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뤄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뤄겅은 중국의 수학자이자 교육자로, 수론, 다변수 복소함수론, 행렬 이론, 응용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는 1910년 장쑤성에서 태어나 독학으로 수학을 공부했으며, 칭화 대학에서 조교, 강사, 조교수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중일 전쟁 이후 중국으로 돌아와 칭화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중국과학원 수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하며 교육 개혁과 응용 수학 보급에 힘썼다. 1985년 일본에서 강연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화뤄겅 공원이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저우시 (장쑤성) 출신 - 저우유광
    저우유광은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한어 병음 개발에 기여하고,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에도 저술 활동을 지속한 중국의 언어학자, 경제학자, 교육자이다.
  • 창저우시 (장쑤성) 출신 - 취추바이
    취추바이는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전파와 좌익 문학 운동을 이끌었으나, 상하이 쿠데타 이후 실각, 이후 좌익 문화 운동에 참여하다 국민당에 의해 처형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 중국의 수학자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 중국의 수학자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 중국과학원 원사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중국과학원 원사 - 첸쉐썬
    첸쉐썬은 중국 미사일 및 우주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불리는 과학자이자 엔지니어로, 미국에서 추방 후 중국으로 귀국하여 미사일 및 위성 개발을 주도하며 중국의 국방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톈안먼 사건 지지, 유사과학 옹호 등 논란도 있다.
화뤄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6년 화뤄겅
1956년 화뤄겅
본명화뤄겅
로마자 표기Hwa Ro-keng
한자 표기華羅庚
출생1910년 11월 12일
출생지청나라 장쑤성 진탄현
사망1985년 6월 12일
사망 장소일본 도쿄
국적중국
학문 분야
분야수학
교육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지도 학생천징룬
판청둥
왕위안
주요 업적화의 부등식(Hua's inequality)
브라우어-카르탕-화 정리(Brauer–Cartan–Hua theorem)
화의 보조정리(Hua's lemma)
화의 항등식(Hua's identity)
화의 항등식 (조르당 대수)(Hua's identity (Jordan algebra))
경력
직위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소속중국과학원
중국과학기술대학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케임브리지 대학교
칭화 대학교
정치 활동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2. 생애

화뤄겅은 1910년 11월 12일 장쑤성 진탄에서 작은 상점을 운영하는 아버지 밑에서 태어났다.[1] 중학교 시절 수학 교사의 격려로 고등 수학을 접하고 재능을 보였다.[1] 중학교 졸업 후, 상하이 소재 직업학교에 입학하여 전국 주판 경연 대회에서 우승했다.[1]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졸업 한 학기를 앞두고 학교를 중퇴하고, 1927년 고향으로 돌아와 아버지의 가게를 도왔다.[1]

1929년 장티푸스에 걸려 반년 간 병상에 누워 있었고, 이로 인해 왼쪽 다리가 부분적으로 마비되었다.[1] 중학교 졸업 후 독학으로 고등학교 및 대학 수학을 공부했다.[1] 1929년 12월, 첫 논문 "Sturm 정리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1] 1930년, 5차 방정식 해법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칭화 대학 슝칭라이 교수의 주목을 받았다.[1]

1931년, 칭화 대학 수학과에 합류하여 도서관 사서, 수학 조교로 일했다.[1] 1932년 9월, 강사가 되었고, 2년 후 조교수로 승진했다.[1] 1935~36년 동안 자크 아다마르노버트 위너가 칭화 대학을 방문했을 때, 화뤄겅은 두 사람의 강의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여 좋은 인상을 남겼다.[1]

1931년부터 칭화대에서 수학 조교로 일했으며, 1932년에는 강사가 되었고, 2년 뒤에는 조교수 자리에 올랐다.[3] 캠브리지 대학에 머무는 동안 정수론문제에 하디-리틀우드 원법을 적용하여, 와링의 문제에 대한 논문을 발표, 수학계에 이름을 알렸다.[3]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재직하면서 화뤄겅은 하디-리틀우드 원법을 수론 문제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와링의 문제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 수학계에서 명성을 얻었다.[3]

1938년, 중일 전쟁이 본격적으로 발발한 후, 화뤄겅은 칭화 대학교의 정교수로 임명되어 중국으로 돌아갔다.[3] 칭화 대학교, 베이징 대학교, 난카이 대학교는 윈난성 남부의 수도인 쿤밍에 있는 국립 서남 연합 대학교로 통합되었다.[3] 가난, 적의 폭격, 세계와의 상대적인 학문적 고립이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화뤄겅은 비노그라도프의 삼각합 추정 방법에 대해 연구했고, 이를 더욱 날카롭게 재구성하여 현재 비노그라도프의 평균값 정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3] 이 유명한 결과는 힐베르트-와링 정리의 개선된 버전의 핵심이며, 리만 제타 함수 연구에도 중요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3] 화뤄겅은 이 연구를 1940년에 러시아에서 출판을 승인받은 소책자 ''소수론의 가법적 이론''으로 작성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1947년에 스테클로프 연구소의 단행본으로 확장되어 출판되었다.[3] 쿤밍 시대 말기에 화뤄겅은 대수학과 수학적 해석학으로 관심을 돌렸고, 곧 독창적인 기여를 하기 시작했다.[3]

1945년 종전 후, 화뤄겅은 1946년 봄에 이반 비노그라도프의 초청으로 소련에서 3개월을 보냈다.[3] 그 후, 프린스턴 대학교의 고등 연구소로 가서 행렬 이론,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 군론에 대해 연구했다.[3]

1946년 다리 문제를 치료한 후 서독에서 구입한 화뤄겅의 맞춤 구두.


1948년 봄, 화뤄겅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의 정교수로 임명되었다.[3]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화뤄겅은 미국에서의 안정된 생활을 뒤로하고 가족과 함께 중국으로 돌아갔다.[3]

1950년 중국으로 돌아온 화뤄겅은 교육 개혁과 대학원 수준의 수학 활동, 학교 및 산업 현장에서의 수학 활동 조직에 힘썼다.[3] 1952년 7월, 중국과학원(CAS) 수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았다.[3] 1953년, 소련 과학과의 연계를 위한 CAS 대표단 일원으로 소련을 방문했다.[3] 1958년,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초대 수학과 학과장 겸 부총장을 역임했는데, 이 대학은 과학 기술 분야의 경제 발전, 국방 및 교육에 필요한 숙련된 연구원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

1956년, "정수론 입문"을 출판했고, 이후 스프링거 출판사에서 영어로 출판되었다.[3] 1958년, "고전 영역에서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의 조화 해석"을 출판했고, 같은 해에 러시아어로 번역되었으며, 1963년에는 미국수학회에서 영어로 번역되었다.[3]

1952년, 중국의 전자 컴퓨터 개발을 제안했으며, 1953년 초, 중국과학원 수학연구소 주도로 초기 연구팀을 지도했다.[3]

1958년 대약진 운동의 시작은 순수 수학과 지식인에 대한 공격과 함께 시작되었고, 이는 화뤄겅이 응용 수학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화뤄겅은 왕위안과 함께 선형 계획법, 운영 연구, 다차원 수치 적분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몬테 카를로 방법 연구와 균등 분포의 역할을 연구하여 대수적 정수론 기반의 결정론적 방법을 발명했다. 그들의 이론은 "수론의 수치해석 적용"에 제시되었으며, 1978년에 출판되었고, 1981년에는 스프링거에서 영어 번역판으로 출판되었다.[3]

1960년대, 응용 수학 보급을 위해 전국을 순회하며 노동자들에게 수학을 가르쳤고, 마오쩌둥의 칭찬 편지를 받기도 했다.[3] 문화 대혁명 이후, 서방 수학자들과의 교류를 재개했다.[3] 1980년, 중국 문화 홍보 대사로 임명되어 유럽, 미국, 일본 등을 방문했다.[3] 1979년, 버밍엄 대학교 객원 연구원, 1983-1984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셔먼 페어차일드 석학 연구원을 역임했다.[3] 1985년 6월 12일, 일본 도쿄에서 강연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장쑤성 진탄에 화뤄겅 공원이 조성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10-1936)

화뤄겅은 1910년 11월 12일 장쑤성 진탄에서 작은 상점을 운영하는 아버지 밑에서 태어났다.[1] 중학교 시절 수학 교사의 격려로 고등 수학을 접하고 재능을 보였다.[1] 중학교 졸업 후, 상하이 소재 직업학교에 입학하여 전국 주판 경연 대회에서 우승했다.[1]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졸업 한 학기를 앞두고 학교를 중퇴하고, 1927년 고향으로 돌아와 아버지의 가게를 도왔다.[1]

1929년 장티푸스에 걸려 반년 간 병상에 누워 있었고, 이로 인해 왼쪽 다리가 부분적으로 마비되었다.[1] 중학교 졸업 후 독학으로 고등학교 및 대학 수학을 공부했다.[1] 1929년 12월, 첫 논문 "Sturm 정리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1] 1930년, 5차 방정식 해법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칭화 대학 슝칭라이 교수의 주목을 받았다.[1]

1931년, 칭화 대학 수학과에 합류하여 도서관 사서, 수학 조교로 일했다.[1] 1932년 9월, 강사가 되었고, 2년 후 조교수로 승진했다.[1] 1935~36년 동안 자크 아다마르노버트 위너가 칭화 대학을 방문했을 때, 화뤄겅은 두 사람의 강의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여 좋은 인상을 남겼다.[1]

2. 2. 케임브리지 유학 (1936-1938)

1931년부터 칭화대에서 수학 조교로 일했으며, 1932년에는 강사가 되었고, 2년 뒤에는 조교수 자리에 올랐다.[3] 캠브리지 대학에 머무는 동안 정수론문제에 하디-리틀우드 원법을 적용하여, 와링의 문제에 대한 논문을 발표, 수학계에 이름을 알렸다.[3]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재직하면서 화뤄겅은 하디-리틀우드 원법을 수론 문제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와링의 문제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 수학계에서 명성을 얻었다.[3]

2. 3. 국립 서남 연합 대학교 시절 (1938-1945)

1938년, 중일 전쟁이 본격적으로 발발한 후, 화뤄겅은 칭화 대학교의 정교수로 임명되어 중국으로 돌아갔다.[3] 칭화 대학교, 베이징 대학교, 난카이 대학교는 윈난성 남부의 수도인 쿤밍에 있는 국립 서남 연합 대학교로 통합되었다.[3] 가난, 적의 폭격, 세계와의 상대적인 학문적 고립이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화뤄겅은 비노그라도프의 삼각합 추정 방법에 대해 연구했고, 이를 더욱 날카롭게 재구성하여 현재 비노그라도프의 평균값 정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3] 이 유명한 결과는 힐베르트-와링 정리의 개선된 버전의 핵심이며, 리만 제타 함수 연구에도 중요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3] 화뤄겅은 이 연구를 1940년에 러시아에서 출판을 승인받은 소책자 ''소수론의 가법적 이론''으로 작성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1947년에 스테클로프 연구소의 단행본으로 확장되어 출판되었다.[3] 쿤밍 시대 말기에 화뤄겅은 대수학과 수학적 해석학으로 관심을 돌렸고, 곧 독창적인 기여를 하기 시작했다.[3]

2. 4. 미국 생활과 귀국 (1945-1950)

1945년 종전 후, 화뤄겅은 1946년 봄에 이반 비노그라도프의 초청으로 소련에서 3개월을 보냈다.[3] 그 후, 프린스턴 대학교의 고등 연구소로 가서 행렬 이론,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 군론에 대해 연구했다.[3]

1948년 봄, 화뤄겅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의 정교수로 임명되었다.[3]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화뤄겅은 미국에서의 안정된 생활을 뒤로하고 가족과 함께 중국으로 돌아갔다.[3]

2. 5. 중국에서의 활동 (1950-1985)

1950년 중국으로 돌아온 화뤄겅은 교육 개혁과 대학원 수준의 수학 활동, 학교 및 산업 현장에서의 수학 활동 조직에 힘썼다.[3] 1952년 7월, 중국과학원(CAS) 수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았다.[3] 1953년, 소련 과학과의 연계를 위한 CAS 대표단 일원으로 소련을 방문했다.[3] 1958년,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초대 수학과 학과장 겸 부총장을 역임했는데, 이 대학은 과학 기술 분야의 경제 발전, 국방 및 교육에 필요한 숙련된 연구원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

1956년, "정수론 입문"을 출판했고, 이후 스프링거 출판사에서 영어로 출판되었다.[3] 1958년, "고전 영역에서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의 조화 해석"을 출판했고, 같은 해에 러시아어로 번역되었으며, 1963년에는 미국수학회에서 영어로 번역되었다.[3]

1952년, 중국의 전자 컴퓨터 개발을 제안했으며, 1953년 초, 중국과학원 수학연구소 주도로 초기 연구팀을 지도했다.[3]

1958년 대약진 운동의 시작은 순수 수학과 지식인에 대한 공격과 함께 시작되었고, 이는 화뤄겅이 응용 수학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화뤄겅은 왕위안과 함께 선형 계획법, 운영 연구, 다차원 수치 적분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몬테 카를로 방법 연구와 균등 분포의 역할을 연구하여 대수적 정수론 기반의 결정론적 방법을 발명했다. 그들의 이론은 "수론의 수치해석 적용"에 제시되었으며, 1978년에 출판되었고, 1981년에는 스프링거에서 영어 번역판으로 출판되었다.[3]

1960년대, 응용 수학 보급을 위해 전국을 순회하며 노동자들에게 수학을 가르쳤고, 마오쩌둥의 칭찬 편지를 받기도 했다.[3] 문화 대혁명 이후, 서방 수학자들과의 교류를 재개했다.[3] 1980년, 중국 문화 홍보 대사로 임명되어 유럽, 미국, 일본 등을 방문했다.[3] 1979년, 버밍엄 대학교 객원 연구원, 1983-1984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셔먼 페어차일드 석학 연구원을 역임했다.[3] 1985년 6월 12일, 일본 도쿄에서 강연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장쑤성 진탄에 화뤄겅 공원이 조성되었다.

3. 주요 업적

화뤄겅은 1929년 12월, 그의 첫 논문 「Sturm정리에 관한연구」를 발표하였고, 이듬해 5차방정식의 해법에 관한 원고를 발표하였다.[3] 칭화대에서 도서관 사서 및 수학 조교로 일하다가 1932년 가을, 강사가 되었고, 2년 후 조교수 자리를 얻었다.[3] 캠브리지 대학에서 정수론 문제에 Hardy Littlewoodcirclemethod를 적용하여 와링에 대한 논문을 발표, 수학계에 이름을 알렸다.[3] 주요 연구 분야는 수론, 다변수 복소함수론, 행렬 이론, 응용 수학 등이다. 수론에서는 와링의 문제, 비노그라도프의 평균값 정리를 연구하였고, 소수론의 가법적 이론을 연구하였다. 다변수 복소함수론에서는 고전 영역에서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의 조화 해석을 연구하였다. 응용 수학 분야에서는 선형 계획법, 운영 연구, 다차원 수치 적분 (몬테 카를로 방법, 균등 분포) 등을 연구하였다.

4. 저서

화뤄겅은 여러 권의 책과 논문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 『소수론의 가법적 이론』(Additive Theory of Prime Numbers, 1966), 『수론 입문』(Introduction to Number Theory, 1987), 『단위 원에서 시작하기: 고등 분석의 배경』(Starting with the Unit Circle: Background to Higher Analysis, 1981), 『화뤄겅: 선별된 논문』(Hua Loo-Keng: Selected Papers, 1983)이 있다.

5.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Hua Loo-Keng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4-11-21
[2] 간행물 International Symposium in Memory of Hua Loo Ke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1
[3] 저널 화뤄겅과 수학 대중화 https://www.kci.go.k[...] 한국수학사학회 2024-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