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상균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상균류는 격벽이 없는 다핵 균사체와 유주자로 구성되며, 유성 생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츠보카비균은 편모를 가진 유주자를 특징으로 하며, 균체 구조는 단세포에서 여러 세포가 연결된 형태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종에서 무성 생식을 하며, 계통 분류는 분자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피코미세테스 강 등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문으로 분류된다. 호상균류는 털곰팡이아계에 속하며, 동물계의 정자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분해자, 기생체 역할을 하며, 특히 양서류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의 원인균인 바트라코키트리움 덴드로바티디스가 있다. 화석 기록은 데본기 시대부터 존재하며, 식물 병원균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상균류 - 모노블레파리스균류
    모노블레파리스균류는 진균류 내 호상균아계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네오칼리마스트릭스균문과 호상균문 사이에 위치하며 히알로라피디움강, 모노블레파리스균강, 산키트리움강 등의 하위 강을 포함한다.
  • 호상균류 - 모노블레파리스균목
    모노블레파리스균목은 진균류의 분류군으로, 호상균아계를 구성하며 4개의 과를 포함한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호상균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균계 Fungi
ツボカビ門 Chitridiomycota
학명Chytridiomycota 2007}}
명명자M.J. Powell 2007
모식속Chytridium spp.
모식속 명명자A. Braun, 1851
하위 분류
강/목Chytridiomycetes
Chytridiales
Rhizophydiales
Polychytriales
Rhizophlyctidales
Polyphagales
Cladochytriomycetes
Cladochytriales
Lobulomycetes
Lobulomycetales
Mesochytriomycetes
Gromochytriales
Mesochytriales
Monoblepharidomycetes
Monoblepharidales
Harpochytriales
Hyaloraphidiomycetes
Hyaloraphidiales
Sanchytriomycetes
Sanchytriales
Spizellomycetes
Spizellomycetales
Synchytriomycetes
Synchytriales
이미지 정보
스피젤로미케테스 키트리드 탈루스의 차등 간섭 대비 이미지로, 비정형의 거품 모양 세포질로 채워진 큰 구와 큰 구 왼쪽에 있는 훨씬 작은 빈 구로 구성되어 있다.
스피젤로미케테스의 포자낭
담수 조류에 기생하는 다양한 키트리드류
어원

2. 특징

호상균류는 유주자나 배우자의 뒤끝에 1개의 채찍꼴 편모를 가지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1] 균사체는 일반적으로 격벽이 없는 다핵 균사체이며, 진정한 의미의 균사는 형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2] 균체의 구조는 다양하여 단세포생물에 세포 내 기생을 하거나, 기질 표면에 부착하여 약간의 균사를 뻗기도 한다.[2]

균체의 발달 방식에 따라 몇 가지 용어로 구분한다. 세포 내용물 전체가 배우자나 유주자로 변하는 것을 '''전실성'''(holocarpic)이라고 하며, 균체에 유주세포가 되지 않는 부분이 남는 것을 '''분실성'''(eucarpic)이라고 한다. 또한, 유주세포가 되는 부분이 균체에 하나만 있는 것을 '''단심성'''(monocentric), 여러 개 생기는 것을 '''다심성'''(polycentric)이라고 부른다.[2] 예를 들어 측색균목(Chytridiales)에는 전실성인 것, 분실성이면서 단심성인 것(구형 유주자낭 기부에서 균사상 균사가 뻗음), 분실성이면서 다심성인 것(구형 유주자낭이 매우 가는 균사로 연결됨) 등이 있다.[2]

무성생식은 주로 유주자를 통해 이루어진다.[1][2] 대부분의 종은 단상(haploid) 균체 상태로 생활하며, 유주자는 기질 위에서 발아하여 새로운 균체를 만든다.[2] 유성 생식에서는 암수 구별이 없는 배우자 간의 동형 접합, 암수로 분화된 배우자 간의 이형 접합, 난자와 정자로 분화된 배우자 간의 난형 접합 등 다양한 방식이 나타난다.[1]

3. 계통 분류

호상균류(Chytridiomycota)의 분류는 전통적으로 발생, 형태, 기질, 유주자 방출 방식 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적 특징만으로는 안정적인 분류가 어려웠는데, 단일 포자에서 유래한 균주(동형계통) 내에서도 상당한 변이가 나타나기 때문이다.[3] 따라서 현재 호상균류의 분류는 분자 데이터와 유주자의 초미세구조, 그리고 탈루스(균체)의 형태 및 발생 양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3]

과거 분류 체계에서는 호상균류를 다른 균류와 함께 피코미세테스(Phycomycetes) 강 또는 마스티고미코티나(Mastigomycotina) 아문 내의 키트리디오미세테스(Chytridiomycetes) 강으로 분류하기도 했다.[5] 또한, 넓은 의미의 '키트리드(chytrid)'는 현재의 호상균문 전체를 의미하지만, 과거 좁은 의미로는 키트리디오미세테스 강에 속하는 균류만을 지칭하기도 했다.[4] 과거에는 원생생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균계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자계통유전학과 초미세구조 연구가 발전하면서 호상균류의 계통 분류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기존에 호상균류에 포함되었던 일부 그룹들이 별도의 문(Phylum)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 블라스토클라디알레스(Blastocladiales) 목은 블라스토클라디오미코타(Blastocladiomycota) 문으로 분리되었다.[12]
  • 초식동물의 소화관에 서식하는 혐기성 균류인 네오칼리마스티갈레스(Neocallimastigales) 목은 네오칼리마스티고미코타(Neocallimastigomycota) 문으로 승격되었다.[11]
  • 키트리디알레스(Chytridiales) 목에 속했던 올피디아과(Olpidiaceae)(모식속 ''올피디움(Olpidium)'' 포함)는 올피디오미코타(Olpidiomycota) 문으로 독립하였다.[13]


2018년 테더수 등(Tedersoo et al. 2018)이 발표한 진균류 계통 분류에 따르면[42], 호상균문(Chytridiomycota)은 모노블레파리스균문(Monoblepharidomycota)과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며, 이 두 문은 네오칼리마스트릭스균문(Neocallimastigomycota)과 함께 호상균아계(Chytridiomyceta)를 형성한다. 호상균아계는 균계 내에서 다른 주요 균류 그룹들과 함께 초기 분기군 중 하나로 위치한다.

호상균류의 유주세포는 세포 뒤쪽에 하나의 편모를 가지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진핵생물 전체에서도 드문 특징이며 동물계의 정자 등에서 관찰된다. 이러한 특징은 균류와 동물계가 유전적으로 가깝다는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며, 동물, 균류, 깃편모충 등을 포함하는 오피스토콘타라는 분류군으로 묶는 근거가 된다.

한편, 과거에 호상균류와 함께 편모균류 또는 조균류로 묶였던 물곰팡이(난균) 등은 현재 균계가 아닌 스트라메노파일 계통으로 분류된다.

4. 형태

호상균류(Chytridiomycota)는 편모를 가진 세포(유주자 또는 배우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류이다. 유주자나 배우자의 뒤쪽 끝에는 1개의 채찍꼴 편모가 달려 있다. 균사체는 일반적으로 격벽이 없는 다핵(多核) 상태이다.

'''호상균(키트리드)의 모식도'''
# 지질 소포

# 소포

# 미토콘드리아 (ATP 생성)

# 소포체 (분자 수송 네트워크)

# 밀집 과립층(리보솜)

#

# 해면층(소포)

# 룸포좀

# 미소체

# 미세소관 원뿔

# 편모가 아닌 기저체(중심립)

# 편모 기저체(중심체)

# 골지체 (단백질 변형 및 세포 밖 분비)

# 편모]]

균체의 구조는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진 것이 많다. 어떤 종류는 단세포생물에 세포 내 기생하며 살아가고, 어떤 종류는 세포체가 기질 표면에 부착한 채 기질 속으로 약간의 균사와 비슷한 구조를 뻗기도 한다. 여러 개의 세포체가 연결된 구조로 발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등 균류에서 볼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균사는 형성하지 않는다.

단세포 형태인 경우에는 세포 내용물 전체가 유주자배우자를 만드는 생식 기관(유주자낭 또는 배우자낭)으로 변하며, 균사상 구조를 가진 경우에는 세포체 부분만이 생식 기관이 된다. 생성된 유주자는 후방에 1개의 편모를 가진다.

호상균류의 균체(탈루스, thallus)는 발달 및 생식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수한 용어로 구분하기도 한다.

  • '''전실성'''(holocarpic): 균체 전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식 기관으로 변하는 유형이다. 영양 단계와 생식 단계가 분리된다.
  • '''분실성'''(eucarpic): 균체의 일부만이 생식 기관으로 변하고, 나머지 부분은 영양 흡수 등을 담당하는 영양체(예: 뿌리균사체, 균사)로 남아있는 유형이다.
  • '''단심성'''(monocentric): 하나의 균체에 생식 기관(주로 유주자낭)이 단 하나만 형성되는 유형이다. 전실성 균류는 항상 단심성이다. 분실성 균류 중에서도 단심성인 것이 있다.
  • '''다심성'''(polycentric): 영양체(주로 뿌리균사체나 균사)가 여러 곳으로 뻗어 나가며, 여러 개의 생식 기관이 형성되는 유형이다. 분실성 균류에서만 나타난다.


예를 들어, 호상균목(Chytridiales)에는 전실성인 것, 분실성이면서 단심성인 것, 분실성이면서 다심성인 것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분실성이면서 단심성인 것은 보통 구형의 유주자낭 아래쪽에서 균사와 비슷한 구조(뿌리균사체, rhizoid)가 기질 속으로 뻗어나간 형태를 보인다.
  • 분실성이면서 다심성인 것은 여러 개의 유주자낭이 매우 가는 균사로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대부분의 다른 균류(자낭균류, 담자균류 등)에 이러한 용어를 적용한다면, 거의 모두가 분실성이면서 다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호상균류에서 균체는 반수체(단상, n)이며, 유주자무성생식을 통해 단독으로 기질 위에서 발아하여 새로운 균체를 생성한다.

5. 생활사

호상균류는 유주자나 배우자의 뒤끝에 1개의 채찍꼴 편모를 가지며, 전체가 생식기관으로 변하는 전실성(holocarpic)인 것과 영양체 일부가 생식기관으로 변하는 분실성(eucarpic)인 것이 있다. 균사체는 일반적으로 격벽이 없는 다핵 균사체이다.

== 번식 ==

호상균류는 주로 무성 생식을 통해 번식하며, 일부 종에서는 유성 생식도 관찰된다.

=== 무성 생식 ===

무성 생식은 유주자를 통해 이루어진다.[14] 유주자는 핵분열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성숙하면 포자낭에서 방출된다. 방출된 유주자는 화학주성이나 광주성을 이용해 성장에 적합한 기질을 찾아 이동한다. 기질에 도달하면 낭포화하여 발아하고, 효소를 분비하여 기질을 분해하며 영양분을 흡수하여 새로운 탈리를 형성한다. 탈리는 다핵체이며 일반적으로 진정한 균사체를 형성하지 않고, 대신 균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성장한 탈리에서 유주자를 방출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뚜껑형(operculate) 방출은 포자낭의 일부가 뚜껑처럼 열리면서 유주자가 나오는 방식이고, 무뚜껑형(inoperculate) 방출은 뚜껑 구조 없이 기공, 틈, 돌기 등을 통해 유주자가 나오는 방식이다.

=== 유성 생식 ===

호상균류 대부분의 종에서는 유성 생식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부 종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유성 생식이 일어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접합자는 휴지포자를 형성하여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생존하는 수단으로 삼는다. 유성 생식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화 과정을 보여준다.


  • '''동형 배우자 접합''': 크기와 형태가 같은 배우자 간의 접합이다. 식물 병원체인 ''싱키트리움속(Synchytrium)''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이형 배우자 접합''': 크기나 형태가 다른 배우자 간의 접합이다.
  • '''난형 배우자 접합''': 운동성이 있는 수컷 배우자(정자)가 운동성이 없는 큰 암컷 배우자(난자)와 접합하는 방식이다. 일부 조류 기생체에서 나타나며, 특히 단핵균류(Monoblepharidomycetes)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단핵균류는 난자를 만드는 난자낭(oogonia)과 수컷 배우자를 만드는 장정기(antheridia)를 형성한다. 수정 후 생성된 접합자는 낭포화되거나 운동성 있는 난포자(oospore)가 되며, 최종적으로 휴지포자를 형성하여 이후 발아하여 새로운 유주자낭을 만든다. 이는 균계에서 난형 배우자 접합이 처음 나타나는 사례로 여겨진다.
  • '''기타 방식''': 두 탈리가 관을 통해 연결되어 배우자가 만나 융합하거나, 서로 다른 균주의 균사체(rhizoid)가 만나 융합하는 방식도 있다. 후자의 경우, 두 핵이 유주자낭으로 이동하여 융합하고, 생성된 접합자는 휴지포자로 발달한다.[4]


== 성장 패턴 ==

호상균류는 다양한 성장 패턴을 보인다.

  • '''전형성(holocarpic)''': 영양체 전체가 하나의 포자낭으로 변하여 유주자만 생성한다.
  • '''진형성(eucarpic)''': 영양체의 일부만 생식기관(유주자낭)으로 변하고, 나머지 부분은 균사와 같은 영양 구조를 유지한다.
  • '''단심성(monocentric)''': 하나의 유주자가 발아하여 하나의 유주자낭을 형성한다.
  • '''다심성(polycentric)''': 하나의 유주자가 발아하여 여러 개의 유주자낭을 형성하며, 이들은 뿌리 모양의 균사체(rhizomycelium)로 연결된다. 뿌리균사체에는 핵이 존재할 수 있다.


6. 서식지

호상균류(키트리드)는 주로 수생 균류로 알려져 있지만, 토양 입자 주변의 모세관 네트워크에서 번성하는 종들은 육상 서식종으로 간주된다.[34][35] 이들은 이탄, 습지, , 연못, 샘, 도랑 등 다양한 수생 환경뿐만 아니라, 산성 토양, 알칼리성 토양, 온대림 토양, 열대우림 토양, 북극남극 토양과 같은 육상 환경에서도 발견된다.[34][35]

과거에는 호상균류가 주로 가을, 겨울, 봄에 활동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35]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여름철 호수에서도 진핵생물 군집의 활발하고 다양한 구성원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8][38]

호상균류가 번성하는 예상치 못한 육상 환경 중 하나는 주빙하 토양이다.[19][39] 이러한 동토 지역은 식물 생명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주빙하 토양의 풍부한 수분과 수목한계선 아래에서 불어오는 꽃가루 덕분에 호상균류 개체군이 유지될 수 있다.[19] 유주자는 장거리 분산 수단이라기보다는 적합한 기질을 찾기 위해 소량의 물을 탐색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15]

7. 생태적 역할





호상균류가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생태적 기능 중 하나는 분해이다. 이들은 널리 분포하는 전 세계적인 유기체로서 화분, 셀룰로스, 키틴, 케라틴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를 담당한다. 뿌리 모양의 구조인 균사를 화분 알갱이에 부착하여 화분에서 생장하고 서식하는 호상균류도 있다.[29] 이는 주로 무성생식 중에 일어나는데, 화분에 부착된 유주자는 계속해서 번식하여 다른 화분 알갱이에 부착하여 영양분을 얻는 새로운 호상균류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분의 균사체 형성은 봄철에 수중에 나무와 식물에서 떨어지는 화분이 축적될 때 발생한다.

호상균류는 기생체로서 다른 생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주로 조류와 다른 진핵생물원핵생물 미생물을 감염시킨다. 감염이 심각할 경우 호수 내 1차 생산을 조절할 수 있으며,[27] 호수와 연못의 먹이 그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8] 또한, 식물 종도 감염시킬 수 있는데, 특히 ''감자 사마귀병균''은 중요한 감자 병원균이다.

호상균류의 일종인 바트라코키트리움 덴드로바티디스(''B. dendrobatidis'')는 양서류 질병인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의 원인균이다. 1998년 오스트레일리아파나마에서 처음 보고된 이 질병은 감염된 양서류의 대량 폐사를 유발하며, 전 세계적인 양서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 균은 고유 서식지인 탄자니아에서 키한시 분무 개구리 개체수를 급감시킨 원인으로 밝혀졌으며,[22] 1989년 황금개구리의 멸종에도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는 1981년 야생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남부 위부 육아 개구리[23]와 1985년 3월 야생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북부 위부 육아 개구리의[24] 추정 멸종 원인과도 연관되어 있다. 개구리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은 호상균류가 복제되는 동안 표피 세포에 생성된 구멍을 통해 필수 이온이 손실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2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금 농도를 약간 높이면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개구리 종에서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를 치료할 수 있음이 밝혀졌으나,[26]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모든 양서류가 이 균에 취약한 것은 아니며 내성을 가진 종도 다수 존재한다. 일본의 경우, 이 균으로 인한 큰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일부 기생성 호상균류는 다른 방식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 모기유충균(Coelomomyces)은 모기 유충에 기생하므로, 모기 방제에 활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8. 인간과의 관계

모기유충균과 같은 일부 호상균류는 모기 방제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호상균류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양서류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경우이다. 키트리드균의 일종인 바트라코키트리움 덴드로바티디스는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라는 감염병의 원인균이다. 이 질병은 1998년 오스트레일리아파나마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전 세계적인 양서류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는 여러 양서류 종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해왔다. 탄자니아 고유종인 키한시 분무 개구리는 이 균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했으며,[22] 1989년 황금개구리의 멸종에도 이 균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981년과 1985년에 각각 야생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남부 위부 육아 개구리와[23] 북부 위부 육아 개구리의[24] 멸종 추정 원인으로도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가 지목된다. 감염된 양서류는 피부 세포에 구멍이 생겨 필수 이온이 빠져나가면서 죽음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25]

최근 연구에서는 소금 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개구리 종에서 키트리디오마이코시스를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나,[26] 아직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모든 양서류가 이 균에 감염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종은 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이 균으로 인한 큰 피해가 보고되지 않았다.

이 외에도 일부 기생성 호상균은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작용하기도 한다.

9. 화석 기록

가장 오래된 화석 기록은 스코틀랜드의 라이니 처트에서 발견된다. 이곳은 데본기 시대의 라거슈타테로, 식물과 균류의 해부학적 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다. 미세 화석 중에는 리니오피타에 기생하는 형태로 보존된 키트리드류가 있으며, 이는 현생 속인 ''알로마이세스''와 매우 유사하다.[30] 프랑스 중부 콤브르의 셰일에서는 후기 비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홀로카픽 키트리드류의 잔해가 발견되었다. 이 잔해는 유카픽 잔해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정확한 분류는 모호하지만 키트리드류로 여겨진다.[31] 또한, 프랑스 생테티엔 분지의 상부 펜실베이니아기 셰일에서도 키트리드류와 유사한 화석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약 3억~3억 5천만 년 전(Ma)의 것이다.[32]

참조

[1] 논문 The Fungi: 1,2,3 … million species?
[2] 논문 ''Batrachochytirum dendrobatidis'' gen. et sp. nov., a chytrid pathogenic to amphibians
[3] 논문 Thallus development and the systematics of Chytridiomycota: an additional developmental pattern represented by Podochytrium
[4] 서적 Introductory Mycology John Wiley & Sons
[5] 서적 The Fungi: An advanced treatise Academic Press
[6] 논문 The phylogeny of the Hyphochytriomycota as deduced from ribosomal RNA sequences of ''Hyphochytrium catenoides'' 1995-07-01
[7] 웹사이트 Chytrid fungi online – an NSF / PEET project website https://nsfpeet.as.u[...] University of Alabama 2022-04-16
[8] 서적 The Mycota http://www.nhbs.com/[...] Springer
[9] 논문 A new genus and family for the misclassified chytrid, ''Rhizophlyctis harderi'' https://www.research[...] 2016-08-23
[10] 논문 Cytology and molecular phylogenetics of Monoblepharidomycetes provide evidence for multiple independent origins of the hyphal habit in the Fungi
[11] 서적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Fungi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01-10
[12]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flagellated fungi (''Chytridiomycota'') and description of a new phylum (''Blastocladiomycota'')
[13] 웹사이트 Item no. 42 http://www.indexfung[...]
[14] 논문 A higher-level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Fungi
[15] 서적 Water, Fungi, and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논문 Rhizophlyctidales – a new order in Chytridiomycota
[17] 논문 Phylogeny of Powellomycetacea fam. nov. and description of ''Geranomyces variabilis'' gen. et comb. nov
[18] 논문 Temporal variation of the small eukaryotic community in two freshwater lakes: Emphasis on zoosporic fungi
[19] 논문 Evidence that chytrids dominate fungal communities in high-elevation soils
[20] 논문 Chytrids dominate arctic marine fungal communities
[21] 논문 Chytrid fungi distribution and co-occurrence with diatoms correlate with sea ice melt in the Arctic Ocean
[22] 뉴스 Saving tiny toads without a home https://www.nytimes.[...] 2010-02-01
[23] 보고서 ''Rheobatrachus silus'' species http://www.environme[...] Government of Australia
[24] 보고서 ''Rheobatrachus eungellensis'' species http://www.environme[...] Government of Australia
[25] 논문 Electrolyte depletion and osmotic imbalance in amphibians with chytridiomycosis
[26] 뉴스 A salty cure for a deadly frog disease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8-02-05
[27] 논문 Host parasite interactions between freshwater phytolankton and chytrid fungi (chytridiomycota)
[28] 논문 The ecology of chytrids in aquatic ecosystems: roles in food web dynamics
[29] 웹사이트 The Chytridiomycota http://website.nbm-m[...] 2013-10-28
[30] 논문 ''Allomyces'' in the Devonian
[31] 논문 Microfungi from the upper Visean (Mississippian) of central France: Chytridiomycota and chytrid-like remains of uncertain affinity
[32] 논문 Chytrid-like microfungi in Biscalitheca cf. musata (Zygopteridales) from the Upper Pennsylvanian Grand-Croix cherts (Saint-Etienne Basin, France)
[33] 서적 Tom Clancy's Splinter Cell: Fallout https://archive.org/[...] Penguin Group
[34] 서적 Phylum Chytridiomycota Jones & Barlett
[35] 서적 Aquatic Phycomyet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6] 논문 Rhizophlyctidales--a new order in Chytridiomycota 2008
[37] 논문 Phylogeny of Powellomycetacea fam. Nov. and description of Geranomyces variabilis gen. et comb. nov 2011
[38] 논문 Temporal variation of the small eukaryotic community in two freshwater lakes: emphasis on zoosporic fungi 2012
[39] 웹사이트 Evidence that chytrids dominate fungal communities in high-elevation soils http://www.pnas.org/[...] 2013-10-28
[40] 문서 和名は国立科博(2008)p.96による 국립과학박물관 2008
[41] 논문 A higher level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Fungi 2007-03
[42] 논문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