에 따르면,[13] 다르마는 세상의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존재가 받아들이고 존중해야 하는 것이다. 반 부이테넨은 다르마가 자신의 본성과 진정한 소명을 추구하고 실행하여 우주의 조화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13]

3. 2. 아르타 (अर्थ)

아르타는 원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삶의 수단', 활동 및 자원을 의미한다.[14] 아르타는 부, 직업, 생계를 위한 활동, 재정적 안정 및 경제적 번영을 포함한다. 아르타의 적절한 추구는 힌두교에서 인간 삶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된다.[15][16]

3. 3. 카마 (काम)

카마는 욕망, 소망, 열정, 감정, 감각적 쾌락, 삶의 미학적 즐거움, 애정 또는 사랑을 의미하며, 음욕적 의미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17] 개빈 플러드는[18] 카마를 다르마(도덕적 책임), 아르타(물질적 번영) 및 목샤(영적 해방)로 향하는 여정을 침해하지 않는 "사랑"으로 설명한다.

3. 4. 모크샤 (मोक्ष)

목샤는 해방, 자유 또는 해방을 의미한다.[19] 힌두교의 일부 학파에서 ''목샤''는 죽음과 환생의 순환인 ''삼사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고, 다른 학파에서는 목샤가 현생에서의 자유, 자기 지식, 자기 실현 및 해방을 의미한다.[20][21]

4. 네 가지 목표 간의 관계와 중요성

고대 인도 문헌은 다르마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다르마를 무시하면 아르타와 카마, 즉 각각 이익과 쾌락은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진다.[22] 고타마 다르마샤스트라, 아파스탐바 다르마수트라, 야즈나발키야 스므리티는 다르마가 먼저이며 아르타와 카마보다 더 중요하다고 제시한다.[23]

카마는 세 가지 목표의 상대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아르타가 더 중요하며 카마에 앞서야 하고, 다르마는 더 중요하며 카마와 아르타 모두에 앞서야 한다.[24] 그러나 카우틸리야는 아르타가 다른 두 가지의 기초라고 주장한다. 사회 또는 개인 수준에서 번영과 안보가 없으면 도덕적 삶과 감각적 쾌락 모두 어려워진다. 카우틸리야는 가난은 악과 증오를 낳고, 번영은 미덕과 사랑을 낳는다고 제안했다.[22] 카우틸리야는 이 세 가지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삶의 즐거움, 덕스러운 행동, 부의 추구를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인다. 다른 두 가지를 완전히 거부하고 삶의 어느 한 측면을 지나치게 추구하면 지나치게 추구하는 것을 포함한 세 가지 모두에 해를 끼친다.[25] 샤스트라는 아르타, 카마, 다르마의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나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다르다고 케인은 말한다.[26]

힌두교에서 목샤는 인간 삶의 ''파라마-푸루샤르타'' 또는 궁극적인 목표로 간주된다.[32]

5. 네 가지 목표 간의 긴장과 해결

인도의 학자들은 출가와 ''모크샤'' 사이의 내재된 긴장, 그리고 ''카마''와 ''아르타''의 적극적인 추구 사이의 긴장을 인식하고 논쟁을 벌여왔다.[27] 이는 전자가 외부 활동에 "헌신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후자는 자신의 해방에 집중하기 위해 외부 활동에서 "물러나 자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프라브르티''(प्रवृत्ति, Pravritti)와 ''니브르티''(निवृत्ति, Nivritti)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 ''아르타''와 ''카마''는 ''프라브르티''이고, ''모크샤''는 ''니브르티''이다.[28] 힌두교에서는 이 둘 모두 중요하게 여겨진다. 예를 들어, 마누 법전은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29]

> 정통적 전통에 따르면 활동에는 두 종류가 있다. ''pravrtti''와 ''nivrtti''인데,


> 첫 번째 종류의 활동은 진보(''abhyudaya'')로 이끌고, 두 번째는 완성(''nihsreyasa'')으로 이끈다.

인도의 학자들은 "행위"로 가득 찬 삶과 "출가" 중심의 삶 사이의 긴장에 대한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는데, 이는 "출가와 함께하는 행위", 즉 "행위가 결과에 대한 집착이나 갈망이 없을 때" 자신을 헌신함으로써 두 가지 세계의 최고를 달성할 수 있다고 제안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행위는 그것이 ''다르마'', 즉 선하고, 덕이 있으며, 옳고, 의무이며, 도덕적 활동이기 때문에 참여해야 하며, 다르마에 대한 고려 없이 결과나 물질적 보상에 대한 자신의 갈망 때문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갈망 없는, 다르마 중심의 행위"라는 생각은 바가바드 기타에서 ''니쉬카마 카르마''라고 불렸다.[30][31] 다른 인도 경전들은 "부와 사랑을 추구하는 것" 대 "모든 것을 포기하는 것"이라는 ''푸루샤르타'' 사이의 긴장에 대해 동일한 답을 제시하지만, 다른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자 우파니샤드는 "출가와 함께 행동하고 즐기며, 탐내지 말라"고 말한다.[29]

6. 푸루샤르타 이론의 기원

우파니샤드에는 ''mokṣa''의 개념이 나타나며, 그 이전의 ''베다''(Vedas)인 ''삼히타'', ''브라흐마나'', ''아란야카''에는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세 가지 범주, 즉 ''kāma'', ''artha'', ''dharma''를 "''trivarga''"(세 가지 범주)라고 칭한다.[32] ''다르마샤스트라''와 서사시인 ''라마야나'' 그리고 ''마하바라타''는 통합된 삶이 네 가지 목표 또는 목적의 추구를 수반한다는 개념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최초의 알려진 자료이다.[32] Prasad (2008)는 ''trivarga''와 ''mokṣa''의 구분은 사회적 영역(''trivarga'')과 개인적 영역(''mokṣa'') 사이의 맥락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33]

''산야사''는 ''다르마''를 위반하지 않으면서 ''Moksha''의 추구에 전적으로 집중한다. 기원전 7세기경에 완성된 Baudhayana Dharmasūtra는 ''산야사''에 있는 사람에게 다음과 같은 행동 서약을 명시하고 있다.[34]

Baudhāyana은 구절 II.13.7 및 11.18.13에서와 같이 ''산야사''(고행자) 단계와 그 행동에 대한 초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언급한다. Olivelle은 이 언급이 기원전 1천년 초기에서 중반에 걸쳐 쓰인 많은 텍스트에서 발견되며, Baudhayana Dharmasutra 및 기타 텍스트가 쓰여질 즈음에는 확립된 고행 전통에 대한 격언 시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고 말한다.[35] 카타 우파니샤드는 2.1–2.2장에서 쾌락(''preyas'', प्रेयस्)이라는 인간의 감정과 축복(''sreyas'', श्रेयस्)을 대조하며 후자를 칭찬한다.[36] 리그베다의 찬가인 10권 136장에서는, 르네시케이션(renunication)을 실천하고, ''Moksha''를 추구하는 고행자(''산야신''과 ''산야시니'')의 후기 개념을 반영하는 특징을 가진 ''리시''(Muni, 수도자, 탁발승, 성자)를 언급한다. 이 ''Muni''는 ''Kesins''(케신, 긴 머리카락)이라고 하며 ''Mala'' 옷(말라, 더러운, 흙색, 노란색, 주황색, 사프란)을 입고 ''Mananat''(마음, 명상)과 관련된 활동을 한다고 한다.[37]

Scharfe는 "힌두 문헌에는 시대를 통틀어 ''trivarga''와 ''caturvarga''에 대한 풍부한 언급이 있다"고 말한다.[38]

7. 푸루샤르타 중심 문헌

인도 역사에서 네 가지 정전적인 ''푸루샤르타'' 각각은 연구와 광범위한 문학적 발달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각 범주에서 다양한 견해를 담은 수많은 논문이 탄생했다. 푸루샤르타 중심 문헌은 다음과 같다.


  • '''다르마'''에 관하여: 이 텍스트는 다양한 종교적, 사회적, 의무, 도덕 및 개인 윤리적 관점에서 ''다르마''를 논의한다. 힌두교의 6대 주요 학파는 각각 다르마에 대한 고유한 문헌을 가지고 있다. 예로는 고타마, 아파스탐바, 바우다야나 및 바시슈타의 다르마수트라와 마누스므리티, 야즈나발키야 스므리티, 나라다스므리티 및 비슈누스므리티와 같은 다르마-샤스트라가 있다. 개인적인 다르마 수준에서 이것은 요가수트라의 여러 장을 포함한다. 티루쿠랄의 타밀 도덕 텍스트인 아람서의 제1권은 다르마의 타밀어 용어인 ''아람''에만 집중되어 있지만, 티루쿠랄 전체 작품은 다르마를 그 기반으로 유지한다.
  • '''아르타'''에 관하여: 아르타 관련 텍스트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경제 정책, 정치 및 법률의 요약으로 ''아르타''를 논의한다. 예를 들어, 카우틸리야의 ''아르타샤스트라'', 카만다키야 니티사라, 브리하스파티 수트라, 그리고 수크라 니티가 있다. 올리벨은 고대 인도에서 아르타 관련 논문의 대부분이 유실되었다고 말한다. 티루쿠랄의 제2권은 아르타의 타밀어 용어인 ''포룰''에 주로 집중한다.
  • '''카마'''에 관하여: 이것들은 쾌락 추구에 있어서 예술, 감정, 사랑, 에로티시즘, 관계 및 기타 과학을 논의한다. 바차야나의 카마수트라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다른 텍스트에는 라티라하스야, 자야망갈라, 스마라디피카, 라티만자리, 라티라트나프라디피카, 아낭가 랑가 등이 있다. 제3권은 카마의 타밀어 용어인 ''인밤''에 주로 집중하지만, 카마수트라와 달리 티루쿠랄의 인밤서는 상감 시대의 친밀함의 개념, 즉 타밀 문학 전통에서 ''아감''으로 알려진 인간의 개화하는 사랑에 대한 시적인 감상으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 '''목샤'''에 관하여: 이것들은 해방, 자유 및 정신적 해방의 본질과 과정을 개발하고 논쟁한다. 목샤 추구에 대한 주요 논문으로는 우파니샤드, 비베카추다마니, 바가바드 기타, 그리고 요가에 관한 샤스트라, 특히 파탄잘리의 수트라의 네 번째 부분이 있다.


산스크리트 서사시는 ''푸루샤르타''에 중요한 부분을 할애하며, 특히 다르마에 대해 논쟁한다. 티루쿠랄의 고대 타밀 문학은 목샤를 논하지 않고 처음 세 가지 푸루샤르타(다르마, 아르타 및 카마)에 집중하며, "다른 세 가지를 적절하게 추구하면 필연적으로 네 번째로 이어질 것"이라고 암시한다. 날라티아르, 또 다른 상감 문학의 작품도 티루쿠랄과 유사한 철학을 따릅니다.

8. 아슈라마와의 관계

네 가지 푸루샤르타는 종종 삶의 네 가지 아슈라마 또는 단계(''브라흐마차르야''(학생 시절), ''그리하스타''(가장으로서의 삶), ''바나프라스타''(은퇴 단계), ''산냐사''(출가 단계))의 맥락에서 논의된다. 학자들은 네 단계를 네 가지 푸루샤르타와 연결하려고 시도했지만, 올리벨은 고대 및 중세 인도의 어떤 텍스트도 처음 세 아슈라마가 삶의 구체적인 목표에 전적으로 전념해야 한다고 명시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기각했다.[51]

네 번째 단계인 ''산냐사''는 다르며, 고대 및 중세 인도 텍스트의 압도적인 합의는 ''산냐사''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르타''와 ''카마''를 완전히 포기하고 ''다르마''의 도움을 받아 ''모크샤''에 전적으로 헌신해야 한다는 것이다.[51]

카마수트라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텍스트는 개인이 삶의 어떤 단계에서 아르타 또는 카마를 강조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도에 대해 어떠한 권고도 하지 않는다. 카마수트라는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51]

> 인간의 수명은 100년이다. 그 시간을 나누어 서로를 방해하지 않고 뒷받침하는 방식으로 삶의 세 가지 목표에 전념해야 한다. 청년기에는 배우는 것과 같은 유익한 목표(아르타)에, 한창때에는 쾌락(카마)에, 노년기에는 다르마와 모크샤에 전념해야 한다.

> (카마수트라 1.2.1–1.2.4)[51]

하지만 이 텍스트는 아슈라마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9. 한국 사회와 푸루샤르타

(소스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Cappeller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www.sanskrit[...] Koeln University, Germany 2022-12-16
[2] 간행물 Flood, Olivelle, Apte, Hopkins
[3] 서적 Philosophy of Values, in Indian Philosophy: Theory of value Routledge 2000
[4] 뉴스 The Principles of Hindu Ethics https://www.jstor.or[...] International Journal of Ethics 2022-10-03
[5] 웹사이트 Sanskrit-English Dictionary http://spokensanskri[...] Koeln University, Germany 2016-04-09
[6] 서적 A Conceptual-analytic Study of Classical Indian Philosophy of Morals 2008
[7] 간행물 Olivelle
[8] 서적 Bhagavad-gita As It Is The Bhaktivedanta Book Trust 2019
[9] 서적 The Hindu World Routledge 2004
[10] 서적 The Puruṣārthas: a study in Hindu axiology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2
[11] 웹사이트 Th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Dharma'' http://www.encyclop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2016-09-26
[12] 서적 Dharma, The Columbia Encyclopedia, 6th Ed. (2013) Columbia University Press, Gale
[13] 논문 Dharma and Moksa Philosophy East and West 1957-04
[14] 논문 Puruṣārtha as Human Aims Philosophy East and West 1968-10
[15]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New York 2002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induism
[17] 논문 The Dialectics of Desire BRILL 1975
[18]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in Julius Lipner (Editor) - The Fruits of Our Desiring 1996
[1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self in Advaita Vedanta, in Roy Perrett (Editor), Indian philosophy: metaphysics, Volume 3 Taylor and Francis
[21] 서적 Transpersonal knowledge, in Transpersonal Knowing: Exploring the Horizon of Consciousness (editors: Hart et al.)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2]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in [[Julius Lipner]] (Editor) - The Fruits of Our Desiring 1996
[23] 서적 Dharmasutras - The Law Codes of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The Kama Sutra of Vatsyaya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Archives 1925
[25] 서적 Kautilya Arthashastra 2004
[26] 서적 History of Dharmasastr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941
[27] 논문 Early Trends in the Indian Understanding of Man Philosophy East and West
[28]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29] 논문 The Basis of Hindu Ethics International Journal of Ethics
[30]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osmopolitanism Studies Routledge
[31] 서적 Indian Ethics Wiley
[32] 간행물 Hiltebeitel
[33] 간행물 Prasad
[34] 웹사이트 Baudhayana Dharmasūtra Prasna II, Adhyaya 10, Kandika 1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5] 간행물 Olivelle
[36] 기타
[37] 간행물 Ascetic Origins, Sociological Bulletin, Vol. 1, No. 2 http://sa.wikisource[...]
[38] 서적 Artha Routledge
[39]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Sasay to Zorgot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018-03-07
[40] 기타 Kamandakiya Niti Sara https://archive.org/[...]
[41] 기타 Brihaspati Sutra - Politics and Government https://archive.org/[...]
[42] 기타 Sukra Niti https://archive.org/[...]
[43] 서적 Language, Texts, and Society: Explorations in Ancient Indian Culture and Religion Anthem Press
[44] 서적 Sex from Plato to Paglia
[45] 서적 The Smile of Murugan: On Tamil Literature of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E. J. Brill 2018-03-07
[46] 서적 The Sanskrit Epics Brill Academic
[47] 논문 Dharma and Moksa
[48] 논문 A Return to the Self: Indians and Greeks on Life as Art and Philosophical Therapy
[49] 서적 Tiruvalluvar: The Kural Penguin Books 1990
[50] 서적 Pathinen Keezhkanakku Noolgal Saradha Pathippagam 2012-08
[51] 서적 The Āśrama System: The History and Hermeneutics of a Religious I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