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 대회이다. 예선에는 총 24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예비 라운드를 거쳐 파키스탄이 최종 예선에 합류했고, 레바논은 기권했다. 최종 예선은 6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바레인, 대한민국, 이란,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중국,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 오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AFC 아시안컵 - 2007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07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해당 대회에 참가한 각국 대표팀 선수들의 정보, 감독, 클럽 정보, 통계 자료 등을 제공한다.
  • 2007년 AFC 아시안컵 - 바레인 쇼크
    바레인 쇼크는 2007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김두현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1-2로 역전패당한 사건으로, 핌 베어벡 감독에 대한 비판과 아시안컵 조별리그 탈락 위기를 초래했으나, 대한민국은 이후 8강에 진출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총 10개 조로 나뉜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여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2006년 축구 - 2006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의 우승, 카드 남발 논란, 그리고 팬 페스트의 성공으로 기억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6년 축구 - 2006년 AFC 챌린지컵
    2006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저변 확대를 위해 AFC가 주최하고 방글라데시에서 단독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타지키스탄이 스리랑카를 꺾고 우승했으며 팔레스타인의 파헤드 아탈이 득점왕, 타지키스탄의 이브라힘 라비모프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기간2005년 12월 22일 – 2006년 11월 15일
참가 팀 수24개 팀
참가 연맹 수1개
이전 대회2004년
다음 대회2011년
통계
최다 득점자유니스 마흐무드 (4골)
정조국 (4골)
야세르 알 카타니 (4골)
살레 바시르 (4골)
피라스 알 카티브 (4골)
막심 샤츠키흐 (4골)

2. 예선 참가 팀

2. 1. 예선에 불참한 팀들

조 추첨 이전에 투르크메니스탄(116위), 몰디브(133위), 타지키스탄(144위), 미얀마(147위), 키르기스스탄(157위), 라오스(170위), 네팔(175위), 몽골(179위), 캄보디아(188위), 아프가니스탄(189위), 부탄(190위), 필리핀(191위), 마카오(192위), 브루나이(199위), (204위), 동티모르(없음)가 예선에 불참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당시 82위)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일어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징계 조치에 따라 이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2. 2. 예선 참가가 금지된 팀

조 추첨 이전에 투르크메니스탄(116위), 몰디브(133위), 타지키스탄(144위), 미얀마(147위), 키르기스스탄(157위), 라오스(170위), 네팔(175위), 몽골(179위), 캄보디아(188위), 아프가니스탄(189위), 부탄(190위), 필리핀(191위), 마카오(192위), 브루나이(199위), (204위), 동티모르(FIFA 랭킹 없음)는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당시 82위)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일어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징계 조치에 따라 이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3. 예비 라운드

2005년 12월, 2007년 AFC 아시안컵 참가국 중 FIFA 랭킹이 가장 낮았던 방글라데시(160위)와 파키스탄(158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예비 라운드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원래 2005년 11월에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파키스탄 지진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2005년 12월 22일 방글라데시 다카방가반두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다. 4일 뒤 파키스탄 카라치의 인민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마흐무드가 84분에 골을 넣어 방글라데시가 1-0으로 승리했다. 이로써 방글라데시는 합계 1-0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스리랑카가 기권하면서 파키스탄도 최종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4. 최종 예선

풀 리그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펼쳐졌으며, 각 조 2위까지 본선 진출 티켓이 주어졌다.

스리랑카가 마지막 순간에 기권하면서 파키스탄이 최종 예선에 다시 합류했다.

24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2006년 2월 22일에 시작하여 2006년 11월 15일에 종료되었다.

2006년 8월 1일, 레바논이스라엘과의 분쟁으로 인해 단 한 경기를 치른 후 공식적으로 기권했다.[2]

최종 예선은 2006년 1월 4일에 조 추첨이 진행되었으며, 24개 팀이 4팀씩 6개 조로 나뉘었다(중간에 D조의 레바논이 국내 혼란으로 기권). 예선 각 조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승점이 동률인 팀에 대해서는 해당 팀 간의 직접 대결 전적을, 조 내 득실차·총 득점보다 우선하여 평가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이것이 적용된 한 예가 D조의 2위(바레인)와 3위(쿠웨이트) 팀이었다(조 내 득실차에서는 쿠웨이트가 앞섰지만, 직접 대결 결과가 바레인에 1-2로 졌기 때문에 바레인이 2위가 되어 본선에 진출했다).

4. 1.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04년 AFC 아시안컵예선과 본선 성적을 기초로 하였다.[1] 대한민국은 8강전에서 탈락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조별 리그전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이 그룹 B에 배정되었다.[1] 오스트레일리아2006년 1월AFC에 가입했기 때문에 이전 대회 경력이 없어 최하위 점수를 받고 그룹 D에 배정되었다.[1]

요르단과 우즈베키스탄이 대한민국과 이라크보다 높은 순위를 받은 이유는 요르단과 우즈베키스탄이 승부차기에서 탈락한 반면, 다른 두 팀은 90분 경기에서 패배했기 때문이다.[1] 우즈베키스탄은 조 1위였고, 요르단은 2위였으므로 우즈베키스탄이 요르단보다 앞섰다.[1]

포트 A포트 B포트 C포트 D



:* = ''스리랑카 대체''

4. 2. 동점 시 처리 기준

여러 팀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승자승)

#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골 득실이 앞서는 팀.

#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다득점이 앞서는 팀. (단, 여기서 원정 다득점은 적용되지 않는다)

# 조에 속한 모든 팀들과 치른 경기에서의 골 득실이 앞서는 팀.

# 두 팀은 승부차기를 하게 되는데 단 해당 조 내에서 두 팀만이 동점이어야 하고, 이 두 팀 모두 서로간에 경기를 끝내고 같은 경기장에 있어야 함.

# 추첨

4. 3. A조

A조에서는 일본사우디아라비아가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승점 15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일본이 1위, 사우디아라비아가 2위를 기록했다. 두 팀 간의 경기에서는 2006년 9월 3일 사우디아라비아가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살레흐 바시르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2006년 11월 15일 삿포로 돔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일본이 다나카, 가나하의 득점에 힘입어 3-1로 승리하였다.

예멘은 2승 4패(승점 6점)로 3위를 기록했다. 예멘은 2006년 3월 1일 암베드카르 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의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였고, 2006년 11월 15일 알리 모흐센 알무라이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인도와의 경기에서도 2-1로 승리하였다.

인도는 6전 전패(승점 0점)로 A조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156501152+13
사우디 아라비아156501214+17
예멘66204513-8
인도06006224-22


4. 4. B조

B조에서는 이란대한민국이 각각 4승 2무, 3승 2무 1패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이란은 6경기에서 12득점 2실점을 기록했고, 대한민국은 15득점 5실점을 기록했다. 시리아는 2승 2무 2패로 10득점 6실점을, 중화 타이베이는 6전 전패로 24실점을 기록하며 탈락했다.

2006년 2월 22일 알레포에서 열린 시리아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김두현과 이천수의 골로 대한민국이 2-1 승리를 거두었다. 2006년 9월 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이란의 경기에서는 설기현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경기 종료 직전 하셰미안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6년 9월 6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는 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를 상대로 설기현의 2골과 정조국의 3골, 조재진의 2골, 김두현의 1골을 묶어 8-0 대승을 거두었다. 2006년 10월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시리아의 경기에서는 조재진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알사이드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로 비겼다. 2006년 11월 15일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란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에나야티와 바다마키에게 골을 허용하며 0-2로 패배했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이란146420122+10
대한민국116321155+10
시리아86222106+4
border 중화 타이베이06006024-24


4. 5. C조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C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이 각각 승점 13점과 12점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은 승점 10점으로 탈락했고,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승점 0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아랍에미리트136411116+5
오만126402146+8
요르단106312105+5
파키스탄06006422-18

4. 6. D조

D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바레인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8][9] 쿠웨이트는 바레인과 승점이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바레인이 2위, 쿠웨이트가 3위가 되었다.

승점경기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9430173+4
바레인4411236−3
쿠웨이트4411234−1
레바논중도 기권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의 여파로 레바논 축구 협회가 기권하면서, 2006년 2월 22일에 있었던 레바논과 쿠웨이트의 경기는 무효 처리되었다.[8][9] 레바논을 상대로 치를 예정이었던 다른 팀들의 다음 5경기도 모두 취소되었다.



2006년 2월 22일, 바레인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바레인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3-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베이루트 시립경기장에서 열린 레바논과 쿠웨이트의 경기는 1-1 무승부였으나, 이후 레바논의 기권으로 무효 처리되었다.[3][4] 3월 1일 쿠웨이트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바레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2006년 8월 16일,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쿠웨이트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 9월 6일 쿠웨이트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는 쿠웨이트가 2-0으로 승리했다. 10월 11일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바레인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 11월 15일 바레인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바레인과 쿠웨이트의 경기에서는 바레인이 2-1로 승리했다.

4. 7. E조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E조에서는 이라크중국이 각각 승점 11점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0] 이라크와 중국은 승점, 골득실, 다득점까지 모두 같았으나, 두 팀 간의 경기 결과(이라크 3 – 2 중국)에 따라 이라크가 조 1위로 결정되었다. 싱가포르팔레스타인은 각각 승점 4점으로 예선에서 탈락했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이라크116321128+4
중국11632173+4
싱가포르4511346-2
팔레스타인4511339-6


  • 이라크와 중국의 순위는 두 팀 간의 2경기 대전적(이라크 3 - 2 중국)에 따른다.


2006년 2월 22일 톈허 스타디움(광저우)에서 열린 중국과 팔레스타인의 경기에서 중국이 두웨이와 리웨이펑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싱가포르와 이라크의 경기에서는 싱가포르가 암리와 알람 샤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2006년 3월 1일, 팔레스타인은 요르단 암만의 킹 압둘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싱가포르와의 홈 경기에서 아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이라크는 아랍에미리트 알아인의 셰이크 칼리파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의 홈 경기에서 카림과 물라 모하메드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중국은 타오웨이가 골을 기록했다.

2006년 8월 16일, 중국은 톈진의 터다 축구 경기장에서 열린 싱가포르와의 홈 경기에서 사오자이의 페널티킥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006년 8월 17일, 팔레스타인은 요르단 암만의 킹 압둘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라크와의 홈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 이라크는 마흐무드가 두 골을, 나세르가 한 골을 기록했다.

2006년 9월 6일,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의 홈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이라크는 아랍에미리트 알아인의 셰이크 칼리파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팔레스타인과의 홈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라크는 사디르와 물라 모하메드가, 팔레스타인은 아메르와 알 아모르가 골을 기록했다.

2006년 10월 11일, 이라크는 아랍에미리트 알아인의 셰이크 칼리파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싱가포르와의 홈 경기에서 4-2 승리를 거두었다. 이라크는 마흐무드가 두 골을, 카림과 물라 모하메드가 각각 한 골을 기록했다. 싱가포르는 곤칼베스와 암리가 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팔레스타인은 요르단 암만의 킹 압둘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중국과의 홈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중국은 마오지엔칭과 쑨샹이 골을 기록했다.

2006년 11월 15일, 중국은 창사의 헬롱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라크와의 홈 경기에서 한펑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라크는 살라가 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싱가포르와 팔레스타인의 경기는 팔레스타인 대표팀이 가자 지구의 정정 불안으로 인해 출국하지 못하여 취소되었다.[10]

이라크의 홈 경기는 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전 경기 UAE알아인에서 개최되었고, 팔레스타인의 홈 경기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전 경기 요르단암만에서 개최되었다.

4. 8. F조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F조에서는 카타르우즈베키스탄이 각각 승점 15점과 11점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홍콩은 승점 8점으로 3위, 방글라데시는 승점 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국가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카타르156501144+10
우즈베키스탄116321144+10
홍콩8622257-2
방글라데시06006119-18

5. 본선 진출팀

국가예선 통과 방식예선 통과 날짜역대 대회 참가 횟수1, 2
인도네시아/Indonesiaid00개최국2004년 8월 7일 (1996년, 2000년, 2004년)
말레이시아/Malaysiams (1976년, 1980년)
태국/Thailandth (1972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베트남/Việt Namvi3 (1956년4, 1960년4)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2006년 8월 16일0 (첫 출전)
카타르/Qatarar2006년 9월 6일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2000년, 2004년)
일본/Japan일본어2006년 9월 6일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ar2006년 9월 6일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이란/Iranfa2006년 10월 11일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2006년 10월 11일 (1956년, '1960년', 1964년, 1972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6년, 2000년, 2004년)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ar2006년 10월 11일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4년)
오만/Omanar2006년 10월 11일 (2004년)
이라크/Iraqar2006년 10월 11일 (1972년, 1976년, 1996년, 2000년, 2004년)
중국/China중국어2006년 10월 11일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바레인/Bahrainar2006년 11월 15일 (1988년, 2004년)
우즈베키스탄/Uzbekistanuz2006년 11월 15일 (1996년, 2000년, 2004년)



:

1 '''굵게''' 표시된 것은 해당 연도 우승


:
2 ''이탤릭체''는 개최국


:
3 베트남은 1975년 베트남 통일 이후 첫 출전


:
4 남베트남으로 출전

참조

[1] 웹사이트 Australia must start at the bottom for Asian Cup https://www.timesofm[...] 2005-12-20
[2] 웹사이트 Lebanon pull out of Asian Cup http://www.afcasianc[...] 2006-08-01
[3] 웹사이트 AFC confirms Lebanon withdrawal request http://www.footballa[...] 2006-09-06
[4] 웹사이트 Asian Cup qualifiers – Group D http://www.afcasianc[...] 2006-09-06
[5] 웹사이트 AFC Asian Cup 2007 qualifying: Singapore-Palestine match cancelled http://www.the-afc.c[...] 2006-11-15
[6] 웹사이트 AFC confirms Lebanon's withdrawal from AFC Asian Cup 2007 http://www.the-afc.c[...] 아시아サッカー連盟 2006-08-03
[7] 웹사이트 AFC Asian Cup 2007 qualifying: Singapore-Palestine match cancelled http://www.the-afc.c[...] 아시아サッカー連盟 2006-11-15
[8] 웹인용 AFC confirms Lebanon withdrawal request http://www.footballa[...]
[9] 웹인용 Asian Cup qualifers - D조 http://www.afcasianc[...] 2009-01-13
[10] 뉴스 싱가포르-팔레스타인 아시안컵 예선 '취소 위기' http://sports.new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