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54년은 갑오년으로, 원나라 지정 14년, 고려 공민왕 3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공민왕의 정동행성 공격, 이븐 바투타의 귀환, 갈리폴리 지진, 콜라 디 리엔초의 사망 등이 있다. 이 해에는 조선 태조의 장남 이방우, 류큐 왕국의 초대 국왕 상사소왕 등이 태어났으며, 샤를 드 라 세르다, 안드레아 단돌로, 콜라 디 리엔초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54년 | |
---|---|
지도 | |
연도 | |
기원전/기원후 | 서기 1354년 |
간지 | 갑오년 |
세기 | 14세기 |
천년기 | 2천년기 |
주요 사건 | |
사건 | 1354년 비잔티움 제국에서 갈리폴리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함락되다. 서량의 마지막 왕, 이보 사망 교황 인노첸시오 6세가 교황으로 선출됨 조선에서 이성계가 함주에서 병사들을 이끌고 동북면으로 이동한 시점 |
문화 | 이탈리아의 작가 조반니 보카치오가 데카메론을 집필 |
탄생 | |
인물 | 김사형 (1354년 ~ 1407년) 콘스탄체 (1354년 ~ 1402년) 야드비가 (1354년 ~ 1374년) 조지아의 다비트 7세 (1354년 ~ 1393년) 후안 1세 (1354년 ~ 1390년) |
사망 | |
인물 | 서량의 이보 아일랜드의 조안나 (1338년 ~ 1354년) 스테판 (1332년 ~ 1354년) 마사코 (1320년 ~ 1354년) 콜롬비아의 윌리엄 (1317년 ~ 1354년)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고려 공민왕이 정동행성을 공격했다.
- 연초 – 이븐 바투타가 모로코의 술탄 아부 이난 파리스의 명령에 따라 여행에서 돌아왔고, 술탄은 그의 모험담을 기록할 서기를 임명했다.
- 2월 12일 – 슈트랄준트 조약으로 메클렌부르크 공국과 포메라니아 공국 사이의 국경 분쟁이 해결되었다.
- 3월 2일 – 갈리폴리 지진이 발생하고, 한 달 안에 터키군이 갈리폴리를 점령하고 정착하면서 갈리폴리 함락이 일어났다.
- 10월 8일 – 자칭 로마의 민중 수령 콜라 디 리엔초가 격분한 군중에게 살해당했다.
- 12월 10일 – 요한 5세 팔라이올로고스가 콘스탄티노플을 탈환하고 단독 황제로 복위하면서 요한 6세 칸타쿠제노스의 비잔티움 제국 황제 재위가 끝났다.
- 왈라키아의 니콜라스 알렉산더가 헝가리인들과 싸워 승리한 포사다 전투 이후, 그의 아들이 24년간 독립을 위해 투쟁한 끝에 헝가리의 루이 1세의 봉신이 되었다.
- 시하부딘 샤가 카슈미르 술탄국의 술탄이 되었다.
4. 1. 고려
4. 2. 국제 정세
국가 | 연호 |
---|---|
元중국어 | 至正중국어 14년 / 惠宗중국어 22년 |
日本일본어 南朝일본어 | 正平일본어 9년 |
日本일본어 北朝일본어 | 文和일본어 3년 |
陳朝vi | 紹豊vi 14년 / 裕宗vi 14년 |
高麗한국어 | 恭愍王한국어 3년 |
- 공민왕, 정동행성을 공격함.
- 연초 – 이븐 바투타가 모로코의 술탄 아부 이난 파리스의 명령에 따라 여행에서 돌아오고, 술탄은 그의 모험담을 기록할 서기를 임명한다.
- 2월 12일 – 슈트랄준트 조약이 메클렌부르크 공국과 포메라니아 공국 사이의 국경 분쟁을 해결한다.
- 3월 2일 – 갈리폴리 지진 발생. 한 달 안에 터키군이 갈리폴리를 점령하고 정착하면서 갈리폴리 함락이 일어난다.
- 10월 8일 – 자칭 로마의 민중 수령 콜라 디 리엔초가 격분한 군중에게 살해당한다.
- 12월 10일 – 요한 5세 팔라이올로고스가 콘스탄티노플을 탈환하고 단독 황제로 복위하면서 요한 6세 칸타쿠제노스의 비잔티움 제국 황제 재위가 끝난다.
- 24년간 독립을 위해 투쟁한 끝에, 아버지 왈라키아의 니콜라스 알렉산더가 헝가리인들과 싸워 승리한 포사다 전투 이후, 헝가리의 루이 1세의 봉신이 된다.
- 시하부딘 샤가 카슈미르 술탄국의 술탄이 된다.
5. 탄생
- 조선 태조 이성계의 장남 이방우
- 카스티야의 콘스탄스[1]
- 시푸엔테스 영주 드니스[1]
- 알론소 엔리케스[1]
- 뫼어스 백작 프리드리히 3세[1]
- 길버트 드 그린로[1]
- 장 드 그루시[1]
- 주앙빌의 마르가레트[1]
- 토마스 드 몰리, 4대 몰리 남작[1]
-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에리크 4세[1]
- 로저 드 스케일스, 4대 스케일스 남작[1]
- 방돔의 카트린[1]
- 비올란테 비스콘티[1]
- 나소-아이슈타인 백작 발람 4세[1]
- 상사소왕[1]
- 토키와이노미야 마니 친왕[1]
5. 1. 고려
5. 2. 그 외 인물
- 이방우한국어, 조선의 왕족, 초대 국왕 이성계의 장남 ([1]1393년 사망)
- 카스티야의 콘스탄사es, 랭커스터 공작 존 오브 곤트의 두 번째 부인 ([1]1394년 사망)
- 상사소왕일본어, 류큐 왕국의 제일상씨 왕통 초대 국왕 ([1]1421년 사망)
- 토키와이노미야 마니 친왕일본어,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1]1426년 사망)
- 시푸엔테스 영주 드니스pt, 포르투갈의 인판테 (1397년경 사망)
- 알론소 엔리케스es, 스페인 귀족 (1429년 사망)
- 뫼어스 백작 프리드리히 3세de, 독일 귀족 (1417년 사망)
- 길버트 드 그린로영어, 스코틀랜드 주교 (1421년 사망)
- 장 드 그루시프랑스어, 노르망디 기사 (1435년 사망)
- 주앙빌의 마르가레트프랑스어, 프랑스 귀족 여성 (1418년 사망)
- 토마스 드 몰리, 4대 몰리 남작영어, 영국 귀족 (1416년 사망)
-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에리크 4세de (1411년/1412년 사망)
- 로저 드 스케일스, 4대 스케일스 남작영어, 영국 귀족 (1387년 사망)
- 방돔의 카트린프랑스어, 프랑스 귀족 여성 (1412년 사망)
- 비올란테 비스콘티it, 이탈리아 귀족 여성 (1386년 사망)
- 나소-아이슈타인 백작 발람 4세de, 독일 귀족 (1393년 사망)
6. 사망
- 1월 8일 - 샤를 드 라 세르다(Charles de La Cerda) (1327년 출생)
- 1월 16일 - 조안나 드 샤티용(Joanna of Châtillon) (1285년경 출생)
- 1월 21일 - 발두인 폰 룩셈부르크(Baldwin von Luxemburg), 트리어 대주교 (1285년 출생)
- 6월 1일 -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 (1293년 출생)
- 7월 13일 - 시마즈 무네히사(島津宗久),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이즈카 家의 제2대 당주 (출생년 미상)
- 8월 9일 - 스테판 슬라보니아 공작 (1332년 출생)
- 9월 7일 - 안드레아 단돌로(Andrea Dandolo), 베네치아 공화국의 제54대 도제 (1307년 출생)[1]
- 10월 5일 - 조반니 비스콘티(Giovanni Visconti),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 추기경 (1290년 출생)
- 10월 8일 - 콜라 디 리엔초(Cola di Rienzo), 로마의 민중 영수 (1313년경 출생)
- 10월 19일 - 유수프 1세(Yusuf I), 그라나다의 술탄 (1318년 출생)
- 황공망(黄公望), 원나라의 수묵화가 (1269년 출생)
- 날짜 미상 - 우전(吳鎮, Wu Zhen), 중국 화가 (1280년 출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