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은 후쿠오카시의 지하철 노선으로, 1971년 노선 신설 제안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2005년 하시모토역과 텐진미나미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3년에는 하카타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며, 덴진미나미역과 하카타역 사이의 개찰구 밖 환승 제도가 폐지되었다. 이 노선은 3000계 및 3000A계 전동차를 사용하며, 2016년 하카타역 연장 공사 중 대규모 도로 함몰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22년에는 후쿠오카 공항까지의 연장 계획이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시 지하철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나카스카와바타역에서 가이즈카역까지 7개 역을 잇는 4.7km 노선으로, 후쿠오카시 지하철 1호선과 직결 운행하며 1982년 개통 이후 후쿠오카 도심과 동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4000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 후쿠오카시 지하철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메이노하마역과 후쿠오카 공항역을 잇고 지쿠히선, 하코자키선과 직결 운행하는 후쿠오카시 중심부와 공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으로, 2024년 11월 29일부터 4000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고 향후 사사구리선과의 직통 운전도 구상 중이다. - 후쿠오카시의 교통 - 하카타항
하카타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있는 항만으로, 고대부터 국제 교류의 중심지이자 방어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국제 무역항으로서 국제 여객 수 기준으로 일본 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후쿠오카시의 교통 - 후쿠오카 고속도로
후쿠오카 고속도로는 후쿠오카 시를 중심으로 6개의 노선으로 운행되며, 차량 종류와 시간대에 따라 통행 요금이 다르고 ETC 이용 시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기온역 (후쿠오카현)
기온역은 1983년에 개업한 후쿠오카 시 지하철 1호선(공항선)의 역으로, 하카타역과 지하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주변은 상업 지역이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니시진역
니시진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니시진에 위치한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의 역으로, 메이지도리 아래에 있으며, 1981년 개업 후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당시 임시역으로 운영되었고, 현재는 후쿠오카역에서 원격 관리되며 니시진 상점가 등 상업 시설과 교육 기관이 주변에 위치한다.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노선 이름 | 나나쿠마선 |
별칭 | 3호선 (나나쿠마선)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관할 | 후쿠오카 시 교통국 |
개업일 | 2005년 2월 3일 |
최종 연장 | 2023년 3월 27일 |
기점 | 하시모토역 |
종점 | 하카타역 |
역 수 | 18개 역 |
차량 기지 | 하시모토 차량 기지 |
사용 차량 | 3000계, 3000A계 |
노선 길이 | 13.6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2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차상 1차 철륜식 선형 전동기 방식 |
노선 기호 | N |
노선 번호 | 3호선 |
기술 정보 | |
최대 구배 | 40퍼밀 |
최소 곡선 반지름 | 100 m |
최고 속도 | 70 km/h |
운영 정보 | |
신호 방식 | ATO |
2. 역사
나나쿠마선은 1970년대부터 후쿠오카시 서남부 지역의 교통난 해소와 나카무라학원대학, 후쿠오카 대학 등 대학가 접근성 개선을 위해 계획되었다. 노선 명칭은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는데, 1위는 '조난선', 2위는 '후쿠다이선'이었으나, 가마쿠라 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적 지명이자 노선 중심부에 가까운 '나나쿠마'가 더 적합하다는 이유로 3위였던 '나나쿠마선'이 선정되었다.[4][18]
개통 이후 나나쿠마선은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 자동 발권기 및 개찰기 등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도입하는 등 선진적인 시설을 갖추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5년 일본 사인 디자인 협회의 SDA 대상 및 SDA상 장려상, 2006년 철도 우호회 로렐상, 2010년 토목학회 디자인상 우수상을 수상했다.[16]
공항선, 하코자키선과는 달리 표준궤(1435mm)를 채택하고 있으며, 2011년 3월 2일부터 모든 역에 역 넘버링이 도입되었다.[2] 피크 시간대에는 3분 30초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3]
다음은 나나쿠마선 개통 및 연장과 관련된 주요 연혁이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60년대 나카무라학원대학과 후쿠오카대학으로의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처음 구상되었으며, 1975년에는 덴진미나미역에서 조난역까지 리니어 모터 지하철로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이후 노선 종착역이 하시모토역으로 변경되었다.[4]이 노선은 철도 노선이 없었던 후쿠오카시의 중앙 업무 지구와 남서부를 연결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2005년 2월 3일 하시모토역 - 덴진미나미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3년 3월 27일 덴진미나미역 - 하카타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9][50]
개통 당시부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미쓰비시 전기제[15])가 설치되었다. 또한 자동 발권기나 개찰기 등 역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이 도입되었다. 2005년 "지하철 나나쿠마선 토탈 디자인"에 대해 일본 사인 디자인 협회의 SDA 대상, "음향 사인 시스템"에 SDA상 장려상을 받았다. 2006년 나나쿠마선 차량에 대해 철도 우호회로부터 로렐상을 받았다. 2010년 "토탈 디자인"에 대해 토목학회 디자인상 우수상을 받았다.[16]
일본에서 개업한 리니어 모터 미니 지하철 중 처음으로 차량 기지를 포함한 전 노선을 지하로 했지만, 나나쿠마선의 하시모토 차량기지는 지상에 설치되어 비영업 구간이면서 최초의 지상 구간이 되었다.[17]
궤간은 협궤 (1067mm)를 채용하는 공항선·하코자키선과 달리, 표준궤 (1435mm)를 채용하고 있다.
2. 2. 하카타역 연장
2012년 6월 11일, 덴진미나미역 - 하카타역 구간의 철도 사업 허가를 취득했다.[62] 2014년 2월 12일 기공식이 거행되었다.당초 202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던 덴진미나미역 - 하카타역 간 1.6km 연장 공사( 캐널시티 하카타 경유)는, JR 하카타역 앞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로 인해 3년 연기되었다.[5] 이 계획에는 구시다진자마에역 건설도 포함되었다.[5]
2021년 1월 7일, 후쿠오카시는 2023년 3월까지 연장선 개통을 계획한다고 발표했다.[6] 2023년 3월 27일, 구시다진자마에역을 경유하는 하카타역 연장선이 운행을 시작했다.[7][94][95][96]
공항선 덴진역과 덴진미나미역 간의 개찰구 밖 환승 제도는 연장 개통으로 인해 폐지되었다.[52]
2. 3. 연장 공사 중 사고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신설 공사 중 2000년(헤이세이 12년), 연장 공사 중인 2014년(헤이세이 26년) 및 2016년(헤이세이 28년)에 총 3차례 도로 함몰 사고가 발생했다.[65] 특히 2016년 11월 8일에 발생한 하카타역 연장 공사 중 하카타역 앞 2가 교차로 부근에서 발생한 대규모 도로 함몰 사고는 전국적으로 크게 보도되었다. 함몰 현장 지하의 전기, 가스, 상하수도관이 붕괴되어 절단되었으며, 주변의 라이프라인, 기업의 영업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장 주변 도로는 종일 통행 금지되었고, 함몰 지점에 인접한 건물에는 일시 대피 권고가 발령되었다.[66][67] 또한, 대피 중에 1명이 부상했다. 같은 날, 후쿠오카시는 지하철 공사와의 관련성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국토교통성의 제3자 위원회에 제출된 사고 보고서(안)에 따르면, 사고 발생 당시 지하 공사 현장에서는 터널 굴착 시 보강 공사 중에 이상 출수가 발생했고, 상부에서 붕괴되어 내려온 지하수 섞인 토사가 "쓰나미처럼 밀려왔다"는 증언이 있었다.[68] 사고 후 다시 실시된 지질 조사에 의해, 굴착 현장의 암반 상부에서 예상보다 암반 두께가 얇았고(예상 약 3m에 대해 약 2m)[69], 풍화되어 균열이나 취약한 부분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암반 위에는 지하수에 의해 수압이 걸린 사질층이 있었고, 암반 굴착으로 인해 누수나 붕괴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대규모 함몰로 이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암반의 취약한 부분의 위치와 그 정도, 상부에서 걸리는 수압 등에 의한 내력의 평가가 불충분했다고 지적했으며, 또한 지반 개량 공법이 불충분했고, 설계 변경으로 인해 터널 천장의 편평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저하된 것과 시공 중에 강관을 일부 절단한 것으로 인해 강도 부족이 간접적인 요인으로 생각된다고 결론지었다.[70][71][72]
2017년(헤이세이 29년) 6월에는 공사 재개를 위한 조사 공사가 시작되었다.[73] 발주자인 후쿠오카시와 다이세이 건설을 주체로 하는 JV 간에, 함몰부 메우기 및 기타 공사 비용, 주변 기업 등의 영업 보상 등을 JV가 전액 부담한다는 합의에 도달했다. 메우기 공사 비용에 약 1.3억엔, 영업 보상은 6월 시점에서 당사자의 80%와 합의했으며, 약 3.7억엔, 라이프라인 복구 비용에 약 6000만엔로 보상액은 합계 약 5.6억엔에 달하며, 앞으로도 증가할 전망이다. 재개 이후의 공사비는 발주자인 후쿠오카시가 부담했다.[74]
당초 연장 개통 예정은 2020년으로 예정되었지만, 이 함몰 사고의 영향으로 2022년으로 변경되었다.[75] (이후 2023년 3월 개업 예정으로 발표[76]) 이로 인해 장래의 승차 인원 예측, 수지 계획 및 채무 상환 계획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77]
2022년(레이와 4년) 8월 31일에 개업일이 2023년3월 27일로 발표되었다.[50][49] 레이와 시대 일본에서 최초의 지하철 개업이었다.[78]
발생 일시 | 장소 | 도로 | 위치 | 함몰 규모 | 비고 | 전거 | ||
---|---|---|---|---|---|---|---|---|
폭 | 길이 | 깊이 | ||||||
2000년6월 20일 16시 50분경 | 주오구야쿠인 3가 | 조난선 조토바시 서 교차점 부근 | 5m | 10m | 8m | 하시모토역 - 텐진미나미역 간 공사 | [79][80][81] | |
2014년10월 27일 17시경 | 하카타구기온마치 | 하카타역 앞 거리 하카타 경찰서 입구 교차점 부근 | 3m | 3m | 3m | 텐진미나미역 - 하카타역 간 연장 공사 | [79][82][83] | |
2016년11월 8일 5시 20분경 | 하카타구 하카타역 앞 2 - 3가 | 하카타역 앞 거리 하카타역 앞 2가 교차점 부근 | 27m | 30m | 15m | 텐진미나미역 - 하카타역 간 연장 공사 | [84][85] |
2. 4. 향후 계획
2022년 11월 21일, 타카시마 소이치로 후쿠오카시 시장은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을 후쿠오카 공항 국제선 터미널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63][64] 이 연장 계획은 하카타역에서 지쿠시 거리를 지나 산노 지구에 중간역을 설치하고, 기요미 거리를 지나 후쿠오카 공항 국제선까지 연결하는 경로를 상정하고 있다.[63][64]이 연장이 실현되면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 및 국제선 터미널에서 하카타역까지 약 5분 만에 이동이 가능해진다.[63][64] 현재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 터미널은 지하철 구코선이 운행되고 있지만, 국제선 터미널은 철도 연결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두 터미널 간에는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다.[8]
3. 운행 형태
나나쿠마선은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로 운행되며 다른 노선과 직결 운행은 하지 않는다.[1] 모든 열차는 하시모토 - 하카타 구간을 왕복 운행하며, 하카타역에서 하시모토발 막차는 밤샘 주박을 한다.
운행 간격은 다음과 같다.
- 평일:
- 출근 시간대: 3분 15초
- 낮 시간대: 7.5분
- 저녁 시간대: 5분
- 토요일 및 공휴일: 종일 7.5분
비상시나 훈련 시를 제외하고는 ATO에 의한 자동 운전으로 운행된다.
4. 차량
3000계와 3000A계가 운행되고 있다. 나나쿠마선은 급곡선 및 급경사에 대응하는 철륜식 리니어 모터를 채택하고 있으며, ATO에 의한 무인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승무원이 탑승하여 운전하고 있으며, 운전 장치도 갖추고 있다.[49][50] 차내에는 주행 위치를 램프로 표시하는 전자식 노선도와 다음 정차역을 알려주는 전광 게시판, 그리고 동영상 영상을 보여주는 액정 텔레비전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진행 방향 반대편 운전석은 개방되어 있어 자유롭게 앉을 수 있지만, 운전 장치는 덮개 안에 보관되어 있다.
4. 1. 3000계
3000계는 2005년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개통 시부터 운행을 시작한 4량 편성 전동차이다. 총 17개 편성, 68량이 운행 중이다.[10]
4. 2. 3000A계
2023년 하카타역 연장 개통에 맞춰 도입된 4량 편성 전동차이다.[97] 유니버설 디자인을 강화하고, 항균·항바이러스 소재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22] 2022년 2월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23] 총 4개 편성 16량이 도입되었다.[24]3000A계는 파란색과 녹색 도색을 특징으로 하며, 텐진미나미역에서 하카타역까지 노선 연장에 따른 증편을 위해 투입되었다.[11] 양쪽 선두차 좌석을 3000계의 7인석에서 5인석으로 줄여 출입문 부근 공간을 넓혀 승하차를 원활하게 했다. 좌석 높이를 60mm 올려 앉고 일어서는 것을 편하게 했고, 손잡이 증설 및 형상 변경, 액정식 차내 안내 표시기 설치 등도 이루어졌다.[22] 손잡이와 좌석에는 항균·항바이러스 소재를 사용하고, 끈, 손잡이 등 승객의 손이 닿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는 항균·항바이러스제 코팅을 했다.[22]
5. 역 목록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있는 총 18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역에는 역 번호, 역명, 일본어 표기, 영업 거리, 접속 노선, 심볼 마크, 역 식별 컬러, 소재지 정보가 제공된다.[1]
나나쿠마선은 13.6km 길이로 후쿠오카시 5개 구에 걸쳐 18개 역에 운행되며,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공항선과 하코자키선이 궤간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나나쿠마선은 표준궤를 사용한다.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모든 역 번호는 2011년 3월에 도입되었다.[2] 피크 시간대에는 3분 45초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며, 2023년 3월 11일부터는 3분 30초 간격으로 운행 횟수가 증가했다.[3]
2024년 현재 역무는 일본통운 후쿠오카 지점[91], JR 큐슈 서비스 서포트[92]에 위탁되어 있으며, 정규 직원은 조역 이상의 직원만 있다.
역 번호 | 역명 | 영업 킬로미터 | 심볼 마크 | 역 식별 컬러 | |
---|---|---|---|---|---|
역간 | 누계 | ||||
N01 | 하시모토역 | - | 0.0 | 이이모리 산과 단풍나무 | DIC-121 |
N02 | 지로마루역 | 1.0 | 1.0 | 반딧불이 | DIC-641 |
N03 | 가모역 | 0.7 | 1.7 | 메기 | DIC-455 |
N04 | 노케역 | 0.9 | 2.6 | 수면에 떠 있는 동백 | DIC-2486 |
N05 | 우메바야시역 | 0.8 | 3.4 | 매화와 꽃봉오리 | DIC-50 |
N06 | 후쿠다이마에역 | 0.9 | 4.3 | 솔개와 학생 모자 | DIC-641 |
N07 | 나나쿠마역 | 0.6 | 4.9 | 육각형의 차 7개 | DIC-455 |
N08 | 가네야마역 | 0.8 | 5.7 | 삼각형 ("금"의 도안)과 무지개 | DIC-121 |
N09 | 차야마역 | 0.8 | 6.5 | 차 새싹 | DIC-2554 |
N10 | 벳푸역 | 1.0 | 7.5 | 벳푸 대교 육교와 구름 | DIC-641 |
N11 | 롯폰마쓰역 | 0.8 | 8.3 | 소나무 | DIC-2554 |
N12 | 사쿠라자카역 | 0.9 | 9.2 | 벚꽃 잎 | DIC-50 |
N13 | 야쿠인오도리역 | 1.0 | 10.2 | 코끼리와 꽃 | DIC-121 |
N14 | 야쿠인역 | 0.6 | 10.8 | 유발과 절구 | DIC-2554 |
N15 | 와타나베도리역 | 0.5 | 11.3 | 노면 전차 | DIC-2486 |
N16 | 텐진미나미역 | 0.7 | 12.0 | "토리안세"를 가지고 노는 아이들 | DIC-50 |
N17[93] | 구시다진자마에역[48] | 1.0 | 13.0 | 은행 잎과 짊어지는 끈[76] | DIC-121 |
N18[93] | 하카타역[48] | 0.6 | 13.6[62] | 하카타 겐조 무늬[76] | DIC-2486 |
5. 1. 역 목록표
역 번호 | 역 이름 | 일본어 이름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N01 | 하시모토 | 橋本|하시모토일본어 | 0.0 | rowspan="13" | | 니시구 |
N02 | 지로마루 | 次郎丸|지로마루일본어 | 1.0 | 사와라구 | |
N03 | 가모 | 賀茂|가모일본어 | 1.7 | ||
N04 | 노케 | 野芥|노케일본어 | 2.6 | ||
N05 | 우메바야시 | 梅林|우메바야시일본어 | 3.4 | 조난구 | |
N06 | 후쿠다이 앞 | 福大前|후쿠다이 앞일본어 | 4.3 | ||
N07 | 나나쿠마 | 七隈|나나쿠마일본어 | 4.9 | ||
N08 | 가나야마 | 金山|가나야마일본어 | 5.7 | ||
N09 | 자야마 | 茶山|자야마일본어 | 6.5 | ||
N10 | 베후 | 別府|베후일본어 | 7.5 | ||
N11 | 롯폰마쓰 | 六本松|롯폰마쓰일본어 | 8.3 | 주오구 | |
N12 | 사쿠라자카 | 桜坂|사쿠라자카일본어 | 9.2 | ||
N13 | 야쿠인오도리 | 薬院大通|야쿠인오도리일본어 | 10.2 | ||
N14 | 야쿠인 | 薬院|야쿠인일본어 | 10.8 | 니시닛폰 철도 덴진오무타 선 | |
N15 | 와타나베도리 | 渡辺通|와타나베도리일본어 | 11.3 | ||
N16 | 덴진미나미 | 天神南|덴진미나미일본어 | 12.0 | 니시닛폰 철도 덴진오무타 선 (니시테쓰 후쿠오카(덴진) 역) | |
N17 | 쿠시다진자마에 | 櫛田神社前|쿠시다진자마에일본어 | 13.0 | 하카타구 | |
N18 | 하카타 | 博多|하카타일본어 | 13.6 | 공항선,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 선 |
모든 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위치해 있다. 개통 당시부터 모든 역의 현장 업무는 위탁 운영되고 있다.[89][90]
6. 이용 현황
나나쿠마선은 개통 초기 이용객 수가 예상보다 저조했다. 1994년 철도 사업 면허 신청 당시 2006년도에 1일 14만 9806명의 승차 인원을 예상했으나[25], 2002년에는 예상 승차 인원을 1일 11만 957명으로 하향 조정했다.[25] 개통 이듬해인 2005년의 실제 이용객 수는 약 4만 4000명으로, 예상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26]
이에 후쿠오카시는 수지 계획을 재검토하여 2009년도 예상 승차 인원을 6만 5000명, 2033년도에는 9만 1000명으로 다시 하향 조정했다.[26] 이로 인해 나나쿠마선의 흑자 전환 시점은 2015년에서 2029년으로, 누적 적자 해소 시점은 2026년에서 2069년으로 43년이나 늦춰졌다.[26]
그러나 2015년을 기점으로 수송 실적이 예상을 넘어서기 시작했고[27], 2023년 3월 27일 하카타역 연장 개통으로 이용객이 급증하여 코로나19 이전 대비 1.5배 증가한 1일 약 12만 명이 이용하고 있다.[28]
개통 이후 연도별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승차 인원에는 공항선·하코자키선과의 환승 인원을 포함한다.[32] 2004년도의 수송 실적은 2005년 2월 3일 개업부터 같은 해 3월 31일까지 총 57일간의 평균값이다.[33]
6. 1. 혼잡도 완화 노력
2023년 3월 27일에 텐진미나미-하카타 간이 연장 개업함에 따라, 나나쿠마선의 이용자는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의 평균 이용자 수는 1일 약 8만 명이었지만, 연장 개업 후 4월~10월에는 1일 약 12만 명이 되어 피크 시간대의 평균 혼잡률은 최대 130%가 되었다.[28] 이용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후쿠오카시 교통국은 2023년 7월 25일에 시간표를 개정하여, 출퇴근 시간대의 혼잡 완화를 위해 열차를 증편했다.[29] 2024년 3월 23일에도 시간표를 개정하여, 예비 차량을 투입해 출퇴근 시간대에 열차를 증편했다.[30][31] 2027년도까지 4개 편성을 더 투입하여 증편할 예정이다.[31]참조
[1]
웹사이트
Movable Platform Doors: Make the station platform a safe and comfortable space
https://www.mitsubis[...]
2022-01-12
[2]
웹사이트
駅ナンバリング(駅番号制)の導入について
https://subway.city.[...]
2011-10-10
[3]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3月11日に七隈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railf.jp/new[...]
2023-02-05
[4]
웹사이트
3号線 愛称は「七隈線」 福岡市営地下鉄
http://www.nishinipp[...]
2006-06-21
[5]
웹사이트
七隈線延伸工事に係る道路陥没事故報告 福岡市交通局 (報告資料)
https://subway.city.[...]
2017-05-12
[6]
뉴스
【速報】地下鉄七隈線の博多駅延伸 23年3月開業、福岡市が方針固める
2022-01-07
[7]
웹사이트
福岡市交通局,七隈線延伸区間(天神南—博多間)の開業は2023年3月27日に
https://railf.jp/new[...]
2022-09-01
[8]
웹사이트
地下鉄七隈線、福岡空港国際線へ延伸検討…高島市長:地域ニュース
https://www.yomiuri.[...]
2022-11-21
[9]
웹사이트
福岡地下鉄七隈線「次の延伸」は福岡空港の国際線か 市長「総合的に検討」
https://news.railway[...]
2022-11-21
[10]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2年
https://subway.city.[...]
2019
[11]
웹사이트
Fukuoka City Subway orders sky and mountain liveried trainsets
https://www.railwayg[...]
DVV Media International
2021-07-13
[12]
웹사이트
線路施設・運転の概要(平成31年3月末現在)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九州運輸局]]
2023-02-04
[13]
서적
『公共交通機関の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
[14]
문서
[15]
웹사이트
三菱電機 法人のお客様 地域ビジネス活動 地域の導入事例|福岡市交通局様 可動式ホーム柵
https://www.mitsubis[...]
[16]
웹사이트
優秀賞:福岡市営地下鉄七隈線トータルデザイン
http://www.jsce.or.j[...]
[17]
문서
[18]
뉴스
3号線 愛称は「七隈線」 福岡市営地下鉄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03-06-21
[19]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2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08-21
[20]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 「事業概要」 令和5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4-07-20
[21]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2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2
[22]
간행물
"<<七隈線延伸事業>> 新車両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1
[23]
간행물
3000A系車両 運行開始します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2-04
[24]
웹사이트
博多駅へ延伸 地下鉄七隈線の新しい顔「3000A系」見てきた 空港延伸する気まんまん!?
https://trafficnews.[...]
株式会社メディア・ヴァーグ
2023-03-29
[25]
보고서
公共事業の需要予測等に関する調査結果に基づく勧告
https://www.soumu.go[...]
총무성
2014-08-07
[26]
뉴스
福岡市営地下鉄七隈線 赤字解消、2069年に先送り
http://www.asahi.com[...]
朝日新聞西部本社
2009-03-13
[27]
웹사이트
経営状況 運送実績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4-08-07
[28]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七隈線23日にダイヤ改正 増便で最短3分おき運行に: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3-04
[29]
웹사이트
地下鉄七隈線 博多延伸で「利用客150%」に!? 「限界まで増便」ダイヤ改正へ 福岡市
https://trafficnews.[...]
2024-03-04
[30]
웹사이트
博多駅延伸で混雑する地下鉄七隈線を「増便」…平日は166本→170本へ - RKBオンライン
https://rkb.jp/conte[...]
2024-03-04
[31]
뉴스
福岡市地下鉄七隈線、混雑緩和に「奥の手」予備車両使う…26年度にも4編成投入で増便
https://www.yomiuri.[...]
2024-06-05
[32]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中期経営指針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09-02
[33]
웹사이트
乗車人員の推移(1日平均)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04-02-02
[34]
웹사이트
経営状況 運送実績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4-08-07
[35]
웹사이트
経営状況 運送実績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4-08-07
[36]
웹사이트
(参考)号線毎の状況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09-03-03
[37]
웹사이트
経営状況 運送実績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38]
웹사이트
経営状況 運送実績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39]
웹사이트
(6)駅別乗車人員の推移(1日平均)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40]
웹사이트
(6)駅別乗車人員の推移(1日平均)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41]
웹사이트
(6)駅別乗車人員の推移(1日平均)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42]
웹사이트
七隈線の概要 [計画の経緯]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43]
서적
RAIL FAN
鉄道友の会
2003-09-01
[44]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令和3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45]
간행물
駅ナンバリング(駅番号制)の導入につい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10-10-01
[46]
간행물
駅ナンバリング表示作業のお知らせ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1-01-24
[47]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 七隈線で「列車接近メロディ」を導入します
https://subway.city.[...]
福岡市地下鉄
[48]
간행물
<<七隈線延伸事業>> 新駅の名称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1
[49]
간행물
<<七隈線延伸事業>>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が令和5年3月27日に開業!!
https://www.city.fuk[...]
福岡市交通局
2022-08-31
[50]
간행물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の開業日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8-31
[51]
뉴스
福岡市の地下鉄七隈線、博多につながる…新路線開業で市南西部から空港へも便利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3-03-27
[52]
웹사이트
のりかえ駅変更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subway.city.[...]
福岡市地下鉄
[53]
보고서
高速鉄道3号線の建設計画等について
http://subway.city.f[...]
交通対策特別委員会
[54]
뉴스
空港線と改札口共有 地下鉄博多駅 七隈線延伸案で福岡市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09-01-20
[55]
뉴스
地下鉄七隈線延伸、キャナルシティ経由に決定へ
http://kyushu.yomiur[...]
読売新聞西部本社
2010-01-21
[56]
뉴스
地下鉄延伸 「キャナル経由を優先」 福岡市調査 費用対効果が最大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0-01-17
[57]
간행물
「福岡市地下鉄七隈線延伸促進期成会」が設立されました!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58]
뉴스
地下鉄七隈線 早期延伸へ期成会 経済界や大学など
http://www.47news.jp[...]
西日本新聞社
2011-07-15
[59]
웹사이트
七隈線延伸事業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60]
뉴스
福岡市地下鉄:七隈線、キャナル経由で博多駅延伸 2新駅概要を発表
http://mainichi.jp/a[...]
毎日新聞西部本社
2011-11-08
[61]
뉴스
地下鉄七隈線延伸へ 20年度開業前倒しも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1-12-25
[62]
간행물
地下鉄七隈線延伸(天神南〜博多)について、鉄道事業許可を取得しました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6-11
[63]
뉴스
福岡市地下鉄七隈線、福岡空港国際線まで延伸へ 訪日客や海外企業誘致狙う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社
2022-11-21
[64]
뉴스
地下鉄七隈線、福岡空港国際線へ延伸検討…高島市長
https://www.yomiuri.[...]
読売新聞西部本社
2022-11-22
[65]
웹사이트
博多駅前2丁目交差点付近における道路陥没事故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city.fuku[...]
福岡市
[66]
뉴스
博多陥没:地下鉄工事が原因、市が謝罪…埋め戻し開始
http://mainichi.jp/a[...]
毎日新聞社
2016-11-08
[67]
보고서
地下鉄七隈線延伸工事に伴う道路陥没事故について
http://www.city.fuku[...]
市民局防災・危機管理課
[68]
뉴스
博多陥没「砂、津波のよう」 JV報告書 作業員証言生々しく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7-01-17
[69]
뉴스
危機認識、甘さ指摘 完工時期不透明 博多陥没、第三者委調査最終報告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7-03-31
[70]
뉴스
博多陥没、岩盤のもろさが一因か 国交省の第三者委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7-01-21
[71]
뉴스
弱い岩盤対策不十分 博多駅前陥没第三者委 最終報告案、責任所在示さず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7-03-30
[72]
웹사이트
要因分析のまとめ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02-04
[73]
뉴스
博多陥没:地下鉄延伸工事を再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7-06-08
[74]
뉴스
博多陥没補償をJVが全額負担 福岡市と合意、計5億円超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7-06-07
[75]
간행물
地下鉄七隈線延伸事業(天神南〜博多)における開業時期・事業費の見直しについ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0-06-08
[76]
보도자료
"<<七隈線延伸事業>>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を令和5年3月開業 櫛田神社前駅の駅シンボルマークも決定"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1-07
[77]
뉴스
七隈線延伸最大2年遅れ 陥没の影響で開業22年度に 福岡市見通し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社
2017-12-08
[78]
문서
これまでの日本における最新の地下鉄は、2015年12月開業の[[仙台市地下鉄東西線]]であった。
[79]
웹사이트
福岡の地下鉄工事、過去に複数回陥没事故 博多駅前崩落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6-11-08
[80]
서적
日経コンストラクション
日本経済新聞社
2000-12-22
[81]
뉴스
福岡市の道路陥没 帰宅の車 大渋滞 地下鉄工事現場の近く
読売新聞社
2000-06-21
[82]
뉴스
福岡市で道路陥没、原因は地下鉄工事坑内への土砂流出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社
2014-11-13
[83]
보도자료
地下鉄七隈線延伸工事に伴うはかた駅前通りの通行止めについて(第2報)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4-10-28
[84]
뉴스
博多駅前で道路陥没 周辺では停電も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6-11-08
[85]
보도자료
地下鉄七隈線延伸工事に伴う道路陥没事故について(第2報)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6-11-08
[86]
문서
赤坂以遠 - 渡辺通以遠の各区間(姪浜 - 橋本間を除く)、中洲川端・箱崎線方面 - 渡辺通以遠の一部区間、祇園 - 薬院間。
[87]
문서
なお、福岡市地下鉄では全線定期券「[[ちかパス]]」が発売されており、4区以上の場合はちかパスのほうが安価である。
[88]
문서
天神・天神南経由の連絡は廃止となるため、同経路で乗車した場合は天神駅までと天神南駅からの乗車料金は別計算となる。
[89]
문서
ただし、博多駅の空港線改札口は直営。
[90]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2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91]
PDF
入札結果表(橋本)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8
[92]
PDF
入札結果表(天神南)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8
[93]
보도자료
新駅の名称と新車両が決定しました!!
https://www.city.fuk[...]
福岡市
2023-02-04
[94]
보도자료
"<<七隈線延伸事業>>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が令和5年3月27日に開業!!"
https://www.city.fuk[...]
福岡市交通局
2022-09-02
[95]
보도자료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の開業日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8-31
[96]
뉴스
福岡市の地下鉄七隈線、博多につながる…新路線開業で市南西部から空港へも便利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3-03-27
[97]
보도자료
3000A系車両 運行開始します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