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8강 진출팀을 제외한 팀들이 참가하여 예비 예선과 조별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비 예선에서는 21번의 경기를 통해 승리팀이 조별 예선에 진출했으며, 조별 예선은 7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기니는 예선 도중 실격 처리되었다. 1조에서는 나이지리아와 잠비아가, 2조에서는 라이베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53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 중 45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잠비아를 꺾고 우승, 라시디 예키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에서 개최된 CAF 주최 국제 축구 대회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제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사디오 마네가 득점왕에 올랐다.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대회 요약
대회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연도2002
주최국말리
참가국 수51개국
예선 시작일2000년 9월 1일
예선 종료일2001년 6월 17일
본선 진출국 수16개국
다음 대회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통계
총 경기 수153경기
총 득점 수407골
경기당 득점 수2.66골
최다 득점자파트릭 음보마 (9골)
쥘리우스 아가호와 (9골)

2. 예비 예선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8강 진출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총 21번의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승리한 팀은 조별 예선에 진출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모리타니/Mauritanie프랑스어0–3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프랑스어0–00–3
감비아2–4기니/Guinée프랑스어2–20–2
상투메 프린시페/São Tomé e Príncipept2–5가봉/Gabon프랑스어1–14–1
적도 기니/Guinea Ecuatoriales1–5앙골라/Angolapt0–14–1
베냉4–8나미비아/Namibia영어2–02–8
니제르0–7''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프랑스어'''0–16–0
보츠와나1–3라이베리아/Liberia영어1–03–0
시에라리온2–2
중앙아프리카 공화국/République centrafricaine프랑스어1–3콩고 민주 공화국/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프랑스어1–12–0
수단6–3에리트레아/Eritrea영어5–11–2
르완다/Rwanda프랑스어3–6콩고 공화국/République du Congo프랑스어2–15–1
지부티1–4부룬디/Burundi프랑스어1–31–0
카보베르데/Cabo Verdept1–2마다가스카르/Madagasikaramg1–02–0
차드4–4
에티오피아/ኢትዮጵያam1–2잠비아/Zambia영어1–00–2
세이셸0–6짐바브웨/Zimbabwe영어0–15–0
탄자니아2–4모리셔스/Maurice프랑스어0–13–2
우간다5–2말라위/Malawi영어3–11–2
레소토/Lesotho영어1–1
스와질란드/Swaziland영어3–5케냐/Kenyasw3–23–0
모로코/المغربar부전승기니비사우/Guiné-Bissaupt


  • '''모리타니'''와 '''부르키나파소'''의 1차전은 2000년 6월 30일 누악쇼트의 스타드 올랭피크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와가두구의 스타드 뒤 4 아우에서 열렸다.
  • '''감비아'''와 '''기니'''의 1차전은 2000년 7월 1일 바카우의 인디펜던스 스타디움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코나크리의 스타드 뒤 28 스템브르에서 열렸다.
  • '''상투메 프린시페'''와 '''가봉'''의 1차전은 2000년 7월 1일 상투메의 에스타디우 나시오날 12 드 훌루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리브르빌의 스타드 오마르 봉고에서 열렸다.
  • '''적도 기니'''와 '''앙골라'''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말라보의 에스타디오 라 파스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루안다의 에스타디우 다 시다델라에서 열렸다.
  • '''베냉'''과 '''나미비아'''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코토누의 스타드 드 라미티에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빈트후크의 인디펜던스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니제르'''와 '''코트디부아르'''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니아메의 스타드 제네랄 세이니 쿤체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아비장의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 부아니에서 열렸다.
  • '''보츠와나'''와 '''라이베리아'''의 1차전은 2000년 7월 3일 가보로네의 국립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니언 도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열렸다.
  • '''시에라리온'''과 '''토고'''의 1차전은 2000년 8월 20일 프리타운의 국립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9월 3일 로메의 스타드 드 케구에에서 열렸다.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방기의 바르텔레미 보간다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킨샤사의 마르티르 경기장에서 열렸다.
  • '''수단'''과 '''에리트레아'''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하르툼의 하르툼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아스마라의 아스마라 경기장에서 열렸다.
  • '''르완다'''와 '''콩고 공화국'''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키갈리의 스타드 아마호로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푸앵트누아르의 스타드 시립에서 열렸다.
  • '''지부티'''와 '''부룬디'''의 1차전은 2000년 6월 30일 지부티 시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부줌부라의 프린스 루이 르와가소레 경기장에서 열렸다.
  • '''카보베르데'''와 '''마다가스카르'''의 1차전은 2000년 7월 1일 민델루의 에스타디우 무니시팔 아데리투 세나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안타나리보의 마하마시나 시립 경기장에서 열렸다.
  • '''차드'''와 '''리비아'''의 1차전은 2000년 6월 30일 은자메나의 스타드 옴니스포르 이드리마하마트 우야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4일 트리폴리의 6월 11일 경기장에서 열렸다.
  • '''에티오피아'''와 '''잠비아'''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아디스아바바의 아디스아바바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루사카의 독립 경기장에서 열렸다.
  • '''세이셸'''과 '''짐바브웨'''의 1차전은 2000년 7월 1일 빅토리아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불라와요의 바버필즈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탄자니아'''와 '''모리셔스'''의 1차전은 2000년 7월 1일 다르에스살람의 벤자민 음카파 국립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큐어파이프의 스타드 조지 V에서 열렸다.
  • '''우간다'''와 '''말라위'''의 1차전은 2000년 7월 1일 캄팔라의 나키부보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블랜타이어의 카무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레소토'''와 '''모잠비크'''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마세루의 세초토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6일 마푸투의 에스타디우 다 마차바에서 열렸다.
  • '''스와질란드'''와 '''케냐'''의 1차전은 2000년 7월 2일 로밤바의 솜홀로 국립 경기장에서, 2차전은 2000년 7월 15일 몸바사의 몸바사 시립 경기장에서 열렸다.
  • '''모로코ar'''는 '''기니비사우pt'''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조별 예선에 진출했다.
  • '''토고프랑스어''', '''레소토영어''', '''리비아ar'''는 승부차기 끝에 각각 '''시에라리온영어''', '''모잠비크pt''', '''차드ar'''를 꺾고 조별 예선에 진출했다.

2. 1. 경기 결과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모리타니/Mauritanie프랑스어0–3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프랑스어0–00–3
감비아2–4기니/Guinée프랑스어2–20–2
상투메 프린시페/São Tomé e Príncipept2–5가봉/Gabon프랑스어1–11–4
적도 기니/Guinea Ecuatoriales1–5앙골라/Angolapt0–11–4
베냉4–8나미비아/Namibia영어2–02–8
니제르0–7''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프랑스어'''0–10–6
보츠와나1–3라이베리아/Liberia영어1–00–3
시에라리온2–2
중앙아프리카 공화국/République centrafricaine프랑스어1–3콩고 민주 공화국/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프랑스어1–10–2
수단6–3에리트레아/Eritrea영어5–11–2
르완다/Rwanda프랑스어3–6콩고 공화국/République du Congo프랑스어2–11–5
지부티1–4부룬디/Burundi프랑스어1–30–1
카보베르데/Cabo Verdept1–2마다가스카르/Madagasikaramg1–00–2
차드4–4
에티오피아/ኢትዮጵያam1–2잠비아/Zambia영어1–00–2
세이셸0–6짐바브웨/Zimbabwe영어0–10–5
탄자니아2–4모리셔스/Maurice프랑스어0–12–3
우간다5–2말라위/Malawi영어3–12–1
레소토/Lesotho영어1–1
스와질란드/Swaziland영어3–5케냐/Kenyasw3–20–3
모로코/المغربar부전승기니비사우/Guiné-Bissaupt



'''굵은 글씨'''로 표시된 팀이 예비 예선을 통과하였다.


  • '''모리타니'''와 '''부르키나파소'''의 경기는 2000년 6월 30일 누악쇼트의 스타드 올랭피크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와가두구의 스타드 뒤 4 아우에서 2차전이 열렸다.
  • '''감비아'''와 '''기니'''의 경기는 2000년 7월 1일 바카우의 인디펜던스 스타디움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코나크리의 스타드 뒤 28 스템브르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상투메 프린시페'''와 '''가봉'''의 경기는 2000년 7월 1일 상투메의 에스타디우 나시오날 12 드 훌루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리브르빌의 스타드 오마르 봉고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적도 기니'''와 '''앙골라'''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말라보의 에스타디오 라 파스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루안다의 에스타디우 다 시다델라에서 2차전이 열렸다.
  • '''베냉'''과 '''나미비아'''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코토누의 스타드 드 라미티에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빈트후크의 인디펜던스 스타디움에서 2차전이 열렸다.
  • '''니제르'''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니아메의 스타드 제네랄 세이니 쿤체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아비장의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 부아니에서 2차전이 열렸다.
  • '''보츠와나'''와 '''라이베리아'''의 경기는 2000년 7월 3일 가보로네의 국립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니언 도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시에라리온'''과 '''토고'''의 경기는 2000년 8월 20일 프리타운의 국립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9월 3일 로메의 스타드 드 케구에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방기의 바르텔레미 보간다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킨샤사의 마르티르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수단'''과 '''에리트레아'''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하르툼의 하르툼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아스마라의 아스마라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르완다'''와 '''콩고 공화국'''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키갈리의 스타드 아마호로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푸앵트누아르의 스타드 시립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지부티'''와 '''부룬디'''의 경기는 2000년 6월 30일 지부티 시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부줌부라의 프린스 루이 르와가소레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카보베르데'''와 '''마다가스카르'''의 경기는 2000년 7월 1일 민델루의 에스타디우 무니시팔 아데리투 세나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안타나리보의 마하마시나 시립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차드'''와 '''리비아'''의 경기는 2000년 6월 30일 은자메나의 스타드 옴니스포르 이드리마하마트 우야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4일 트리폴리의 6월 11일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에티오피아'''와 '''잠비아'''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아디스아바바의 아디스아바바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루사카의 독립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세이셸'''과 '''짐바브웨'''의 경기는 2000년 7월 1일 빅토리아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불라와요의 바버필즈 스타디움에서 2차전이 열렸다.
  • '''탄자니아'''와 '''모리셔스'''의 경기는 2000년 7월 1일 다르에스살람의 벤자민 음카파 국립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큐어파이프의 스타드 조지 V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우간다'''와 '''말라위'''의 경기는 2000년 7월 1일 캄팔라의 나키부보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블랜타이어의 카무주 스타디움에서 2차전이 열렸다.
  • '''레소토'''와 '''모잠비크'''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마세루의 세초토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6일 마푸투의 에스타디우 다 마차바에서 2차전이 열렸다.
  • '''스와질란드'''와 '''케냐'''의 경기는 2000년 7월 2일 로밤바의 솜홀로 국립 경기장에서 1차전이, 2000년 7월 15일 몸바사의 몸바사 시립 경기장에서 2차전이 열렸다.
  • '''모로코'''는 '''기니비사우'''의 기권으로 인해 부전승으로 진출했다.

3. 조별 예선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8강 진출팀과 예비 예선을 통과한 팀들이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 2위 팀은 본선에 진출했다. 기니는 예선 도중 실격 처리되었고, 기니가 치렀던 경기는 모두 무효 처리되었다.

;3조

승점경기
모로코10631254+1
튀니지8622297+2
가봉86222880
케냐6613258-3



;4조

승점경기
알제리11632197+2
부르키나파소11632143+1
앙골라8622287+1
부룬디2602426-4



;5조

승점경기
토고7431070+7
세네갈5412142+2
우간다14013110-9
기니00000000


  • 기니는 2001년 3월 19일에 기니 스포츠 장관이 국제 축구 연맹(FIFA)가 기니 축구 연맹 임원을 복직시키라는 세 번째 기한을 지키지 못해 실격되었다.
  • 2000년 9월 2일, 우간다 캄팔라 나키부보 스타디움: 우간다 3 - 1 기니 (무효)
  • 2000년 9월 24일, 세네갈 다카르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스타디움: 세네갈 0 - 0 토고
  • 2000년 10월 8일, 토고 로메 케게 스타디움: 토고 3 - 0 우간다
  • 2000년 10월 8일, 기니 코나크리 28 septembre 스타디움: 기니 1 - 0 세네갈 (무효)
  • 2001년 1월 13일, 우간다 캄팔라 나키부보 스타디움: 우간다 1 - 1 세네갈
  • 2001년 3월 24일, 세네갈 다카르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스타디움: 세네갈 3 - 0 우간다
  • 2001년 6월 2일, 우간다 캄팔라 나키부보 스타디움: 우간다 0 - 3 토고
  • 2001년 6월 17일, 토고 로메 케게 스타디움: 토고 1 - 0 세네갈


;6조

승점경기
가나136411168+8
콩고 민주 공화국8622279-2
레소토6613279-2
짐바브웨66204812-4



;7조

승점경기
이집트136411116+5
코트디부아르11632194+5
리비아66204410-6
수단4611437-4

3. 1. 1조

승점경기
나이지리아14642091+8
잠비아86222550
마다가스카르5612357−2
나미비아56123511−6


  • ---

2000년 9월 2일, 나이지리아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나미비아와의 경기에서 이크페바의 해트트릭과 오지그웨의 골에 힘입어 4-0으로 크게 이겼다. 같은 날, 잠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마다가스카르를 상대로 로타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라치미알로나와 란드리나이보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했다.

2000년 10월 7일, 마다가스카르는 알라로비아 시립 경기장에서 나이지리아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다음 날, 나미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잠비아를 상대로 무크와야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므와페와 체피타에게 연속골을 내주며 1-2로 패했다.

2001년 1월 13일, 나이지리아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잠비아를 아갈리의 결승골로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나미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마다가스카르와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나미비아는 힌드요우와 훔멜이 골을 넣었고, 마다가스카르는 란드리나이보와 라치미알로나가 득점했다.

2001년 3월 24일, 잠비아는 은찬가 경기장에서 나이지리아와 1-1로 비겼다. 잠비아는 오코론크워의 자책골로 앞서갔지만, 나이지리아는 아크웨그부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마다가스카르는 마하마시나 시립 경기장에서 나미비아에 메나켈리의 골에도 불구하고 피에나르와 디어갓에게 실점하며 1-2로 패했다.

2001년 6월 2일, 잠비아는 은찬가 경기장에서 나미비아와 0-0으로 비겼다. 같은 날, 나이지리아는 베닌 시티에서 마다가스카르를 아크웨그부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겼다.

2001년 6월 16일, 나미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나이지리아야쿠부와 슈아이부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0-2로 패했다. 같은 날, 마다가스카르는 마하마시나 시립 경기장에서 잠비아에 룽구에게 결승골을 내주며 0-1로 졌다.

'''나이지리아, 잠비아''' 본선 진출.

3. 1. 1. 경기 결과

2000년 9월 2일, 나이지리아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나미비아와의 경기에서 이크페바의 해트트릭과 오지그웨의 골에 힘입어 4-0으로 크게 이겼다. 같은 날, 잠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마다가스카르를 상대로 로타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라치미알로나와 란드리나이보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했다.

2000년 10월 7일, 마다가스카르는 알라로비아 시립 경기장에서 나이지리아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다음 날, 나미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잠비아를 상대로 무크와야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므와페와 체피타에게 연속골을 내주며 1-2로 패했다.

2001년 1월 13일, 나이지리아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잠비아를 아갈리의 결승골로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나미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마다가스카르와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나미비아는 힌드요우와 훔멜이 골을 넣었고, 마다가스카르는 란드리나이보와 라치미알로나가 득점했다.

2001년 3월 24일, 잠비아는 은찬가 경기장에서 나이지리아와 1-1로 비겼다. 잠비아는 오코론크워의 자책골로 앞서갔지만, 나이지리아는 아크웨그부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마다가스카르는 마하마시나 시립 경기장에서 나미비아에 메나켈리의 골에도 불구하고 피에나르와 디어갓에게 실점하며 1-2로 패했다.

2001년 6월 2일, 잠비아는 은찬가 경기장에서 나미비아와 0-0으로 비겼다. 같은 날, 나이지리아는 베닌 시티에서 마다가스카르를 아크웨그부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겼다.

2001년 6월 16일, 나미비아는 독립 경기장에서 나이지리아야쿠부와 슈아이부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0-2로 패했다. 같은 날, 마다가스카르는 마하마시나 시립 경기장에서 잠비아에 룽구에게 결승골을 내주며 0-1로 졌다.

3. 2. 2조

승점경기
라이베리아136411144+10
남아프리카 공화국12633094+5
콩고 공화국5612349−5
모리셔스26024212−10



2000년 9월 3일, 라이베리아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년 도 스포츠 단지에서 모리셔스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 로버츠가 전반 25분에 골을 넣었고, 데바가 47분과 49분에 연속 득점, 세브웨가 골을 추가했다. 같은 날 콩고 공화국푸앵트누아르의 무니시팔 스타디움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1-2로 패했다. 기에-미엔이 후반 70분 페널티킥으로 득점했지만, 남아공의 므고메니가 전반 21분, 어거스트가 후반 59분에 골을 넣어 남아공이 승리했다. 이 경기는 25,000명이 관람했다.

2000년 10월 8일, 모리셔스는 큐어파이프의 조지 V 스타디움에서 콩고 공화국에 1-2로 패했다. 이티에가 후반 47분에 골을 넣었지만, 콩고의 기에-미엔이 전반 27분과 29분에 득점하여 콩고가 승리했다. 이 경기는 21,200명이 관람했다. 2000년 12월 16일, 남아공은 요하네스버그의 퍼스트 내셔널 은행 스타디움에서 라이베리아를 2-1로 이겼다. 바틀렛이 후반 49분, 마싱가가 후반 73분에 득점했고, 라이베리아의 데이예는 후반 80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1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1월 13일, 모리셔스는 모리셔스의 앙잘레이 스타디움에서 남아공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프랑수아가 후반 60분 페널티킥으로 득점했고, 남아공의 버클리는 전반 43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11,260명이 관람했다. 다음 날인 2001년 1월 14일, 라이베리아는 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년 도 스포츠 단지에서 콩고 공화국을 5-1로 크게 이겼다. 데바가 전반 23분과 후반 60분, 마코르가 전반 30분, 로버츠가 후반 51분, 데이예가 후반 62분에 득점했다. 콩고의 크리스트는 전반 21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5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3월 24일, 남아공은 포트 엘리자베스의 텔콤 파크 스타디움에서 모리셔스를 3-0으로 이겼다. 맥카시가 전반 4분, 피리가 전반 14분, 주마가 전반 20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1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3월 25일, 콩고 공화국은 푸앵트누아르의 무니시팔 스타디움에서 라이베리아에 0-1로 패했다. 라이베리아의 데이예가 후반 62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2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6월 3일, 콩고 공화국은 푸앵트누아르의 무니시팔 스타디움에서 모리셔스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10,000명이 관람했다. 같은 날, 라이베리아는 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년 도 스포츠 단지에서 남아공과 1-1로 비겼다. 마코르가 후반 48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했고, 남아공의 라붓라는 전반 39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4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6월 16일, 모리셔스는 모리셔스의 앙잘레이 스타디움에서 라이베리아에 0-2로 패했다. 라이베리아의 톤도가 전반 1분과 후반 61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10,780명이 관람했다. 2001년 6월 17일, 남아공은 더반의 킹스 파크 스타디움에서 콩고 공화국과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45,000명이 관람했다.

'''라이베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본선 진출.

3. 2. 1. 경기 결과

2000년 9월 3일, 라이베리아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년 도 스포츠 단지에서 열린 모리셔스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 로버츠가 전반 25분에 골을 넣었고, 데바가 47분과 49분에 연속 득점, 세브웨가 골을 추가했다. 같은 날 콩고 공화국푸앵트누아르의 무니시팔 스타디움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1-2로 패했다. 기에-미엔이 후반 70분 페널티킥으로 득점했지만, 남아공의 므고메니가 전반 21분, 어거스트가 후반 59분에 골을 넣어 남아공이 승리했다. 이 경기는 25,000명이 관람했다.

2000년 10월 8일, 모리셔스는 큐어파이프의 조지 V 스타디움에서 콩고 공화국에 1-2로 패했다. 이티에가 후반 47분에 골을 넣었지만, 콩고의 기에-미엔이 전반 27분과 29분에 득점하여 콩고가 승리했다. 이 경기는 21,200명이 관람했다. 2000년 12월 16일, 남아공은 요하네스버그의 퍼스트 내셔널 은행 스타디움에서 라이베리아를 2-1로 이겼다. 바틀렛이 후반 49분, 마싱가가 후반 73분에 득점했고, 라이베리아의 데이예는 후반 80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1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1월 13일, 모리셔스는 모리셔스의 앙잘레이 스타디움에서 남아공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프랑수아가 후반 60분 페널티킥으로 득점했고, 남아공의 버클리는 전반 43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11,260명이 관람했다. 다음 날인 1월 14일, 라이베리아는 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년 도 스포츠 단지에서 콩고 공화국을 5-1로 크게 이겼다. 데바가 전반 23분과 후반 60분, 마코르가 전반 30분, 로버츠가 후반 51분, 데이예가 후반 62분에 득점했다. 콩고의 크리스트는 전반 21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5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3월 24일, 남아공은 포트 엘리자베스의 텔콤 파크 스타디움에서 모리셔스를 3-0으로 이겼다. 맥카시가 전반 4분, 피리가 전반 14분, 주마가 전반 20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10,000명이 관람했다. 3월 25일, 콩고 공화국은 푸앵트누아르의 무니시팔 스타디움에서 라이베리아에 0-1로 패했다. 라이베리아의 데이예가 후반 62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2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6월 3일, 콩고 공화국은 푸앵트누아르의 무니시팔 스타디움에서 모리셔스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10,000명이 관람했다. 같은 날, 라이베리아는 몬로비아의 사무엘 캐년 도 스포츠 단지에서 남아공과 1-1로 비겼다. 마코르가 후반 48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했고, 남아공의 라붓라는 전반 39분에 골을 넣었다. 이 경기는 40,000명이 관람했다.

2001년 6월 16일, 모리셔스는 모리셔스의 앙잘레이 스타디움에서 라이베리아에 0-2로 패했다. 라이베리아의 톤도가 전반 1분과 후반 61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10,780명이 관람했다. 6월 17일, 남아공은 더반의 킹스 파크 스타디움에서 콩고 공화국과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45,000명이 관람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