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8년 영국 인권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8년 영국 인권법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인권 협약을 국내법으로 통합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영국 내 모든 법원과 공공기관에 유럽 인권 협약에 명시된 권리와 양립하는 방식으로 법률을 해석할 의무를 부과하며, 해석이 불가능할 경우 불일치 선언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부 장관에게 구제 명령을 내릴 권한을 부여한다. 이 법은 유럽 인권 협약에 명시된 권리를 영국법에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공공기관의 협약 위반 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법원은 사법적 소극주의, 사법부의 입법 주권 침해,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에 대한 주권 침해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하며, 영국 권리장전으로의 대체 논의가 진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법 - 디지털세
    디지털세는 다국적 ICT 기업이 법인세율이 낮은 국가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이윤을 몰아주는 방식으로 조세를 회피하는 행태를 막기 위해 도입된 세금으로, OECD 국가들은 BEPS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디지털세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EU 집행위원회는 디지털 기업의 유럽 내 매출에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발표했다.
  • 1998년 법 - 1998년 국가최저임금법
    1998년 국가최저임금법은 저임금 노동자 보호와 국민 경제 발전을 목표로 제정된 대한민국의 법률로, 최저임금 제도의 미비점 보완과 외환 위기 이후 저임금 노동자 보호 필요성 증대에 따라 노동당의 주도로 사회적 공감대를 얻어 제정되었으며, 주요 정당들의 엇갈린 입장 속에 2024년 기준 시간당 9,860원으로 결정되었다.
  • 영국의 헌법 - 1707년 연합법
    1707년 연합법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왕국을 통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수립한 법률로, 종교적 갈등, 정치적 불안정, 스코틀랜드의 경제적 어려움, 잉글랜드의 왕위 계승 우려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으며 스코틀랜드 내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치·경제 체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정치적 자주성 약화와 경제적 불균형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영국의 헌법 - 1999년 상원법
    1999년 상원법은 영국 상원의 세습 귀족 의석을 제한하고, 92명의 세습 귀족에게 의석을 허용하며 하원 선거 참여를 허용하는 등 상원 개혁을 위한 법안이다.
1998년 영국 인권법
법률 정보
약칭1998년 인권법
의회영국 의회
정식 명칭유럽 인권 협약에 따라 보장된 권리와 자유에 추가적인 효력을 부여하고,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사가 되는 특정 사법 직위 보유자에 대한 조항을 마련하며, 관련 목적을 위한 법률
제정 연도1998년
법전 번호1998 c. 42
발의자잭 스트로, 내무장관
적용 범위영국
국왕 재가1998년 11월 9일
시행일주로 2000년 10월 2일
수정 사항2004년 SI 1574호 2조 1항에 의해 13차 의정서 1조의 문구가 대체됨. 2003년 SI 1887호 9조 부칙 2항 10조 1항에 의해 국무장관 문구가 대체됨.
관련 법률1998년 인권법 (수정) 명령 2004, SI 2004/1574 (4항에 따라 제정).
법적 지위수정됨
원본 텍스트법률 원문 (영어)
수정 텍스트법률 수정본 (영어)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평의회에서 유럽 인권 협약이 초안되었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유럽 평의회 자문 의회의 법률 및 행정 문제 위원회 의장을 역임한 데이비드 맥스웰-파이프 경은 유럽 인권 협약 초안 작성을 감독했다. 이 협약은 영국의 자유와 권리 전통에서 "효과적인 정치 민주주의"를 확보하기 위해 전통적인 시민 자유 접근 방식을 통합하도록 설계되었다. 유럽 평의회의 창립 멤버인 영국은 1951년 3월 유럽 인권 협약에 가입했다. 그러나 영국 시민들이 유럽 인권 재판소(ECtHR)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된 것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1980년대에는 1688년 명예 혁명과 권리 장전 1689년 300주년을 기념한 헌장 88과 같은 단체들이 행정부가 권력을 남용한다고 비판하며, 영국 내 인권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영국 권리 장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1997년 영국 총선 공약에서 노동당은 유럽 인권 협약을 국내법으로 통합하겠다고 약속했다. 선거에서 노동당이 압승을 거두자 토니 블레어 정부는 다음 해에 의회가 인권법을 통과시킴으로써 약속을 이행했다.[3]

1997년 백서 "권리의 귀환"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3]

> 모든 국내 구제책을 소진한 후 소송을 유럽 인권 재판소로 가져가는 데 평균 5년이 걸리고 평균 30000GBP의 비용이 듭니다. 이러한 권리를 국내로 가져오는 것은 영국 국민들이 이러한 과도한 지연과 비용 없이 영국의 법정에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

3. 주요 내용 및 구조

1998년 영국 인권법은 영국 내 모든 법원 및 재판소에 유럽 인권 협약에 명시된 권리와 양립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법률을 해석할 의무를 부과한다(제3조(1)).[4] 법률 해석이 불가능할 경우, 법원은 '불일치 선언'을 발부할 수 있다. 이 선언은 법률을 무효화하지 않지만, 제10조에 따른 특별 신속 절차를 통해 법률 개정을 가능하게 한다.[9] 2006년 9월 현재, 20건의 불일치 선언이 이루어졌으며, 이 중 6건은 항소심에서 뒤집혔다.

이 법은 중앙 정부, 지방 자치 단체, 공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체를 포함하여 영국 내 모든 공공 기관에 적용된다. 다만, 입법 기능을 수행하는 의회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3. 1. 제3조: 법률 해석

제3조는 법원이 본법과 하위 법률 모두를 인권법의 일부인 유럽 인권 협약의 조항과 호환되도록 해석하도록 요구하는 특히 광범위한 조항이다.[4] 이러한 해석은 일반적인 법률 해석을 훨씬 넘어서며,[4] 과거 및 미래의 법률을 포함하므로 인권법이 묵시적 폐지되는 것을 방지한다.[5] 법원은 다음 세 가지 형태의 해석을 통해 이를 적용해 왔다. 즉, 법령에 단어가 없는 경우 단어를 삽입하는 "추가 해석", 법령에서 단어를 생략하는 경우인 "삭제 해석", 특정 의미가 준수하도록 선택되는 "축소 해석"이 있다.[6] 법원은 입법 주권과 상충되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법령을 해석하지 않으며, 특히 이러한 이유로 조항을 "삭제 해석"하는 것을 꺼려왔다. 만약 그렇게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제4조에 따라 호환성 선언을 발부할 수 있다.[7]

제3조는 2023년 불법 이민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8]

3. 2. 제4조 및 제10조: 불일치 선언 및 구제 명령

1998년 영국 인권법 제4조와 제10조는 법원이 1차 또는 2차 법률을 유럽 인권 협약 조항과 일치하도록 제3조를 사용하여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불합치 선언을 내릴 수 있도록 규정한다.[9] 이러한 해석은 입법 의도와 충돌할 수 있으며,[10] 최후의 수단으로 간주된다. 여러 상급 법원이 불합치 선언을 내릴 수 있다.[9]

불합치 선언은 해당 소송 당사자를 구속하지 않으며,[9] 법률의 효력을 무효화하지도 않는다.[11] 따라서 제4조는 법적 수단이 아닌 정치적 수단을 통해 목표를 달성한다.

제10조는 정부 장관에게 다음의 경우 "구제 명령"을 내릴 권한을 부여한다.

  • 항소의 여지가 없는 불합치 선언[12]
  •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


구제 명령은 "불합치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장관이] 간주하는 대로 법률을 수정"할 수 있다.[13] 구제 명령은 완전한 입법 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11] 각 의회의 결의안으로 승인되어야 한다. 긴급한 경우 의회 승인이 소급 적용될 수 있다.[14]

구제 명령은 소급 효력을 가질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간주될 수는 없다.[15]

제10조는 때때로 완전히 새로운 법률이 필요할 때 사용되지만, 협약상의 권리와 일치하도록 법률을 약간 조정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6]

2014년 12월 현재, 총 29건의 불합치 선언이 내려졌다.[17] 이 중:

  • 8건은 항소에서 기각되었다.
  • 1건은 2014년 12월 현재 항소 계류 중이다.
  • 16건은 일반적인 입법 절차(해당 법률 수정 또는 폐지 포함)를 통해 구제되었다.
  • 3건은 구제 명령을 통해 처리되었다.
  • 1건은 구제되지 않았다.


2014년 12월 현재 구제되지 않은 한 건은 영국 복역 중인 수감자의 투표권에 관한 ''스미스 대 스콧'' 사건이다.[17]

3. 3. 제6조-제9조: 공공 기관의 의무 및 사법적 구제

1998년 인권법은 공공기관에만 적용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법이 시민 간 분쟁(수평적 효력)과 국가-시민 간 분쟁(수직적 효력)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인권법 제6조 3항은 법원과 재판소를 공공기관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법원의 판결은 국가의 인권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따라서 판사는 시민 간의 사적인 소송에서도 유럽 인권 협약에 부합하도록 판결해야 한다.[1]

2016년 맥도날드 대 맥도날드 사건(https://www.bailii.org/cgi-bin/format.cgi?doc=/uk/cases/UKSC/2016/28.html McDonald v McDonald & Ors [2016] UKSC 28 (2016년 6월 15일))에서 영국 대법원은 사적 소유주가 주거 점유자를 상대로 점유 청구를 할 때, 법원이 1998년 인권법 제6조와 유럽 인권 협약 제8조에 비추어 점유자를 내쫓는 행위의 비례성을 고려해야 하는지 여부를 다루었다. 대법원은 당사자들이 계약 관계에 있고, 입법부가 각자의 협약 권리가 존중되어야 하는 방식을 규정한 경우, 법원은 계약 내용과 다른 명령을 내릴 수 없다고 판결했다. 즉, 시민 간 분쟁에서 국가 판사는 당사자 간의 관계를 결정하고 국내법을 적용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제6조를 준수할 수 있다.[1]

제7조는 제6조에 따른 소송을 제기할 권리를 공공기관의 불법 행위 피해자(또는 잠재적 피해자)에게만 제한한다. 제8조는 법원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구제 조치를 취할 권리를 제공하며, 이는 양립 불가능 선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제9조는 영국에서 내려진 사법 행위의 준수 여부에 이의를 제기할 권리를 제공하지만, 이는 사법 접근성 법 1999에 명시된 대로 항소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1]

3. 4. 기타 조항

제8조는 영국 판사가 공정하고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구제 조치를 허용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24]

제19조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하는 장관이 협약과의 적합성 진술을 하거나, 그러한 확신을 줄 수 없는 경우 정부가 어쨌든 법안을 진행하기를 원한다는 진술을 하도록 요구한다. 이 진술은 일반적으로 법안의 텍스트와 함께(바로 앞) 공개된다.

4. 보호되는 권리

1998년 영국 인권법은 유럽 인권 협약에 명시된 권리들을 영국 국내법에 확립한 법이다. 이 법에 따라 이미 영국법에 의해 보호받던 많은 권리들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 법의 제21조 5항은 영국 사형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8] 이전에는 살인 (살인(사형 폐지)법 1965)과 반역 (범죄 및 무질서법 1998) 등 민간 범죄에 대한 사형은 폐지되었지만, 일부 군사 범죄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형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유럽 인권 협약에서 직접 요구하는 사항은 아니었고, 영국 정부가 의회의 압력에 대응하여 추가한 것이다.

이 법은 "공공 기관"이 "협약 권리"를 위반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한다.[19] 여기서 "공공 기관"은 공적인 성격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20] 법원도 예외는 아니다.[21] "협약 권리"는 이 법 제1조에 명시된 권리들을 의미한다.[22]

제7조에 따라, 협약 권리를 침해당했거나 침해당할 위기에 놓인 사람은 누구든지 공공 기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23]

법원이 공공 기관의 협약 권리 침해를 인정하면, 손해 배상을 포함하여 공정하고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구제 조치를 명령할 수 있다.[24][25]

다만, 공공 기관이 기본 법률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협약 권리를 침해한 경우에는 예외가 인정된다.[26]

만약 기본 법률을 협약에 부합하도록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법원은 비호환성 선언을 할 수 있다.[27] 이러한 권한은 상급 법원에만 부여된다.[28]

5. 주요 판례


  • 리 클레그의 살인 유죄 판결은 2000년 10월 더 타임스가 신문에 대한 명예 훼손 판결을 뒤집기 위해 제기하면서, 이 법을 처음으로 적용한 사건이었다.[31]
  • 캠벨 대 MGN Ltd [2002] EWCA Civ 1373: 나오미 캠벨과 사라 콕스는 모두 이 법에 따라 자신의 사생활 보호 권리를 주장하려 했다. 두 사건 모두 원고에게 유리하게 결론났으며, 사생활 보호 조항을 포함하도록 영국 법률이 개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 베너블스 앤 톰슨 대 뉴스 그룹 신문사 [2001] 1 All ER 908: 제임스 불거 살인 사건은 불거를 살해한 유죄 판결을 받은 베너블스와 톰슨의 제8조(사생활) 권리가 네 개의 신문사가 그들의 새로운 신원과 거주지를 공개하려 할 때 적용되는지 여부를 시험했다. 엘리자베스 버틀러-슬로스 남작부인 판사는 전과자들에게 신체적 해나 죽음의 가능성을 포함하여 공개가 초래할 수 있는 재앙적인 결과 때문에 해당 자료가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영구적인 세계적 금지 명령을 내렸다.
  • A 외 대 내무부 장관 [2004] UKHL 56:[31] 2004년 12월 16일, 상원은 다수의 비영국 국적자들이 벨마시 교도소에 구금된 권한을 가진 반테러, 범죄 및 안보법 2001의 제4부가 인권법과 양립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이는 테러 방지법 2005의 제정을 촉발했다.
  • ''R v Chauhan and Hollingsworth'': 아메쉬 차우한과 딘 홀링스워스는 2000년에 속도 감시 카메라에 사진이 찍혔다. 경찰은 그들에게 당시 누가 차량을 운전했는지 식별하도록 요청하는 양식을 보냈지만, 그들은 인권법에 따라 항의하며 스스로에게 불리한 증언을 강요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버밍엄 형사 법원의 초기 판결은 그들의 손을 들어주었지만,[32] 나중에 뒤집혔다.
  • 프라이스 대 리즈 시 의회 [2005] EWCA (Civ) 289:[34] 2005년 3월 16일, 잉글랜드 및 웨일스 항소 법원은 리즈 시 의회가 공공 토지에서 롬 가족인 말로니의 주거권을 침해할 수 없다는 고등 법원의 판결을 유지했다. 그러나 법원은 이 결정이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과 상충됨에 따라 이 사건을 상원에 회부했다.
  • ''NHS 신탁 대 MB'':[35] 2006년 3월, 런던의 고등 법원은 아기 MB로 알려진 아이를 생존시키는 인공호흡기를 끄려는 병원의 시도에 반대하는 판결을 내렸다. 19개월 된 아기는 척수성 근위축증을 앓고 있었고, 아이의 부모는 생명권을 위해 싸웠다.
  • 코너스 대 영국:[36]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은 지방 자치 단체 소유 토지에서 생활할 수 있는 면허가 갑자기 취소된 여행자가 차별을 받았으며, 제14조(차별로부터의 보호)와 제8조(주거에 대한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선언했다.
  • 2006년 아프간 항공기 납치 사건: 2006년 5월, 탈레반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비행기를 납치한 아프간인 9명의 처리에 관한 결정은 많은 비난을 받았다. 인권법에 따라 영국의 재판소는 납치범들이 영국에 머물 수 있다고 판결했다.
  • 모즐리 대 뉴스 그룹 신문사 (2008): 맥스 모즐리는 ''뉴스 오브 더 월드''가 그의 사도마조히즘 성행위 연루를 폭로한 후 사생활 침해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 사건으로 모즐리 씨는 60000GBP의 손해 배상을 받았다.

6. 비판과 논란

1998년 영국 인권법은 여러 측면에서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마이클 하워드가 이끄는 보수당은 인권법이 "정치적 올바름", 과도한 소송, 무능한 정의, 보상 문화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38] 예를 들어,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지 않고 학교로 돌아간 방화범 소년, 두 번째 항소가 지연되어 4000GBP의 보상금을 받은 강간범, 침입한 집주인을 고소하기 위해 납세자의 돈을 받은 강도 등의 사례가 언급되었다.[37][38] 그러나 언급된 소년의 소송은 기각되었다.[39][40]

헌법 비평가들은 선출되지 않은 사법부가 정부 정책에 대해 실질적인 판단을 내리고, 관습법 개정을 통해 "대량 입법"을 하여 의회의 입법 주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R (on the application of Daly) v 내무부 장관'' 판례는 유럽 인권 재판소 판례에서 차용한 새로운 비례성 검토가 공공 기관 결정의 실질적인 장점에 대한 더 큰 심사를 허용하여, 사법 심사가 전통적인 사법 심사보다 항소에 가깝다는 것을 보여준다.[41] 또한, 법원이 법률을 최대한 유럽 인권 협약에 부합하도록 해석해야 하는 의무(제3조 1항)가 법률의 모호성에 달려 있지 않으며, 법원이 언어적으로 억지스러운 해석을 채택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한다.[41][42]

폴 데이커는 인권법이 사실상 사생활 보호 권리를 허용한다고 비판했다.[43] 대법관인 찰리 팔코너 경, 토로톤 남작 팔코너는 인권법이 의회를 통과했으며, 사람들의 사생활은 보호받을 필요가 있다고 반박했다.[44]

일부에서는 인권법이 정부가 협약상의 권리에서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권리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45]

존 리드 경은 인권법이 세계 테러와의 싸움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46] 보수당 등 우파는 유럽 인권 협약에 따라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에 구속되어 영국의 주권이 지켜지지 않는다고 비판한다.[67][68][69][70][71]

일부에서는 인권의 구체적인 목록을 법률에 명시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제시한다.[73]

6. 1. 영국 권리장전 제안

2007년, 야당 대표였던 데이비드 캐머런은 선출될 경우 인권법을 폐지하고 영국 권리장전으로 대체하겠다고 약속했다.[47] 2010년 총선 이후, 보수-자유민주당 연립 협약은 인권법을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49]

2011년, 유럽 인권 재판소와 영국 대법원의 논란이 많은 판결 이후, 데이비드 캐머런은 "영국 권리장전"을 제안했다.[50] 2014년, 보수당은 인권법 폐지 및 "영국 권리장전" 대체 계획을 세웠다.[55]

2015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한 후, 마이클 고브 법무부 장관은 연립 정부에서 자유민주당에 의해 막혔던 개혁 실행을 책임졌다. 보수당 공약은 새로운 권리장전이 "영국 법원과 유럽 인권 재판소 간의 공식적인 연계를 끊을 것"이라고 명시했다.[56]

그러나 2017년 총선에서 보수당 공약은 "브렉시트가 진행되는 동안" 인권법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58]

권리장전 법안 2022는 2022년 6월 22일에 초안이 작성되었지만,[59] 2023년 6월 27일에 폐기되었다.[60]

참조

[1] 웹사이트 A Guide to the Human Rights Act 1998: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justice.o[...] JUSTICE 2000-12
[2] 간행물 The Human Rights Act and the doctrine of precedent http://dro.dur.ac.uk[...] 2015-03-01
[3] 문서 Rights Brought Home: The Human Rights Bill Home Office 1997
[4] 서적 2006
[5] 서적 2008
[6] 서적 2006
[7] 서적 2006
[8] 문서 Illegal Migration Act 2023, section 1(5)
[9] 웹사이트 Human Rights Act 1998: Section 4 http://www.legislati[...] 2011-01-11
[10] 서적 2006
[11] 서적 2006
[12] 서적 2006
[13] 법률 Human Rights act, section 10
[14] 법률 Human Rights Act, schedule 2, subsection 4
[15] 법률 Human Rights Act, schedule 2, subsection 1, clause 4
[16] 서적 2006
[17] 웹사이트 Responding to human rights judgments https://www.gov.uk/g[...] 2020-10-13
[18] 법률 Section 6(1)
[19] 법률 Section 6(3)(b)
[20] 법률 Section 6(3)(a)
[21] 웹사이트 The full text of Schedule 1 (along with that of the rest of the Act) can be found at the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Website http://www.opsi.gov.[...]
[22] 법률 Section 2
[23] 법률 Section 7(7)
[24] 법률 Section 8(1)
[25] 법률 Cf. section 8(2)–(5) and section 9(2)–(3) which provides additional protection to the courts.
[26] 법률 Section 6(2).
[27] 법률 Section 3(1)
[28] 법률 Section 4
[29] 법률 Human Rights Act 1998
[30] 법률 Section 10(2)
[31] 법률 2004-12-16
[32] 뉴스 Speeding loophole is legal 'nightmare'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7-15
[33] 법률 2000-12-05
[34] 법률 2005-03-16
[35] 문서 An NHS Trust v MB (a child represented by Cafcass as guardian ad litem) 2006
[36] 간행물 2004-05-27
[37] 뉴스 Judges must bow to the will of Parliament https://www.telegrap[...] 2005-08-10
[38] 웹사이트 Time to liberate the country from Human Rights laws http://www.conservat[...] 2007-07-27
[39] 뉴스 Children test the law lords over right to an education https://www.theguard[...] 2008-10-16
[40] 뉴스 Law lords back school over ban on Islamic gown https://www.telegrap[...] 2008-10-16
[41] 문서 Craig, Administrative Law, 6th ed p560
[42] 웹사이트 Ghaidan v Godin-Mendoza http://www.bailii.or[...]
[43] 논문 Transforming Breach of Confidence? Towards a Common Law Right of Privacy under the Human Rights Act
[44] 뉴스 Mail editor accuses Mosley judge http://news.bbc.co.u[...] 2008-11-10
[45] 문서 Adam Tomkins, Public Law, p. 192
[46] 뉴스 Reid warning to judges over control orders https://www.theguard[...] 2010-05-04
[47] 뉴스 Cameron 'could scrap' rights act http://news.bbc.co.u[...] 2007-04-02
[48] 서적 A British Bill of Rights: Informing the debate http://www.justice.o[...] JUSTICE 2007
[49] 뉴스 Coalition deal: Tories give more ground http://news.bbc.co.u[...] 2010-05-20
[50] 문서 Gallop, Nick, The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Reform p.60 (Philip Allan, 2011)
[51] 뉴스 Deadlock likely on commission pondering a British bill of rights https://www.theguard[...] 2011-03-18
[52] 뉴스 UK's withdrawal from human rights law would be 'political disaster' https://www.theguard[...] 2013-06-04
[53] 뉴스 Scrapping Human Rights Act 'would breach Good Friday agreement' https://www.theguard[...] 2023-04-20
[54] 뉴스 Family win school catchment spying case https://www.theguard[...] 2023-10-21
[55] 뉴스 Conservatives plan to scrap Human Rights Act https://www.theguard[...] 2014-10-03
[56] 웹사이트 The Conservative Party Manifesto 2015 https://www.conserva[...] 2015-05-12
[57] 뉴스 Human Rights Act: What is it and why does Michael Gove want to scrap the policy? https://www.independ[...] 2015-05-12
[58] 웹사이트 Conservative manifesto, 2017 https://s3-eu-west-1[...]
[59] 뉴스 A British bill of rights? This draconian plan is a rights removal bill https://www.theguard[...] 2022-06-22
[60] 서적 Topical Questions https://hansard.parl[...] Hansard 2023-06-27
[61] 논문 講演 欧州人権条約と英国最高裁判所 http://id.nii.ac.jp/[...] 日本比較法研究所
[62] 뉴스 Human Rights Act 1998 https://www.theguard[...] 2019-01-19
[63] 논문 欧州人権条約のイギリスのコモン・ロー憲法原則への影響 : 「法の支配」の変・不変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法学会
[64] 논문 イギリスにおける人権保障 https://ousar.lib.ok[...] 岡山大学法学会 2017-08
[65] 논문 統治機構の人権保障的再構築:裁判所による人権条約の国内実施に対する原理的・制度的・機能的再検討を端緒として https://hdl.handle.n[...] 明治大学法科大学院 2010-02
[66] 논문 イギリスにおける「憲法改革」と最高裁判所の創設:イギリスの憲法伝統とヨーロッパ法体系の相克 https://iss.ndl.go.j[...] 上智短期大学 2010
[67] 웹사이트 UK Human Rights Act is at risk of repeal – here's why it should be protected https://theconversat[...] 2022-02-14
[68] 웹사이트 Why the case against the Human Rights Act is so weak https://theconversat[...] 2022-02-15
[69] 뉴스 Guardian Live: do we still need the Human Rights Ac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7-03
[70] 뉴스 Queen's Speech: Ministers to consult on Bill of Rights https://www.bbc.com/[...] BBC 2015-05-27
[71] 뉴스 Human Rights Act: UK government unveils reform proposals https://www.bbc.com/[...] BBC 2021-12-14
[72] 웹사이트 Five takeaways from the UK government's proposal to replace the Human Rights Act https://theconversat[...] 2021-12-15
[73] 웹사이트 Human rights are nice, but they shouldn’t be enshrined in law https://theconversat[...] 2015-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