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란드의 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정치는 1809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 내 자치 공국으로 시작되어, 독립 이후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를 혼합한 정치 체제를 갖추었다. 핀란드는 2000년에 헌법을 개정하고, 2002년 유로화를 도입하며 유럽 연합(EU)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군사적 비동맹 정책을 변경하여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다. 핀란드는 19개의 지역과 30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며, 대통령과 2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의회는 국민 투표로 선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정치 - 핀란드 의회
    핀란드 의회는 핀란드의 입법 기관으로, 2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이며, 4년 임기의 의원을 비례대표제로 선출하고, 핀란드 헌법에 따라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결정, 인사권, 행정 통제 등 광범위한 권한을 갖는다.
  • 핀란드의 정치 - 핀란드의 정당
    핀란드의 정당은 핀란드 정치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이념을 대표하고, 다당제 시스템을 바탕으로 연립 정부를 구성한다.
핀란드의 정치
기본 정보
핀란드 국장
핀란드 국장
공식 명칭핀란드 공화국
현지 명칭Suomen tasavalta (핀란드어)
Republiken Finland (스웨덴어)
정치
정치 체제단일 국가, 의원내각제 공화국
헌법핀란드 헌법
입법부에두스쿤타/릭스다겐
의회 형태단원제
의회 위치의회 의사당
의회 의장유시 할라아호
의회 의장 직함의회 의장
대통령알렉산데르 스투브
대통령 임명 방식국민 투표
총리페테리 오르포
총리 임명 방식대통령
내각핀란드 정부
현 내각오르포 내각
내각 수반총리
내각 임명대통령
내각 위치정부 궁전
내각 부처 수12
사법부핀란드 사법 제도
법원일반 법원
행정 구역
행정 구역지역 (Maakunnat, Landskap)
부지역 (Seutukunnat, Ekonomiska regioner)
지자체 (Kunnat, Kommuner)
복지 서비스 지역 (Hyvinvointialueet, Välfärdsområde)
외교 관계
외무부외무부
외무부 장관엘리나 발토넨
대외 관계핀란드의 재외공관 / 핀란드 주재 외국공관
대사
유럽 연합의 정치

2. 역사

핀란드의 정치 역사는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핀란드는 자치권을 획득했지만, 모든 법안은 러시아 황제의 서명을 받아야 했다.[7] 20세기 초, 핀란드는 10월 혁명의 영향으로 1917년 12월 6일 독립을 선언했고, 소비에트 러시아는 같은 해 12월 31일 이를 승인했다.[1]

독립 직후인 1918년 1월 28일, 내전이 발발하여 백군이 적군을 상대로 승리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겨울 전쟁, 계속 전쟁, 라플란드 전쟁 등 소련과 세 차례의 전쟁을 치렀다.[8] 그 결과, 핀란드는 영토 일부를 잃고 포르칼라를 소련에 기지로 빌려줘야 했으며, 3억달러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8]

전후 핀란드는 중립 노선을 유지하며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 시대를 거쳤다. 1989년 유럽 경제 지역(EEA)에 가입하며 유럽 공동체와의 통합을 시작했고,[10]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 2002년에는 유로화를 도입했다.[12] 2023년에는 NATO에 가입하여 군사적 협력을 강화했다.[13]

2. 1. 러시아 통치하의 자치

니콜라이 밥리코프 총독 암살 사건은 펜노만의 강경파 활동의 정점이었습니다.


1809년부터 1917년까지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의 자치령으로서 자체적인 입법권을 가졌으나, 모든 법안은 핀란드 대공이기도 한 러시아 황제가 서명해야 법으로 제정될 수 있었습니다.[7] 핀란드 정치 정체성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핀란드 정치는 러시아 지배 하에서 처음 발전했습니다. 군사력은 확고하게 러시아의 수중에 있었습니다.[7] 이전에는 핀란드가 스웨덴의 일부였으며 자체적인 정치 기구가 없었고, 핀란드 민족 출신 사람들이 스웨덴 정치에 참여했습니다.[7]

2. 2. 독립과 내전

핀란드 상원은 1917년 12월 6일, 러시아의 10월 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했다.[1] 레닌이 의장을 맡은 소비에트 러시아 인민 위원회는 1917년 12월 31일 핀란드의 독립을 승인했고, 곧이어 많은 다른 국가들이 이를 따랐다.[1]

1918년 1월 28일, 내전이 발발하여 독일의 지원을 받은 백군이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은 적군을 상대로 승리했다.[1] 같은 해에 자원병들은 카렐리아, 에스토니아를 포함하여 소련 러시아로 몇 차례의 무력 원정을 감행했다.[1] 핀란드 내전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일부였다.[1] 전쟁은 1918년 1월 27일부터 5월 16일까지 핀란드 상원 (정부)이 이끄는 백군과 핀란드 인민 대표단이 이끄는 적군 사이에서 벌어졌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핀란드는 겨울 전쟁, 계속 전쟁, 라플란드 전쟁 등 세 차례의 전쟁을 치렀다.[8]

휴전 협정에 따라 핀란드는 겨울 전쟁 이후 잃은 영토 외에도 페차모를 넘겨주고 포르칼라를 50년 동안 기지로 빌려줘야 했다. 전쟁 배상금은 3억달러로 정해졌다. 휴전 협정 조건은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서 최종 확정되었다.

2. 4. 우르호 케코넨 시대

우르호 케코넨은 1973년 초, 선거 없이 예외적으로 대통령에 선출되었는데, 이는 오늘날 일부 사람들에 의해 핀란드 민주주의의 최저점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케코넨 시대의 마지막을 알리는 시작이었다.[1]

2. 5. 서방으로의 통합

핀란드는 1989년 가을 유럽 경제 지역(EEA)에 가입하면서 유럽 공동체와의 통합을 시작했다.[10] 1992년 3월 18일 의회의 긍정적인 투표를 거쳐 EC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고, 1993년 2월 1일 스웨덴, 오스트리아와 동시에 가입 협상이 시작되었다.[11]

1995년 핀란드는 유럽 연합에 가입했고, 2002년에는 유로화가 핀란드의 공식 통화였던 마르카를 대체했다.[12]

핀란드는 NATO와 거의 30년 동안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해 왔으며, 2023년 4월 4일 동맹에 가입했다. 핀란드의 NATO와의 파트너십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전까지 군사적 비동맹 정책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13] 2024년 3월 1일, NATO의 강력한 지지자인 알렉산데르 스투브가 핀란드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4]

3. 헌법 및 법률

핀란드의 현행 헌법은 2000년 3월 1일에 제정되었으며, 1919년 7월 17일에 채택된 첫 헌법 초안을 바탕으로 한다.[15] 헌법에 따르면 입법권은 핀란드 의회가, 행정권은 핀란드 대통령과 정부가, 사법권은 독립된 법원이 행사한다.[16] 대법원은 기존 법률을 해석하거나 수정하는 법률 제정을 요청할 수 있다.[17]

핀란드는 헌법재판소가 없으며, 대법원이 법률의 위헌 여부를 명시적으로 선언할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원칙적으로 법률의 합헌성은 의회의 단순 투표로 확인되지만, 의회의 헌법 법률 위원회가 의심스러운 법안을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변경을 권고하는 방식으로 헌법 재판소의 역할을 수행한다. 핀란드는 헌법 개정 절차와 동일한 절차로 제정된 일반 법률에서 헌법에 대한 예외를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비상 사태법은 국가 비상 사태 발생 시 정부에 특정 예외 권한을 부여하는데, 이는 헌법적 기본 권리에 영향을 미치므로 헌법 개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일반 법률과 동일한 방식으로 폐지될 수 있다. 모든 핀란드 법원은 헌법과 일반 법률 사이에 명백한 충돌이 있을 경우 헌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4. 정치 체제

핀란드는 의원 내각제와 대통령제가 혼합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다. 핀란드 대통령은 외교와 국방을 담당하고, 총리가 이끄는 내각(핀란드 정부)이 행정권을 행사한다.[1]

의회는 입법권을 가지며, 정부는 의회에 대해 법률을 개정하거나 새로운 법률을 제안할 권리를 제한적으로 가지고 있다. 대통령은 의회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의회는 이를 번복할 수 있다.

사법권은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며, 정규 재판소와 행정 재판소의 두 가지 체계로 구성된다. 각 체계는 최고 법원과 최고 행정 재판소가 이끈다. 핀란드에는 헌법 재판소가 없어서 법률의 합헌성을 다툴 수 없다.

핀란드는 의원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대통령은 외교 정책을 내각과 공동으로 이끌고, 국가 안보 관련 요소에 대한 권한 등 몇 가지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2000년 이전에는 대통령이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18세 이상의 모든 핀란드 국민과, 선거구에 2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18세 이상의 모든 외국인은 참정권을 가진다. 핀란드는 여성에게 보통 피선거권을 부여한 최초의 국가이다. 핀란드는 민족적으로 균질하며, 스웨덴어의 지위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지만, 핀란드어 사용자와 스웨덴어 사용자 간의 긴장감은 적다. 투명성 국제기구의 조사에 따르면 핀란드의 부패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1]

노동 협약은 중요한 정치적 문제이며, 교섭은 중앙 집중화되어 있고, 때로는 정부가 재정 정책 조정을 위해 참여한다. 모든 사람에게 합법적인 노동 조합이 있으며, 노동 조합, 고용주, 정부가 포괄적인 소득 정책 합의에 도달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노동 조합으로는 SAK, STTK, AKAVA, EK가 있다.

4. 1. 대통령

핀란드 대통령은 국민 투표로 선출되며, 6년 임기로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1]

  • 외교는 내각과 협력하여 처리하며, 국가 안보 관련 사항도 포함된다. 단, 국제 협정, 평화, 전쟁 관련 결정은 의회에 제출해야 한다.
  • 군 최고사령관이다.
  • 일부 칙령 및 임명 권한이 있다.
  • 법률을 승인하고, 임시 의회 회기를 소집할 수 있다.
  • 의회에서 선출된 핀란드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 제안에 따라 내각을 임명한다.


핀란드는 의원 내각제 국가이나, 대통령에게도 실질적인 권한이 일부 있다. 특히 외교 정책은 대통령이 정부와 협력하여 주도한다. 2000년 헌법 개정 전에는 대통령의 권한이 더 컸다.[1]

4. 2. 정부 (국가 평의회)

핀란드는 의원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행정 권한은 총리가 이끄는 내각 (핀란드 정부)에 있다. 정부는 총리와 중앙 정부의 여러 부처 장관, 그리고 사법 옴부즈맨의 당연직 구성원으로 구성된다.[18] 장관은 의회 의원이 될 필요가 없으며, 특정 정당과 공식적으로 연관될 필요도 없다.[20]

내각은 의회 선거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얻은 정당의 대표가 여러 정당과 협상하여 구성하며, 이 대표가 총리가 된다. 모든 장관과 내각 전체는 의회의 신임을 받아야 하며, 불신임 투표, 사임 또는 교체될 수 있다.

정부는 새로운 법률이나 입법 개혁 제안, 연간 예산 등 의회에서 다루는 자료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장관들은 각자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부처를 운영한다.[18] 현재 내각은 12개 부처에 19명의 장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관의 수는 정부가 결정할 수 있다.[19]

핀란드 정부는 총리실과 11개의 부처로 구성된다.[19] 정부 수반은 총리이며, 현재는 페테리 오르포이다. 총리 지명자는 의회의 선출을 거쳐 대통령의 임명을 받는다. 모든 장관은 정직하고 유능한 핀란드 시민이어야 한다.[20]

각 부처는 행정 및 정치 전문가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권한 내에서 정부 결정을 준비한다. 또한 국내 및 국제 협력에서 관련 행정 부문을 대표한다.[21] 새로운 법률은 부처에서 초안을 작성하며, 시행 전에 정부와 의회의 검토를 거친다. 최종 입법 권한은 핀란드 헌법에 따라 대통령과 의회에 부여된다.[22]

핀란드의 부처는 다음과 같다.[23]

부처
총리실
외무부
법무부
내무부
국방부
재무부
교육문화부
농림부
교통통신부
경제고용부
사회보건부
환경부


4. 3. 유럽 연합(EU)과의 관계

핀란드1995년 EU에 가입한 이후 유럽 통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핀란드 내에서는 대통령과 총리 중 누가 EU에서 핀란드를 대표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2000년 제정된 기본법은 EU 관련 사항을 총리의 권한으로, 다른 국가 원수와의 담화는 대통령의 책임으로 규정하여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1]

최근 법 개정을 통해 EU 군사 작전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한 규약이 만들어지고 있으나, 러시아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타르야 할로넨 대통령이 핀란드 대통령인지 EU 전체를 대표하는 인물인지 질문을 받는 등 여전히 완전히 규정되지 않은 부분이 남아있다.[1]

5. 입법

핀란드 의회는 핀란드의 최고 입법 기관으로, 헌법 개정, 정부 불신임, 대통령 거부권 무효화 등의 권한을 갖는다. 의회는 2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이며, 의원들은 비구속 명부식 비례대표제에 따라 4년 임기로 선출된다.[44] 의회의 행위는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국회의사당의 회의장


법률은 정부 또는 국회의원 중 한 명이 발의할 수 있다. 헌법 재판소는 없으며, 헌법상의 권리 또는 헌법에 관한 사항은 의회의 헌법 위원회(perustuslakivaliokunta)에서 처리한다. 헌법 위원회는 이 사건을 탄핵 고등 법원 (valtakunnanoikeus)에 회부하고 이를 위해 경찰 수사를 승인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을 갖는다.

의회 외에도 내각과 대통령은 규정 (asetus)을 규칙 제정 과정을 통해 만들 수 있다. 이는 종종 특정 세부 사항의 규정을 정부에 명시적으로 위임하는 법령의 적용 방법에 대한 더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규정은 기존 법률에 근거해야 하며, 법률을 명확히 하고 구체화할 수 있지만, 법률과 모순되어서는 안 된다. 개인의 권리는 항상 규정이 아닌 법률에 근거해야 한다.

5. 1. 의회

핀란드 의회(핀란드어: Eduskunta, 스웨덴어: Riksdag)는 2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이며, 핀란드의 최고 입법 기관이다. 의회는 핀란드 헌법을 개정하고, 정부의 사임을 요구하며, 대통령의 거부권을 무효화할 수 있다. 의회의 행위는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법률은 정부 또는 국회의원 중 한 명이 발의할 수 있으며, 의원은 공개 명부 다선거구에서 비례대표제로 4년 임기로 선출된다.[44] 현역 군인과 일부 고위 법관을 제외하고 18세 이상인 사람은 선거에 출마할 수 있다. 정기 의회 임기는 4년이며, 총리의 요청과 의회 의장과의 협의를 거쳐 대통령은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명령할 수 있다.

의회는 1906년 보통 선거가 도입된 이후 국민연합당, 중앙당, 사회민주당이 주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어느 정당도 단독 과반수를 차지한 적은 없었으며, 1916년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이 200석 중 103석을 얻은 것이 예외적이다. 1944년 이후에는 공산당이 수십 년 동안 고려해야 할 요소였으며, 공산당과 사회민주당 좌파의 다른 세력들이 결성한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은 1958년 선거 이후 최대 정당이었다. 1980년대 초 공산당에 대한 지지도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같은 시기 후반에는 환경 운동가들이 녹색 연맹을 결성했으며, 현재 녹색 연맹은 가장 큰 정당 중 하나이다. 스웨덴 인민당은 특히 언어 정책에서 핀란드-스웨덴인을 대표한다.

5. 2. 선거 제도와 정당

핀란드는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 다당제가 발달했으며, 여러 정당들이 연립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4][25]

핀란드 최초의 정당은 1860년대에 결성된 핀란드인당스웨덴인당이었다. 1899년에는 노동자들의 각성으로 핀란드 노동당(현재의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결성되었다.[48] 핀란드는 1905년 혁명을 계기로 세계 최초의 완전한 평등보통선거를 제도화했다.

냉전기 핀란드 의회의 주요 정당은 농업동맹(1965년 핀란드 중앙당으로 개칭), 사회민주당, 인민민주동맹이었다.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 시기, 농촌당과 국민연합당소련과의 대외정책 문제로 오랫동안 야당에 머물렀다.[52]

21세기 들어 핀란드의 3대 정당은 중도좌파 사회민주당, 중도우파 중앙당국민연합당으로 정리되었다. 한편 민족주의적인 핀인당과 환경주의적인 녹색동맹이 주요 정당에 도전하는 세력으로 부상했다.[53] 2019년 의회선거 이후 원내 제1당은 사회민주당이다.[55]

스웨덴인당핀란드어-스웨덴어 2개국어 체제 유지를 옹호하며, 스웨덴계가 많이 거주하는 서부 해안지역에서만 지지를 받는 핀란드의 유일한 비전국정당이다.[57]

핀란드의 정당별 보유 의석 (2007년)
정당명득표수득표율(%)의석수의석 점유율(%)
핀란드 중앙당640,42823.15125.5
국민연합당616,84122.35025
핀란드 사회민주당594,19421.44522.5
좌익동맹244,2968.8178.5
녹색동맹234,4298.5157.5
기독교민주당134,7904.973.5
스웨덴 인민당126,5204.594.5
진정한 핀란드인112,2564.152.5
핀란드 공산당18,2770.700
핀란드 노인당16,7150.600
자산가 동맹 (올란드)9,5610.310.5
합계 (투표율 67.9%)200석


6. 사법

핀란드는 대륙법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스웨덴법에 기반한다.[26] 사법부는 제한된 권한을 행사하며, 절차는 탄핵 심리 방식으로 진행된다. 판사가 재판을 주재하고 사실 관계를 파악하며 판결과 형량을 내린다. 배심원 제도는 사용되지 않는다.

핀란드의 사법 시스템은 민사 및 형사 사건을 다루는 일반 법원과, 개인과 행정 기관 간의 소송을 담당하는 행정 법원으로 나뉜다. 핀란드 법은 성문화되어 있으며, 일반 법원은 지방 법원, 지역 항소 법원, 핀란드 대법원으로 구성된다. 행정 사법부는 행정 법원과 핀란드 최고 행정 법원으로 구성된다.[27] 일반 법원 외에도 특정 행정 분야에는 몇 개의 특별 법원이 있다. 또한 대통령, 대법원 판사, 정부 구성원, 법무총장 및 국회 옴부즈맨에 대한 형사 기소 (공무상 범죄)를 위한 탄핵 고등 법원도 있다.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 법원은 다른 행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며, 유효한 법률에만 근거하여 결정을 내린다.[28] 형사 사건, 민사 사건 및 청원 사건은 27개의 지방 법원에서 처리되며, 결정에 불만이 있을 경우 6개의 항소 법원에 상소할 수 있다. 핀란드 대법원은 최종심 법원 역할을 한다. 당국의 결정에 대한 상소는 6개의 지역 행정 법원에서 심리되며, 핀란드 최고 행정 법원이 최종심 법원이다.[29]

7. 행정 구역

핀란드는 19개의 지역으로 나뉜다.[32] 이들 지역은 70개의 하위 지역으로 묶인다.

2009년까지 핀란드는 6개의 주로 나뉘어 있었으나, 2010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현재 핀란드 본토의 국가 지방 행정은 6개의 지역 국가 행정 기관(알루에할린토비라스토, ''aluehallintovirasto'', ''avi'')과 15개의 경제 개발, 교통 및 환경 센터(엘린케이노-, 리케네- 야 윔패리스퇴케스쿠스, ''elinkeino-, liikenne- ja ympäristökeskus'', ''ely-keskus'')에서 담당한다. 지역 국가 행정 기관은 주로 경찰, 소방 및 구조, 비상 대비, 기본 서비스, 환경 허가 및 집행, 산업 보건 및 안전 보호와 같은 법 집행, 구조 및 사법 의무를 수행한다. 경제 개발, 교통 및 환경 센터는 노동 및 산업 정책 시행, 고용 및 이민 서비스 제공, 문화 장려, 고속도로 및 기타 교통망과 기반 시설 유지, 환경, 토지 사용 및 수자원 보호, 모니터링 및 관리를 담당한다.

올란드스웨덴과 핀란드 사이 북위 60도 부근에 위치한 자치 지역이다. 1921년 국제 협약에 따라 자치권을 누리고 있으며, 이는 1951년 올란드 자치법에 의해 최근에 시행되었다. 올란드는 스웨덴어를 사용하며, 올란드 라그팅이라는 자체 의회를 가지고 있다.

올란드 라그팅, 올란드 자치 지역의 의회, 마리에함에 위치

7. 1. 지역 및 지방 행정

핀란드는 313개의 민주적으로 독립된 지방 자치체로 나뉘며, 이들은 70개의 하위 지역으로 묶인다.[30][31] 각 지방 자치체는 스스로 "도시" 또는 "지방 자치체"라고 부를 수 있으며, 4년마다 비례 대표로 선출되는 시의회(또는 시의회)에 의해 운영된다.[33]

지방 자치체는 지방 자치체이며,[37] 2017년 기준, 311개의 지방 자치체가 전국을 포괄한다.[38]

7. 2. 간접 공공 행정

간접 공공 행정 기관은 복지 사회의 과제를 관리하는 데 있어 당국을 보완하고 지원한다.[28] 이 기관은 당국은 아니지만 공공 과제를 수행하거나 공적 권한을 행사하는 조직이다. 예를 들어 사냥 면허 발급이나 자동차 차량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39]

7. 3. 복지 서비스 구역

복지 서비스 구는 보건, 사회 서비스, 응급 서비스를 조직할 책임이 있는 자치 기구이다. 21개의 복지 서비스 구가 있으며, 구의 구조는 주로 지역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은 세금을 부과할 권리가 없으며, 재정은 중앙 정부의 자금 지원을 기반으로 한다. 중앙 정부는 인구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복지 서비스 구에 서로 다른 금액의 자금을 할당한다.[40]

8. 외교 관계

왼쪽부터: 멜라니아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블라디미르 푸틴, 사울리 니니스퇴와 그의 부인 옌니 하우키오가 2018년 러시아-미국 정상회담 중 헬싱키에서 만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키비-케코넨 독트린은 소련 바로 옆에 위치한 독립적이고 주권적이며 민주적이고 자본주의적인 국가로서 핀란드의 생존을 목표로 하는 외교 정책이었다.[41] 핀란드는 대외 무역에 크게 의존하며 유럽 연합, 국제 연합, 세계 은행 그룹 등 국제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41]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핀란드는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 의해 부과된 마지막 제약에서 벗어났다. 핀란드-소련 우호, 협력 및 상호 지원 협정(및 이에 포함된 제약)은 무효화되었지만, 핀란드는 러시아 연방을 소련의 승계 국가로 인정하고 선의의 양자 조약을 작성하고 소련 부채를 재분배하는 데 신속하게 나섰다.

핀란드는 1995년 스웨덴, 오스트리아와 함께 유럽 연합에 가입하여 유럽 통합에 대한 참여를 심화시켰다. 핀란드의 중립 정책은 유능한 독립 방어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 "군사적 비동맹"으로 완화되었다. 국제 연합의 후원 하에 이루어지는 평화 유지는 핀란드가 수행하는 유일한 진정한 초국가적 군사적 책임이다.

핀란드-러시아 관계는 핀란드가 불법으로 간주하는 러시아 연방의 크림반도 병합으로 인해 압박을 받아왔다. 핀란드는 다른 유럽 연합 국가들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시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 관계는 완전히 악화되지 않았다. 핀란드 수입의 11.2%는 러시아에서, 수출의 5.7%는 러시아로 이루어지며, 핀란드 당국과 러시아 당국 간의 협력도 계속되고 있다.[42] 2023년 5월 현재, 핀란드의 러시아 수출은 78% 감소했다.[43]

NATO와 거의 30년 동안 긴밀한 파트너십을 맺은 후, 핀란드는 2023년 4월 4일 동맹에 가입했다. 핀란드의 NATO와의 파트너십은 역사적으로 군사적 비동맹 정책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이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변경되었다.[13] 2024년 3월 1일, NATO의 확고한 지지자인 알렉산데르 스투브가 핀란드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Position and duties -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Finland: Position and Duties http://tpk.fi/public[...] 2018-03-21
[2] 웹사이트 Role of the Prime Minister http://valtioneuvost[...] 2018-03-21
[3] 웹사이트 About Parliament https://www.eduskunt[...] 2018-03-21
[4] 웹사이트 Duties http://www.president[...] 2018-03-21
[5] 웹사이트 Finnish Trade Unions: Structure, purpose, and which one to join https://www.expat-fi[...] 2018-03-21
[6]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2023-10-14
[7] 서적 Finland: a country study http://hdl.loc.gov/l[...] Library of Congress
[8] 웹사이트 Professori: Lapin sota on unohdettu, seurauksia kantavat lappilaiset http://www.studio55.[...] 2015
[9] 뉴스 Statesman from humble background, Mauno Koivisto led Finland into EU https://finland.fi/l[...] 2017-05-24
[10] 웹사이트 The European Economic Area (EEA), Switzerland and the North {{!}} Fact Sheets on the European Union {{!}} European Parliament https://www.europarl[...] 2023-09-30
[11] 웹사이트 The accession of Austria, Finland and Sweden to the European Union - Subject files - CVCE Website https://www.cvce.eu/[...]
[12] 웹사이트 Finland and the euro - European Commission https://economy-fina[...]
[13] 웹사이트 Relations with Finland https://www.nato.int[...] 2024-03-04
[14] 웹사이트 Finland's New President Alexander Stubb Says the Nordic Country Enters 'A New Era' as a NATO Member https://www.usnews.c[...] 2024-03-05
[15] 웹사이트 The Finnish System of Government: From a Mixed Constitution to Parliamentarism http://oikeusministe[...] Ministry of Justice 2016-09-03
[16]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Finland - unofficial translation http://www.finlex.fi[...] The Ministry of Justice 1999–2011
[17] 웹사이트 Judicial Appointments Board http://www.oikeus.fi[...] Ministry of Justice 2016-09-03
[18] 웹사이트 Parliamentarism in Finland http://finland.fi/li[...] 2016-09-03
[19] 웹사이트 Ministries http://www.suomi.fi/[...] 2017-01-20
[20] 웹사이트 Formation of the Government, Sections 60 and 61 http://www.finlex.fi[...] 2016-06-13
[21] 웹사이트 Ministries http://www.suomi.fi/[...] Finnish State Treasury 2016-04-29
[22] 웹사이트 Law Drafting http://lainvalmistel[...] 2016-06-13
[23] 웹사이트 Ministries http://valtioneuvost[...] Finnish Government 2011-06-22
[24] 웹사이트 Suurimpien puolueiden kannatus eduskuntavaaleissa 1945 - 2003 (%) http://www.tilastoke[...] 2021-01-08
[25] 웹사이트 Puolueiden kannatus eduskuntavaaleissa 1991-2015 (%) http://www.stat.fi/t[...] 2021-01-08
[26] 웹사이트 450-year-old judicial instructions http://www.oikeus.fi[...] Ministry of Justice 2016-09-03
[27] 웹사이트 Finnish courts http://www.oikeus.fi[...] Ministry of Justice 2016-09-03
[28] 웹사이트 State and municipalities http://www.suomi.fi/[...] 2017-01-19
[29] 웹사이트 Courts of law http://www.suomi.fi/[...] 2017-01-20
[30] 웹사이트 Kaupunkien ja kuntien lukumäärä http://www.kunnat.ne[...] 2016-04-29
[31] 웹사이트 Tilastokeskus - Luokitukset - Sub-regional units 2013 - http://www.tilastoke[...]
[32] 웹사이트 Regions and municipalities http://www.suomi.fi/[...] 2016-04-29
[33] 웹사이트 Kuntalaki 4 §, 15§ https://www.finlex.f[...] Ministry of Justice 2016-09-03
[34] 웹사이트 Åland in the European Union http://www.eurooppa-[...] Europe Information, Ministry for Foreign A airs of Finland 2005
[35] 웹사이트 Regional State Administrative Agencies http://www.avi.fi/en[...] 2017-01-19
[36] 웹사이트 Centre for Economic Development, Transport and the Environment http://www.ely-kesku[...] 2017-01-19
[37] 웹사이트 Kuntarakennelaki http://www.finlex.fi[...] 2017-01-19
[38] 웹사이트 Kuntien lukumäärä http://vm.fi/kuntien[...] 2017-01-19
[39] 웹사이트 Indirect public administration http://www.suomi.fi/[...] 2017-01-20
[40] 웹사이트 Wellbeing services counties will be responsible for organising health, social and rescue services on 1 January 2023 https://stm.fi/en/we[...] 2023-09-07
[41] 간행물 The World Factbook: Finland https://www.cia.gov/[...] CIA
[42] 웹사이트 Ulkoasiainministeriö: Maat ja alueet: Kahdenväliset suhteet http://formin.finlan[...] 2018-01-09
[43] 뉴스 Finnish exports to Russia drop by 78%, while EU trade with Central Asia grows https://www.helsinki[...] 2023-05-03
[44]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総選挙 マリン首相の与党敗北 野党は連立交渉へ https://www3.nhk.or.[...] 2023-04-11
[45] 웹인용 Suurimpien puolueiden kannatus eduskuntavaaleissa 1945 – 2003 (%) http://www.tilastoke[...] Tilastokeskus 2015-12-03
[46] 웹인용 Puolueiden kannatus eduskuntavaaleissa 1991–2015 (%) http://www.stat.fi/t[...] Tilastokeskus 2015-12-03
[47] 웹인용 Puolueet http://www.vaalit.fi[...] Vaalit.fi 2015-12-13
[48] 웹인용 Puoluehistoriaa http://www.vaalit.fi[...] Vaalit.fi 2015-12-13
[49] 문서 Pieni tietosanakirja s. 441 http://runeberg.org/[...]
[50] 웹인용 Maalaisliiton historia https://www.keskusta[...] Keskustan historia 2020-03-18
[51] 서적 s. 30, 35–37.
[52] 웹인용 Perustuslaillinen Oikeistopuolue https://yle.fi/aihe/[...] YLE 2020-03-18
[53] 웹인용 Perussuomalaisten ja Vihreiden nousu https://www.hs.fi/po[...] 2019-07-30
[54] 웹인용 Kuntavaalit 2017 https://yle.fi/uutis[...] 2017-04-20
[55] 웹인용 Tulos puolueittain https://tulospalvelu[...] 2019-06-06
[56] 웹인용 Hallituksen tiedot ja kokoonpano, 75. Rinne https://valtioneuvos[...] 2019-06-06
[57] 웹인용 Suomen ruotsalaisen kansanpuolueen aluetoiminta https://sfp.fi/fi/pu[...] 2020-03-18
[58] 웹인용 Sininen tulevaisuus putosi eduskunnasta https://www.mtv.fi/s[...] 2019-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