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는 13.1km 길이의 노선으로, 13개의 역을 갖추고 있다. 메이노하마역에서 후쿠오카 공항역까지 운행하며, JR 지쿠히 선 및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 선과 직결 운행한다. 1000계, 2000계, 4000계 전동차가 운행되며, JR 큐슈 소속 차량도 지쿠히 선 직통 열차에 사용된다. 후쿠오카 공항역에서 사사구리선 하라마치역 또는 초자바루역까지 연장하는 구상이 검토되었으나, 채산성 문제로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시 지하철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나카스카와바타역에서 가이즈카역까지 7개 역을 잇는 4.7km 노선으로, 후쿠오카시 지하철 1호선과 직결 운행하며 1982년 개통 이후 후쿠오카 도심과 동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4000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 후쿠오카시 지하철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하시모토역에서 하카타역을 잇는 표준궤 복선 노선으로, 2005년 일부 개통 후 2023년 하카타역까지 연장되었고 향후 후쿠오카 공항 국제선 터미널까지의 연장이 검토되고 있다.
  • 후쿠오카 공항 - 후쿠오카 공항역
    후쿠오카 공항역은 1993년 개통한 후쿠오카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의 역으로, 후쿠오카 공항과 가장 가까우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갖추고 있다.
  • 후쿠오카 공항 - 일본항공 351편 공중 납치 사건
    일본항공 351편 공중 납치 사건은 1970년 일본 적군파 9명이 보잉 727기를 납치하여 김포국제공항으로 유도되었고, 중앙정보부의 위장 작전과 일본 정부의 협상으로 승객 석방 후 납치범들이 북한으로 향했으며, 이 사건에 사용된 항공기는 요도호로 불리다 2016년 해체되었다.
  • 198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북전주선
    북전주선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1.7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1981년 전라선 이설로 분리되었으며, 동산역과 북전주역을 잇고 표준궤를 사용하며 전철화 및 복선화는 되어 있지 않다.
  • 198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사카 메트로 난코 포트타운선
    오사카 메트로 난코 포트타운선은 오사카시를 운행하는 7.9km의 자동 안내 궤도 교통 노선이며, 일본에서 두 번째로 AGT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다가 사고로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OTS 뉴트램 테크노포트선과의 직결 운행, 무인 운전 재개,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로의 운영 이관 등의 변화를 거쳤다.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공항선
다른 이름공항선
원어 이름空港線
원어 이름 (로마자)Kūkō-sen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 시스템후쿠오카 시 지하철
노선 상태운영 중
노선 위치후쿠오카 시, 후쿠오카 현
기점메이노하마 역
종점후쿠오카 공항역
역 개수13개
개업일1981년 7월 26일
폐업일해당 없음
소유자후쿠오카 시 교통국
운영자후쿠오카 시 교통국
사용 차량1000계, 2000계 등
차량 기지메이노하마 차량 기지
노선 길이13.1km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75km/h
노선 번호1호선
지도 정보
2000계 전동차
2000계 열차
기술 정보
선로 수복선
신호 방식ATC / ATO
기타 정보
전보 약호해당 없음

2. 노선 데이터


  • 관할 (사업 종류): 후쿠오카시 교통국 (제1종 철도사업자)
  • 노선 거리 (영업 킬로): 13.1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13개 역 (기·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전 노선
  • 전철화 구간: 전 노선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차내 신호 방식
  • 최고 속도: 75km/h
  • 차량기지: 메이노하마 차량기지
  • 지상 구간: 메이노하마역 - 무로미역

3. 운행 형태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은 후쿠오카시 서부 니시구메이노하마역에서 메이지 거리 지하를 지나 후쿠오카시 중심부를 거쳐, 하카타구 가와바타에서 하카타역 바로 아래를 경유하고, 국도 3호선 지하를 거쳐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 터미널 건물 지하까지 연결되는 노선이다. 메이노하마, 니시진, 덴진, 나카스, 하카타, 후쿠오카 공항 등 후쿠오카시의 주요 지점을 연결하며 동서를 잇는다.

큐슈여객철도(JR큐슈) 지쿠히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하고 있으며,[42] 폐선된 지쿠히선 하카타 역 ~ 메이노하마 역 구간을 대체하는 역할도 한다. 공항선 메이노하마 역 ~ 하카타 역 구간을 통과하여 JR선을 이용하는 경우 통과 연락 운수가 설정되어 있다.

1984년부터 일본 지하철 최초로 원맨 운전(1인 승무)이 시작되었으며, 모든 열차에서 ATO 자동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43]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44] 공항선 스크린도어는 하코자키 선, 나나쿠마 선보다 넓게 제작되었는데, 이는 과거 수동 운전이었던 103계 운행의 흔적이다.[45]

후쿠오카 공항역 ~ 메이노하마 역 구간은 약 7~8분 간격[47], 나카스카와바타 역 ~ 니시진 역(아침 및 저녁에는 메이노하마 역) 구간은 약 3~5분 간격[48]으로 운행된다.

3. 1. 운행 형태 상세 (2023년 3월 기준)

메이노하마역 - 후쿠오카 공항역 구간을 반복 운행하는 열차 외에, 메이노하마역에서 JR 지쿠히선직결 운행하는 열차와 나카스카와바타역에서 하코자키선과 직결 운행하는 열차도 운행된다.[46] 2015년부터는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1인 승무)을 한다.

2023년 3월 기준 운행 형태는 다음과 같다.

  • 노선 내 열차 (메이노하마역 - 후쿠오카 공항역 간)
  • 공항선 내에서 대략 1시간에 4편 운행된다. 지쿠히선 직통 열차와 대략 교대로 운행된다.[16]
  • 기본적으로 전 구간을 운행하지만, 메이노하마 발 막차만 하카타역이 종착역이다.[15]
  • 니시진역이나 나카스카와바타역 등에서 회차하는 열차는 없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차량만으로 운행되는 것이 원칙이다. (열차 운행이 혼잡할 때 제외)

  • 지쿠히선 직통 열차
  • 공항선 내에서 대략 1시간에 4편 운행된다.
  • 낮에는 4편 모두 지쿠젠마에바루역 - 후쿠오카 공항역 간으로 운행된다. 이 중 2편은 지쿠젠마에바루역에서 가라쓰시 방면 발착 열차와 맞이방 환승 형태로 연결된다.[16]
  • 첫차·막차는 지쿠젠마에바루역 발착이며, 공항선의 첫차·막차도 겸한다.
  • 니시카라쓰역 발착 (일부는 가라쓰역 발착) 열차가 아침 저녁 시간대에 있다.
  • 평일에 한해 지쿠젠후카에역 발착 열차도 상하 1편 있다.
  • 지쿠젠후카에역·가라쓰역·니시카라쓰역 발착 열차는 JR 큐슈 차량만으로, 지쿠젠마에바루역 발착 열차는 JR 큐슈·후쿠오카시 교통국 양쪽 차량이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다.
  • 예외: 후쿠오카시 교통국 차량이 JR 큐슈 차량 운용을 대행하는 경우가 있지만, 지쿠젠마에바루역 서쪽으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메이노하마역에서 차량 교환)
  • 가라쓰역·니시카라쓰역 발착 쾌속 열차는 지하철 구간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쾌속 열차는 평일, 토요일·일요일·공휴일 모두 5왕복)
  • 2021년 시간표 개정으로 하카타 발 지쿠젠마에바루행 열차가 신설되었다.

  • 하코자키선 직통 열차
  • 하코자키선 열차의 절반 정도 (대략 1시간에 4편)가 공항선으로 환승한다.[14][17]
  • 아침 저녁에는 가이즈카역 - 나카스카와바타역 - 메이노하마역 간으로, 낮에는 가이즈카역 - 나카스카와바타역 - 니시진역 간으로 운행된다.[17]
  • 하카타역, 후쿠오카 공항역 등은 경유하지 않는다.
  • 하코자키선과 지쿠히선 양쪽에 환승하는 열차는 없다.[14]
  • 후쿠오카시 교통국 차량만 직통하며, JR 큐슈 차량은 환승하지 않는다.

4. 차량

공항선을 달리는 열차는 모두 6량 고정 편성이다. 1984년부터 일본 지하철 최초로 원맨 운전(1인 승무, 차장 없이 기관사만 승무)이 시작되었으며, 모든 열차에서 ATO 자동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단, 2015년까지 운행되었던 103계 1500번대[43]는 제외)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전 역에 스크린도어(미쓰비시 전기 제작[44])를 설치하였다. 하코자키 선과 나나쿠마 선 스크린도어의 문 폭(2,100mm)보다 넓은 2,600mm 폭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과거 수동 운전 방식의 103계가 운행했었기 때문이다.[45]

차량은 크게 후쿠오카시 교통국 소속 차량과 큐슈여객철도(JR 큐슈) 소속 차량으로 나뉜다.

4. 1. 후쿠오카 시 교통국 소속

1000계


2000계


2021년 12월의 1000계


2021년 12월의 2000계


공항선을 운행하는 열차는 모두 6량 고정 편성이다. 후쿠오카 시 교통국 소속 차량은 24개 편성 144량으로, 하코자키선과 공용으로 사용된다.

  • 1000N계 - 1981년 개업 당시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한 1000계를 1997년부터 2004년에 걸쳐 차체 및 설비 갱신을 실시하여 개량한 차량이다. 18개 편성 108량이 있다.
  • 2000N계 - 1992년 영업 운전을 시작한 2000계를 2021년부터 2023년에 걸쳐 각 부분의 갱신을 실시하여 개량한 차량이다. 6개 편성 36량이 있다.
  • 4000계 - 2024년 11월 29일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기존 1000N계의 교체를 목적으로 도입했다.[18][19][20]


모두 지하철선 내에서만 운행하며, JR 지쿠히선(메이노하마 - 지쿠젠마에바루 간)과의 직통 운전에도 사용된다.

4. 2. JR 큐슈 소속 (직통 운행 전용)

JR 규슈 303계와 JR 규슈 305계는 치쿠히선과의 직통 운행에만 사용되며, 지하철 내에서는 운행하지 않는다.[21]

JR 규슈 303계


JR 규슈 305계


과거에는 103-1500계(1982년 이후), 303계(2000년 이후), 305계(2015년 이후)가 운행되었다.

2015년 2월부터 치쿠히선과의 직통 운행을 위해 6량 편성의 신형 305계 전동차 6개 편성이 투입되었다.[1]

2019년 1월, 103-1500계 열차


2019년 1월, 305계 열차


차종운행 개시일편성 수차량 수
303계2000년 1월 22일3개 편성18량
305계2015년 2월 5일6개 편성36량



JR 큐슈의 차량에는 차내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21]

4. 3. 과거 운행 차량 (JR 큐슈 소속, 직통 운행 전용)

후쿠오카 공항 연장 당시의 후쿠오카 공항행 103계 방향막 (1996년)


103계 1500번대는 1983년 3월 22일, 치쿠히 선과의 직통 운전 개시와 함께 운용을 시작했다. 2015년 3월에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3량 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의 일부가 치쿠히 선의 치쿠젠마에바루역 - 니시카라츠역 구간에서만 운행하고 있다.[1]

5. 역사

공항선은 일본에서 유일하게 공항까지 직접 연결되는 지하철 노선이다.[39] 후쿠오카 공항은 후쿠오카시 중심부인 하카타, 덴진 지구와 가까웠지만, 지하철 개통 전에는 버스나 택시 외에는 이동 수단이 없어서 실제 거리는 가깝지만 이동 시간은 많이 소요되는 공항으로 인식되었다. 1965년 이후로는 도로 교통량이 증가하여 교통 정체가 발생했고, 하카타역에서 후쿠오카 공항까지 택시로 40~50분이 소요되기도 하였다.[4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1년 3월, 도시교통심의회는 "후쿠오카시 및 기타큐슈시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 규슈 도시권의 여객 수송력 정비 증강에 관한 기본적 계획에 대하여"(답신 제12호)[41]를 운수 대신에게 답신하고, 공항선을 포함한 후쿠오카 도시 고속 철도 노선 건설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하였다.[40]

큐슈여객철도(JR큐슈) 지쿠히 선과 상호 직결 운행이 이루어지며, 폐선된 지쿠히 선 하카타 역 ~ 메이노하마 역 구간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공항선 메이노하마 역 ~ 하카타 역 구간을 통과하여 JR선에 승차하는 경우의 통과 연락 운수가 설정되어 있다.[42]

개통 4년째인 1984년부터 지하철 중에서는 일본 최초로 원맨 운전(1인 승무)이 개시되었으며, 모든 열차에서 ATO 자동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43]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스크린도어(미쓰비시 전기 제작[44])를 전 역에 설치하였다. 공항선 스크린도어의 문 폭은 2,600mm로, 하코자키 선과 나나쿠마 선 역의 스크린도어 문 폭(2,100mm)보다 넓다. 이는 예전에 수동 운전인 103계가 이 노선에 운행했었기 때문이다.[45]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1971년 3월도시교통심의회, "후쿠오카시 및 기타큐슈시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 규슈 도시권의 여객 수송력 정비 증강에 관한 기본 계획에 대하여"(답신 제12호) 운수 대신에게 답신[6]
1974년 8월 22일메이노하마 - 하카타 간 지방철도 면허 획득[22]
1980년 7월 19일개업 전 시운전 시작식 오호리 공원역에서 실시[23]
1981년 7월 26일무로미 ~ 덴진 구간 개통[22]
1982년 4월 20일덴진 ~ 나카스카와바타 구간 개통[22], 2호선(현재의 하코자키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83년 3월 22일메이노하마 ~ 무로미 구간, 나카스카와바타 ~ 하카타(임시) 구간 개통[22], 일본국유철도(당시) 지쿠히 선과 직결 운행 개시, 지쿠히선 하카타 ~ 메이노하마 구간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 역할(통과 연락 운송 설정)
1984년 1월 20일일본 최초 지하철 원맨 운전 개시
1985년 2월후쿠오카시 의회 도시 교통 대책 특별 위원회, 공항선 노선 계획 초안 승인[6]
1985년 3월 3일하카타 역(본역) 완공 및 영업 개시[22], 하카타 역(가역) 폐지
1986년 8월운수성에 하카타 - 후쿠오카 공항 간 철도 사업 면허 신청
1986년 10월 13일하카타 - 후쿠오카 공항 간 철도 사업 면허 취득[22]
1987년 3월하카타 - 후쿠오카 공항 간 공사 시행 인가
1987년 4월 1일국철 분할 민영화로 직통 상대인 지쿠히선이 큐슈여객철도(JR 큐슈)에 승계
1987년 9월 13일하카타 역 - 후쿠오카 공항 역 간 건설 착공[24]
1988년 5월 11일하카타 - 후쿠오카 공항 간 건설 전면 착공[24]
1993년 3월 3일하카타 ~ 후쿠오카 공항 구간 개통[22], 1호선에 공항선 애칭 부여
2002년 3월 23일막차 시간 연장(후쿠오카 공항 발 23:29→0:00), 지쿠히선 직통 구간 지쿠젠후카에 역까지 연장
2004년 3월 13일스크린도어 전 역 설치 완료
2005년 2월 3일나나쿠마선 하시모토 역 - 텐진미나미역 간 개통, 공항선 텐진 역과 나나쿠마선 텐진미나미 역 간 개찰구 밖 환승역 지정
2009년 3월 7일IC 카드 하야카켄 전 역 도입
2009년 4월 1일나카스카와바타 역 업무 위탁[25]
2011년 3월 2일하코자키선, 나나쿠마선과 함께 전 역 역 넘버링 표시[26][27]
2020년 4월 1일무로미 역, 후지사키 역 업무 위탁, 역 업무 민간 위탁 완료(메이노하마 역, 텐진 역, 하카타 역은 직영역 유지)[29][25]
2023년 3월 27일나나쿠마선 텐진미나미 역 - 하카타 역 간 연장 개통, 하카타 역 공항선-나나쿠마선 개찰구 내 환승역 전환, 공항선 텐진 역-나나쿠마선 텐진미나미 역 개찰구 밖 환승 폐지[30]
2024년 11월 29일4000계 전동차 영업 운전 개시[18]


6. 역 목록

큐슈 여객 철도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본선사사구리선 (후쿠호쿠유타카선) (00)
서일본 여객 철도 산요 신칸센하카타미나미선하카타 헌상 무늬K12히가시히에역1.211.0 「히」를 도안화한 항아리K13후쿠오카 공항역2.113.1 비행기와 하늘


7. 연장 구상

공항선은 후쿠오카 공항역에서 동쪽으로 연장하여 공항 북동쪽에 있는 JR 큐슈 사사구리선 (후쿠호쿠 유타카선)의 하라마치역 또는 초자바루역에서 해당 노선으로 직통 운전을 실시하는 구상이 있다. 이것이 실현되면 해당 구간의 소요 시간이 15~23분 단축되어, 하라마치역이나 초자바루역이 있는 카스야정, 그리고 지쿠호 본선 (후쿠호쿠 유타카선)의 노가타역까지 공항행 직행 열차가 운행되는 이즈카시노가타시지쿠호 지역으로부터 후쿠오카 공항 및 텐진 지역, 나아가서는 지쿠히 선 연선으로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만, 후쿠호쿠 유타카선은 교류 전철화이기 때문에, 현행 설비로는 직류 전철화된 후쿠오카시 지하철이나 지쿠히선과 직통할 수 없으며, 단선이기 때문에 선로 용량도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이 구상에 대해서는 2021년에 후쿠오카현이 기초 조사를 실시했으며, 2022년에 결과가 공표되었다.[36]

참조

[1] 웹사이트 JR九州 筑肥線に305系通勤型直流電車投入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4-08-01
[2]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02-07
[3]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元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02-04
[4] 문서 祇園駅 - 博多駅間が循環線の博多駅前 - 祇園町間、姪浜駅 - 祇園駅間が呉服町線の祇園町 - 呉服町間と貫線の呉服町 - 天神 - 西新 - 姪の浜間。貫線と呉服町線が1975年(昭和50年)11月2日、循環線が1979年(昭和54年)2月11日にそれぞれ全線廃止された。
[5] 문서 都営地下鉄浅草線も東京国際空港や成田国際空港へ直通しているが、それぞれ京浜急行電鉄、京成電鉄の路線に乗り入れる形で各空港へ直通している。
[6] 서적 トンネルと地下 土木工学社
[7] 웹사이트 福岡市および北九州市を中心とする北部九州都市圏における旅客輸送力の整備増強に関する基本的計画について https://subway.city.[...] 都市交通審議会 1971-03-11
[8] 문서 JR線と直通運転を行っている公営以外の地下鉄路線では、大手私鉄である東京地下鉄(東京メトロ)の東京メトロ東西線|東西線が中央・総武緩行線と、東京メトロ千代田線|千代田線が常磐緩行線と相互直通運転を行っている。
[9] 문서 地下鉄空港線内は基本的にATOを使用して自動運転しているが、稀にATOを使用せずに手動で運転することもある。筑肥線内は全区間で手動運転を行う。また、2015年(平成27年)までJR九州から乗り入れていた国鉄103系電車|103系1500番台を使用する列車では地下鉄空港線内でも運転士・車掌が乗務し、手動で運行していた。なお、福岡市交通局に職制としての車掌は存在しない。すなわち、車掌業務を専門に担当する職員はいないため、この場合は、通常運転士として勤務している職員が運転業務を行う職員とは別に乗務して車掌業務を行っていた。
[10] 웹사이트 法人のお客様 地域ビジネス活動 地域の導入事例|福岡市交通局様 可動式ホーム柵 http://www.mitsubish[...] 三菱電機 2015-02-15
[11] 간행물 "第4回 ホームドアの整備促進等に関する検討会」の結果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 2011-05-25
[12]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2009
[13]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2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07-09
[14]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四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7
[15] 웹사이트 姪浜駅時刻表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3-13
[16] 웹사이트 福岡空港駅時刻表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3-13
[17] 웹사이트 貝塚駅時刻表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3-13
[18] 웹사이트 地下鉄 空港線・箱崎線 新型車両4000系 運行開始日決定!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4-11-15
[19] 보도자료 地下鉄空港線・箱崎線 新しい車両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2
[20] 뉴스 福岡市地下鉄空港線・箱崎線の新型車両4000系を報道公開 https://news.mynavi.[...] 2024-11-03
[21] 문서 303系は製造当初はトイレが設置されていなかったが2003年より設置された。地下鉄線内で運用される車両にトイレが設置されるのは全国初であった。
[22]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3]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1980-10
[24] 서적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元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5]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二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26]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3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02-04
[27] 웹사이트 駅ナンバリング(駅番号制)の導入につい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10-10-01
[28] 보도자료 駅ナンバリング表示作業のお知らせ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1-01-24
[29]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の駅業務 90%超を民間委託化へ!!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30] 웹사이트 のりかえ駅変更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subway.city.[...] 福岡市地下鉄
[31] 문서 ただし、博多駅の七隈線改札口は委託。
[32] 웹사이트 第1 交通局の概要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4-08-30
[33] PDF 入札結果表(天神)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8
[34] PDF 入札結果表(貝塚)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8
[35] PDF 入札結果表(博多)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8
[36] 간행물 福岡市地下鉄空港線とJR福北ゆたか線の接続に関する基礎調査について https://www.pref.fuk[...] 후쿠오카현 2022-10-15
[37] 문서
[38] 웹사이트 福岡地下鉄空港線延伸、調査結果を読み解く。福北ゆたか線へ直通乗り入れを構想 https://tabiris.com/[...] タビリス 2022-07-13
[39] 문서
[40] 서적 トンネルと地下 토목공학사 1987-05
[41] 웹인용 参考資料1「福岡市及び北九州市を中心とする北部九州都市圏における旅客輸送力の整備増強に関する基本的計画について」(昭和46年3月11日 都市交通審議会 答申第12号) https://subway.city.[...] 2019-01-01
[42] 문서
[43] 문서
[44] 웹인용 福岡市交通局様 可動式ホーム柵 駅プラットホームを安全・快適な空間にします http://www.mitsubish[...] 미쓰비시 전기 2019-01-02
[45] 웹인용 「第4回 ホームドアの整備促進等に関する検討会」の結果について http://www.mlit.go.j[...] 국토교통성 철도국 2019-01-02
[46] 웹인용 福岡市高速鉄道事業概要 平成24年 第5 営業 https://subway.city.[...] 후쿠오카시 교통국 2019-01-03
[47] 웹인용 福岡空港駅時刻表(姪浜・唐津方面 平日) https://subway.city.[...] 후쿠오카시 교통국 2019-01-03
[48] 웹인용 中洲川端駅時刻表(姪浜・唐津方面 平日) https://subway.city.[...] 후쿠오카시 교통국 2019-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