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드는 게르만 신화에서 기원한 마법의 한 형태로, '묶다' 또는 '밧줄'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바이킹 시대에는 주로 여성들이 수행했으며, 예언, 저주, 치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세이드는 점술과 조작 마법을 포함하며, 의식을 통해 영적인 영역과 소통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세이드를 행하는 남성은 여성스러운 것으로 여겨져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을 받기도 했다. 현대 이교주의에서도 세이드는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 민속 - 홀거 단스케
    홀거 단스케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덴마크의 전설적인 영웅으로, 여러 문학 작품에서 샤를마뉴 대제와 대립하거나 기사로 활약하며, 덴마크에서는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덴마크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덴마크 민속 - 갈드
    갈드는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노래나 주문을 의미하며, 출산이나 광기를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아이슬란드 민속 - 드라우그
    드라우그는 고대 노르드 사가에 등장하는 되살아난 시체로, 초인적인 힘과 마법 능력을 지니고 검거나 푸른색의 괴사적인 외형과 악취를 풍기며 산 자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현대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유령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아이슬란드 민속 - 갈드
    갈드는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노래나 주문을 의미하며, 출산이나 광기를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노르웨이 민속 - 시프
    시프는 북유럽 신화에서 토르의 아내이자 울의 어머니로, 아름다운 금발을 가진 여신이며 로키에 의해 머리카락이 잘리는 일화로 유명하고, 다산과 곡물과 관련된 여신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노르웨이 민속 - 갈드
    갈드는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노래나 주문을 의미하며, 출산이나 광기를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세이드
어원 및 정의
정의고대 노르드어로 일종의 샤머니즘적인 마법 형태
관련 용어볼바 (vǫlva)
세이드코나 (seiðkona)
비센다코나 (vísendakona)
세이드마드르 (seiðmaðr)
관련 개념에르기(ergi)
특징
주요 특징미래를 예견하거나 운명을 조작하는 능력과 관련됨
시전 방식특정한 의례와 주문을 통해 시전됨
관련 인물주로 여성 (볼바, 세이드코나)이 시전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남성 (세이드마드르)도 시전 가능
사회적 인식남성이 세이드르를 행하는 것은 엘기(ergi)로 여겨져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았음
문헌 속 묘사
사가다양한 사가에서 세이드르를 행하는 장면이 묘사됨
주요 내용날씨를 조종하거나, 환각을 일으키거나, 미래를 예언하는 등의 묘사가 나타남
예시에이리크 붉은 족의 사가,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 등
학자들의 해석
주요 논쟁세이드르의 기원, 목적, 사회적 의미 등에 대한 다양한 해석 존재
샤머니즘과의 연관성일부 학자들은 세이드르를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유사한 현상으로 해석
성 역할과의 관계세이드르가 당시 사회의 성 역할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 진행

2. 용어 및 어원

세이드non라는 단어는 게르만 조어 ''*''saiðazmis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어는 리투아니아어 saitaslt ('묶다, 밧줄') 및 켈트 조어 ''*''soito-mis ('마법', 여기서 웨일스어 hudcy, 브르타뉴어 hudbr '마법'이 파생됨)와 어원이 같다. 이들은 모두 인도유럽 조어 ''*''soi-to-mis ('끈, 밧줄')에서 파생되었고, 궁극적으로 인도유럽 조어 뿌리 ''*''seH2i-mis ('묶다')에서 유래한다.[1]

고대 고지 독일어(독일어 Saite 참조, 현악기와 활에 모두 사용됨)와 고대 영어에서 관련된 단어는 '줄, 끈' 또는 '올가미, 끈, 고삐'를 의미한다. 스칼드 시인 라그나르 드라파의 15절에는 세이드non를 그러한 의미로 사용하는 구절이 있다.[11] 그러나 이러한 파생어가 세이드non의 실제 행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세이드non와 관련된 고대 영어 용어는 -sidenang (명사 ''ælfsiden''의 접미사로, 다양한 굴절 형태로 사용됨)와 sidsaang이며, 둘 다 엘프( ælfeang)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맥락에서만 증명되었으며, 이는 세이드non와 유사한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12] 마법 수행자를 나타내는 고대 영어 단어 중에는 wiccaang (남성) 또는 wicceang (여성)가 있으며, 이들은 현대 영어 '마녀'의 어원이다.

1835년 야코프 그림의 독일어 사전(638쪽) 출판 이후, 학계에서는 발토-핀어 연결 고리를 seiðrnon에 두어, 사가와 기타 문헌에서 그 수행자들을 묘사한 점을 인용하고, seiðrnon를 사미족의 부계 샤먼노아이디의 관행과 연결 짓고 있다. 하지만, 인도유럽어 기원도 가능하다.[23] 핀란드어 단어 seitafi와 사미어 변형인 sieiddesmi는 사람 모양의 나무 또는 크고 기이한 모양의 돌을 지칭하며, 반드시 마법적인 힘을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이 궁극적으로 seiðrnon에서 파생되었다는 타당한 주장이 있다.[24]

3. 역사

셰른 룬석에는 '' 또는 '' 수행자에 대한 저주가 담겨 있다.


바이킹 시대에 남성이 seiðrnon를 행하는 것은 여성스러움, 남성답지 못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 금기시되었다. 이는 세이드의 조작적인 측면이 솔직하고 개방적인 남성적 이상과 상반되었기 때문이다.[14] 프레이야를 비롯한 노르드 신화의 일부 여신들은 seiðrnon 수행자였으며, 오딘 또한 seiðrnon를 행했다는 이유로 로키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다. ''로키의 말다툼''에서 로키는 오딘에게 "남성답지 못하다"고 비난했고, 오딘은 "나는 마땅히 주지 말았어야 할 자들에게 승리를 주었음을 아느냐?"라고 반박하며, "너는 여덟 해 동안 땅 아래에 있으면서, 여자처럼 암소를 젖 먹이고 거기서 아이들을 낳았지. 이제 그것은, 내 생각에는, 비열한 본성을 드러내는 것이네."라고 덧붙였다.

3. 1. 그린란드의 세이드

13세기에 쓰여진 《에리크 라우디의 사가》에는 그린란드에 거주하는 세이드 여인, 즉 vǫlvanon인 Þórbjǫrg(토르에 의해 보호받는 자)가 등장한다. 그녀는 파란색 망토를 걸치고 하얀 담비털로 장식된 검은 양털 모자를 쓰고, 그녀와 함께 묻힌 상징적인 물레 (seiðstafrnon)를 휴대하며 높은 단상에 앉아 있었다. 사가에 묘사된 그녀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2]

원문번역
En er hon kom um kveldit ok sá maðr, er móti henni var sendr, þá var hon svá búin, at hon hafði yfir sér tuglamöttul blán, ok var settr steinum allt í skaut ofan. Hon hafði á hálsi sér glertölur, lambskinnskofra svartan á höfði ok við innan kattarskinn hvít. Ok hon hafði staf í hendi, ok var á knappr. Hann var búinn með messingu ok settr steinum ofan um knappinn. Hon hafði um sik hnjóskulinda, ok var þar á skjóðupungr mikill, ok varðveitti hon þar í töfr sín, þau er hon þurfti til fróðleiks at hafa. Hon hafði á fótum kálfskinnsskúa loðna ok í þvengi langa ok á tinknappar miklir á endunum. Hon hafði á höndum sér kattskinnsglófa, ok váru hvítir innan ok loðnir.non이제 그녀는 저녁에 그녀를 만나기 위해 보내진 남자의 안내를 받아 도착했을 때, 그녀는 파란색 망토를 입고 있었는데, 목에 끈이 있었고, 스커트 아래까지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목에는 유리 구슬을 걸고 있었고, 머리에는 담비털로 안을 댄 검은 양털 모자를 쓰고 있었다. 그녀는 손에 손잡이가 달린 지팡이를 들고 있었는데, 손잡이 주변은 놋쇠로 장식되었고, 보석으로 장식되었다. 그녀는 부드러운 털 허리띠(또는 나무 껍질 벨트[3])를 두르고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가죽 가방이 있었는데, 그 안에는 그녀의 지혜에 필요한 부적을 보관했다. 그녀는 발에 털이 있는 송아지 가죽 신발을 신고 있었고, 길고 튼튼해 보이는 가죽 끈과 끝에 큰 황동 손잡이가 달려 있었다. 그녀는 손에 담비 가죽 장갑을 끼고 있었고, 안은 하얗고 털이 있었다.[4]


3. 2. 잉글링가 사가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그의 ''잉글링가 사가''에서 묘사한 바와 같이,[5] 세이드non는 점술과 조작 마법을 모두 포함한다. 세이드non 수행자의 점술 유형은 일상적인 점쟁이(menn framsýnirnon, menn forspáirnon)가 수행하는 점과 완전히 다른, 훨씬 더 형이상학적인 본성을 띠는 것으로 보인다.[17]

3. 3. 기타 사가 및 민담

여러 사가와 민담에서 세이드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전해진다. 세이드는 19세기의 아이슬란드 민담(《아이슬렌스카르 횔사구르 오그 아이빈티리(Íslenzkar Þjóðsögur og Æfintýri), 요운 아르나손)에 언급되어 있다.[4]

4. 관습

세이드non는 주술 (galdr|갈드르non)을 외우고,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등의 행위를 포함한다.[13] 미래를 예언하고, 적에게 저주를 내리며, 행운을 불러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행해졌다.[13]

세이드 술자는 주로 여성 볼바(völva, seiðkonais)였지만, 남성 술자 (Seiðmaðr|세이드마드non)도 있었다. 여성 술자는 바이킹 공동체의 종교적 지도자였으며, 이나 정령을 불러내기 위해 다른 술자들의 도움이 필요했다. 에리크 사가를 비롯한 여러 스칸디나비아 사가에 묘사된 것처럼, 시술자들은 찬송과 기도를 통해 영적인 영역과 연결되었다.[13]

닐 프라이스(Neil Price)는 seiðrnon가 ''에르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의 도덕적, 심리적 경계 중 하나'에 위치해 있었음에 틀림없다고 언급했다.[18] 그는 이 관습의 일부가 성적인 행위를 포함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한다.[18] 학자들은 다양한 아이슬란드 사가에서 지팡이가 남근을 연상시키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19]

5. 신화



영국의 고고학자 닐 프라이스는 오딘의 다양한 측면에 "마법의 영역"이 존재한다고 언급했다.[20]

로키의 말다툼에서 로키는 오딘이 남성답지 못한 술법(erginon)인 seiðrnon(세이드)를 행한다고 비난한다. 잉글링가 사가에서 스노리는 seiðrnon를 수행하는 자는 나약하고 무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북유럽 신화에서 seiðrnon의 예로는 ''völva(뵐바)''가 볼루스파에서 오딘에게 보여준 예언적 환영이 있다. 이 환영은 seiðrnon와 명확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헤이르(Heiðr)라는 인물과 관련하여 등장하며, 프레이야와 연관되거나 völvanon와 동일인일 수 있다.[21] vǫlvanon와 노른(Norns)의 관계는 강력하고 인상적이다.

seiðrnon의 또 다른 수행자는 그로아(Gróa)였으며, 토르(Thor)를 돕고자 했고, 스비프다그스말(Svipdagsmál)의 그로갈드르(Grógaldr)("그로아의 주문")에서 저승에서 소환된다.

프레이야는 잉글링가 사가에서 seiðrnon의 비법에 능숙한 자로 묘사되며, 오딘에게 그것을 가르친 사람이 바로 그녀라고 전해진다.[22] seiðrnon는 원래 바니르 사이에서 행해지던 관습이었지만, 프레이야가 에시르에 합류하면서 그들에게 전파했다.

> Dóttir Njarðar var Freyja. Hon var blótgyðja. Hon kenndi fyrst með Ásum seið, sem Vǫnum var títt.non

> (뇨르드르의 딸은 프레이야였다. 그녀는 희생 제사를 주관했다. 그녀가 처음으로 아시르에게 seiðrnon를 가르쳤는데, 이는 바니르 사이에서 흔한 일이었다.)

5. 1. 오딘과 세이드

바이킹 시대에 남성이 seiðrnon를 수행하는 것은 여성스럽다는 의미인 ''에르기''로 여겨졌는데, 이는 남성적 이상과 상반되었기 때문이다.[5] 로키는 ''로키의 말다툼''에서 오딘이 seiðrnon를 행하는 것을 "남성답지 못하다"고 비난했다. 오딘은 "나는 마땅히 주지 말았어야 할 자들에게 승리를 주었음을 아느냐?"라고 반박하며, 로키가 땅 아래에서 여자처럼 지낸 것을 비난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잉글링가 사가''에서 세이드non가 점술과 조작 마법을 모두 포함한다고 묘사했다.[5] 세이드non 수행자의 점술은 일반적인 점쟁이와는 달리 훨씬 더 형이상학적인 본성을 띤 것으로 보인다. 닐 프라이스는 seiðrnon가 ''에르기''와 관련되어 있어 '사회의 도덕적, 심리적 경계'에 위치했을 것이라 언급했다. Seiðrnon는 주술(''galdrar'')을 외는 것을 포함했다.[6]

《고대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에서 로키는 오딘이 남성답지 못한 술법(erginon)인 seiðrnon를 행한다고 비난한다. 잉글링가 사가에서 스노리는 seiðrnon를 수행하는 자는 나약하고 무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볼루스파에서 ''völva(뵐바)''가 오딘에게 보여준 예언적 환영은 seiðrnon와 명시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헤이르(Heiðr)라는 인물과 관련하여 등장한다. 헤이르는 프레이야와 연관되거나 völvanon와 동일인일 수 있다. vǫlvanon와 노르드 신화의 운명의 여신인 노른(Norns) 사이의 상호 관계는 강력하고 인상적이다.

seiðrnon의 또 다른 신화적 수행자는 그로아(Gróa)였으며, 토르(Thor)를 돕고자 했고, 스비프다그스말(Svipdagsmál)의 그로갈드르(Grógaldr)("그로아의 주문")라는 시에서 저승에서 소환된다.

오딘이 가진 많은 모습에는 '마법의 영역'이 존재한다고 영국의 고고학자 닐 프라이스는 기록하고 있다.[20]

스노리는 잉글링가 사가에서 세이즈의 관습을 따름으로써 술사를 약하고 무력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로키의 말다툼에서 로키는 세이즈를 행한 오딘을 남자답지 못한 술책(ergi)이라고 비난한다.

북유럽 신화에서 세이즈의 예로는 무녀의 예언에서 무녀 볼바가 본 예언적인 환시가 있다. 이 환시는 세이즈와 명확하게 관련되지는 않지만, 헤이즈라는 인물에게 발생하며, 프레이야와 연관되거나 볼바와 동일 인물일 수 있다.[21] 볼바와 노른의 관계는 강하고 뚜렷하다.

신화 속 세이즈의 술사로는 그로아가 꼽힌다. 그로아는 토르를 돕고, 스비프다굴의 말의 그로아의 주문 노래에서는 무덤 밑에서 불러내어진다.

5. 2. 프레이야와 세이드

북유럽 신화의 여신 프레이야는 현존하는 문헌에서 세이드(seiðr)와 관련되어 있다. 아이슬란드의 시인 스노리의 『잉글링가 사가』(1225년)에 따르면, 세이드는 원래 바니르의 관습이었지만, 자신도 바니르의 일원이었던 프레이야가 에시르에 합류했을 때 이를 에시르에게 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2]

『잉글링가 사가』에서 프레이야는 세이드의 비법에 능한 자로 묘사되며, 오딘에게 세이드를 가르친 것도 그녀라고 한다.

6. 기원

세이드non는 게르만 조어 ''*''saiðazmis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리투아니아어 saitaslt ('묶다, 밧줄') 및 켈트 조어 ''*''soito-mis ('마법', 여기서 웨일스어 hudcy, 브르타뉴어 hudbr '마법'이 파생됨)와 어원이 같다. 이들은 모두 인도유럽 조어 ''*''soi-to-mis ('끈, 밧줄')에서 파생되었고, 궁극적으로 인도유럽 조어 뿌리 ''*''seH2i-mis ('묶다')에서 유래한다.[1]

고대 고지 독일어(독일어 Saite 참조, 현악기와 활에 모두 사용됨)와 고대 영어에서 관련된 단어는 '줄, 끈' 또는 '올가미, 끈, 고삐'를 의미하며, 스칼드 시인 라그나르 드라파의 15절에는 세이드non를 그러한 의미로 사용하는 구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생어가 세이드non의 실제 행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불분명하다. 매력에 끈을 사용하는 것이 세이드non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제안이 있는데, 여기서 매력은 노르드 문학에서 묘사된 세이드non 마법의 한 요소이자 스칸디나비아 민속의 마법과 관련이 있다. 만약 세이드non가 "매력을 짜는 것"을 포함했다면, 아마나 삼베나 때로는 양모를 잣는 데 사용되는 도구인 물레가 세이드non 행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든, 끈은 노르니르가 짜고, 재고, 자르는 "운명의 실"과 관련이 있다.

세이드non와 관련된 고대 영어 용어는 -sidenang (명사 ''ælfsiden''의 접미사로, 다양한 굴절 형태로 사용됨)와 sidsaang이며, 둘 다 엘프( ælfeang)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맥락에서만 증명되었으며, 이는 세이드non와 유사한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마법 수행자를 나타내는 고대 영어 단어 중에는 wiccaang (남성) 또는 wicceang (여성)가 있으며, 이들은 현대 영어 '마녀'의 어원이다.

1835년 야코프 그림의 사회언어학적 저서인 ''독일어 사전''(638쪽)이 출판된 이후, 학계에서는 발토-핀어 연결 고리를 seiðrnon에 두어, 사가와 기타 문헌에서 그 수행자들을 묘사한 점을 인용하고, seiðrnon를 사미족의 부계 샤먼노아이디의 관행과 연결 짓고 있다. 하지만, 인도유럽어 기원도 가능하다.[23] 핀란드어 단어 seitafi와 사미어 변형인 sieiddesmi는 사람 모양의 나무 또는 크고 기이한 모양의 돌을 지칭하며, 반드시 마법적인 힘을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이 궁극적으로 seiðrnon에서 파생되었다는 타당한 주장이 있다.[24]

7. 젠더 역할

고대 노르드 사회에서 성 역할은 매우 엄격했으며, 이러한 역할에서 벗어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졌다. 이는 여성적인 기술로 여겨지는 세이드|non와 그에 대한 태도에서 잘 드러난다.

세이드|non를 행하는 여성은 때때로 예언자를 의미하는 ''볼바''라고 불리곤 했다. 그녀는 또한 '예언하는 여성'과 '마법을 부리는 여성'을 뜻하는 스파-코나|non 또는 세이드-코나|non로 묘사되기도 했다.[7] 세이드|non는 여성적인 행위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에 종사하는 남자(세이드마드|non)[8]는 노르드 사회에서 남성답지 않고 여성적이며, 아마도 동성애적일 수도 있는 남자를 지칭하는 개념인 ''에르기''와 연관되었다.

때때로 이 기술을 사용하는 여성들은 젊은 남성 견습생을 들이기도 했으며, 어머니가 된 여성들은 아들에게 이 기술을 가르치기도 했다.[9] 존경받는 일은 아니었지만, 남성이 세이드|non 마법에 관여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바이킹 시대, 남성이 세이드|non의 술법을 행하는 것은 여성스러움(에르기)을 느끼게 하는 행동으로, 솔직하고 터놓는 이상적인 남성상과는 맞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14] 프레이야 뿐만 아니라, 아마도 노르드 신화의 여신들 중 몇몇은 세이드|non의 술법을 행하는 자였으며, 오딘과 마찬가지로, 『로키의 말다툼』에서 로키에게 욕을 먹는 원인이 된다.

8. 현대 이교주의

현대 이교주의(신이교주의)에서 세이드|세이드non는 여러 단체와 수행자에 의해 다르게 해석되지만, 일반적으로 의식의 변화 또는 신체적 통제의 완전한 상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28] 다이애나 L. 팍슨과 그녀의 그룹 '흐라프나르'는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세이드|세이드non(특히 신탁 형태)를 재구성하려 시도했다.[29] 작가 얀 프리즈는 세이드|세이드non를 "무속적 떨림"의 형태로 간주하며, 이를 무속 기법으로 사용되는 "끓어오름"과 관련시킨다. 이 아이디어는 그 자신의 것이며 실험을 통해 발전되었다.[30] 블레인에 따르면, 세이드|세이드non는 영국 게르만 신이교주의에서 수행자를 더 넓은 우주론과 연결하는 영적 수행의 본질적인 부분이다.[31]

참조

[1] 논문 The Precursors of Celtic and Germanic Dr. Ute Hempen Verlag 2009-10-31
[2] 웹사이트 Eiríks saga rauða http://www.heimskrin[...]
[3] 웹사이트 Spae-Craft, Seiðr, and Shamanism http://www.hrafnar.o[...] 2017-05-10
[4] 웹사이트 The Saga of Erik the Red http://sagadb.org/ei[...]
[5] 웹사이트 Heimskringla — Ynglinga Saga, p. 2, sec. 7 http://www.northvegr[...] 2017-05-10
[6] 서적 Witchdom of the true: A study of the Vana-Troth and the practice of seiðr Runa-Raven Press
[7] 서적 Gods and worshippers: In the Viking and Germanic world Temous 2008
[8] 문서 A more general term for a male spiritual practitioner was vitki ("sorcerer").
[9] 학술지 Old Norse Magic and Gender: þáttr þorvalds Ens Víðfǫrla. 1991
[10] 서적 Price 2002
[11] 서적 Heide 2006
[12] 서적 Hall 2004
[13] 문서
[14] 서적 Hall 2007
[15] 웹사이트 Eiríks saga rauða http://www.heimskrin[...]
[16] 웹사이트 The Saga of Erik the Red http://sagadb.org/ei[...]
[17] 웹사이트 http://www.northvegr[...]
[18] 서적 Price 2002
[19] 서적 Price 2002
[20] 서적 Price 2002
[21] 서적 McKinnell 2001
[22] 서적 Price 2002
[23] 서적 Hall 2004
[24] 서적 Parpola 2004
[25] 웹사이트 Origins and Deeds of the Goths http://www.northvegr[...]
[26] 서적 Carpenter 1996
[27] 서적 Lewis 2004
[28] 서적 Harvey 1997
[29] 서적 Blain 2002
[30] 서적 Fries 1996
[31] 서적 Blain 2002
[32] 서적 Price 2002
[33] 서적 Price 2002
[34] 서적 Price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