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확장된 실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확장된 실수는 실수 집합에 양과 음의 무한대를 추가하여 얻는 집합으로, 위상 공간 및 전순서 집합의 구조를 갖는다. 확장된 실수 체계에서는 함수의 극한을 정의하고, 측도론 및 적분에서 무한대 값을 허용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일부 산술 연산은 정의되지 않지만, 덧셈과 곱셈은 부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지수 함수와 로그 함수를 포함한 여러 함수는 극한을 통해 확장된 실수로 연속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다양한 수학 및 과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수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gamma는 조화급수와 자연로그 함수의 차이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수학 상수로, 감마 함수, 리만 제타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은 미해결 문제이다.
  • 실수 - 데데킨트 절단
    데데킨트 절단은 유리수 집합을 특정 조건에 따라 두 부분집합으로 나누어 무리수를 정의하고 실수의 완비성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순서 집합 완비화나 초현실수 구성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으로 확장된다.
  • 무한 - 무한원점
    무한원점은 사영평면에서 z=0인 동차좌표로 표현되는 점들의 집합으로 무한원직선을 구성하며, 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없지만 사영기하학 등에서 평행선의 교점으로 정의되고 투영기하학에서 소실점과 관련되어 응용되지만 교육적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비판도 있다.
  • 무한 - 초한수
    초한수는 게오르크 칸토어가 도입한 무한 개념을 확장한 수로,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수와 정렬된 집합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서수로 나뉘며, 무한에도 여러 종류가 있음을 밝혀 현대 수학의 기초를 다졌다.
확장된 실수
개요
종류실수
포함유리수, 무리수
특징실수에 양의 무한대와 음의 무한대를 추가하여 확장함
표기법}
}}
관련 항목사영 확장 실수, 리만 구
설명
정의확장된 실수는 실수 집합 에 양의 무한대()와 음의 무한대()를 추가하여 얻어지는 집합임
순서 관계실수 에 대해 항상 임
연산 규칙확장된 실수에서 정의되는 연산 규칙은 다음과 같음
덧셈임의의 실수 에 대해, 와

곱셈양의 실수 에 대해, (+∞) ⋅ x = +∞와 (−∞) ⋅ x = −∞
음의 실수 에 대해, (+∞) ⋅ x = −∞와 (−∞) ⋅ x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연산(단, 는 실수)

정의되지 않는 연산(+∞) + (−∞)
(−∞) + (+∞)
(+∞) ⋅ 0
(−∞) ⋅ 0
성질
완비성확장된 실수는 완비 순서 집합임
콤팩트성구간 는 콤팩트 공간임

2. 정의

'''확장된 실수'''(Extended real number) 집합 \bar{\mathbb R}실수 집합에 양과 음의 무한대를 추가한 것이다.

:\bar{\mathbb R}=\mathbb R\sqcup\{+\infty,-\infty\}

이는 실직선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다음 함수를 통해 표현 가능하다.

:\arctan\colon\bar{\mathbb R}\to[-\pi/2,\pi/2]

:\arctan(x)=\begin{cases}\pi/2&x=+\infty\\-\pi/2&x=-\infty\\\arctan(x)&x\in\mathbb R\end{cases}

이를 통해 \bar{\mathbb R}에 부분 공간 위상을 줄 수 있다.

\bar{\mathbb R}는 자연스러운 전순서를 가지며, 모든 실수 a\in\mathbb R에 대해 -\infty 가 성립한다. 따라서 \bar{\mathbb R}완비 격자가 되어 모든 부분 집합은 상한과 하한을 갖는다.

2. 1. 위상적 성질

확장된 실수 \bar{\mathbb R}전순서 집합이며, 모든 부분집합이 상한과 하한을 가지므로 완비 격자를 이룬다.[2] 모든 a\in\overline{\R}에 대해 -\infty\leq a\leq+\infty로 정의한다.

순서 위상을 통해 \overline{\R}콤팩트성을 가지며, 단위 구간 [0,1]과 위상 동형이다. 따라서 이 위상은 거리화 가능하며, 단위 구간의 일반적인 거리에 해당한다. 그러나 \R의 일반적인 거리를 확장한 거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위상에서 집합 U+\infty의 근방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어떤 실수 a에 대해 집합 \{x:x>a\}를 포함하는 것이다. -\infty의 근방도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실수 근방의 특징을 사용하여, x+\infty 또는 -\infty로 향하는 함수의 극한+\infty-\infty와 "같은" 극한은 일반적인 위상적 극한의 정의로 축소된다.

2. 2. 산술 연산

확장된 실수에서, 일부 산술 연산은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모든 a^+\in\mathbb R^+(양의 실수), a^-\in\mathbb R^-(음의 실수)에 대하여:

  • 덧셈: a^+\pm\infty=a^-\pm\infty=0\pm\infty=\pm\infty\pm\infty=\pm\infty
  • 덧셈의 역원: -(\pm\infty)=\mp\infty
  • 곱셈: a^+\cdot(\pm\infty)=a^-\cdot(\mp\infty)

=\pm\infty\cdot\infty=\mp\infty\cdot(-\infty)=\pm\infty

  • 곱셈의 역원: (\pm\infty)^{-1}=0


하지만, 다음과 같은 연산들은 정의되지 않는다.

  • 0\cdot\infty=?
  • \infty-\infty=?
  • 0^{-1}=?


측도론에서는 보통 0\cdot\infty=0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3]

\bar{\mathbb R}이나 , 모노이드의 구조를 가지지 않지만, 다음이 성립한다.

  • \bar{\mathbb R}\setminus\{0\}는 곱셈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 만약 0\cdot\infty=0으로 정의한다면, \bar{\mathbb R}는 곱셈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 \bar{\mathbb R}\setminus\{-\infty\}\bar{\mathbb R}\setminus\{+\infty\}는 각각 덧셈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 만약 0\cdot\infty=0으로 정의한다면,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 \bar{\mathbb R}_{\ge0}=[0,\infty]는 가환 반환을 이룬다.


실수 \R의 산술 연산은 확장된 실수\overline\R로 부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3]

:\begin{align}a\pm\infty=\pm\infty+a&=\pm\infty,&a&\neq\mp\infty\\a\cdot(\pm\infty)=\pm\infty\cdot a&=\pm\infty,&a&\in(0,+\infty]\\a\cdot(\pm\infty)=\pm\infty\cdot a&=\mp\infty,&a&\in[-\infty,0)\\\frac{a}{\pm\infty}&=0,&a&\in\mathbb{R}\\\frac{\pm\infty}{a}&=\pm\infty,&a&\in(0,+\infty)\\\frac{\pm\infty}{a}&=\mp\infty,&a&\in(-\infty,0)\end{align}

\infty-\infty, 0\times(\pm\infty), \pm\infty/\pm\infty (부정형)는 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음으로 남겨두지만, 확률 또는 측도론의 맥락에서, 0\times\pm\infty는 종종 0으로 정의된다.[4]

1/0는 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0으로 수렴하는 모든 실수 비영 수열 f에 대해, 역수 수열 1/f\{\infty,-\infty\}의 모든 근방에 포함되지만, 1/f 자체가 -\infty 또는 \infty로 수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수 값이 고려되지 않는 맥락에서는 1/0=+\infty로 정의하는 것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 멱급수를 다룰 때, 계수 a_n을 갖는 멱급수의 수렴 반경은 수열 \left(|a_n|^{1/n}\right)의 상극한의 역수로 정의되기 때문에, 1/0+\infty 값을 가지도록 하면 상극한이 0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2. 3. 지수 함수와 로그 함수

다음과 같이 지수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exp \colon \bar{\mathbb R} \to [0, \infty]

:\exp(-\infty) = 0

:\exp(+\infty) = +\infty

이는 전단사 함수이며,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킨다.

:\exp(a+b) = \exp(a)\exp(b) \qquad \left(a,b \in \bar{\mathbb R}, \; (a,b) \not\in \left\{(-\infty,+\infty),(+\infty,-\infty)\right\}\right)

마찬가지로, 그 역함수인 로그 함수

:\log \colon [0,\infty] \to \bar{\mathbb R}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킨다.

:\log(ab) = \log(a) + \log(b) \qquad \left(a,b \in [0,\infty], \; (a,b) \not\in \left\{(0,\infty),(\infty,0)\right\}\right)

실함수 중에는 극한을 취함으로써 확장된 실수까지 연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지수 함수자연 로그는 exp(−∞) = 0, exp(+∞) = +∞ 나 ln(0) = −∞, ln(+∞) = +∞로 연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3. 극한

확장된 실수는 함수의 극한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x가 무한히 증가할 때, x가 접근하는 실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함수의 극한 \lim_{x\to x_0}f(x)와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infty-\infty 요소를 \R에 추가하면 "무한대에서의 극한"에 대한 정의가 가능해지며, 이는 |x-x_0|<\varepsilonx>N (for +\infty) 또는 x<-N (for -\infty)로 대체하는것과 같이, 일반적인 극한의 정의와 매우 유사하다.[2]

예를 들어 함수 f(x)=\frac{1}{x^{2}}를 생각해보면, 이 함수의 그래프는 y=0에서 수평 점근선을 갖는다. 기하학적으로, x축을 따라 점점 더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1}/{x^2}의 값은 0에 근접한다. 이를 통해 다음을 증명하고 쓸 수 있다.

:\begin{align}\lim_{x\to+\infty}\frac1{x^2}&=0,\\\lim_{x\to-\infty}\frac1{x^2}&=0,\\\lim_{x\to0}\frac1{x^2}&=+\infty.\end{align}

확장된 실수 체계에서, 집합 U+\infty의 근방이 되려면, 어떤 실수 a에 대해 집합 \{x:x>a\}를 포함해야 한다. -\infty의 근방 개념도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확장된 실수 근방의 이러한 특징을 사용하여, x+\infty 또는 -\infty로 향하는 함수의 극한, 그리고 +\infty-\infty와 "같은" 극한은 실수 체계에서 특별한 정의를 갖는 대신, 일반적인 위상적 극한의 정의로 축소된다.

4. 측도와 적분

측도론에서는 무한 측도를 갖는 집합과 값이 무한대일 수 있는 적분을 허용하는 것이 종종 유용하다.

이러한 측도는 미분적분학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구간의 일반적인 길이와 일치하는 측도를 ℝ에 할당할 때, 이 측도는 임의의 유한 실수를 초과해야 한다. 또한, 다음의 이상 적분을 고려할 때,

:\int_1^{\infty}\frac{dx}{x}

"무한대"라는 값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함수열의 극한을 고려하는 것이 종종 유용하다.

:f_n(x)=\begin{cases}2n(1-nx),&\mbox{if }0\leq x\leq\frac{1}{n}\\0,&\mbox{if }\frac{1}{n}.

함수가 무한대 값을 갖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 단조 수렴 정리지배 수렴 정리와 같은 필수적인 결과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5. 대수적 성질

확장된 실수 집합(\bar{\mathbb R})은 덧셈과 곱셈에 대해 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아 , , 모노이드 구조를 갖지 않는다. 하지만, 일부 산술 법칙은 여전히 유효하다.


  • \bar{\mathbb R}\setminus\{0\}는 곱셈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 0\cdot\infty=0으로 정의하면, \bar{\mathbb R}는 곱셈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 \bar{\mathbb R}\setminus\{-\infty\}\bar{\mathbb R}\setminus\{+\infty\}는 각각 덧셈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 0\cdot\infty=0으로 정의하면,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 \bar{\mathbb R}_{\ge0}=[0,\infty]는 가환 반환을 이룬다.


다음은 확장된 실수에서 성립하는 주요 성질들이다. 아래에서 각 식들은 한쪽이 정의되면 양쪽이 모두 정의되고, 정의될 경우 그 값이 서로 같다.

  • 덧셈의 결합 법칙: a+(b+c)(a+b)+c
  • 덧셈의 교환 법칙: a+bb+a
  • 곱셈의 결합 법칙: a\cdot(b\cdot c)(a\cdot b)\cdot c
  • 곱셈의 교환 법칙: a\cdot bb\cdot a
  • 분배 법칙: a\cdot(b+c)(a\cdot b)+(a\cdot c) (단, 두 식이 모두 정의될 때)
  • 덧셈의 순서 보존: a\leq b이고 a+cb+c가 모두 정의되면 a+c\leq b+c
  • 곱셈의 순서 보존: a\leq b이고 c>0이며 a\cdot cb\cdot c가 모두 정의되면 a\cdot c\leq b\cdot c


일반적으로, 모든 연산이 정의되어 있다면 확장된 실수에서도 실수의 사칙연산 법칙이 대부분 성립한다.[1]

6. 기타 함수

어떤 실함수 f\colon\mathbb R\to\mathbb R\lim_{x\to\infty}f(x)=a를 만족하면, f(\infty)=a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실함수의 극한을 이용하여 확장된 실수로 연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어, 함수 f(x)=\frac{1}{x^{2}}x가 무한히 커질 때 0에 근접한다. 이를 확장된 실수 개념을 이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4]


  • \lim_{x\to+\infty}\frac1{x^2}=0
  • \lim_{x\to-\infty}\frac1{x^2}=0
  • \lim_{x\to0}\frac1{x^2}=+\infty


이처럼 극한을 취함으로써 확장된 실수 \overline\R연속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함수들이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exp(-\infty)=0
  • \ln(0)=-\infty
  • \tanh(\pm\infty)=\pm1
  • \arctan(\pm\infty)= \pm\frac{\pi}{2}


일부 특이점은 확장된 실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x^2x=0에서 +\infty로, x=\pm\infty에서 0으로 정의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확장 가능하다. 반면, 1/xx가 0으로 접근할 때, 아래에서 접근하면 -\infty, 위에서 접근하면 +\infty가 되므로 연속적으로 확장할 수 없다.[4]

사영적으로 확장된 실수선에서는 +\infty-\infty를 구별하지 않아, 확장된 실수 체계에서와 다른 극한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x는 사영적으로 확장된 실수선에서 x=0일 때 극한 \infty를 갖지만, 확장된 실수 체계에서는 절댓값만이 극한을 갖는다. 또한, e^x\arctan(x)는 사영적으로 확장된 실수선에서 x=\infty에서 연속이 될 수 없다.[4]

7. 한국 수학 교육과정 과의 연관성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서 함수극한과 연속성, 미분적분을 배울 때 확장된 실수의 개념이 간접적으로 나타난다.[1] 이상 적분은 정규 교육과정이 아니지만, 심화 학습 또는 대학 과정에서 확장된 실수를 이용하여 다루어진다.[1] 무한 극한, 무한대와 관련된 개념은 학생들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지만,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엄밀한 정의를 다루지 않는다.[1] 수리 논술, 대학별 고사 등에서 확장된 실수와 관련된 개념(주로 이상적분)이 출제될 수 있다.[1]

8. 응용

해석학, 수치해석, 확률론,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장된 실수가 활용된다. 예를 들어, 함수에서 인수나 함수값이 "매우 커질" 때의 거동을 기술하거나, 측도론에서 측도가 무한대인 집합이나 값이 무한대가 되는 적분을 허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ection 6: The Extended Real Number System https://www.maths.tc[...] 2019-12-03
[2] 서적 Applied Functional Analysis https://www.crcpress[...] Chapman and Hall/CRC 2019-12-08
[3] 웹사이트 Affinely Extended Real Numbers http://mathworld.wol[...] 2019-12-03
[4] 웹사이트 Projectively Extended Real Numbers http://mathworld.wol[...] 2019-12-03
[5] 서적 ブルバキ
[6] 서적 伊藤『ルベーグ積分入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