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설 원순 저모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설 원순 저모음은 혀의 위치를 입 안쪽으로 이동하여 발음하는 후설 모음의 하나로, 입술을 둥글게 하는 원순 모음이다. 이 모음은 혀를 입천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뜨려 발음하는 저모음이며, 언어에 따라 입술을 펴고 발음하는 비원순 모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캐나다 영어, 요루바어, 제주어, 우즈베크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영어의 'hot', 제주 방언의 'ᄒᆞᆫ저옵서예', 헝가리어의 'asztal'과 같은 단어에서 그 발음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설 원순 저모음 | |
---|---|
음성학적 정보 | |
IPA 기호 | ɒ |
IPA 번호 | 313 |
유니코드 | 594 |
X-SAMPA | Q |
![]() | |
브라유 점자 | 256 |
브라유 점자 2 | ch |
기타 발음 기호 |
2. 주요 특징
অঙ্គិល(ɒ)은 후설 모음이자 저모음이며, 원순 모음이다.
2. 1. 음성학적 특징
후설성 (Backness): 혀의 위치가 입 안쪽, 즉 뒤쪽에 위치한다.저모음성 (Openness): 혀가 입천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발음되는 저모음이다.
원순성 (Roundedness):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원순 모음인 경우가 많지만, 언어에 따라 입술을 펴고 발음하는 비원순 모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3. 언어별 예시
다양한 언어에서 후설 원순 저모음([ɒ])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자.
- '''영어''': 'hot'(덥다, 뜨겁다), 'thought'(생각) 등의 단어에서 ⟨ɒ⟩ 발음을 찾을 수 있다. 영어의 방언에 따라 ⟨ɒ⟩ 발음은 다르게 나타난다.
- '''아프리칸스어''': 'daar'(저기)와 같은 단어에서 완전 후설 모음 /ɒ/로 나타난다.
- '''카탈루냐어''': 마요르카, 메노르카, 발렌시아 방언에서 'dones'(여자)와 같은 단어는 /ɔ/의 주요 실현으로 나타나며, ⟨ɒ⟩로 표기되기도 한다.
- '''네덜란드어''': 라이덴, 로테르담 방언의 'bad'(목욕), 덴 보스, 흐로닝언 등 일부 비(非) 란스타트 방언의 'bot'(뼈)에서 /ɒ/ 발음이 나타난다.
- '''독일어''': 'Gourmand'(미식가)와 같은 단어에서 비음화된 /ɒ̃ː/로 나타난다.
- '''헝가리어''': 'magyar'(헝가리), 'asztal'(테이블)과 같은 단어에서 약간 전설되고 올라간 약원순 모음 /ɒ/로 나타난다.
- '''페르시아어''': 'fârsi'(페르시아어)와 같은 단어에서 /ɒː/로 나타난다.
- '''한국어''': 제주어에서는 'ᄒᆞᆫ'(한), 'ᄒᆞ나'(하나), 'ᄒᆞᆫ저옵서예'(어서 오세요)와 같이 'ㅏ' 아래에 옛한글 'ㆍ'(아래아)가 붙은 글자에서 /ɒ/ 발음이 나타난다.[4]
- '''우즈베크어''': 'choy'(차)와 같은 단어에서 /ɒ/ 발음이 나타난다.
- '''요루바어''': 'itọju'(돌보다)와 같은 단어에서 /ɒ/ 발음이 나타난다.
언어 | 단어 | 발음 | 뜻 |
---|---|---|---|
영국 영어 | hot | 덥다, 뜨겁다 | |
캐나다 영어, 미국 영어 | thought | 생각 | |
아프리칸스어 | daar | 저기 | |
카탈루냐어 | dones | 여자 | |
네덜란드어 | bad | 목욕 | |
네덜란드어 | bot | 뼈 | |
독일어 | Gourmand | 미식가 | |
헝가리어 | magyar | 헝가리 | |
헝가리어 | asztal | 테이블 | |
페르시아어 | fârsi | 페르시아어 | |
제주어 | ᄒᆞ나 | 하나 | |
제주어 | ᄒᆞᆫ저옵서예 | 어서 오세요 | |
우즈베크어 | choy | 차 | |
요루바어 | itọju | 돌보다 |
3. 1. 영어
영어에서는 'hot', 'thought' 등의 단어에서 ⟨ɒ⟩ 발음을 찾을 수 있다. 영국 영어에서는 'hot'과 같이, 캐나다 영어와 미국 영어에서는 'thought'와 같이 발음하는 등, 영어의 방언에 따라 ⟨ɒ⟩ 발음은 다르게 나타난다.[1]3. 1. 1. 영어 단어 예시
3. 2. 아프리칸스어
표준 아프리칸스어에서 'daar'(저기)와 같은 단어에서 완전 후설 모음 /ɒ/로 나타난다. 일부 화자, 특히 북부 억양을 사용하는 젊은 여성 화자는 비원순 모음 /ɑ/를 사용하기도 한다.3. 3. 카탈루냐어
마요르카, 메노르카, 발렌시아 방언에서 'dones' (여자)와 같은 단어는 /ɔ/의 주요 실현으로 나타나며, ⟨ɒ⟩로 표기되기도 한다.[1] 일부 남부 발렌시아 방언에서는 비원순 모음 /ɑ/로 나타나기도 한다.[1] 일부 발렌시아어 화자의 경우 'taula' (테이블)와 같은 단어에서 비원순 모음 /ʌ/로 실현될 수 있다.[1]3. 4. 네덜란드어
hot영어은 "덥다, 뜨겁다"라는 뜻의 영국 영어 단어이다. ᄒᆞᆫ저옵서예한국어는 "어서 오세요"라는 뜻의 제주어 표현이다.[1] asztalhu은 "테이블"이라는 뜻의 헝가리어 단어이다.[1]
3. 5. 독일어
언어 | 철자 | 발음 | 뜻 | 비고 |
---|---|---|---|---|
영국 영어 | hot영어 | 덥다, 뜨겁다 | ||
한국어 제주 방언 | 저옵서예한국어 | 어서 오세요 | ||
헝가리어 | asztalhu | 테이블 | ||
캐나다 영어, 미국 영어 | thought | 생각 | ||
요루바어 | itọju | 돌보다 | 고모음화로 실현; ɔ로 더 자주 기술됨 | |
제주어 | ᄒᆞ나 | 하나 | ||
우즈베크어 | choy | 차 |
3. 6. 헝가리어
표준 헝가리어에서 'magyar'(헝가리)와 같은 단어에서 약간 전설되고 올라간 약원순 모음 /ɒ/로 나타난다.[1] 때때로 /ɔ/로 표기되기도 하며, 일부 방언에서는 비원순 모음 /ɑ/로 나타난다.[1] 'asztal'(테이블)의 발음은 asztal|ɒstɒlhu이다.[1]3. 7. 페르시아어
요약에 따르면, 표준 페르시아어에서 이 모음은 'fârsi' (페르시아어)와 같은 단어에서 /ɒː/로 나타난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페르시아어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3. 8. 한국어
제주어에서는 'ᄒᆞᆫ'(한), 'ᄒᆞ나'(하나)와 같이 'ㅏ' 아래에 옛한글 'ㆍ'(아래아)가 붙은 글자에서 /ɒ/ 발음이 나타난다.[1]
3. 8. 1. 한국어 방언 단어 예시
3. 9. 기타 언어
캐나다 영어, 미국 영어에서 'thought'는 '생각'을, 요루바어에서 'itọju'는 '돌보다'를 뜻한다. 요루바어의 경우 고모음화로 실현되며 'ɔ'로 더 자주 적는다. 제주어 'ᄒᆞ나'는 '하나', 우즈베크어 'choy'는 '차'를 의미한다.3. 9. 1. 기타 언어 단어 예시
언어 | 철자 | 발음 | 뜻 | 비고 |
---|---|---|---|---|
캐나다 영어, 미국 영어 | thought | 생각 | ||
요루바어 | itọju | 돌보다 | 고모음화로 실현; ɔ로 더 자주 기술됨 | |
제주어 | ᄒᆞ나 | 하나 | ||
우즈베크어 | choy | 차 | ||
영국 영어 | hot영어 | 덥다, 뜨겁다 | ||
한국어 제주 방언 | 저옵서예한국어 | 어서 오세요 | ||
헝가리어 | asztalhu | 테이블 |
참조
[1]
문서
While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prefers the terms "close" and "open" for [[vowel height]], many linguists use "high" and "low".
[2]
서적
Phonology: an introduction to basic concepts
[3]
간행물
A national map of the regional dialects of American English
http://www.ling.upen[...]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3-05-27
[4]
서적
Jejueo: the language of Korea's Jeju Island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20
[5]
웹사이트
Vastesi Language - Vastesi in the World
http://vastesiworld.[...]
2016-11-21
[6]
서적
Uzbek Structural Grammar
Indiana University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