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름홀츠 정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정의
헬름홀츠 분해는 주어진 벡터장을 스칼라 포텐셜의 기울기와 벡터 포텐셜의 회전의 합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벡터장 \mathbf{F} \in C^1(V, \mathbb{R}^n) 가 영역 V \subseteq \mathbb{R}^n 에서 정의될 때, 헬름홀츠 분해는 다음을 만족하는 벡터장 \mathbf{G} \in C^1(V, \mathbb{R}^n) 과 \mathbf{R} \in C^1(V, \mathbb{R}^n) 의 쌍으로 주어진다. : \begin{align} \mathbf{F}(\mathbf{r}) &= \mathbf{G}(\mathbf{r}) + \mathbf{R}(\mathbf{r}), \\ \mathbf{G}(\mathbf{r}) &= - \nabla \Phi(\mathbf{r}), \\ \nabla \cdot \mathbf{R}(\mathbf{r}) &= 0. \end{align} 여기서 \Phi \in C^2(V, \mathbb{R}) 는 스칼라 포텐셜이고, \nabla \Phi 는 그 기울기 이며, \nabla \cdot \mathbf{R} 는 벡터장 \mathbf{R} 의 발산 이다. 비회전 벡터장 \mathbf{G} 는 '구배장'이라고 불리며, \mathbf{R} 은 '솔레노이드 장' 또는 '회전장'이라고 불린다. 3차원 임의의 벡터장 \mathbf{F}(\mathbf{x}) 에 대해, 스칼라 포텐셜 \phi(\mathbf{x}) 과 벡터 포텐셜 \mathbf{A}(\mathbf{x}) 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mathbf{F}(\mathbf{x}) = - \nabla\phi(\mathbf{x}) + \nabla \times \mathbf{A}(\mathbf{x}) 즉, 임의의 벡터장 \mathbf{F} 를 스칼라장 \phi 의 기울기 \nabla\phi 로 표시되는 항과 벡터장 \mathbf{A} 의 회전 \nabla \times \mathbf{A} 로 표시되는 항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 분해는 모든 벡터장에 대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유일성을 갖지 않는다. \phi 와 \mathbf{A} 의 선택은 유일하지 않으며, 여러 자유도를 가진다. 응용상 자주 사용되는 표현은 다음과 같다. : \phi(\mathbf{x})=\frac{1}{4\pi} \int \frac{\nabla' \cdot \mathbf{F}(\mathbf{x}')}
\, d^3\mathbf{x}' : \mathbf{A}(\mathbf{x})=\frac{1}{4\pi} \int \frac{\nabla' \times \mathbf{F}(\mathbf{x}')} \, d^3\mathbf{x}' 단, 이 체적 적분이 정의되려면, 벡터장 \mathbf{F}(\mathbf{x}) 가 원방에서 충분히 빠르게 0 에 접근해야 한다.
2. 1. 기본적인 형식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어떤 벡터 함수 \mathbf{F}(\mathbf{R}) 의 발산 d(\mathbf{R}) 과 회전 \mathbf{C}(\mathbf{R}) 이 주어지고, |\mathbf{R}|=r 이 무한대로 갈 때 이 둘 모두 \frac{1}{r^2} 보다 빨리 0 으로 접근하며 \mathbf{F}(\mathbf{R}) 역시 0 으로 접근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mathbf{F}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26] :\mathbf{F} = \nabla u + \nabla \times \mathbf{W} 여기서 u(\mathbf{R}) 는 어떤 스칼라 함수이며, \mathbf{W}(\mathbf{R}) 는 어떤 벡터 함수이다. 즉, 벡터 함수 \mathbf{F} 는 스칼라 함수 u 의 기울기 와 벡터 함수 \mathbf{W} 의 회전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2. 따름정리와 응용
헬름홀츠 정리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따름정리가 있다.헬름홀츠 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벡터 함수 F(R) 의 회전이 0이면, 어떤 스칼라 함수 *u*(R )가 존재하여 F = ∇*u* 이다. 헬름홀츠 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벡터 함수 F(R) 의 발산이 0이면, 어떤 벡터 함수 W(R) 가 존재하여 F = ∇ × W 이다. 이 따름정리들은 어떤 스칼라 함수에 기울기를 취하고 회전을 취하면 0이 되고, 어떤 벡터 함수에 회전을 취하고 발산을 취하면 0이 된다는 관계식에서 헬름홀츠 정리를 적용하여 바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따름정리들은 전자기학 에서 중요하게 응용된다. 맥스웰 방정식 에 따르면, 정전기학에서 전기장 의 회전은 0이고 정자기학에서 자기장 의 발산은 0이다. 따라서 위 따름정리들을 이용하여 전위 와 자기 퍼텐셜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이 정당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16]
2. 3. 다양한 차원으로의 일반화
헬름홀츠 정리는 뉴턴 퍼텐셜 연산자를 이용해 다른 방식으로 다시 쓸 수 있다. 이 정리를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일반적인 리만 다양체 위의 미분형식으로 일반화시킨 결과를 하지 분해정리라 하며, 이는 헬름홀츠 정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6] d차원으로의 일반화는 벡터 포텐셜로는 수행할 수 없다. 왜냐하면 회전 연산자와 외적 은 (벡터로) 3차원에서만 정의되기 때문이다.\mathbf{F} 를 V\subseteq\mathbb{R}^d 인 유계 영역에 대한 벡터장으로 정의하고, 이는 |\mathbf{r}| \to \infty 이고 \delta > 2 일 때 |\mathbf{r}|^{-\delta} 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다고 가정한다. 스칼라 포텐셜은 3차원 경우와 유사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Phi(\mathbf{r}) = - \int_{\mathbb{R}^d} \operatorname{div}(\mathbf{F}(\mathbf{r}')) K(\mathbf{r}, \mathbf{r}') \mathrm{d}V' = - \int_{\mathbb{R}^d} \sum_i \frac{\partial F_i}{\partial r_i}(\mathbf{r}') K(\mathbf{r}, \mathbf{r}') \mathrm{d}V', 여기서 적분 커널 K(\mathbf{r}, \mathbf{r}') 는 다시 라플라스 방정식 의 기본 해인데, 이는 d차원 공간에서 다음과 같다.K(\mathbf{r}, \mathbf{r}') = \begin{cases} \frac{1}{2\pi} \log{ | \mathbf{r}-\mathbf{r}' | } & d=2, \\ \frac{1}{d(2-d)V_d} | \mathbf{r}-\mathbf{r}' | ^{2-d} & \text{otherwise}, \end{cases} 여기서 V_d = \pi^\frac{d}{2} / \Gamma\big(\tfrac{d}{2}+1\big) 는 d차원 단위 구의 부피이고, \Gamma(\mathbf{r}) 는 감마 함수 이다.d = 3 인 경우, V_d 는 \frac{4 \pi}{3} 와 같으며, 위와 동일한 상수 계수를 생성한다. 회전 포텐셜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가진 반대칭 행렬 이다.A_{ij}(\mathbf{r}) = \int_{\mathbb{R}^d} \left( \frac{\partial F_i}{\partial x_j}(\mathbf{r}') - \frac{\partial F_j}{\partial x_i}(\mathbf{r}') \right) K(\mathbf{r}, \mathbf{r}') \mathrm{d}V'. 대각선 위에는 \textstyle\binom{d}{2} 개의 항목이 있으며, 이는 대각선에서 부호가 반전된 채로 다시 나타난다. 3차원 경우에, 행렬 요소는 벡터 포텐셜 \mathbf{A} = [A_1, A_2, A_3] = [A_{23}, A_{31}, A_{12}] 의 성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렬 포텐셜은 3차원인 경우에만 벡터로 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textstyle\binom{d}{2} = d 가 d = 3 일 때만 성립하기 때문이다. 3차원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울기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bf{G}(\mathbf{r}) = - \nabla \Phi(\mathbf{r}). 반면에, 회전장은 일반적인 경우에 행렬의 행 발산으로 정의된다.\mathbf{R}(\mathbf{r}) = \left[ \sum\nolimits_k \partial_{r_k} A_{ik}(\mathbf{r}); {1 \leq i \leq d} \right]. 3차원 공간에서, 이는 벡터 포텐셜의 회전과 동일하다.d \ne 3 인 d 차원 벡터 공간에서 -\frac{1}{4\pi\left|\mathbf{r}-\mathbf{r}'\right|}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적절한 라플라시안에 대한 그린 함수로 대체될 수 있다. \nabla^2 G(\mathbf{r},\mathbf{r}') = \frac{\partial}{\partial r_\mu}\frac{\partial}{\partial r_\mu}G(\mathbf{r},\mathbf{r}') = \delta^d(\mathbf{r}-\mathbf{r}') 여기서 인덱스 \mu 에 대해 아인슈타인 합 규칙 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2D에서는 G(\mathbf{r},\mathbf{r}')=\frac{1}{2\pi}\ln\left|\mathbf{r}-\mathbf{r}'\right| 이다. 위와 동일한 단계를 따르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_\mu(\mathbf{r}) = \int_V F_\m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mu}\frac{\partial}{\partial r_\mu}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 \delta_{\mu\nu}\delta_{\rho\sigma}\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rho}\frac{\partial}{\partial r_\sigma}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여기서 \delta_{\mu\nu} 는 크로네커 델타 이다(그리고 합 규칙이 다시 사용된다). 위에서 사용된 벡터 라플라시안의 정의 대신, 레비-치비타 기호 \varepsilon 에 대한 항등식을 사용한다. \varepsilon_{\alpha\mu\rho}\varepsilon_{\alpha\nu\sigma} = (d-2)!(\delta_{\mu\nu}\delta_{\rho\sigma} - \delta_{\mu\sigma}\delta_{\nu\rho}) 이는 d\ge 2 차원에서 유효하며, 여기서 \alpha 는 (d-2) 성분 다중 인덱스이다. 이를 통해 다음을 얻는다. F_\mu(\mathbf{r}) = \delta_{\mu\sigma}\delta_{\nu\rho}\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rho}\frac{\partial}{\partial r_\sigma}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 \frac{1}{(d-2)!}\varepsilon_{\alpha\mu\rho}\varepsilon_{\alpha\nu\sigma} \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rho}\frac{\partial}{\partial r_\sigma}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_\mu(\mathbf{r}) = -\frac{\partial}{\partial r_\mu} \Phi(\mathbf{r}) + \varepsilon_{\mu\rho\alpha}\frac{\partial}{\partial r_\rho} A_{\alpha}(\mathbf{r}) 여기서 \begin{aligned} \Phi(\mathbf{r}) &= -\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nu}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A_{\alpha} &= \frac{1}{(d-2)!}\varepsilon_{\alpha\nu\sigma} \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sigma}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end{aligned} 벡터 포텐셜은 d 차원에서 랭크-(d-2) 텐서로 대체된다.G(\mathbf{r},\mathbf{r}') 은 \mathbf{r}-\mathbf{r}' 의 함수이기 때문에 \frac{\partial}{\partial r_\mu}\rightarrow - \frac{\partial}{\partial r'_\mu} 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을 제공한다. \begin{aligned} \Phi(\mathbf{r}) &= \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nu}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A_{\alpha} &= -\frac{1}{(d-2)!}\varepsilon_{\alpha\nu\sigma} \int_V F_\nu(\mathbf{r}') \frac{\partial}{\partial r_\sigma'}G(\mathbf{r},\mathbf{r}') \,\mathrm{d}^d \mathbf{r}' \end{aligned} 부분 적분을 사용하여 다음을 얻을 수 있다. \begin{aligned} \Phi(\mathbf{r}) &= -\int_V G(\mathbf{r},\mathbf{r}')\frac{\partial}{\partial r'_\nu}F_\nu(\mathbf{r}') \,\mathrm{d}^d \mathbf{r}' + \oint_{S} G(\mathbf{r},\mathbf{r}') F_\nu(\mathbf{r}') \hat{n}'_\nu \,\mathrm{d}^{d-1} \mathbf{r}'\\ A_{\alpha} &= \frac{1}{(d-2)!}\varepsilon_{\alpha\nu\sigma} \int_V G(\mathbf{r},\mathbf{r}') \frac{\partial}{\partial r_\sigma'}F_\nu(\mathbf{r}') \,\mathrm{d}^d \mathbf{r}'- \frac{1}{(d-2)!}\varepsilon_{\alpha\nu\sigma} \oint_{S} G(\mathbf{r},\mathbf{r}') F_\nu(\mathbf{r}') \hat{n}'_\sigma \,\mathrm{d}^{d-1} \mathbf{r}' \end{aligned} 여기서 S=\partial V 는 V 의 경계이다. 이러한 표현식은 위에 제공된 3차원 공간에서의 표현식과 유사하다. 호지 분해는 헬름홀츠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R'''3 상의 벡터장 에서 리만 다양체 ''M'' 상의 미분 형식 으로 일반화된다.
3. 역사
1849년 조지 가브리엘 스토크스가 3차원에서 헬름홀츠 분해를 처음 설명하였으며, [31] 이는 회절 이론을 위한 것이었다. 헤르만 폰 헬름홀츠 는 1858년에 유체역학 기본 방정식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19] [21] 이는 소용돌이 선 근처의 유체 운동을 설명하는 헬름홀츠의 정리에 대한 그의 연구의 일부였다. [21] 이들의 유도는 무한대에서 벡터장이 충분히 빠르게 감쇠해야 함을 요구했다. 이후 이 조건은 완화될 수 있었고, 헬름홀츠 분해는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14] [34] [27]
4.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유도
헬름홀츠 정리는 푸리에 변환 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1] 벡터장 \(\mathbf{F}\)의 푸리에 변환인 \(\mathbf{G}\)는 반드시 존재한다. [1]\mathbf{F}(\mathbf{r}) = \iiint \mathbf{G}(\mathbf{k}) e^{i\mathbf{k} \cdot \mathbf{r}} dV_k 스칼라장의 푸리에 변환은 스칼라장이며, 벡터장의 푸리에 변환은 같은 차원의 벡터장이다. [1] 다음은 고려해야 할 스칼라장과 벡터장이다. [1]\begin{align} G_\Phi(\mathbf{k}) &= i \frac{\mathbf{k} \cdot \mathbf{G}(\mathbf{k})}{\|\mathbf{k}\|^2} \\ \mathbf{G}_\mathbf{A}(\mathbf{k}) &= i \frac{\mathbf{k} \times \mathbf{G}(\mathbf{k})}{\|\mathbf{k}\|^2} \\ [8pt] \Phi(\mathbf{r}) &= \iiint G_\Phi(\mathbf{k}) e^{i \mathbf{k} \cdot \mathbf{r}} dV_k \\ \mathbf{A}(\mathbf{r}) &= \iiint \mathbf{G}_\mathbf{A}(\mathbf{k}) e^{i \mathbf{k} \cdot \mathbf{r}} dV_k \end{align} 따라서,\begin{align} \mathbf{G}(\mathbf{k}) &= - i \mathbf{k} G_\Phi(\mathbf{k}) + i \mathbf{k} \times \mathbf{G}_\mathbf{A}(\mathbf{k}) \\ [6pt] \mathbf{F}(\mathbf{r}) &= -\iiint i \mathbf{k} G_\Phi(\mathbf{k}) e^{i \mathbf{k} \cdot \mathbf{r}} dV_k + \iiint i \mathbf{k} \times \mathbf{G}_\mathbf{A}(\mathbf{k}) e^{i \mathbf{k} \cdot \mathbf{r}} dV_k \\ &= - \nabla \Phi(\mathbf{r}) + \nabla \times \mathbf{A}(\mathbf{r}) \end{align} 위 식과 같이 벡터장을 종파 성분과 횡파 성분으로 분해하고, 이를 다시 역변환하여 스칼라 포텐셜과 벡터 포텐셜을 얻는다. [1]
5. 종파 및 횡파 성분
물리학에서 벡터장의 회전이 없는 성분을 '''종파 성분''', 발산이 없는 성분을 '''횡파 성분'''이라고 부른다. [30] 이는 벡터장 \mathbf{F} 의 3차원 푸리에 변환 \hat\mathbf{F} 을 계산하고, 각 점 '''k'''에서 이 필드를 '''k'''에 평행한 종방향 성분과 '''k'''에 수직인 횡방향 성분으로 분해하는 방식에서 유래한다.\hat\mathbf{F} (\mathbf{k}) = \hat\mathbf{F}_t (\mathbf{k}) + \hat\mathbf{F}_l (\mathbf{k}) \mathbf{k} \cdot \hat\mathbf{F}_t(\mathbf{k}) = 0. \mathbf{k} \times \hat\mathbf{F}_l(\mathbf{k}) = \mathbf{0}. 이러한 각 성분에 역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면 푸리에 변환의 속성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mathbf{F}(\mathbf{r}) = \mathbf{F}_t(\mathbf{r})+\mathbf{F}_l(\mathbf{r}) \nabla \cdot \mathbf{F}_t (\mathbf{r}) = 0 \nabla \times \mathbf{F}_l (\mathbf{r}) = \mathbf{0} \nabla\times(\nabla\Phi)=0 및 \nabla\cdot(\nabla\times\mathbf{A})=0 이므로,\mathbf{F}_t=\nabla\times\mathbf{A}=\frac{1}{4\pi}\nabla\times\int_V\frac{\nabla'\times\mathbf{F}}{\left|\mathbf{r}-\mathbf{r}'\right|}\mathrm{d}V' \mathbf{F}_l=-\nabla\Phi=-\frac{1}{4\pi}\nabla\int_V\frac{\nabla'\cdot\mathbf{F}}{\left|\mathbf{r}-\mathbf{r}'\right|}\mathrm{d}V' 를 얻는다. 즉, 이는 헬름홀츠 분해이다. [22] 3차원 임의의 벡터장 \mathbf{F}(\mathbf x) 는 스칼라 포텐셜 \phi(\mathbf x) 과 벡터 포텐셜 \mathbf{A}(\mathbf x)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mathbf{F}(\mathbf x) = - \nabla\phi(\mathbf x) + \nabla \times \mathbf{A}(\mathbf x) =-\operatorname{grad}\phi(\mathbf x) + \operatorname{rot}\mathbf{A}(\mathbf x) 이는 벡터장 \mathbf{F}(\mathbf x) 를 스칼라장 \phi(\mathbf x) 의 기울기 \nabla\phi(\mathbf x) 항과 벡터장 \mathbf{A}(\mathbf x) 의 회전 \nabla \times \mathbf{A}(\mathbf x) 항으로 분해하는 것이다. 이를 '''헬름홀츠 정리'''라고 한다. 이때, 스칼라 포텐셜과 벡터 포텐셜의 선택은 유일하지 않다. 응용상 자주 사용되는 표현은 다음과 같다. : \phi(\mathbf{x})=\frac{1}{4\pi} \int \frac{\nabla' \cdot \mathbf{F}(\mathbf{x}')}
\, d^3\mathbf{x}' : \mathbf{A}(\mathbf{x})=\frac{1}{4\pi} \int \frac{\nabla' \times \mathbf{F}(\mathbf{x}')} \, d^3\mathbf{x}' 여기서, 벡터장 \mathbf{F}(\mathbf{x}') 는 원방에서 충분히 빠르게 0 에 접근해야 체적 적분이 정의된다. 다음을 정의하면, : \mathbf{F}_\mathrm{L}(\mathbf{x}) = -\nabla \phi(\mathbf{x}) : \mathbf{F}_\mathrm{T}(\mathbf{x}) = \nabla \times \mathbf{A}(\mathbf{x}) 다음이 성립한다. : \nabla \times \mathbf{F}_\mathrm{L}(\mathbf{x}) = \operatorname{rot}\mathbf{F}_\mathrm{L}(\mathbf{x}) = \mathbf{0} : \nabla \cdot \mathbf{F}_\mathrm{T}(\mathbf{x}) = \operatorname{div}\mathbf{F}_\mathrm{T}(\mathbf{x}) = 0 따라서, 원래 벡터장 \mathbf{F} 는 '회전 없음'(irrotational) 벡터장 \mathbf{F}_\mathrm{L} 과 '발산 없음'(divergence free) 벡터장 \mathbf{F}_\mathrm{T} 으로 분해된다.\mathbf{F}_\mathrm{L}(\mathbf{x}) 는 '종 성분'(longitudinal component), \mathbf{F}_\mathrm{T}(\mathbf{x}) 는 '횡 성분'(transverse component)이라고 불린다. 이는 종 성분 \mathbf{F}_\mathrm{L}(\mathbf{x}) 의 푸리에 변환 \tilde{\mathbf{F}}_\mathrm{L}(\mathbf{k}) 가 파수 벡터 에 대해 평행 하고, 횡 성분 \mathbf{F}_\mathrm{T}(\mathbf{x}) 의 푸리에 변환 \tilde{\mathbf{F}}_\mathrm{T}(\mathbf{k}) 가 파수 벡터에 대해 수직하기 때문이다. : \mathbf{k} \parallel \tilde{\mathbf F}_\mathrm{L}(\mathbf{k}) : \mathbf{k} \perp \tilde{\mathbf F}_\mathrm{T}(\mathbf{k}) 이는 파수 공간상의 성질이며, 실제 공간상의 성질은 아니다. 벡터장 \mathbf{V}(\mathbf{x}) 의 푸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다. : \mathbf{V}(\mathbf{x}) = \frac{1}{(2\pi)^3} \int \mathrm{e}^{i\mathbf{k}\cdot \mathbf{x}}\tilde{\mathbf{V}}(\mathbf{k}) \mathrm{d}^3\mathbf{k}. 이를 종 성분 및 횡 성분에 대해 수행하면, 다음 관계를 얻는다. [40] : \mathbf{0} = \frac{1}{(2\pi)^3} \int \mathrm{e}^{i\mathbf{k}\cdot \mathbf{x}} i\mathbf{k}\times\tilde{\mathbf F}_\mathrm{L}(\mathbf{k}) \mathrm{d}^3\mathbf{k}, : 0 = \frac{1}{(2\pi)^3} \int \mathrm{e}^{i\mathbf{k}\cdot \mathbf{x}} i\mathbf{k}\cdot\tilde{\mathbf F}_\mathrm{T}(\mathbf{k}) \mathrm{d}^3\mathbf{k}.\mathbf{k} 에 평행한 \tilde{\mathbf{F}}_\mathrm{L}(\mathbf{k}) 과 \mathbf{k} 에 수직한 \tilde{\mathbf{F}}_\mathrm{T}(\mathbf{k}) 는 각각 위의 식을 만족한다. 즉, 원래 벡터장의 푸리에 변환 \tilde{\mathbf{F}}(\mathbf{k}) 는 파수 \mathbf{k} 에 평행한 성분 \tilde{\mathbf{F}}_\mathrm{L}(\mathbf{k}) 과 수직인 성분 \tilde{\mathbf{F}}_\mathrm{T}(\mathbf{k}) 으로 분해된다.\tilde{\mathbf{F}}_\mathrm{L}(\mathbf{k}) , \tilde{\mathbf{F}}_\mathrm{T}(\mathbf{k}) 는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 \tilde{\mathbf F}_\mathrm{L}(\mathbf{k}) = (\hat{\mathbf k}\cdot \tilde{\mathbf F}(\mathbf{k}))\hat{\mathbf k} : \tilde{\mathbf F}_\mathrm{T}(\mathbf{k}) = (\hat{\mathbf k} \times \tilde{\mathbf F}(\mathbf{k})) \times \hat{\mathbf k} 여기서 \hat{\mathbf{k}} = \mathbf{k}/|\mathbf{k}| 는 파수 \mathbf{k} 의 방향 벡터이다.
6. 응용 분야
헬름홀츠 정리는 전자기학 , 유체역학 , 동역학계 이론, 의료 영상, 컴퓨터 애니메이션 및 로봇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6. 1. 전자기학
전자기학 에서 맥스웰 방정식 에 의하여 정전기학과 정자기학에서 전기장 의 회전이 0이고 자기장 의 발산이 0이라는 것으로부터 전위 와 자기 퍼텐셜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때 헬름홀츠 정리의 따름정리들이 이 과정이 정당함을 보장하는 데 쓰인다. [16] 헬름홀츠 정리는 맥스웰 방정식 을 잠재적 이미지로 작성하여 더 쉽게 풀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학에서 특히 중요하다. 헬름홀츠 분해는 전류 밀도 와 전하 밀도 가 주어졌을 때, 전기장 과 자기 선속 밀도를 결정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밀도가 무한대에서 사라지고, 잠재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가정하면 고유하다. [26]
6. 2. 유체 역학
유체역학 에서 헬름홀츠 투영은 특히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의 해 존재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8] 헬름홀츠 투영을 선형화된 비압축성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적용하면 스토크스 방정식을 얻는다. 이는 흐름 내 입자의 속도에만 의존하며, 정적 압력에는 더 이상 의존하지 않아 방정식을 하나의 미지수로 축소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크스 방정식과 선형화된 방정식은 모두 동등하다. 연산자 P\Delta 는 스토크스 연산자라고 불린다. [8]
6. 3. 동역학계 이론
동역학계 이론에서 헬름홀츠 분해는 "준위함수"를 결정하고 경우에 따라 랴푸노프 함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2] [33] [38]대기 대류 의 단순화된 모델인 로렌츠 시스템(에드워드 로렌츠, 1963 [23] )과 같은 일부 동역학계의 경우, 헬름홀츠 분해의 닫힌 형식 표현을 얻을 수 있다. :\dot \mathbf{r} = \mathbf{F}(\mathbf{r}) = \big[a (r_2-r_1), r_1 (b-r_3)-r_2, r_1 r_2-c r_3 \big]. 스칼라 포텐셜 \Phi(\mathbf{r}) = \tfrac{a}{2} r_1^2 + \tfrac{1}{2} r_2^2 + \tfrac{c}{2} r_3^2 을 갖는 \mathbf{F}(\mathbf{r}) 의 헬름홀츠 분해는 다음과 같다. :\mathbf{G}(\mathbf{r}) = \big[-a r_1, -r_2, -c r_3 \big], :\mathbf{R}(\mathbf{r}) = \big[+ a r_2, b r_1 - r_1 r_3, r_1 r_2 \big]. 2차 스칼라 포텐셜은 좌표 원점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공하며, 이는 일부 매개변수 범위에서 안정적인 고정점을 담당한다. 다른 매개변수의 경우, 회전장은 이상한 끌개가 생성되도록 하여 모델이 나비 효과 를 나타내게 한다. [14] [25]
6. 4. 의료 영상
자기 공명 탄성 영상술(MRE)에서 헬름홀츠 분해는 측정된 변위장을 전단 성분(발산이 없는)과 압축 성분(회전이 없는)으로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39] 이를 통해 압축파의 영향 없이 장기의 점탄성을 분석하고 복잡한 전단 탄성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6. 5. 컴퓨터 애니메이션 및 로봇 공학
헬름홀츠 분해는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 로봇 공학, 이미지 재구성에 사용되며, 유체나 벡터장을 시각화하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에도 사용된다.
7. 해의 유일성
일반적으로 헬름홀츠 분해는 유일하게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무한대에서 0으로 수렴하는 벡터장의 경우, 스칼라 및 회전 포텐셜도 무한대에서 0으로 수렴하는 조건을 추가하면 유일성이 보장된다. [2] 만약 (\Phi_1, {\mathbf A_1}) 가 \mathbf F 의 헬름홀츠 분해라면, (\Phi_2, {\mathbf A_2}) 는 다음의 경우에만 다른 분해이다. :\Phi_1-\Phi_2 = \lambda \quad and \quad \mathbf{A}_1 - \mathbf{A}_2 = {\mathbf A}_\lambda + \nabla \varphi, 여기서
\lambda 는 조화 스칼라장 이고, {\mathbf A}_\lambda 는 \nabla\times {\mathbf A}_\lambda = \nabla \lambda 를 만족하는 벡터장이며, \varphi 는 스칼라장이다.조화 함수 H(\mathbf{r}) (\Delta H(\mathbf{r}) = 0 을 만족)를 스칼라 포텐셜 \Phi(\mathbf{r}) 에 더함으로써 다른 헬름홀츠 분해를 얻을 수 있다. :\begin{align} \mathbf{G}'(\mathbf{r}) &= \nabla (\Phi(\mathbf{r}) + H(\mathbf{r})) = \mathbf{G}(\mathbf{r}) + \nabla H(\mathbf{r}),\\ \mathbf{R}'(\mathbf{r}) &= \mathbf{R}(\mathbf{r}) - \nabla H(\mathbf{r}). \end{align} 무한대에서 0으로 수렴하는 벡터장 \mathbf{F} 의 경우, 리우빌 정리 에 따라, H(\mathbf{r}) = 0 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유일한 조화 함수이므로, 기울기 및 회전장의 고유성이 보장된다. [2] 하지만 이러한 유일성은 포텐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차원 공간에서 스칼라 및 벡터 포텐셜은 4개의 성분을 갖지만, 벡터장은 3개의 성분만 갖는다. 벡터장은 게이지 변환에 불변이며, 게이지 고정으로 알려진 적절한 포텐셜을 선택하는 것은 게이지 이론 의 주제이다. 물리학에서 중요한 예로는 로렌츠 게이지 조건 과 쿨롱 게이지가 있다.
8. 무한대에서 소멸하지 않는 장으로의 확장
대부분의 교과서는 무한대에서 |\mathbf{r}|^{-\delta} 보다 빠르게 감소하는 벡터장, 즉 \delta > 1 인 경우만 다룬다. [26] [27] [15] 하지만, 오토 블루멘탈은 1905년에 적절한 적분 커널을 사용하면 |\mathbf{r}|^{-\delta} 보다 빠르게 감소하는 장, 즉 \delta > 0 인 경우도 적분할 수 있음을 보였는데, 이는 상당히 덜 엄격한 조건이다. 이를 위해, 컨볼루션 적분에서의 커널 K(\mathbf{r}, \mathbf{r}') 을 K'(\mathbf{r}, \mathbf{r}') = K(\mathbf{r}, \mathbf{r}') - K(0, \mathbf{r}') 으로 대체해야 한다. [5] 더욱 복잡한 적분 커널을 사용하면, 다항식보다 빠르게 증가할 필요가 없는 발산 함수에 대한 해를 찾을 수도 있다. [34] [27] [13] [17] 무한대에서도 0으로 수렴할 필요가 없는 모든 해석적 벡터장에 대해, 부분 적분 과 반복 적분을 위한 코시 공식 [7] 에 기반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변수 다항식, 사인 , 코사인, 지수 함수 등의 경우와 같이 회전 및 스칼라 포텐셜의 닫힌 형식 해를 계산할 수 있다. [14]
참조
[1]
간행물
Vector potentials in three dimensional non-smooth domains
1998
[2]
서적
Bounded Harmonic Functions
Springer, New York
1992
[3]
간행물
The Helmholtz-Hodge Decomposition – A Survey
2013
[4]
간행물
The Natural Helmholtz-Hodge Decomposition for Open-Boundary Flow Analysis
2014-11
[5]
간행물
Über die Zerlegung unendlicher Vektorfelder
1905
[6]
논문
Vector Calculus and the Topology of Domains in 3-Space
2002
[7]
서적
Résumé des leçons données à l'École royale polytechnique sur le calcul infinitésimal
https://gallica.bnf.[...]
Imprimerie Royale
1823
[8]
서적
A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Springer US, New York
1990
[9]
서적
Spectral Theory and Applications
Springer-Verlag
1990
[10]
서적
A Treatise on the Integral Calculus
Chelsea Publishing Company
1922
[11]
서적
Vector Analysis
https://archive.org/[...]
1901
[12]
서적
Finite Element Methods for Navier–Stokes Equations: Theory and Algorithms.
Springer-Verlag
1986
[13]
문서
Helmholtz Decomposition and Rotation Potentials in n-dimensional Cartesian Coordinates
2020
[14]
간행물
Helmholtz decomposition and potential functions for n-dimensional analytic vector fields
2023
[15]
간행물
Helmholtz's Theorem when the domain is Infinite and when the field has singular points
1996
[16]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Prentice-Hall
1999
[17]
간행물
On Helmholtz’s theorem and the completeness of the Papkovich-Neuber stress functions for infinite domains
1962
[18]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The Electrician" printing and publishing company, limited
1893
[19]
간행물
Über Integrale der hydrodynamischen Gleichungen, welche den Wirbelbewegungen entsprechen
http://resolver.sub.[...]
1858
[20]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the Integral Calculus: Founded on the Method of Rates Or Fluxions
John Wiley & Sons
1881
[21]
간행물
On the Helmholtz Theorem and Its Generalization for Multi-Layers
2016
[22]
문서
The Classical Electromagnetic Field Hamiltonian
http://bohr.physics.[...]
berkeley.edu
[23]
간행물
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
1963
[24]
서적
An Elementary Course in the Integral Calculus
American Book Company
1898
[25]
서적
Strange Attractors: The Locus of Chaos
Springer, New York
[26]
간행물
The Helmholtz decomposition revisited
2015
[27]
간행물
Helmholtz decomposition theorem and Blumenthal’s extension by regularization
2017
[28]
서적
Vector Calculus: With Applications to Physics
D. Van Nostrand
1922
[29]
간행물
On Helmholtz decompositions and their generalizations – An overview
2009
[30]
간행물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omponents of a vector field
2011
[31]
간행물
On the Dynamical Theory of Diffraction
1849
[32]
간행물
Construction of Lyapunov functions using Helmholtz–Hodge decomposition
2019
[33]
간행물
Application of Helmholtz–Hodge decomposition to the study of certain vector fields
2020
[34]
간행물
On Helmholtz’s Decomposition Theorem and Poissons’s Equation with an Infinite Domain
1993
[35]
웹사이트
Helmholtz' Theorem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Vermont
2011-03-11
[36]
서적
The Hodge Theorem
Springer
[37]
서적
Elements of the differential calculus
Weale
[38]
논문
Quasi-potential landscape in complex multi-stable systems
[39]
논문
MR elastography: Principles, guidelines, and terminology
[4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