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흥업구락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업구락부는 1925년 기독교 및 기호파 계열 인사들이 결성한 단체로, 3·1 운동 이후 자치운동에 대항하고 이승만의 항일 기지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신흥우의 주도로 조직되었으며, 실업 단체로 위장하여 기독교 기반의 애국계몽과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했다. 1927년 신간회에 참여했으나, 1930년대 초 산업부 설치 문제로 내분을 겪고, 1937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강제 해산되었다. 해산 이후 핵심 인물들은 친일파로 전향했다.

2. 역사

1924년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한국YMCA) 총무 신흥우는 북감리파총회와 기독교청년회간부협의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고 귀국하는 길에 호놀룰루에서 이승만을 만났다. 당시 미국에는 이승만 중심의 대한인동지회안창호 중심의 대한인국민회가 각각 활동하고 있었다.[4]

안창호는 이미 국내에서 서북파(西北派)를 구성 요소로 한 수양동우회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었으므로, 신흥우이승만은 국내에 기독교 및 기호파(畿湖派) 계열을 구성 요소로 하면서 대한인동지회의 자매단체 역할을 할 단체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4]

신흥우는 귀국 후 1924년 12월 15일 서울기독교청년회에서 단체 조직을 위한 준비회를 결성하고 운동의 목적 및 방법을 결의하였다. 1925년 3월 23일 신흥우의 집에서 신흥우, 이상재, 구자옥, 유억겸, 이갑성, 박동완, 안재홍 등 9명이 모여 실업 단체로 위장한 흥업구락부를 결성하였다.

흥업구락부는 3·1 운동 이후 타협적인 자치운동에 대항하고, 이승만이 미국에 구축해 둔 항일 기지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주로 서울과 경기도 출신의 기독교인이 참여하여, 안창호를 따르는 서북 지역 출신 중심의 수양동맹회와 대립했다. 또한, 서구형 지식인 위주로 구성되어 천도교동아일보 계열의 민족 운동과도 달랐다.

1927년 신간회 창립 당시 이상재, 유억겸, 안재홍, 박동완, 이갑성, 정춘수 등 흥업구락부 계열이 대거 참여했다. 이들은 신간회 우파 계열 가운데 기독교와 조선일보 측을 대표했다.

1931년경부터 산업부 설치 문제로 내분을 겪었고, 신흥우적극신앙단을 조직하면서 약화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는 실업인 친목단체 수준으로 활동이 미미해졌으며, 개량화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37년 7월 7일 중일 전쟁 발발 후, 일본 제국은 강압적인 사회 체제를 조성하면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1937년 가을 조선총독부윤치호, 장덕수, 유억겸, 신흥우, 장택상 등 청구구락부(靑丘俱樂部) 관계 인사를 먼저 검거하였다.[1] 1938년 2월 조선총독부 경기도경찰부의 지휘 하에 경성서대문경찰서는 흥업구락부 관계자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2] 1938년 3월 10일 흥업구락부 관련자 구자옥 외 52명이 경성서대문경찰서에 체포되었다.[3] 1938년 5월 19일부터 4개월간 경성서대문경찰서는 대대적인 검거 작업을 하였다.[4][5] 1938년 9월 4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신흥우 등 54명은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경성지방법원검사국에 송치되었는데, 강제로 '전향성명서'를 발표함으로써 기소유예로 감경되었다. 성명서 내용에 따라 흥업구락부는 해산되었다.[4][5] 이를 흥업구락부 사건(興業俱樂部事件)이라 한다.

비슷한 시기에 수양동우회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이 사건 이후 흥업구락부의 핵심 인물이던 윤치호, 신흥우, 유억겸, 정춘수, 장덕수 등은 친일파로 전향하여 전쟁 기간 중 일제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2. 1. 결성 배경

1924년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한국YMCA) 총무 신흥우는 북감리파총회와 기독교청년회간부협의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고 귀국하는 길에 호놀룰루에서 이승만을 만났다. 당시 미국에는 이승만 중심의 대한인동지회안창호 중심의 대한인국민회가 각각 활동하고 있었다.[4]

안창호는 이미 국내에서 서북파(西北派)를 구성 요소로 한 수양동우회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었으므로, 신흥우이승만은 국내에 기독교 및 기호파(畿湖派) 계열을 구성 요소로 하면서 대한인동지회의 자매단체 역할을 할 단체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4]

2. 2. 결성 과정

1924년 북감리파총회와 기독교청년회간부협의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한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한국YMCA) 총무 신흥우는 귀국길에 호놀룰루에서 이승만과 만났다. 당시 미국에는 이승만 중심의 대한인동지회안창호 중심의 대한인국민회가 각각 활동하고 있었다.

안창호가 국내에서 이미 서북파(西北派)를 구성 요소로 한 수양동우회를 결성, 활동하고 있었으므로, 신흥우이승만은 국내에 기독교 및 기호파(畿湖派) 계열을 구성 요소로 한 단체 겸 대한인동지회의 자매단체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신흥우는 귀국 후 1924년 12월 15일 서울기독교청년회에서 단체를 조직하기 위한 준비회를 결성하고 운동의 목적 및 방법을 결의하였다.

1925년 3월 23일 신흥우의 집에서 신흥우, 이상재, 구자옥, 유억겸, 이갑성, 박동완, 안재홍 등 9명이 모여 실업 단체로 위장한 흥업구락부를 결성하였다.

2. 3. 주요 활동

흥업구락부는 3·1 운동 이후 타협적인 자치운동에 대항하고, 이승만이 미국에 구축해 둔 항일 기지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주로 서울과 경기도 출신의 기독교인이 참여하여, 안창호를 따르는 서북 지역 출신 중심의 수양동맹회와 대립했다. 또한, 서구형 지식인 위주로 구성되어 천도교동아일보 계열의 민족 운동과도 달랐다.

흥업구락부의 주요 활동은 이승만의 동지회에 자금을 지원하고, 자치운동을 막기 위해 실력양성 운동을 다시 시작한 것이다. 1927년 좌우 합작의 신간회가 창립되었을 때 이상재, 유억겸, 안재홍, 박동완, 이갑성, 정춘수 등 흥업구락부 계열이 대거 참여했다. 이들은 신간회 우파 계열 가운데 기독교와 조선일보 측을 대표했다.

1931년경부터 산업부 설치 문제로 내분을 겪었고, 신흥우적극신앙단을 조직하면서 약화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는 실업인 친목단체 수준으로 활동이 미미해졌으며, 개량화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2. 4. 흥업구락부 사건과 강제 해산

1937년 7월 7일 중일 전쟁 발발 후, 일본 제국은 강압적인 사회 체제를 조성하면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1937년 가을 조선총독부윤치호, 장덕수, 유억겸, 신흥우, 장택상 등 청구구락부(靑丘俱樂部) 관계 인사를 먼저 검거하였다.[1]

1938년 2월 조선총독부 경기도경찰부의 지휘 하에 경성서대문경찰서는 흥업구락부 관계자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2]

1938년 3월 10일 흥업구락부 관련자 구자옥 외 52명이 경성서대문경찰서에 체포되었다.[3]

1938년 5월 19일부터 4개월간 경성서대문경찰서는 대대적인 검거 작업을 하였다.[4][5]

1938년 9월 4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신흥우 등 54명은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경성지방법원검사국에 송치되었는데, 강제로 '전향성명서'를 발표함으로써 기소유예로 감경되었다. 성명서 내용에 따라 흥업구락부는 해산되었다.[4][5] 이를 흥업구락부 사건(興業俱樂部事件)이라 한다.

2. 5. 해산 이후

비슷한 시기에 수양동우회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이 사건 이후 흥업구락부의 핵심 인물이던 윤치호, 신흥우, 유억겸, 정춘수, 장덕수 등은 친일파로 전향하여 전쟁 기간 중 일제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3. 조직 구성 및 성격

흥업구락부는 3·1 운동 이후 조성된 유화 국면에서 타협적인 자치 운동에 반대하고, 이승만이 미국에 구축해 둔 항일 기지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애국계몽과 실력 양성을 추구하였다. 이광수흥사단 계열 수양동맹회와 최린천도교 신파가 조선 독립을 포기하고 자치권 획득으로 목표를 낮추는 것에 대항하여, 민족의 완전한 독립을 목표로 하였다.[1]

3. 1. 인적 구성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한국YMCA)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주로 서울과 경기도 출신의 기독교인이 참여하였다. 안창호를 따르는 서북 지역 출신이 중심이 된 수양동우회와는 대립하는 관계였다. 서구형 지식인들 위주로 구성되어 천도교동아일보 계열의 민족 운동과도 이질적이었다.

3. 2. 이념 및 성향

3·1 운동 이후 조성된 유화 국면에서 타협적인 자치운동에 반대하고, 이승만이 미국에 구축해 둔 항일 기지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애국계몽과 실력 양성을 추구하였다. 이광수가 중심이 된 흥사단 계열의 수양동맹회가 천도교 신파의 최린 계열과 함께 사실상 조선 독립을 포기하고 항일 운동의 목표를 자치권 획득으로 하향 조정하는 흐름에 대항하여, 민족의 완전한 독립을 목표로 하였다.[1]

주로 서울과 경기도 출신의 기독교인이 참여하여 안창호를 따르는 서북 지역 출신이 중심이 된 수양동맹회와 대립하는 관계였다. 또한, 기독교의 혜택을 받은 서구형 지식인들 위주로 구성되어 천도교나 동아일보 계열의 민족 운동과도 이질적이었다.[1]

4. 평가 및 의의

흥업구락부는 수양동우회와 함께 일제강점기 초기에 조직된 대표적인 실력 양성 운동 단체였다. 이들은 민족의 실력 배양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려는 목표를 가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수양동우회가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해체될 무렵, 흥업구락부의 주요 인물들이 친일파로 변절하여 일제에 협력한 것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1]

4. 1. 부정적 평가

수양동우회가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해체될 무렵, 흥업구락부의 핵심 인물이었던 윤치호, 신흥우, 유억겸, 정춘수, 장덕수 등은 친일파로 전향하여 전쟁 기간 중 일제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1]

참조

[1] 웹인용 흥업구락부(興業俱樂部)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0-10-18
[2] 웹인용 興業俱樂部事件이 西大門署에 의하여 발각되어 관계자들이 체포되기 시작하다.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웹인용 在美國 抗日運動團體인 同志會의 國內支部인 秘密結社 興業俱樂部의 정체가 발각되어 금일까지 관련자 具滋玉 外 52名이 前後하여 西大門警察署에 체포되다.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웹인용 興業俱樂部事件 今三日 一部解禁//李承晩 指令에 依해 祕社組織코 活動, 西署에서 畿湖中心으로 檢擧 送局卽時起訴猶豫//四十餘名 有力者網羅 數千圓 資金調達 國內國外서 竝行活動//遺憾된 일이다 三橋警務局長談//聲明書[肖]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웹인용 秘密結社 興業俱樂部事件으로 檢束된 申興雨이하 54名이 西大門警察署에서 治安維持法違反혐의로 京城地方法院檢事局에 송치되었는데 檢事局에서 이들이 轉向聲明書를 발표한 점이 참작되어 起訴猶豫에 처분되다.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