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진기는 일제강점기에 판사, 해방 후 이승만 정부에서 법무부 장관과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4.19 혁명 당시 발포 명령에 연루된 인물이다. 그는 이후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중앙일보 사장과 회장을 지냈으며,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홍석현은 그의 장남이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유민홀, 제주도에 유민미술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가 - 홍석현
홍석현은 중앙일보와 JTBC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경영인으로, 서울대와 스탠퍼드대에서 학위를 취득 후 세계은행 등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중앙일보 사장으로서 한국 일간지 혁신을 주도하고 주미 한국대사를 지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중앙가 - 김신석
김신석은 일제강점기 기업인이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부산상업고등학교와 와세다 대학 졸업 후 조선은행에서 근무했으며 중추원 참의와 대화동맹 가담 등 친일 행적을 보여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목되었다. - 서울무학초등학교 동문 - 김민교 (가수)
김민교는 1989년 록 밴드 옥슨89의 보컬로 강변가요제에서 금상을 수상하고, 솔로 앨범 발표와 드라마 OST 참여를 통해 가요계에서 활동하며, 현재는 성인가요 그룹 원 플러스 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서울무학초등학교 동문 - 이범학
대한민국의 가수 이범학은 1985년 록 음악 가수로 데뷔, 1991년 그룹 "이색지대" 멤버로 정식 데뷔 후 솔로로 독립하여 '이별 아닌 이별'로 큰 인기를 얻고 트로트 싱글 발매 및 배우 활동을 병행하며 가요톱텐와 여러분의 인기가요에서 골든컵을 수상하는 등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한국의 일제 부역자 - 친일파
친일파는 일본 제국주의에 부역한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이며, 대한민국, 북한, 중국 등에서 친일파 규명 및 처벌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 한국의 일제 부역자 - 김용주 (1905년)
김용주는 1905년에 태어나 1985년에 사망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를 하고 해방 후에는 기업가로 활동하며 전남방직 불하, 대한해운공사 사장,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홍진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洪璡基 |
아호 | 유민(維民) |
출생일 | 1917년 3월 1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고양군 한지면 하왕십리 |
사망일 | 1986년 7월 13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대저택 |
본관 | 남양 |
직업 | 중앙일보 회장 |
배우자 | 김윤남 |
자녀 | 장녀: 홍라희 장남: 홍석현 차남: 홍석조 |
친인척 | 사돈: 이병철 |
학력 | |
학력 | 경성제국대학 법학 학사 |
공직 정보 | |
직책 | 제9대 법무부 장관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장면 |
임기 | 1958년 2월 20일 ~ 1960년 3월 23일 |
직책2 | 제19대 내무부 장관 |
대통령2 | 이승만 |
부통령2 | 장면 |
임기2 | 1960년 3월 23일 ~ 1960년 4월 24일 |
경력 | |
주요 경력 | 제7대 법무부 차관 제9대 법무부 장관 제19대 내무부 장관 |
서훈 | |
서훈 | 대한민국 국민훈장 훈3등 동백장(大韓民國 國民勳章 勲三等 冬柏章) 대한민국 국민훈장 훈2등 모란장(大韓民國 國民勳章 勲二等 牡丹章)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중앙화동재단 |
2. 생애
홍진기는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여 1940년에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제강점기 식민지 행정 하에서 사법 시험에 합격했고, 1943년에 전주지방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
홍진기는 삼성그룹 창업자인 이병철과 제16대 대한민국 국무총리인 노신영 등 정계 및 재계의 저명인사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구분 | 내용 |
---|---|
배우자 | 김윤남 (金允楠, 1924–2012) |
장남 | 홍석현 (洪錫炫, 1942 ~ ) – 중앙일보 회장, 제20대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
장녀 | 홍라희 (洪羅喜, 1944 ~ ) – 現 리움 삼성미술관 관장 |
사위 | 이건희 (李健熙, 1942 ~ 2020) – 前 삼성그룹 회장 |
차남 | 홍석조 (洪錫肇, 1949 ~ ) – BGF리테일 회장, 제35대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
삼남 | 홍석준 (洪錫埈, 1954 ~ ) – 前 삼성SDI 부사장 |
막내아들 | 홍석규 (洪錫珪, 1957 ~ ) – 現 보광 회장 |
차녀 | 홍라영 (洪羅玲, 1959 ~ ) – 삼성문화재단 전무 |
사위 | 노철수 (盧哲秀, 1954 ~ ) – 現 아미쿠스그룹 회장, 前 국무총리 노신영의 아들 |
2. 1. 일제강점기
홍진기는 1940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그 해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9] 1942년 경성지법 사법관 시보를 시작으로 일제 때 판사 생활을 했으며, 1943년에 전주지방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일제 강점기에 전주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했던 경력 때문에 홍진기가 등재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0년 일제의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그 해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9] 1942년 경성지법 사법관 시보를 시작으로 일제 때 판사 생활을 했다.해방 이후에는 이승만 정부의 법무부 차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54년 4월부터 7월까지 제네바에서 열린 제네바 정치회의에 대한민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하였다.[10]
4.19 혁명 때 당시 군사 약 2만 명을 동원해 발포 명령을 내렸으며, 이승만 독재정권 부역 행위의 책임을 지고 공직에서 물러났다. 처음에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얼마 안 가 석방되었다.
이후 삼성 회장이자 훗날 사돈 관계를 맺게 될 이병철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1964년 중앙라디오방송주식회사 사장, 1968년 중앙일보사 대표이사 사장, 1971년 주식회사 동양방송 대표이사, 1974년 중앙일보·동양방송주식회사 사장, 1980년 중앙일보사 회장을 지냈다.
일제 강점기에 전주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했던 경력 때문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기도 했다.
홍진기 창조인상은 홍진기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상으로 중앙화동재단이 기금을 출연해 수여한다.[11][12] 1945년 8월 15일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후, 반민족행위 특별조사 위원회(반민특위)가 친일파를 숙청하고 일본 식민지 정부를 위해 일한 자들을 기소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 모든 노력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에 의해 방해받고 해산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정권을 세우기 위해 친일파에게 의존해야 했다.
이승만의 정치적 책략의 결과로, 많은 친일파뿐만 아니라 홍진기도 일본 통치 기간 동안 저지른 행적을 덮을 수 있었고, 이는 친일 관리, 군대, 경찰의 권력 강화와 복귀로 이어졌다.
2. 3. 4.19 혁명과 발포 명령
4.19 혁명 당시 홍진기는 군경 약 2만 명을 동원해 시위대에 발포 명령을 내린 혐의[9]와 제4대 대통령 선거를 조작하기 위해 부하들에게 지시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승만 독재정권 부역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공직에서 물러났으며, 처음에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이후 혁명 재판에서 홍진기가 사격을 명령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져 특별 사면으로 석방되었다.2. 4. 언론인 활동과 사망
1964년 중앙라디오방송주식회사 사장, 1968년 중앙일보사 대표이사 사장, 1971년 주식회사 동양방송 대표이사, 1974년 중앙일보·동양방송주식회사 사장을 거쳐 1980년 중앙일보사 회장을 지냈다. 1980년대부터 1986년 사망할 때까지 중앙일보를 국내 3대 주요 신문 중 하나로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1] 그의 장남 홍석현이 현재 중앙일보 회장이다.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일제 강점기에 전주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했던 경력 때문에 홍진기가 등재되었다.[12] 2005년 8월 29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전 대한민국 대통령 박정희, 전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 전 동아일보 발행인 김성수, 그리고 홍진기를 포함한 3,094명의 친일 협력자 명단을 발표했다.
3. 평가
홍진기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 인물이다. (하위 섹션의 "부정적 평가" 참조)
3. 1. 부정적 평가
1945년 8월 15일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가 친일파를 숙청하고 일본 식민지 정부를 위해 일한 자들을 기소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 모든 노력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에 의해 방해받고 해산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정권을 세우기 위해 친일파에게 의존해야 했다.[2]이승만의 정치적 책략 결과, 많은 친일파뿐만 아니라 홍진기도 일본 통치 기간 동안 저지른 행적을 덮을 수 있었고, 이는 친일 관리, 군대, 경찰의 권력 강화와 복귀로 이어졌다.[2]
1960년 3월 부정선거에 대한 민중 봉기가 격화되어 4·19 혁명으로 발전했고, 이승만은 1960년 4월 26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1960년 6월 15일, 윤보선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과 장면 (대한민국 제2대 국무총리)이 이끄는 제2공화국이 새로운 헌법에 의해 수립되었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경제 상황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결국, 무능하고 무력했던 제2공화국은 국가재건최고회의의 군사 정부에 의해 종식되었다. 군사 정권의 사주로, 4·19 혁명 당시 무력 진압과 관련된 정치범, 정치 깡패, 불법 재산 축적자 및 고위 공무원을 처벌하기 위한 혁명 재판소가 설치되었다.[4]
곽영주 대통령 경호실장(곽영주|郭永周한국어), 류충렬 서울특별시 경찰청장(류충렬|柳忠烈한국어), 백남규 서울 치안국장(백남규|白南圭한국어)과 함께 홍진기는 1960년 4.19 혁명 당시 무장하지 않은 시위대에 사격할 것을 보안대와 경찰에 지시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또한 군사 정부는 홍진기를 제4대 대통령 선거를 조작하기 위해 부하들에게 지시한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그는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형은 무기 징역으로 감형되었다. 혁명 재판 이후 홍진기가 사격을 명령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져 특별 사면으로 석방되었다.[4]
2005년 8월 29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전 대한민국 대통령 박정희, 전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 전 동아일보 발행인 김성수, 그리고 홍진기를 포함한 3,094명의 친일 협력자 명단을 발표했다.[6]
4. 상훈
국민훈장 훈3등 동백장 국민훈장 훈2등 모란장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지위 |
---|---|---|---|---|
배우자 | 김윤남 | 1924년 6월 25일 | 2013년 6월 5일 | 원불교 원정사 |
장인 | 김신석 | 1896년 9월 26일 | 1948년 9월 12일 | 일본황실 중추원 참의 |
장녀 | 홍라희 | 1945년 7월 15일 | 삼성리움 관장 | |
사위 | 이건희 | 1942년 1월 9일 | 2020년 10월 25일 | 삼성전자 회장 |
외손자 | 이재용 | 1968년 6월 23일 | 삼성그룹 제3대 총수 | |
외손녀 | 이부진 | 1970년 10월 6일 | 호텔신라 대표이사 사장 | |
외손녀 | 이서현 | 1973년 9월 20일 | 이건희 제2대 삼성 총수의 딸 | |
장남 | 홍석현 | 1949년 10월 20일 | 중앙그룹 회장 | |
손자 | 홍정도 | 1977년 11월 11일 | JTBC 사장 | |
차남 | 홍석조 | 1953년 1월 8일 | BGF그룹 회장, 고등검찰청 검사장 | |
손자 | 홍정국 | 1982년 | ||
3남 | 홍석준 | 1954년 9월 17일 | 보광창업투자 회장 | |
4남 | 홍석규 | 1956년 1월 15일 | 보광그룹 회장 | |
차녀 | 홍라영 | 1960년 1월 10일 | 삼성문화재단 상무 | |
사위 | 노철수 | 1956년 7월 27일 | 노신영 제18대 국무총리의 아들 |
홍진기 가문은 삼성그룹 창업자인 이병철과 제16대 대한민국 국무총리인 노신영 등 정계 및 재계의 저명인사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6. 명칭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는 홍진기의 호를 딴 ‘유민홀’이 있다. 제주도에는 홍진기의 호를 딴 ‘유민미술관’이 있다. 홍진기 창의 인재상은 홍진기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중앙화동재단의 기금으로 운영되고 수여된다.[1][2]
참조
[1]
웹사이트
ko:설립목적
https://www.hwadongc[...]
2024-05-07
[2]
웹사이트
ko:[알림] 제15회 '홍진기 창조인상' 주인공 찾습니다
https://www.joongang[...]
2024-05-07
[3]
웹사이트
홍진기(洪璡基)
http://encykorea.aks[...]
2022-07-18
[4]
웹사이트
[5]
웹사이트
'혼맥'을 알면 '조·중·동의 대한민국'이 보인다
https://m.pressian.c[...]
2023-10-18
[6]
서적
한일회담-제1차 회담을 회고하면서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8]
서적
한일회담-제1차 회담을 회고하면서
[9]
뉴스
‘手不釋卷’ 維民 홍진기의 일생
https://www.munhwa.c[...]
문화일보
2011-11-11
[10]
뉴스
6·25 참전국 모두 모여 만든 ‘유일한 국제공인 통일원칙’
http://shindonga.don[...]
동아일보
2011-03-05
[11]
웹인용
설립목적
https://www.hwadongc[...]
2024-04-07
[12]
웹인용
'[알림] 제15회 ‘홍진기 창조인상’ 주인공 찾습니다'
https://www.joongang[...]
2024-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