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산대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산대첩은 1376년 고려 우왕 2년에 최영이 이끈 고려군이 왜구를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다. 1376년 7월 왜구가 전라도 일대를 침략하여 약탈을 자행하자, 최영은 홍산으로 출격하여 왜구를 격퇴했다. 이 전투로 왜구는 금강 연안 진출에 실패하고 고려군은 방어 능력을 강화했으며, 최영의 용맹함은 왜구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 홍산 전투의 승리는 왜구의 세력을 위축시키고 동아시아 혼란기를 마무리하는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현재 홍산면에서는 매년 홍산대첩문화제를 개최하여 최영과 고려군의 넋을 기리고 있다.
왜구는 노약자를 배에 태우고 장차 돌아가려는 척하다가 몰래 정예 수백 명을 보내어 깊숙이 쳐들어가 노략질을 벌였다. 왜구가 가는 곳마다 고려군은 바라보기만 하고 감히 막는 자가 없었고, 홍산에 이르자 사람들을 크게 죽이거나 잡아가는 등 기세가 매우 강성하였다.
1376년 7월, 최영이 이끄는 고려군은 홍산에 도착하여 왜구와 전투를 벌였다. 여러 장수들이 왜구를 두려워하여 진격하지 못하는 가운데, 최영은 직접 사졸들을 이끌고 선봉에 서서 정예병과 함께 돌격했다. 풀 속에 숨어 있던 왜구의 활에 입술을 맞았으나, 화살을 뽑고 피를 흘리면서 싸워 적을 몰아냈다.[1]
2. 발단
2. 1. 왜구의 침입
1376년 7월, 왜구가 20여 척의 함선을 이끌고 전라도 원수의 군영을 공격했다. 이들은 영산에서 고려군의 전함을 불태우고 나주까지 진출하여 약탈을 자행했다. 당시 이 지역 방어를 책임져야 할 전라도원수 겸 도안무사 하을지는 탄핵으로 류영으로 교체된 상황이었다. 그러나 류영이 부임하여 인수인계를 받기도 전에 하을지는 자신의 농장이 있는 진주로 떠나버렸고, 이로 인해 지휘 공백이 발생한 상태에서 왜구의 침입이 벌어진 것이다. (하을지는 이 일로 장형을 받고 하동에 유배되었다.)
왜구는 익산 산북천 주변인 낭산현·풍제현(豊堤縣,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에도 출몰했다. 이때 전라도원수 류영과 전주목사 류실이 분전하여 왜구가 약탈한 소와 말 200여 마리를 빼앗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기도 했다. 한편, 개경에서는 교동현 주민들을 개경 가까운 곳으로 이동시켜 왜구의 침입에 대비했다. 또한 "왜구가 장차 도성을 침범할 것", "적장이 먼저 송악산에 올랐다"는 소문이 퍼지자, 한밤중에 군사를 동원하여 성을 지키게 하거나 승려를 징발하여 요해처를 방어하게 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2. 2. 고려의 방어 태세
우왕 2년(1376년) 7월 왜구가 20여 척의 함선으로 전라원수의 군영을 공격했고, 영산에서 고려군의 전함을 불태우고 나주로 이동해 약탈을 자행하였다. 이 무렵 이 지역을 방어해야 할 전라도원수 겸 도안무사 하을지는 탄핵으로 류영으로 교체되었는데, 류영이 와서 인수인계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그대로 자신의 농장이 있는 진주로 가 버려 지휘 공백이 생긴 상태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부여군을 거쳐 공주까지 온 왜구에 맞서 공주 목사 김사혁은 정현(鼎峴)에서 왜구를 막아 싸웠으나 패배하였고, 양광도원수 박인계가 왜구를 막으러 나섰으나 연산의 개태사에서 전투 도중에 말에서 떨어져 전사했다. 공주와 개태사는 모두 왜구에 의해 불탔다.
박인계의 전사 소식이 전해지자 판삼사사 최영이 자신이 나서서 왜구를 토벌하겠다고 우왕에게 허락을 구했다. 당시 최영의 나이는 예순이었고, 우왕이나 조정의 신료들은 최영의 고령을 이유로 허락하지 않으려 했지만 최영은 거듭 요청했고, 우왕의 허락이 떨어지자마자 그대로 잠 한숨 자지 않고 출정했다.
3. 전개
우왕은 최영이 박승길(朴承吉)을 통해 전한 승전보에 크게 기뻐하며 박승길에게 백금을 하사하고, 석문성(石文成) 등을 보내 최영에게 옷과 술, 안장을 얹은 말을 내렸으며, 어백평(魚伯評)을 보내 치료하게 했다.
1377년, 왜구에게 잡혀 갔다가 도망쳐 온 소년은 왜구들이 "두려워할 자는 센머리 최 만호(萬戶) 뿐이다. 홍산 싸움에서 최 만호가 오니 사졸이 다투어 말을 타고 유린하는 것이 몹시 두려웠다"라고 이야기했다고 진술했다.
3. 1. 고려군의 진격
1376년 7월, 최영을 총사령관으로, 최공철을 양광도도순문사, 강영(康永)을 조전원수(助戰元帥), 박수년(朴壽年)을 병마사(兵馬使)로 하는 고려군이 홍산에 도착했다.
왜구를 보고 여러 장수들이 두려워하며 진격하지 못하는 가운데, 최영은 직접 선봉에 서서 정예병을 이끌고 돌격했다. 전투 중 최영은 풀 속에 숨어 있던 왜구의 활에 입술을 맞았으나, 화살을 뽑고 피를 흘리면서 싸워 적을 몰아냈다.[1]
3. 2. 최영의 활약
총사령관 최영은 직접 사졸들의 선봉에 서서 정예병을 이끌고 왜구와 전투를 벌였다. 풀 속에 숨어 있던 왜구 한 명이 활을 쏘아 최영의 입술에 맞혔다. 최영은 입술에 맞은 화살을 뽑아내고 피를 흘려가면서 싸워 적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1]
최영이 판사 박승길(朴承吉)을 보내 승리를 보고하자 우왕은 기뻐하며 소식을 전한 박승길에게 백금을 주고, 삼사우사 석문성(石文成) 등을 보내 최영에게 옷과 술, 안장을 얹은 말을 하사했으며, 의원 어백평(魚伯評)을 보내 최영을 치료하게 했다.
3. 3. 홍산 대첩의 전장에 대하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최영이 이끄는 고려군과 왜구가 맞붙은 홍산 전투의 전장이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고 길 하나만이 겨우 통하는' 험준한 곳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 그러나 이 기록만으로는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다.
현재 홍산 전투의 전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에 있는 태봉산성이지만, 태봉산성이 실제 전장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태봉산성 비정설에 대해서는 문헌 및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으며, 《고려사》의 기록에 더 부합하는 지형으로 비홍산 일대가 제시되기도 한다.
3. 3. 1. 태봉산성 비정설
《고려사》에는 최영이 홍산에 이르렀을 때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고 길 하나만이 겨우 통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절요》에는 "왜(倭)가 먼저 험준한 곳을 차지하여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고 길 하나만이 겨우 통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험준한 곳을 차지한 주체가 최영인지 왜구인지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2]
이에 대해서는 '여러 장수들이 겁을 내고 진격하지 못하였다'라는 서술을 볼 때, 《고려사》보다 《고려사절요》의 기록대로 험준한 곳을 차지한 주체는 왜구였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해석이 있다.[3] 왜구가 최영보다 먼저 홍산에 도착하여 노략질을 하고 있었고, 방어에 유리한 '험준한 곳'을 최영이 굳이 버리고 공격할 필요가 없었다는 점, 최영과 함께 돌격한 병사들이 기병이었다는 점은 왜구가 험준한 곳을 차지했을 가능성을 높인다.[4]
홍산 전투의 전장으로 비정되는 곳은 현재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산12번지에 있는 태봉산성(북촌리산성)이다. 태봉산성은 태봉산(160m)에서 남쪽으로 이어진 능선 끝자락, 해발 90m 봉우리에 있는 테뫼식 산성으로, 둘레는 440m이다. 2000년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68호로 지정되었다.[5] 태봉산성의 지형은 《고려사》의 기록처럼 삼면이 절벽에 가까운 경사를 이루고 정상까지 자동차 한 대가 겨우 올라갈 폭의 길만 있으며, 정상에서는 주변 지형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이는 왜구가 진을 치고 있었던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고 길 하나만이 겨우 통하였다'라는 지형과 일치한다.[6]
1977년부터 문화공보부는 '국난극복사를 통하여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갖는 호국전적지와 유비무환의 민족적 결의가 담겨져 있는 중요 국방사적지를 역사교육도장으로 정화한다'라는 목표 아래 문화재 보수 3개년 사업을 시행하였다.[7] 국가가 호국 유적을 중점 보수하여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함양하고 민족적 긍지를 높이려는 의도가 있었다.[8] 이 사업의 일환으로 태봉산성 정상에 홍산대첩비가 세워지고 성내 지역이 산성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이후 1980년대 이후의 《부여군지》와 《충청남도지》 등의 관찬 사서에서 태봉산 정상에 홍산대첩비가 세워져 있음을 언급하거나 태봉산이 홍산 전투의 전장으로 전해지고 있다는 서술이 등장한다.[9]
그러나 태봉산성이 홍산 전투의 전장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반론도 있다.
《고려사》 기록과 비교해도 태봉산성이 정상 가까이에 있고 경사가 있는 편이지만, '절벽'이라고 표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산성 서측은 가파르지만 동측 능선은 완만하고, 절벽이라고 할 만한 곳은 서남쪽 한 군데뿐이며, 봉우리 서남쪽에서 태봉산성으로 들어가는 포장도로가 《고려사》에 언급된 '유일한 길'이라고 보기 어렵다.[12]
이러한 점들을 근거로, 기존 학설처럼 홍산 비봉산성을 홍산 전투의 전장으로 보기는 어렵고,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고 길 하나만이 겨우 통하였다'라는 기록에 부합하는 방어 효과가 높은 지역은 비홍산 일대라는 견해도 있다.[13] 비홍산 동남쪽에는 고려 중기 이후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홍양리 5층 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과 고려 시대 기와 및 청자 파편이 수습되는 절터가 확인되고,[14] 고려 홍산현의 옛 읍성으로 비정되는 남촌리성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15]
3. 3. 2. 비홍산 일대 비정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기록에 따르면, 홍산 전투 당시 왜구가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고 길 하나만이 겨우 통하였다'는 험준한 곳을 선점하였다고 한다.[2][3] 이러한 지형적 조건에 부합하는 곳으로 비홍산 일대가 거론된다. 비홍산은 관내에서도 가장 험한 지형으로, 방어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13]
비홍산 동남쪽에는 고려 중기 이후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홍양리 5층 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과 고려 시대 기와 및 청자 파편이 수습되는 절터가 확인된다.[14] 또한, 고려 홍산현의 옛 읍성으로 비정되는 남촌리성(南村里城)도 멀지 않은 곳에 있어,[15] 비홍산 일대가 군사적 요충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기존에 홍산대첩의 전장으로 알려졌던 태봉산성은, 문헌적 근거와 고고학적 발굴 결과에서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발견되어, 실제 전장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0][11][12]
4. 전후
홍산대첩 이후, 고려 조정에서는 승전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졌으나, 이 과정에서 이인임, 지윤 등이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도 포상을 받는 등 권력 남용 문제가 있었다.[16] 한편, 이색의 문집에는 1379년 최영 휘하 인물이 홍산 전투를 그린 그림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으며,[17] 이후 진포 해전, 황산대첩이 일어났다. 정몽주는 시에서 홍산 전투를 최영의 주요 공적 중 하나로 칭송했다.[18]
4. 1. 개선과 포상
8월에 최영이 개선하자 우왕은 재추들에게 天水寺중국어에서 연회를 마련하게 하고, 순위부(巡衛府)에서 여러 가지 놀이를 갖추게 한 다음, 우왕 자신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임진강에서 최영을 맞이했는데, 마치 황제의 사신을 맞이하는 듯 했다고 한다.9월에 홍산대첩의 공을 논해 최영은 시중이 되었으나, “시중이 되면 바깥으로 함부로 나가지 못할 텐데 왜구가 모두 평정되고 나면 받겠습니다.”라며 사양했고, 이에 철성부원군(鐵原府院君)으로 봉하였다. 최영의 처조카로써 낭산, 풍제에서 공을 세운 전라도원수 류영에게도 밀직부사상의(密直副使商議) 관직을 주었다. 《고려사》에서는 최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한 것이었고, 최영도 굳이 막지 않았다고 서술하고 있다.
《고려사절요》에는 정방제조(政房提調)로 있던 이인임과 지윤이 권력을 마음대로 행사하여 종군도 하지 않았으면서도 포상을 받은 자가 많았으며, 같은 정방제조로 있던 경복흥도 이를 막을 수 없었다고 적고 있다.[16]
4. 2. 왜구의 동향
홍산대첩 이후에도 왜구의 침입은 계속되었다. 홍산 전투 3년 뒤인 우왕 5년(1379년) 4월 을축일에 최영의 휘하 가운데 누군가가 홍산에서의 전투 장면을 그린 홍산파진도(鴻山破陣圖)를 바쳤다. 그리고 이듬해에 진포 해전, 나아가 황산대첩이 벌어졌다. 정몽주는 최영이 공민왕 14년(1365년) 신돈의 참소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하여 지은 시에서 "달천에서 의를 일으켜 사기를 진작하고/'''홍야에서 공을 이루어 민생을 회복했네'''"(擧義㺚川增士氣 成功鴻野更人煙)[18]라고 하여, 홍산 전투를 장사성의 난 진압 참전이나 홍건적의 난 진압, 최유의 난 평정과 함께 최영의 대표적인 전공으로 꼽았다.5. 평가
홍산 전투는 고려군이 왜구를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지만, '대첩'이라는 칭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관련 문헌에는 전투 결과가 '크게 깨뜨렸다'(大破) 또는 '크게 패배시켰다'(大敗) 등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정확한 전과는 명확하지 않다.[19] 다른 '대첩'으로 불리는 전투들과 비교했을 때, 고려군과 왜구 양측의 병력 규모 및 고려군이 거둔 전과에 대한 기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20]
최영은 개선 후 우왕이 왜구의 숫자를 묻자 "얼마 되지 않았다"고 답했고, 재상들이 다시 물었을 때도 같은 대답을 하며 "적이 많았다면 이 늙은이가 살아 올 수 있었겠느냐"고 덧붙였다.[22]
홍산 전투 이후에도 왜구의 공격은 계속되었다. 우왕 2년(1376년) 9월, 왜구는 고부, 태산, 흥덕 등지를 약탈하고, 전주까지 함락시켰다. 귀신사에서 고려군의 반격으로 물러나기도 했지만, 다시 임파현을 함락시키는 등 왜구의 공격은 계속되었다.[23]
홍산 태봉산성을 답사한 이영 교수 등은 지형적인 여건을 볼 때 대규모 전투가 벌어지기 어려운 곳이라고 지적했다. 정상의 넓이가 150평 남짓으로 좁아 대규모 병력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28]
그러나 홍산대첩은 단순한 승리를 넘어 왜구에게 최영에 대한 공포를 심어주고, 고려의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29] 군사적으로는 금강 연안 내륙으로 진출하려는 왜구의 기도를 저지하고, 양광도 지역 왜구의 세력을 크게 위축시켰다.[30]
홍산대첩 이전까지 고려는 왜구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홍산대첩은 왜구의 대규모 병력을 궤멸시켜 동아시아 혼란기의 마무리를 장식한 전환점을 가져다주었다.[36]
홍산대첩은 단기적으로 왜구의 공격에 변화를 가져왔고, 장기적으로 왜구의 세력이 약해지는 기점이 되었다. 황산대첩까지 왜구의 침입은 계속되었지만, 대함대를 동원했던 정규군 수준의 왜구는 지방 호족 수준으로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최영은 홍산대첩에서 61세의 나이에도 선두에서 전투를 지휘하며 화살에 입술을 맞았음에도, 그 화살로 자신을 쏜 왜구를 쏴 죽이는 용맹함을 보였다. 이는 고려군의 사기를 높이고 왜구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36] 이듬해 왜구에게 잡혀갔다 도망쳐 온 아이가 “고려에서 두려워할 것은 머리가 허옇게 센 최 만호”라고 말한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37]
《고려사》에는 홍산대첩 이듬해인 1377년 강화도로 쳐들어온 왜구가 양광도를 공격한 기록이 있다. 이때 잡힌 왜구 포로는 강화도 왜구가 양광도를 친 이유를 “양광도를 쳐서 최영을 양광도로 끌어내고, 그 사이에 비어있는 개경을 급습하기 위해서”였다고 진술했다.[38] 이는 최영이 왜구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며, 그 계기가 바로 홍산대첩이었다.
5. 1. '대첩' 논란
홍산 전투는 최영이 이끈 고려군이 왜구를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지만, '대첩'이라는 칭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첩'으로 불릴 만한 큰 승리였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들이 존재한다.[19]관련 문헌에는 홍산 전투의 결과에 대해 '크게 깨뜨렸다'(大破) 또는 '크게 패배시켰다'(大敗) 등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정확한 전과는 명확하지 않다. 다른 '대첩'으로 언급되는 전투들과 비교했을 때, 홍산 전투는 고려군과 왜구 양측의 병력 규모, 그리고 고려군이 거둔 전과에 대한 기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20] 예를 들어, 최영이 홍산에서 격퇴한 왜구의 규모에 대해서는 '사로잡거나 베어서 거의 다 없애버렸다(俘斬殆盡)'라는 기록만 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21]
최영은 개선 후 우왕이 왜구의 숫자를 물었을 때 "얼마 되지 않았다"고 답했고, 재상들이 다시 물었을 때도 같은 대답을 하며 "적이 많았다면 이 늙은이가 살아 올 수 있었겠느냐"고 덧붙였다.[22]
홍산 전투 이후에도 왜구의 공격은 계속되었다. 우왕 2년(1376년) 9월, 왜구는 3백여 기로 고부, 태산, 흥덕 등지를 약탈하고, 보안현, 인의현, 김제현, 장성현 등을 거쳐 전주까지 함락시켰다. 귀신사에서 고려군의 반격으로 물러나기도 했지만, 다시 임파현을 함락시키는 등 왜구의 공격은 계속되었다. 고려군은 추가 병력을 투입했으나 패배했고, 전라도원수 류영은 탄핵으로 파직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홍산 전투 이후 양광도 지역의 왜구 활동이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지만, 전라도 서북부 지역은 오히려 더 큰 피해를 입었음을 보여준다.[23] 또한, 10월에는 왜구가 다시 부령, 진포, 강화, 한주 등 서해안 금강 유역으로 침입해 왔다.[24]
《고려사》 최영전에는 왜구가 노약자를 배에 태워 돌아가는 척하면서 '정예' 수백 명을 보내 약탈을 벌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왜구는 금강 유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약탈을 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홍산에 침입한 왜구가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활동한 '정예 별동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5] 홍산 전투 두 달 뒤 고부, 태인 등을 침입한 왜구의 규모가 3백여 기였던 점을[26] 고려하면, 홍산의 왜구도 비슷한 규모였을 것으로 추측된다.[27]
홍산 태봉산성을 답사한 이영 교수 등은 지형적인 여건을 볼 때 대규모 전투가 벌어지기 어려운 곳이라고 지적했다. 정상의 넓이가 150평 남짓으로 좁아 대규모 병력을 수용하기 어렵고, 삼면이 절벽에 가까운 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상으로 가는 길도 좁고 꼬여 있다는 것이다. 이영 교수는 고려군의 공격에 밀린 왜구들이 태봉산 줄기를 타고 해안 쪽으로 퇴각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28]
5. 2. 역사적 의의
홍산대첩은 단순한 승리를 넘어 왜구에게 최영에 대한 공포를 심어주고, 고려의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29] 군사적으로는 금강 연안 내륙으로 진출하려는 왜구의 기도를 저지하고, 양광도 지역 왜구의 세력을 크게 위축시켰다.[30] 또한 적의 사기를 꺾고 아군의 자신감을 회복시켜 ‘대첩’으로 평가받을 만하다.[31]홍산대첩 이전까지 고려는 왜구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지방 병력이 힘겹게 버티다가 정규군이 뒤늦게 도착하여 간신히 막아내는 수준이었다. 육지에 상륙한 왜구는 내륙의 왜구와 연계하여 규모가 커졌고, 개태사에서 박인계의 고려군이 대패할 정도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홍산대첩은 왜구의 대규모 병력을 궤멸시켜 동아시아 혼란기의 마무리를 장식한 전환점을 가져다주었다.[36]
홍산대첩은 단기적으로 왜구의 공격에 변화를 가져왔고, 장기적으로 왜구의 세력이 약해지는 기점이 되었다. 황산대첩까지 왜구의 침입은 계속되었지만, 대함대를 동원했던 정규군 수준의 왜구는 지방 호족 수준으로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 경향을 반영하여 한국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32]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33], 한국 육군본부 군사연구소의 《한국군사사》에서도 홍산대첩으로 표기되었다.[34]
임형수는 홍산대첩 이후 전투에 유리하게 작용했다거나 고려군이 자신감을 회복했다는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며, 동원 병력 규모나 전과가 불분명하고 추후 전황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며 ‘대첩’으로 평가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군사적 측면에서 양광도 지역의 왜구를 일시적으로 몰아내고, 개경까지 위협받는 상황에서 최영의 승전과 개선식은 백성들의 동요를 막는 정치적 선전 효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35]
홍산대첩 이전 최영의 주요 전과는 1357년 왜구 격퇴 (공민왕 7년) 정도였고, 1364년에는 왜구에게 세조의 어진을 뺏기며 좌천되기도 했다. 주로 북쪽의 홍건적, 최유의 난, 덕흥군을 따른 원나라군, 제주도의 원나라 목호들을 상대했다.
홍산대첩은 왜구에게 최영의 존재를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61세였던 최영은 선두에서 전투를 지휘하며 화살에 입술을 맞았음에도, 그 화살로 자신을 쏜 왜구를 쏴 죽이는 용맹함을 보였다. 이는 고려군의 사기를 높이고 왜구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36] 이듬해 왜구에게 잡혀갔다 도망쳐 온 아이가 “고려에서 두려워할 것은 머리가 허옇게 센 최 만호”라고 말한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37]
《고려사》에는 홍산대첩 이듬해인 1377년(우왕 3년) 강화도로 쳐들어온 왜구가 양광도를 공격한 기록이 있다. 박승직이 왕안덕, 인해, 홍인규 등 세 원수가 온다는 소식에 출병했다가 왜구에게 기습당해 패배했다. 이때 왜구는 고려인으로 변장하여 “왜구는 이미 물러갔고 원수들이 쫓고 있다”고 거짓 정보를 흘렸다.
왕안덕 등도 패배하며 수원, 양성, 안성 부근은 폐허가 되었다. 이때 잡힌 왜구 포로는 강화도 왜구가 양광도를 친 이유를 “양광도를 쳐서 최영을 양광도로 끌어내고, 그 사이에 비어있는 개경을 급습하기 위해서”였다고 진술했다.[38] 이는 최영이 왜구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며, 그 계기가 바로 홍산대첩이었다.
6. 홍산대첩문화제
2003년부터 부여군 홍산면에서는 부여문화원 주최, 홍산대첩문화제운영위원회 주관으로 해마다 8월에 홍산대첩문화제를 개최한다. 홍산대첩문화제는 최영 장군과 고려군의 넋을 기리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홍산 전투의 현장으로 알려진 태봉산에서 개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홍산현 관아 소재지인 홍산동헌으로 장소를 옮겨 개최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고려사
[2]
서적
고려사절요
[3]
논문
홍산·진포·황산 대첩의 역사지리학적 고찰, 1376년 鴻山 전투의 의의와 戰場에 대한 재고찰
2000, 2016
[4]
논문
2016
[5]
서적
비홍산의 품자락
부여군
2008
[6]
논문
홍산·진포·황산 대첩의 역사 지리학적 고찰
2000
[7]
논문
文化財 補修 三個年 事業 推進現況(槪報)―1977년~1979년―
1980
[8]
뉴스
金陵直指寺·黃山대첩비 등 올해 안에 文化財 115件 補修, 文公部의 올해 施策방향
동아일보, 경향신문
1977-01-29, 1977-01-31
[9]
서적
扶餘郡誌, 忠淸南道誌
扶餘郡誌編纂委員會,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1987, 2006
[10]
보고서
부여 홍산 태봉산성 문화유적 시굴조사 부여남부순환도로 개설사업부지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9
[11]
논문
2016
[12]
논문
2016
[13]
논문
2016
[14]
서적
부여군
[15]
서적
부여군
[16]
서적
고려사절요
[17]
서적
목은문고, 동문선
[18]
서적
포은집
[19]
서적
고려시대사
동국문화사
1961
[20]
논문
2016
[21]
논문
2016
[22]
서적
고려사
[23]
논문
고려 말 왜구의 전북지역 침입 연구―전주를 중심으로―
2015
[24]
서적
고려사절요
[25]
논문
2016
[26]
서적
고려사
[27]
논문
2016
[28]
논문
홍산·진포·황산 대첩의 역사 지리학적 고찰
2000
[29]
논문
고려말기의 왜구
1975
[30]
서적
왜구토벌사
국방군사연구소
1993
[31]
서적
잊혀진 전쟁 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피스테메
2007
[32]
교과서
고등학교 국사(상)
교육부
1996
[33]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34]
서적
한국군사사4 고려Ⅱ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경인문화사
2012
[35]
논문
2016
[36]
논문
홍산·진포·황산 대첩의 역사 지리학적 고찰
[37]
논문
같은 논문
2016-03
[38]
간행물
고려사절요
신우1, 우왕 3년 5월 # 날짜 형식이 애매하여 그대로 남김. 추가 정보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