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팡가주는 필리핀 중앙 루손 지역에 위치한 주로, 타를락주, 누에바에시하주, 불라칸주, 바탄주, 삼발레스주와 접한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팜팡가는 중앙 루손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1571년 주로 재편성되었다.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며, 쌀, 옥수수, 사탕수수, 틸라피아 등을 생산한다. 팜팡가는 필리핀의 "음식 수도"로 알려져 있으며, 요리와 수공예품,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의 랜턴이 유명하다. 클라크 국제공항과 고속도로를 통해 접근성이 좋으며, 앙헬레스 시와 산페르난도 시를 포함하여 20개의 군과 2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카팜팡안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이 주를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팜팡가주 - 클라크 공군기지 클라크 공군 기지는 필리핀 앙헬레스에 위치했던 미국의 공군 기지로서, 미 육군 항공대 기지로 시작해 냉전 시대와 한국, 베트남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91년 화산 폭발로 미군이 철수하고 클라크 국제공항으로 개발되었다가 2012년 미군 주둔이 재개되었다.
중앙루손 지방 - 아우로라주 아우로라주는 필리핀 루손 섬 동중부에 위치하며 케손 주와 역사적 관련이 깊고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일부를 포함하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타갈로그족과 일로카노족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지닌 8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주이다.
중앙루손 지방 - 누에바에시하주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 루손 섬 중앙부에 위치하며,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 시대를 거쳐 담배 재배 중심지로 성장했고, 쌀 생산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팜팡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상단, 좌측부터) 피나투보 산 분화구, 팜팡가 주청사, 아라야트 산과 앙헬레스의 홀리 로자리오 성당.
고대 팜팡가의 영토는 오늘날 타를락 주, 바탄 주, 삼발레스 주, 누에바에시하 주, 불라칸 주, 오로라 주와 톤도를 포함하여 중앙 루손 전체를 거의 덮었다.[3][4][5] 1571년 12월 11일, 스페인인들은 팜팡가를 주로 재편성했다. 라 프로빈시아 데 라 팜팡가에는 위에 언급된 지역(톤도 제외)과 함께 오로라, 케손 주(폴릴로 제도 포함), 리잘 주가 포함되었으며, 메트로 마닐라의 일부인 발렌수엘라도 포함되었다.[3]
1982년 국립 역사 연구소에서 제작하여 지방 청사에 설치된 이 지방을 기념하는 역사 표지판
스페인 당국은 더 나은 행정 및 과세 목적을 위해 팜팡가를 "푸에블로"로 세분화했고, 이는 더 나아가 구역(''바리오'')으로, 어떤 경우에는 왕실 및 사유 재산(''엔코미엔다'')으로 나뉘었다. 일부 ''엔코미엔데로스''의 과도한 남용으로 인해, 스페인 펠리페 2세는 1574년에 사유 재산의 추가 할당을 금지했지만, 이 법령은 1620년까지 완전히 시행되지 않았다. 1591년 6월 20일, 총독 고메즈 페레즈 다스마리냐스는 왕관에 라 팜팡가의 엔코미엔다, 즉 바탄, 베티스 이 루바오, 마카베베, 칸다바, 아팔리트, 칼룸피트, 말로로스, 빈토, 기귄토, 칼루야, 불라칸, 메카바얀이라고 보고했다. 그 당시 라 팜팡가의 엔코미엔다는 18,680개의 전체 조공을 가지고 있었다.
약 2,200 km2 면적에 15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팜팡가는 1873년에 현재의 경계가 그려졌다. 스페인 통치 시대에는 필리핀에서 가장 부유한 지방 중 하나였으며, 마닐라와 주변 지역은 주로 카팜팡간의 농업, 어업 및 임업 제품뿐만 아니라 숙련된 노동자의 공급에 의존했다.
17세기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팜팡가 출신 남성들을 왕립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에서 복무하는 용병으로 모집했다. 이들은 파팽거로 알려졌으며 더 큰 마르디케르 공동체의 일부였다.[7]
1754년 스페인 총독 페드로 마누엘 데 아란디아 산티스테반의 통치 하에 설립된 역사적인 바탄 주는 팜팡가 주에서 아부카이, 발랑가(현재 시), 디날루피한, 야나 에르모사, 오라니, 오리온, 필라, 사말을 흡수했다. 마닐라의 영국 점령기(1762–1764) 동안 바콜로르는 임시 스페인 식민지 수도이자 군사 기지가 되었다. 1700년대 말까지 팜팡가는 16,604개의 원주민 가족과 2,641개의 스페인계 필리핀인 가족,[9][10] 그리고 870개의 중국계 필리핀인 가족이 있었다.[9]
1848년 스페인 총독 나르시소 클라베리아 이 잘두아의 재임 기간 동안 알리아가, 카비아오, 가판, 산 안토니오, 산 이시드로의 옛 팜팡가 마을은 누에바에시하 주에 양도되었다. 팜팡가의 ''산 미겔 데 마유모'' 자치구는 같은 해 불라칸 주에 양도되었다.
1860년에 밤반, 카파스, 콘셉시온, 빅토리아, 타를락, 마발라캇, 마갈랑, 포락, 플로리다블랑카 등 북부 마을은 팜팡가에서 분리되어 ''코만단시아 밀리타르 데 타를락''이라는 군사 지휘부의 관할 하에 놓였다. 그러나 1873년에는 후자의 네 개 마을이 팜팡가로 반환되었고, 나머지 다섯 개는 새로 창설된 타를락 주의 자치구가 되었다.
2. 2. 일본 침략 시대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은 클락 공군 기지를 폭격하며 팜팡가주 침공을 시작했다. 1941년에서 1942년 사이에, 일본 점령군은 팜팡가주에 진입하기 시작했다.
1942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 점령 하의 반란 진압 기간 동안, 카팜팡간 게릴라 전사들과 후크발라하프 공산 게릴라들은 팜팡가주에서 함께 싸우며, 3년 이상 교전과 침략 동안 일본 제국군을 공격하고 후퇴시켰다.
필리핀 연방 육군의 군사 본부와 군사 기지 설립은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필리핀 헌병대는 1935년부터 1942년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1946년까지 팜팡가주에서 활동했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루손 중부에서 있었던 대(對)일본 제국 군사 작전에서, 바탄주, 불라칸주, 북 타야바스주(현재의 오로라주), 누에바에시하주, 팜팡가주, 타르라크주, 삼발레스주에서 현지 게릴라 저항군과 후크발라하프 공산 게릴라들은 미군을 도와 일본 제국군과 싸웠다.
1945년 팜팡가주 해방 과정에서, 카팜팡간 게릴라 전사들과 후크발라하프 공산 게릴라들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팜팡가 전투에서 일본 제국군을 공격하는 필리핀과 미국 지상군 전투 부대를 지원했다. 필리핀 연방 육군 제2, 26, 3, 32, 33, 35, 36, 37 보병 사단과 필리핀 헌병대 제3 헌병 연대의 현지 군사 작전 병사들과 장교들은 팜팡가주를 탈환하고 해방했으며, 팜팡가 전투에서 일본 제국군에 맞서 싸웠다.
2. 3. 전후 시대
1950년 이후 팜팡가주 옛 문장
팜팡가주 기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팜팡가주에서는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후크발라합 반란 동안 필리핀 정부군과 후크발라합 공산 반군 간의 폭동과 갈등으로 인해 작전이 어려움을 겪었다.
1947년 군사 기지 협정에 따라[11] 필리핀은 클라크 공군 기지를 포함한 여러 미국 기지에 대해 미국에 99년 임대 기간을 부여했다.[12] 1966년의 후속 수정안을 통해 원래 협정의 99년 임대 기간이 25년으로 단축되었다.[13] 1979년 협정 갱신[14]으로 미국은 1991년 11월까지 클라크 공군 기지를 계속 운영할 수 있었으나,[15] 필리핀 상원은 필리핀 내 미국 기지 갱신 법안을 거부했다.[13]
2. 4. 마르코스 독재 시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마르코스 독재 정권 하에서 팜팡가는 수도와의 근접성과 클라크 공군 기지의 존재로 인해 사회적 격변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16][17] 1970년 1분기 폭풍 시위대는 클라크 기지를 비롯한 필리핀의 미국 기지를 미국의 식민 지배 지속 및 필리핀을 냉전에 끌어들이는 수단으로 간주하며 주요 문제로 삼았다.[18][17][19] 클라크 기지는 베트남 전쟁의 발진 기지로 활용되면서 더욱 비판을 받았다.[18][17][19]
1972년 9월 계엄령 선포와 함께 산페르난도 시의 올리바스 캠프는 구금자 지역 사령부(RECAD) I으로 지정되어 북부 및 중부 루손 출신의 정치범들을 수용했다.[20] 에디시오 데 라 토레,[21] 주디 타구이왈로,[22] 티나 파르가스,[23] 마리 힐라오-엔리케스,[24] 버나드-아단 에분[25] 등이 이곳에 수감되었다. 조안나와 호세피나 카리뇨 자매,[26] 로물로와 아르만도 팔라베이 형제,[20] 아브라 출신의 마리아노 기너 주니어[20] 등은 고문을 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치코 강 댐 프로젝트에 반대한 칼링가족과 본톡족 지도자 약 50명도 체포되어 올리바스 캠프로 이송되었는데, 특히 부트부트 부족 지도자 맥리잉 둘라그가 포함되었다.[27]
니노이 아키노 암살 이후 시위 운동에 참여한 펩피토 데헤란, 롤란도 카스트로, 리토 카브레라는 마르코스 민병대에 의해 공격, 납치, 고문당했다. 데헤란은 살아남았지만 병원에서 신원불명의 공격자에게 칼에 찔렸다.[28]
제니퍼 카리뇨, 팔라베이 형제, 맥리잉 둘라그, 카스트로, 카브레라, 데헤란은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의 추모 벽에 이름이 새겨져 독재에 맞서 싸운 순교자와 영웅으로 추모받고 있다.[29]
2. 5. 피나투보 산 분화 및 클라크 공군 기지 폐쇄
1991년 6월 15일 피나투보산의 폭발로 수많은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으며, 거대한 라하르 범람으로 마을 전체가 침수되었다. 이는 정부의 대규모 재난 대비 태세 발전을 이끌었다.[13]피플 파워 혁명 이후 팜팡가 주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 중 하나는 피나투보산 폭발이다.[13]
1991년 11월 필리핀 상원에서 미국과의 필리핀 기지 조약 갱신을 거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클라크 공군 기지의 폐쇄가 가속화되었고, 이후 클라크 자유 무역 및 경제 특별구역이 조성되었다.[13]
2. 6. 클라크 자유 무역 및 경제 특별구역 조성
1992년, 기지 전환 및 개발법(공화국 법률 7227)이 서명되어 대통령에게 팜팡가주 앙헬레스 시, 마발라캇, 포락, 타를락주 카파스를 포함하는 클라크 지역의 군사 구역을 특별 경제 구역으로 전환하는 법령을 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 법안은 전환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지 전환 및 개발청 (BCDA)을 설립했다.[30] 1993년 4월 3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은 클라크 특별 경제 구역(CSEZ)을 창설하고 해당 지역의 관리를 BCDA로 이관하는 포고령 제163호를 발령했다. 이 포고령에는 클라크 공군 기지와 군사적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클라크 반환 기지 일부가 CSEZ에 포함되었다.[31] 1996년 6월 14일, 라모스 대통령의 포고령 제805호를 통해 CSEZ는 팜팡가주 마발라캇과 반반, 타를락의 토지를 포함하는 사코비아 지역이 추가되면서 확장되었다.[31]
클라크 공군 기지 지역은 이후 자유 무역 지대로 선포되었고, 2007년 공화국 법률 9400호를 통해 특별 경제 구역에서 분리되었다.[32] 이후 자유 무역 지대와 클라크 특별 경제 구역은 별도의 구역으로 간주되었지만, 통칭하여 "클라크 자유 무역 지대 및 특별 경제 구역"이라고 불린다.
3. 지리
팜팡가는 총 면적이 2,002.20km²로, 중앙 루손 지역의 남중앙부를 차지한다. 앙헬레스 시를 지리적 목적으로 포함할 경우, 팜팡가 주의 면적은 2,062.47km²이다. 팜팡가 주는 북쪽으로 타를락 주, 북동쪽으로 누에바에시하 주, 동쪽으로 불라칸 주, 남중앙으로 마닐라 만, 남서쪽으로 바탄 주, 북서쪽으로 삼발레스 주와 접한다.
지형은 비교적 평탄하며, 아라얏 산이라는 뚜렷한 산과 주목할 만한 팜팡가 강이 있다. 팜팡가 주 자치단체 중 포락의 면적이 314km²로 가장 넓고, 칸다바가 176km²로 두 번째로 넓으며, 플로리다블랑카가 175km²로 그 뒤를 잇는다. 산토토마스는 면적이 21km²에 불과하여 가장 작다.
==== 기후 ====
팜팡가 주는 우기와 건기의 두 가지 뚜렷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35] 우기는 보통 5월에 시작하여 10월까지 이어지며, 나머지 기간은 건기이다.[35] 연중 가장 더운 시기는 3월과 4월 사이이며, 가장 추운 시기는 12월부터 2월까지이다.[35] 팜팡가 주에서는 우기가 6월부터 10월까지이며, 건기는 11월부터 4월까지이다.[35]
3. 1. 기후
팜팡가 주는 우기와 건기의 두 가지 뚜렷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35] 우기는 보통 5월에 시작하여 10월까지 이어지며, 나머지 기간은 건기이다.[35] 연중 가장 더운 시기는 3월과 4월 사이이며, 가장 추운 시기는 12월부터 2월까지이다.[35] 팜팡가 주에서는 우기가 6월부터 10월까지이며, 건기는 11월부터 4월까지이다.[35]
팜팡가는 19개의 지방 자치체와 3개의 도시 (2개는 고도로 도시화되었고 1개는 구성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주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서쪽 부분에는 포락, 플로리다블랑카 지방 자치체, 마발라카트 구성 도시, 앙헬레스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가 포함된다. 중앙 부분은 마갈랑, 아라얏, 멕시코, 산타 아나, 바콜로르, 산타 리타, 구아구아, 루바오, 사스무안 지방 자치체와 산 페르난도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구성된다. 동쪽 부분은 칸다바, 산 루이스, 산토 토마스, 산 시몬, 미날린, 아팔리트, 마카베베, 마산톨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 팜팡가 주의 인구는 2,437,709명이며,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1,200명이다. 앙헬레스 시를 지리적 목적으로 포함할 경우 인구는 2,900,637명이며,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1,300명이다.
팜팡가 주의 원주민은 일반적으로 카팜팡간족(Kapampangans)이라고 불린다. 타갈로그족은 불라칸 주, 누에바에시하 주, 바탄 주와의 경계 지역에 거주하며, 이들은 대부분 해당 주에서 이주해 온 정착민의 후손이며, 일부는 아우로라 주에서 왔다. 메트로 마닐라와 남쪽으로 인접해 있어 더 먼 지역의 사람들이 팜팡가 주로 이주하여, 비콜족, 일로카노족, 힐리가이논족, 팡가시난족 및 비사야족의 소수 인구가 발생했으며, 이들은 주로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
== 언어 ==
팜팡가주 전체 인구는 카팜팡안어를 사용하며, 이는 삼발어군과 함께 중앙 루손어군에 속한다. 타갈로그어는 일반적으로 불라칸, 누에바에시하, 바탄을 접경하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영어와 타갈로그어는 부차적인 언어로 사용된다. 삼발어 화자는 팜팡가주, 특히 잠발레스주와 경계를 접한 지역에 소수 존재한다.
== 종교 ==
마발라캇의 은총의 성모 성당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메르세드 데 피나크 (팜팡가의 부수적인 수호 성인)
팜팡가주는 많은 종교 단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로마 가톨릭이 주를 이룬다(88.92%). 이슬람 (0.017%)도 주로 민다나오 출신 이주민들에 의해 팜팡가주에 존재하며, 소수의 필리핀 화교에 의해 불교도 소수 존재한다.
이 지역의 가장 큰 다수 종교(5.14~7.5%)이며, 교회 역사상 최초의 교구이다. 현재 행정 목사인 에두아르도 V. 마날로 형제 시대에 이 지역은 여러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지역과 함께 5개 구역으로 성장했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른 주요 기독교 종교 단체로는 복음주의 (1.34%), 아글리파얀 교회 (0.60%), 예수는 주 교회 (0.48%), 침례교 (0.39%), 여호와의 증인 (0.27%), 그리스도 교회 (0.23%),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 교회 (0.22%),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0.18%)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수가 존재한다.
5. 1. 언어
팜팡가주 전체 인구는 카팜팡안어를 사용하며, 이는 삼발어군과 함께 중앙 루손어군에 속한다. 타갈로그어는 일반적으로 불라칸, 누에바에시하, 바탄을 접경하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영어와 타갈로그어는 부차적인 언어로 사용된다. 삼발어 화자는 팜팡가주, 특히 잠발레스주와 경계를 접한 지역에 소수 존재한다.
5. 2. 종교
]]
팜팡가주는 많은 종교 단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로마 가톨릭이 주를 이룬다(88.92%). 이슬람 (0.017%)도 주로 민다나오 출신 이주민들에 의해 팜팡가주에 존재하며, 소수의 필리핀 화교에 의해 불교도 소수 존재한다.
이 지역의 가장 큰 다수 종교(5.14~7.5%)이며, 교회 역사상 최초의 교구이다. 현재 행정 목사인 에두아르도 V. 마날로 형제 시대에 이 지역은 여러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지역과 함께 5개 구역으로 성장했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른 주요 기독교 종교 단체로는 복음주의 (1.34%), 아글리파얀 교회 (0.60%), 예수는 주 교회 (0.48%), 침례교 (0.39%), 여호와의 증인 (0.27%), 그리스도 교회 (0.23%),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 교회 (0.22%),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0.18%)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수가 존재한다.
6. 경제
농업과 어업은 팜팡가주의 두 가지 주요 산업이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쌀, 옥수수, 사탕수수, 틸라피아가 있다.[65] 팜팡가주는 2015년에 214,210.12톤의 틸라피아를 생산하여 필리핀의 틸라피아 수도로 불린다.[65] 농업과 어업 외에도 목공, 가구 제작, 기타, 수공예품을 전문으로 하는 수공예 산업이 발달했다.[65] 특히 산페르난도는 매 크리스마스 시즌에 ''파롤''이라는 수제 조명 랜턴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이 발달했다.[65] 다른 산업으로는 관 제조 산업과 산토 토마스 시의 다목적 차량 제조가 있다.[65]
팜팡가주는 정교한 요리 솜씨로 유명하며, 필리핀의 "음식 수도"라고 불린다. 2024년 12월, 상원은 팜팡가주를 필리핀의 요리 수도로 선포했다.[36]상원은 상원 의원 마크 빌라르, 로렌 레가르다, 리토 라피드가 발의한 상원 법안 2797을 3독회에서 승인했다. 하원에서도 해당 법안이 승인되었다.[37]
팜팡가인들은 요리 창작물로 잘 알려져 있다. Roel's Meat Products, Pampanga's Best, Mekeni Food는 돼지고기 및 닭고기 토시노, 쇠고기 타파, 핫도그, 롱가니자, 초리소와 같은 팜팡가 요리를 생산하는 유명 육류 브랜드이다.[65]
시아파오, 판데살, 투통, 레촌과 그 사르사(소스)는 이 지역의 인기 특선 요리이다.[65] ''베투테 투가크''(속을 채운 개구리), ''카마루''(두더지 귀뚜라미), ''불랑랑''(구아바 주스로 조리한 돼지고기), ''레촌 카왈리'', ''브링헤''는 팜팡가 축제의 주요 음식이다.[65]
파스틸라스, 투론 데 카수이, 부로와 같은 토착 과자 및 별미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65] 멕시코 팜팡가의 ''파네실로스 데 산 니콜라스'' 쿠키는 릴리안 보로메오가 쿠시낭 마투아에서 만들어 유명해졌다.[38][39] 이 쿠키는 화살뿌리, 설탕, 코코넛 밀크, 버터로 만들어지며, 산 니콜라스 톨렌티노 축일에 가톨릭 교구에서 축복을 받는다.[40]
관광 산업은 팜팡가주에서 성장하는 산업이다. 클라크 국제공항은 필리핀의 미래 주요 관문으로 지정된 곳이다. 클라크 특별 경제 구역 내에는 호텔과 리조트가 잘 정비되어 있다. 인기 관광지로는 아팔리트의 성 베드로 신사, 아라얏산, 산 페르난도 시의 파스쿠한 빌리지, 앙헬레스의 카지노 필리피노, 클라크의 "파라다이스 랜치 및 주코비아 펀 동물원"이 있다. 연례 행사로는 12월의 자이언트 랜턴 축제, 2월의 열기구 축제, 4월의 산 페드로 쿠투드 사순절 의식, 새해 첫날 오후에 기념하는 미날린의 아구만 산두크가 있다.[65]
7. 교통
팜팡가주는 루손 중부의 교차로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어 항공 및 육로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 지역에는 두 개의 활주로가 있는데, 플로리다블랑카(Floridablanca)에 위치한 바사 공군 기지는 군에서 사용하며, 클라크 경제자유구역(Clark Freeport Zone)에 있는 클라크 국제공항이 있다. 팜팡가주에는 5개의 시립 항만이 있으며, 이들은 어획물 하역 센터의 역할을 한다. 이들은 구아구아, 마카베베, 마산톨, 미날린, 사스무안에 있다.
7. 1. 항공
7. 2. 육상 교통
팜팡가주로 가는 육상 교통은 고속도로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마닐라-바탄, 마닐라-잠발레스, 마닐라-타를락, 마닐라-누에바 에시하, 마닐라-불라칸-팜팡가, 마닐라-팜팡가-다구판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는 인근 지역 및 메트로 마닐라와의 연결 역할을 한다.
84km의 북 루손 고속도로(NLEX)는 메트로 마닐라 케손 시티의 발린타왁에서 마발라캇의 산타 이네스까지 뻗어 있다. 이 도로는 아팔리트, 산 시몬, 산토 토마스, 산 페르난도, 멕시코, 앙헬레스 시를 지나 마발라캇의 산타 이네스에서 끝난다.
94km의 4차선 수빅-클라크-타를락 고속도로(SCTEx)는 현재 필리핀에서 가장 긴 유료 고속도로이다. 남쪽 종점은 수빅 베이 자유 구역에 있으며, 클라크 자유 구역을 클라크 북쪽과 클라크 남쪽의 두 개의 인터체인지를 통해 통과한다. 이 고속도로는 마발라캇 인터체인지를 통해 북 루손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북쪽 종점은 타를락 시, 타를락의 센트럴 테크노 파크에 위치해 있다.
고속도로 외에도 국도도 팜팡가주를 통과한다. 두 개의 주요 국도인 맥아더 하이웨이(N2)와 호세 아바드 산토스 애비뉴(N3)가 팜팡가를 통과한다. 이차 및 삼차 국도와 지방 도로는 고속도로의 중추 역할을 보완한다.
8. 교육
팜팡가 주에는 앙헬레스 시의 AIE 칼리지, AMA 컴퓨터 칼리지(앙헬레스 및 산페르난도 시 소재), 앙헬레스 대학교 재단, 아시아 과학 기술 칼리지, 마발라캇 시 및 산페르난도 시에 위치한 아시아 컴퓨터 연구소, 앙헬레스 시티 칼리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교회 교육 시스템 신학교 및 종교 연구소 등이 있다.[44] 또한, 돈 호노리오 벤투라 주립 대학교는 바콜로, 칸다바, 루바오, 멕시코, 포락, 산토 토마스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홀리 엔젤 대학교(앙헬레스 시 소재), 마발라캇 시티 칼리지, 팜팡가 주립 농업 대학교(마갈랑 소재),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팜팡가 연장 프로그램(클락 자유 무역 지대)도 팜팡가 주에 위치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학교들이 팜팡가 주 전역에 걸쳐 운영되고 있다.[44]
오스카 삼손 로드리게스 - 정치인 및 변호사.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필리핀 팜팡가주 산페르난도 시장을 역임했다.
레이 아키노 - 정치인이자 외과 의사로, 산페르난도의 마지막 시장이자 도시가 된 후 첫 시장이었다.
에드윈 산티아고 - 정치인이자 전문 기계 공학자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팜팡가주 산페르난도 시장을 역임했다.
리토 라피드 - 배우, 정치인, 상원의원 (2004–2016; 2019–현재)
옌 구이아오 - 농구 헤드 코치, 정치인, 해설자 및 스포츠 위원. 그는 또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팜팡가 주 부지사였으며,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팜팡가 제1선거구 국회의원이었다.
루시아 쿠나난 - 필리핀과 전 세계 필리핀 디아스포라에서 인기 있는 팜팡가 요리인 시식을 발명하거나 재발명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요식업자.
래리 크루즈 - 필리핀에서 여러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LJC 레스토랑 그룹을 설립한 요식업자. 해당 그룹의 레스토랑으로는 아버지이자 작가인 E. 아귈라 크루즈의 이름을 딴 ''카페 아드리아티코'', ''카페 하바나'', ''비스트로 레메디오스'', ''아베'' 등이 있다.
아만도 G. 데이릿 - 전전(戰前) 칼럼니스트이자 언론인
올리 푼잘란 - 베테랑 라디오-TV 방송인이자 인터컨티넨탈 방송 공사(IBC-13) 전 사장으로, 아팔릿 출신
크리스틴 존슨 - 필리핀계 미국인으로, WCBS-TV의 공동 앵커, 클라크 공군 기지 출생.[57][58]
이반 마이리나 - 방송인, 언론인, 기자, 뉴스 앵커
제이 손자 - 블로거이자 전 뉴스 캐스터 및 토크쇼 진행자
카라 데이비드 - 언론인, 진행자, 교수, 교육 행정가
랜디 데이비드 - 사회학자, 공공 지식인, 필리핀 미디어 기업 ABS-CBN 코퍼레이션 이사
아우렐리오 톨렌티노 - 카티푸난의 창립 멤버이자 민족주의 극작가로, 구아구아 출생.
훌리안 마난살라 - 영화 스튜디오 설립자이자 감독. "필리핀 민족주의 영화의 아버지"라고 불림.
비센테 마난살라 - 필리핀 국립 예술가 시각 예술 - 회화 부문, 마카베베 출신.
안젤라 마난갈-글로리아 - 영문학 작품을 쓴 필리핀 선구적인 여성 시인, 구아구아 출생.
소일로 갈랑 - 영어를 사용한 필리핀 선구적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음.[59] 그는 1921년에 출판된 영어로 쓰여진 최초의 필리핀소설인 ''슬픔의 아이''의 저자이다.
소일로 일라리오 - 시인, 극작가, 변호사, 정치가이자 언어학자.
갈로 오캄포 - 모더니즘 화가
프란시스코 알론소 린손 - 극작가. 1896년 7월 1일 팜팡가주 빌라 데 바콜로 출생.
노르마 벨레자 - 화가
단톤 레모토 - 작가
페르난도 오캄포 - 건축가 및 토목 기사
알프레도 C. 산토스 - 필리핀 국립 과학자 (물리화학), 팜팡가 주 산토토마스 출신
프란시스코 발루요트 – 팜팡가 주의 구아구아에서 태어났으며, 1698년 사제 서품을 받은 최초의 인디오 사제로, 세부 대교구에 배정되어 장벽을 깼다.
루피노 지아오 산토스 – 팜팡가 주의 구아구아에서 태어났으며, 1953년부터 1973년까지 마닐라 대주교를 역임했다. 필리핀 최초의 추기경이다.
파블로 비르힐리오 다비드 – 팜팡가 주의 베티스, 구아구아에서 태어났으며, 칼루칸 로마 가톨릭 교구의 주교이자 열 번째 필리핀인 추기경이다.
페드로 파울로 산토스 – 팜팡가 주의 포락에서 태어났으며, 칼룰루트의 초대 본당 신부였으며, 앙헬레스 시의 본당 신부로 임명되었고, 1938년 누에바 카세레스의 주교로, 1951년에는 초대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플로렌티노 라바리아스 – 팜팡가 주의 마발라카트에서 태어났으며, 산페르난도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대주교이자 이바, 잠발레스 교구의 네 번째 주교였다.
호네스토 옹티오코 – 팜팡가 주의 산페르난도에서 태어났으며, 1998년 4월 8일부터 2003년 8월 28일까지 발랑가 로마 가톨릭 교구의 두 번째 주교였으며, 2003년 8월 28일부터 2024년 12월 3일까지 쿠바오 로마 가톨릭 교구의 초대 주교였다.
파시아노 아니세토 – 팜팡가 주의 산타 아나에서 태어났으며, 산페르난도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명예 대주교이자 이바, 잠발레스 교구의 두 번째 주교였다.
로베르토 말라리 – 팜팡가 주의 마카베베에서 태어났으며, 누에바 에시하 산호세 로마 가톨릭 교구의 주교이다.
빅토르 오캄포 – 팜팡가 주의 앙헬레스에서 태어났으며, 구마카 로마 가톨릭 교구의 주교이다.
크리소스토모 야룽 – 팜팡가 주의 앙헬레스에서 태어났으며, 안티폴로 로마 가톨릭 교구의 명예 주교로 2002년에 은퇴했다.
마르타 데 산 베르나르도 – 17세기 코레틴 가난한 클라라회 수녀로, 로마 가톨릭 수녀가 된 최초의 필리핀인 여성; 마카오에서 봉사했다.[60]
엘리세오 소리아노 – 앙 다팅 다안의 텔레반젤리스트이자 본부가 팜팡가 주의 아팔리트에 위치한 국제 하나님의 멤버 교회의 총괄 봉사자이다.
아폴로 C. 퀴볼로이 – 다바오 시에서 팜팡가 주의 루바오 출신 캄팡간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1985년 예수 그리스도 왕국이라는 기독교 종교 단체의 창시자이다. 스스로를 "하나님의 임명된 아들"이라고 선언하며 어린 시절을 부모의 고향에서 보낸 후 다바오로 돌아갔다.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9-16
[2]
웹사이트
PSA- Active Stats - PSGC Interactive - Region: REGION III (Central Luzon)
http://www.nscb.gov.[...]
2016-09-07
[3]
웹사이트
Tantingco: The Kapampangan in Us
2024-01-23
[4]
웹사이트
What is the Kapampangan Region?
http://marcnepo.blog[...] [5]
문서
The Language Shift from the Middle and Upper Middle-Class Families in the Kapampangan Speaking Region
https://www.language[...] [6]
웹사이트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Volume III, (1569–1576) Page 137
https://www.gutenber[...]
2023-10-23
[7]
서적
East of Bali: From Lombok to Timor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6-09-07
[8]
웹사이트
Opera Istana Citerep - KOMPAS.com
http://oase.kompas.c[...]
2011-07-06
[9]
웹사이트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2024-02-23
[10]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archive.org/[...] [11]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Concerning Military Bases
https://www.loc.gov/[...]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2017-12-16
[12]
웹사이트
Philippines : The Early Republic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7-12-16
[13]
뉴스
PHILIPPINE SENATE VOTES TO REJECT U.S. BASE RENEWAL
https://www.nytimes.[...]
2018-01-29
[14]
서적
Suspended Apocalypse: White Supremacy, Genocide, and the Filipino Condition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17-12-17
[15]
뉴스
After 89 Years, U.S. Lowers Flag at Clark Air Base
https://www.latimes.[...]
2011-03-12
[16]
웹사이트
Pampanga activists remember Martial Law
https://www.gmanetwo[...]
2024-03-29
[17]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8]
뉴스
First Quarter Storm Timeline
https://upd.edu.ph/w[...]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2024-03-29
[19]
문서
Waltzing With A Dictator
1987
[20]
웹사이트
Report of an Amnesty International Mission to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2 November–5 December 1975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Publications
1976
[21]
뉴스
Imprisoned Priest Begins Hunger Strike in Philippines
https://www.nytimes.[...]
2024-03-29
[22]
뉴스
Remembering martial law: Hope, then despair
https://newsinfo.inq[...]
2023-12-19
[23]
뉴스
Lessons from 50 years ago
https://philstarlife[...]
2023-12-19
[24]
뉴스
Marie Hilao-Enriquez: An Icon of Human Rights Activism in the Philippines
https://www.bulatlat[...]
2023-12-19
[25]
뉴스
'Wind of change'
https://businessmirr[...]
2023-12-19
[26]
뉴스
Joanna Cariño, an Ibaloi activist
https://nordis.net/2[...] [27]
간행물
The Chico River Basin Development Project: A Case Study of National Development Policy
http://116.50.242.17[...]
1980-04-22
[28]
웹사이트
Martyrs & Heroes: Deheran, Pepito
https://bantayogngmg[...]
2023-05-28
[29]
서적
Ang mamatay nang dahil sa 'yo: Heroes and martyrs of the Filipino people in the struggle against dictatorship, 1972-1986. volume 2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2016
[30]
웹사이트
Republic Act 7227: Bases Conversion and Development Act of 1992
http://www.chanroble[...]
Congress of the Philippines
2018-05-24
[31]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1035, s. 2006
http://www.officialg[...]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8-05-24
[32]
웹사이트
Republic Act 9400
https://www.lawphil.[...]
Congress of the Philippines
2018-05-24
[33]
뉴스
Why was Pampanga worse hit by quake than Zambales epicenter?
https://news.abs-cbn[...]
2019-04-23
[34]
뉴스
LOOK: Quake damages church, other structures in Pampanga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19-04-24
[35]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Pampanga,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1
[36]
뉴스
Pampanga declared PH 'Culinary Capital
https://www.sunstar.[...]
2024-12-10
[37]
뉴스
Senate declares Pampanga as 'Culinary Capital of the Philippines'
https://web.senate.g[...]
2024-12-10
[38]
웹사이트
clarkisitv2
https://web.archive.[...]
2016-09-07
[39]
웹사이트
The Gatekeeper To Kapampangan Cuisine Shares Her Secrets
https://www.yummy.ph[...]
2024-07-10
[40]
뉴스
These Buttery Cookies Are The Most Delicious Medicine on Earth
https://www.thedaily[...]
2017-06-26
[41]
뉴스
Candaba's Migratory Birds
2010-03-10
[42]
웹사이트
Province of Pampanga, A Profile of Region III
https://web.archive.[...]
2016-09-10
[43]
웹사이트
Provincial Government of Pampanga
http://www.pampanga.[...]
2016-09-10
[44]
웹사이트
CELTECH COLLEGE
http://www.clcst.edu[...]
2016-09-07
[45]
웹사이트
Justine Baltazar tows Pampanga G to top of PSL
https://tiebreakerti[...]
2023-11-19
[46]
뉴스
Pampanga sweeps Bacoor to win MPBL title on the road
https://www.philstar[...]
2023-12-02
[4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4-04
[48]
웹사이트
PHILIPPINE LAWS, STATUTES AND CODES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www.chanroble[...]
2016-09-07
[49]
웹사이트
THE JUDICIARY REORGANIZATION ACT OF 1980 (B. P. BLG. 129)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www.chanroble[...]
2016-09-07
[50]
서적
He Who Rides the Tiger
Geoffrey Chapman Ltd.
1967
[51]
뉴스
'Sisig Queen' murdered
http://www.gmanetwor[...]
GMA News
2008-04-17
[52]
뉴스
Woman who created native dish slain in Pampanga home
https://web.archive.[...]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8-04-16
[53]
뉴스
RP's sisig queen found dead in Pampanga home
http://www.gmanews.t[...]
GMANews.TV
2008-04-16
[54]
뉴스
'Sisig Queen' murdered
http://www.sunstar.c[...]
Sun Star Pampanga
2008-04-18
[55]
웹사이트
The Manila Times Internet Edition {{!}} OPINION > A harmful distraction
http://www.manilatim[...]
2021-10-31
[56]
뉴스
My Mother Fely J
https://web.archive.[...]
Manila Times
2008-04-16
[57]
웹사이트
Hoy! Pinoy Ako!
http://www.carouselp[...]
2016-09-10
[58]
웹사이트
WCBSTV.com - Kristine Johnson
https://web.archive.[...]
2009-07-14
[59]
웹사이트
Galang, Zoilo
https://panitikan.ph[...]
UP Institute of Creative Writing
2014-06-06
[60]
웹사이트
Pascual Jr., Federico D. Religious Firsts, Postscript, ABS-CBN Interactive, ABS-CBNNews.com
http://www.abs-cbnne[...]
2007-06-23
[61]
웹사이트
Sasmuan Pampanga Coastal Wetland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1-02-01
[62]
문서
Highly urbanized city (independent of province).
[63]
문서
팜팡가주의 주도, 중앙루손 지방의 중심 도시(Region III).
[64]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Pampanga, Philippines
https://web.archive.[...]
StormGeo AS
2016-04-21
[6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66]
문서
2000
[67]
문서
2003
[68]
문서
2006
[69]
문서
2012
[70]
문서
2015
[71]
간행물
위키데이터
2018
[72]
간행물
위키데이터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